KR102167300B1 - 빠른 신축과 패킹교환이 가능한 신축관 이음체 - Google Patents

빠른 신축과 패킹교환이 가능한 신축관 이음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67300B1
KR102167300B1 KR1020190177537A KR20190177537A KR102167300B1 KR 102167300 B1 KR102167300 B1 KR 102167300B1 KR 1020190177537 A KR1020190177537 A KR 1020190177537A KR 20190177537 A KR20190177537 A KR 20190177537A KR 102167300 B1 KR102167300 B1 KR 1021673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ure ring
connection flange
expansion
exterior
contra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75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윤희
Original Assignee
플로우하이텍(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플로우하이텍(주) filed Critical 플로우하이텍(주)
Priority to KR10201901775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730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73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73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7/00Adjustable joints, Joints allowing movement
    • F16L27/08Adjustable joints, Joints allowing movement allowing adjustment or movement only about the axis of one pipe
    • F16L27/0804Adjustable joints, Joints allowing movement allowing adjustment or movement only about the axis of one pipe the fluid passing axially from one joint element to another
    • F16L27/0808Adjustable joints, Joints allowing movement allowing adjustment or movement only about the axis of one pipe the fluid passing axially from one joint element to another the joint elements extending coaxially for some distance from their point of separ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3/00Flanged joints
    • F16L23/02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axially
    • F16L23/036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axially characterised by the tensioning members, e.g. specially adapted bolts or C-cla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3/00Flanged joints
    • F16L23/16Flanged joints characterised by the sealing means
    • F16L23/18Flanged joints characterised by the sealing means the sealing means being 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oints Allowing Mov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양단부에 각각 외향 접합된 접합플랜지(120)와 가압링연결플랜지(110)가 형성되는 신축외관(100)과; 상기 신축외관(100)에 일단부가 삽입되고, 타단부에는 외향 접합된 접합플랜지(310)가 형성되는 신축내관(300)과; 신축내관(300)의 외주면에 구비되어 신축외관(100) 내로 삽입되어 실링하는 패킹부재(230)와 신축내관(300)의 외주면으로 신축외관(100)에 일단부가 삽입되고, 타단부에는 외향 접합된 연결플랜지(210)가 형성되는 가압링(200)과 상기 가압링(200)의 연결플랜지(210)와 신축외관(100)의 가압링연결플랜지(110)의 결합에 의하여 가압링(200)의 단부가 패킹부재(230)를 가압하여 밀봉할 수 있도록 형성된 신축관 이음체에 있어서,
상기 가압링(200)의 이동에 따라 패킹부재(230)가 이동가능 하도록 가압링 단부(220)와 패킹부재(230)가 결합되는 결합부(240)를 구비하며, 상기 신축외관(100)의 외주면에는 상기 가압링연결플랜지(110)와 가압링(200)의 연결플랜지(210)의 간격을 신축할 수 있도록 형성된 신축부(700)를 형성되되, 상기 신축부(700)는 가압링(200)의 연결플랜지(210)를 신축외관(100)의 가압링연결플랜지(110)를 기준으로 간격을 좁게 하여서 패킹부재(230)를 가압하는 축소부(縮小部; 500)와, 상기 가압링(200)의 연결플랜지(210)와 신축외관(100)의 가압링연결플랜지(110) 간격을 넓게 하여 패킹을 이동하는 확장부(擴張部; 60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빠른 신축과 패킹교환이 가능한 신축관 이음체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빠른 신축과 패킹교환이 가능한 신축관 이음체 {Joints for quick expansion and packing exchange}
본 발명은 빠른 신축과 패킹교환이 가능한 신축관 이음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신축관 이음체에 있어서, 가압링의 일단부와 패킹부재를 일체로 결합하여 가압링의 이동에 따라 패킹부재가 이동가능 하도록 하여 신축관 이음체에서 노후화된 패킹의 교환을 가능하도록 하며,
가압링의 연결플랜지를 신축외관의 가압링연결플랜지에서 밀어서 가압링과 가압링에 결합된 패킹부재를 신축외관에서 신속하게 분해 및 조립할 수 있도록 하는 신축관 이음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업용수, 간이상수도, 전원용수, 온천용수, 상수도 가압, 고층빌딩 급수, 농업용수, 위생용 및 수영장 급수 등의 다양한 용도에 사용되는 급수는 통상, 취수지와 정수장 및 배수지를 경유한 후 파이프 라인의 밸브 옆에는 대부분 밸브 의 설치 및 해체 등의 유지관리를 위하여 신축 이음관이 설치된다.
이러한 신축이음관은 그 양측에 플랜지가 형성되고, 양 플랜지 사이에 실링을 개재하여 기밀이 유지되도록 별도의 압륜과 패킹이 설치된다.
일반적으로, 상 하수도 및 플랜트 배관등에 사용되는 밸브는 동,하절기의 기온 차이 또는 유체의 압력이나 수충격등으로 인해 체결부의 플랜지 사이가 벌어지거나 좁아지는 과정에서 기밀 유지력이 약화되고, 심지어 플랜지 연결부위로 누수가 발생될 수 있으며, 유체의 유동에 의해 결국에는 관이나 접합부위 중 가장 약한 부위로 누수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접합 밸브와 신축관 이음이 함께 설치되어 배관들을 연결하는 축 방향의 움직임을 허용하여 열이나 압력으로 인한 팽창이나 유체에 의한 진동 및 수충격 등을 흡수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2019-0031405호(이하 '선행기술문헌1'이라 한다)에서 "팽창 접합부"가 제안되었다.
이와 같이 제안된 선행기술문헌 1의 신축관 이음장치는, 신축외관이 형성된 제1부재와, 신축내관이 형성된 제2부재와, 신축내관 쪽에서 신축외관 쪽으로 결합되는 패킹부재와, 신축내관에 개재된 상태에서 패킹부재를 가압하도록 신축외관의 단부와 볼트와 너트로 조립하는 패킹가압링을 결합한 것이다..
따라서, 이웃하는 관을 상호 연결할 때 설치조건이나 지반 침하 등 외부 요인에 부합하도록 관의 길이를 신축할 수 있다.
하지만, 선행기술문헌 1에 개시된 신축관 이음장치는 배관과 배관 사이 또는 배관과 밸브 사이에 설치시는 별문제가 없으나, 설치 후 밸브를 유지보수시 신축관을 수축시켜 배관 라인 상에서 신축관을 분리한 후 나머지 밸브나 정비가 요구되는 배관을 분리하여 유지보수하게 되는데, 이때 배관 라인 상에 설치된 신축관에 삽입된 패킹부재는 신축관의 내부에서 고착되어 있다.
또한, 이러한 신축관의 패킹부재를 가압하여 수축시키기 위해 신축외관의 연결플랜지와 가압링의 연결플랜지를 체결된 다수 개의 볼트와 너트를 해체하여도 가압링을 손쉽게 분리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가압링을 분리하여도 패킹부재는 신축외관과 신축내관 사이의 내측에 삽입된 관계로 특수한 장비 없이는 패킹부재를 외부로 빼낼 수 없어, 신축관을 배관라인에서 분리한 후에 신축내관을 분리한 후에 신축외관 내부에 고착되거나, 신축 내관 외부에 고착된 패킹부재를 분리하는 어려움과 번거로움이 있으므로, 유지보수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신축관 이음장치 및 이에 대한 기술은 아래의 선행기술문헌에 자세히 기재되어 있으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특허문헌 1 :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9-0031405호 특허문헌 2 :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844820호 특허문헌 3 :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631141호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배관 라인 상에 설치되는 신축이음관에서 가압링을 작업자가 별도의 도구를 동원하지 않고 간편하게 분리할 수 있고, 가압링의 분리에 의하여 패킹부재도 동시에 분리 가능한 신축 이음관 조립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으로는, 신축 이음관을 구성하는 신축외관과 신축내관의 연결부위에 대한 기밀구조를 견고하게 구성하여 실링 성능을 극대화할 뿐 아니라 내압성능을 향상시키고 연결작업이 간편할 수 있도록 한 신축 이음관 조립체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신축 이음관 조립체는, 양단부에 각각 외향 접합된 접합플랜지(120)와 가압링연결플랜지(110)가 형성되는 신축외관(100)과; 상기 신축외관(100)에 일단부가 삽입되고, 타단부에는 외향 접합된 접합플랜지(310)가 형성되는 신축내관(300)과; 신축내관(300)의 외주면에 구비되어 신축외관(100) 내로 삽입되어 실링하는 패킹부재(230)와
신축내관(300)의 외주면으로 신축외관(100)에 일단부가 삽입되고, 타단부에는 외향 접합된 연결플랜지(210)가 형성되는 가압링(200)과 상기 가압링(200)의 연결플랜지(210)와 신축외관(100)의 가압링연결플랜지(110)의 결합에 의하여 가압링(200)의 단부가 패킹부재(230)를 가압하여 밀봉할 수 있도록 형성된 신축관 이음체에 있어서,
상기 가압링(200)의 이동에 따라 패킹부재(230)가 이동가능 하도록 가압링 단부(220)와 패킹부재(230)가 결합되는 결합부(240)를 구비하며,
상기 신축외관(100)의 외주면에는 상기 가압링연결플랜지(110)와 가압링(200)의 연결플랜지(210)의 간격을 신축할 수 있도록 신축부(700)를 형성하되, 상기 신축부(700)는 가압링(200)의 연결플랜지(210)를 신축외관(100)의 가압링연결플랜지(110)를 기준으로 간격을 좁게 하여서 패킹부재(230)를 가압하는 축소부(縮小部; 500)와, 상기 가압링(200)의 연결플랜지(210)와 신축외관(100)의 가압링연결플랜지(110) 간격을 넓게 하여 패킹부재를 이동하는 확장부(擴張部; 600)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확장부(擴張部; 600)는 상기 신축외관(100)의 가압링연결플랜지(110)에 복수개의 관통구를 형성하고, 상기 가압링연결플랜지(110)에 형성된 관통구와 접합플랜지(120) 사이의 신축외관(100)에 외향 접합 되며 상부면에 “U”자형 홈을 구비한 지지대(140)가 더 구비되고, 상기 신축외관(100)의 가압링연결플랜지(110)에 형성된 복수개의 관통구에 삽입되는 복수개의 가압봉(610, 620)을 “U”자형상의 연결대(630)로 결합하고, 상기 복수개의 가압봉(610, 620)이 결합된 연결대의 단부측으로 나사부(640)가 구비된 확장볼트를 구비하여, 상기 확장볼트의 복수개의 가압봉(610, 620)을 신축외관(100)의 가압링연결플랜지(110)의 관통구에 삽입한 후 나사부(640)에 너트(650)를 결합시키고,
상기 “U”자형 홈에 나사 부를 위치시키되, 나사부(640)에 결합된 너트(650)가 상기 지지대(140)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하여 상기 너트를 회전시켜 복수개의 가압봉(610, 620)이 이동하여 가압링(200)의 연결플랜지(210) 면을 가압하여 신축외관(100)의 가압링연결플랜지(110)와 가압링(200)의 연결플랜지(210) 사이의 간격을 넓일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빠른 신축과 패킹교환이 가능한 신축관 이음체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축소부(縮小部; 500)는 상기 신축외관(100)의 가압링연결플랜지(110)와 가압링(200)의 연결플랜지(210)를 각각 관통하는 복수개의 관통구를 구비하며, 상기 가압링연결플랜지(110)에 형성된 관통구와 접합플랜지(120) 사이의 신축외관(100)에 외향접합되며 상부면에 “U”자형 홈을 구비한 지지대(140)가 더 구비되고,
상기 신축외관(100)의 가압링연결플랜지(110)와 가압링(200)의 연결플랜지(210)에 형성된 각각 관통구에 삽입되는 복수개의 볼트(510, 520)를 “U”자형상의 연결대(530)로 결합하고, 상기 복수개의 볼트(510, 520)가 결합된 연결대에 단부측으로 연결대나사부(540)가 구비된 축소볼트를 구비하여, 상기 축소볼트의 복수개의 볼트(510, 520)를 신축외관(100)의 가압링연결플랜지(110)와 가압링(200)의 연결플랜지(210)의 관통구에 삽입한 후 단부에 결합너트(560)를 결합시키고, 상기 지지대(140)의 “U”자형 홈에 삽입된 연결대나사부(540)에 결합되는 너트(550)를 지지대(140)의 외측에서 회전시켜 복수개의 볼트(510, 520)가 연결된 연결대의 이동에 의하여 신축외관(100)의 가압링연결플랜지(110)와 가압링(200)의 연결플랜지(210) 사이의 간격을 줄일 수 있도록 형성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또한, 상기 결합부(240)는 상기 가압링 단부(220)와 패킹부재(230)의 연결부에는 "T" 또는 "역삼각형"의 돌출부와 홈부가 서로 대응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와 홈부를 끼워맞춤으로 결합되어 상기 가압링(200)을 이동하면 신축외관(100)에 삽입된 패킹부재도 동시에 이동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삭제
삭제
또한, 신축외관의 내주면에는 가압링의 패킹부재가 압축될 수 있도록 스톱퍼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빠른 신축과 패킹교환이 가능한 신축관 이음체에 따르면, 배관 라인 상에 설치되는 신축이음관에서, 가압링을 작업자가 별도의 도구를 사용하지 않고, 손쉽게 분리시킬 수 있게 되므로 배관 라인의 유지보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가압링의 일단부와 패킹부재를 일체로 결합시켜, 가압링의 이동에 따라 패킹부재가 이동하도록 하여, 배관라인에서 가압링을 분리하면, 가압링에 결합된 패킹부재가 함께 분리됨으로 패킹부재의 교체작업이 간편하게 이루어지므로 시공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신축 이음관 조립체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신축 이음관 조립체의 결합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신축 이음관 조립체의 설치상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신축부를 나타내기 위한 신축부 외관 사시도이다.
도 5은 본 발명에 따른 가압링을 나타내기 위한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도면 도 2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신축 이음관 조립체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신축 이음관 조립체는 유체가 흐르는 직관인 배관과 배관 사이 또는 유체의 흐름을 제어하는 밸브와 배관 사이에 구비될 수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배관과 밸브 사이에 구비된 것을 일례로 예시하여 설명한다.
상기한 신축 이음관은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축외관(100)과 신축내관(300)을 포함한다.
신축외관(100)은 중공관으로서, 그 양단부에 각각 외향 접합된 접합플랜지(120)와 가압링연결플랜지(110)가 각각 형성된다.
접합플랜지(120)는 신축외관(100)에 이웃하는 직관의 배관(P) 또는 접합밸브(V)와 직접적으로 볼팅되어 결합되는 부분이고, 가압링연결플랜지(110)는 후술될 가압링(200)과 볼팅되어 연결되는 부분이다.
그리고, 접합플랜지(120) 측의 신축외관(100) 내측면에는 그 내부로 삽입되어 구비되는 패킹부재(230)가 일체로 결합된 가압링(200)을 신축외관(100)에 결합시키면 가압링(200)의 연결플랜지(210)가 신축외관(100)의 가압링연결플랜지(110) 측으로 이동하면서 패킹부재(230)가 가압되며 밀봉 실링되는 스톱퍼(130)가 구비되고, 스톱퍼(130)는 링형상으로서 신축외관(100)의 내주면에 용접 고정되어 구비되어 있다.
게다가, 패킹부재(230)는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고무 소재로 구비되어 그 내.외주면이 신축외관(100)의 내주면과 신축내관(300)의 외주면에 각각 면접촉되어 실링 성능을 극대화할 수 있고, 이러한 패킹부재(230)는 가압링(200)의 단부(220)에 결합되어 가압링(200)의 이동에 따라 패킹부재(230)는 가압링(200)과 스톱퍼(130) 사이에서 가압되어 신축내관(300)의 외측과 신축외관(100) 내측 사이에서 압축되게 되어 실링 성능을 견고히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패킹부재(230)가 가압링(200)의 단부(220)에 일체로 결합되어, 상기 가압링(200)의 이동에 따라 동일하게 이동할 수 있어, 가압링(200)을 신축외관(100)과 신축내관(300) 사이에서 신축내관(300)의 접합플랜지(310) 측으로 이동하면, 신축외관(100)과 신축내관(300) 사이에 삽입된 패킹부재(230)도 가압링(200)과 함께 이동되어 별도의 도구 없이 패킹부재(230)를 분리하여 해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신축외관(100)의 외주면에는 상기 가압링연결플랜지(110)와 가압링(200)의 연결플랜지(210)의 간격을 좁히거나 넓게 신축할 수 있는 신축부(700)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신축부(700)는 상기 가압링(200)을 신축외관(100)에 신속하게 해체를 위한 상기 가압링연결플랜지(110)와 가압링(200)의 연결플랜지(210)의 간격을 넓이는 확장부(擴張部; 600)를 구비하며, 상기 확장부(擴張部; 600)는 상기 신축외관(100)의 가압링연결플랜지(110)에 복수개의 관통구를 형성한다.
또한, 상기 가압링연결플랜지(110)에 형성된 관통구와 접합플랜지(120) 사이의 신축외관(100)에 외향접합되며 상부면에 “U”자형 홈을 구비한 지지대(140)가 더 구비된다.
즉, 신축외관(100)의 가압링연결플랜지(110)에는 복수개의 관통구가 형성되어 있고, 가압링연결플랜지(110)과 마주보는 가압링(200)의 연결플랜지(210)에는 관통구가 형성되지 않은 평판부분이 형성되고, 신축외관(100)의 가압링연결플랜지(110)와 접합플랜지(120) 사이의 신축외관(100) 외측에 외향접합되어 고정되고, 상부면에는 “U”자형 홈이 형성된 지지대(140)가 구비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지지대(140)에 지지된 가압봉(미도시)의 일측을 상기 가압링연결플랜지(110)에 형성된 관통구를 통과하여 가압링(200)의 연결플랜지(210)에 닿도록 설치하고, 상기 가압봉을 지지대를 기점으로 신축내관(300)의 접합플랜지(310)측으로 밀게 되면 상기 가압봉의 일측은 가압링(200)의 연결플랜지(210)를 밀게 되어 가압링(200)이 신축내관(300)의 접합플랜지(310) 측으로 이동하고 가압링연결플랜지(110)와 가압링(200)의 연결플랜지(210)의 간격이 넓게 되면서 가압링(200)을 해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신축외관(100)의 가압링연결플랜지(110)에 형성된 복수개의 관통구에 삽입되는 복수개의 가압봉(610, 620)을 “U”자형상의 연결대(630)로 결합하고, 상기 복수개의 가압봉(610, 620)이 결합된 연결대의 단부측으로 나사부(640)가 구비된 확장볼트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확장볼트의 나사부(640)에 너트(650)를 결합시키고, 복수개의 가압봉(610, 620)을 신축외관(100)의 가압링연결플랜지(110)의 관통구에 삽입한 후에 상기 “U”자형 홈에 나사부를 위치시키되,
나사부(640)에 결합된 너트(650)를 상기 지지대(140)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하여, 상기 너트를 회전시키면 연결대와 연결된 복수개의 가압봉(610, 620)이 이동하면서 가압링(200)의 연결플랜지(210) 면을 가압하여 신축외관(100)의 가압링연결플랜지(110)와 가압링(200)의 연결플랜지(210) 사이의 간격을 넓일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신축외관(100)의 가압링연결플랜지(110)와 가압링(200)의 연결플랜지(210) 사이의 간격을 넓히기 전에는 가압링이 이동되기 위한 사전 조건으로 신축외관(100)의 가압링연결플랜지(110)와 가압링(200)의 연결플랜지(210)를 결합한 결합볼트는 모두 풀어서 가압링이 이동 가능하게 사전에 실행하여야 한다.
이와 같이 구성에 의하여 신축외관과 신축내관 사이의 내측에 삽입된 패킹부재(230)는 가압링(200)의 연결플랜지(210)를 확장볼트로 밀어서 신축외관(100)의 가압링연결플랜지(110)와 가압링(200)의 연결플랜지(210) 사이의 간격을 넓힐 수 있고, 이와 같이 가압링(200)의 이동에 의하여 가압링(200)의 단부(220)에 일체로 결합된 패킹부재(230) 또한, 동시에 외부로 이동되어 가압링을 분리하는 동시에 패킹부재(230)도 분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신축외관(100)의 외주면에는 상기 가압링연결플랜지(110)와 가압링(200)의 연결플랜지(210)의 간격을 좁힐 수 있는 축소부(縮小部; 500)를 구비하며, 상기 축소부(縮小部; 500)에 대하여 설명하면,
상기 축소부(縮小部; 500)는 상기 신축외관(100)의 가압링연결플랜지(110)와 가압링(200)의 연결플랜지(210)를 각각 관통하는 복수개의 관통구를 구비한다.
상기 가압링연결플랜지(110)에 형성된 관통구와 접합플랜지(120) 사이의 신축외관(100)에 외향접합되며 상부면에 “U”자형 홈을 구비한 지지대(140)가 더 구비된다.
즉, 신축외관(100)의 가압링연결플랜지(110)와 가압링(200)의 연결플랜지(210)를 각각 관통하는 복수개의 관통구와 상기 지지대(140)의“U”자형 홈을 지나는 연결볼트를 삽입한 후에 상기 가압링연결플랜지(110)의 외측면과 지지대(140)의“U”자형 홈의 외측면에 구비된 너트를 회전시켜 가압링연결플랜지(110)와 가압링(200)의 연결플랜지(210)의 간격을 좁혀지도록 하는 구성이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 상기 신축외관(100)의 가압링연결플랜지(110)와 가압링(200)의 연결플랜지(210)에 형성된 각각 관통구에 삽입되는 복수개의 볼트(510, 520)를“U”자형상의 연결대(530)로 결합하고, 상기 복수개의 볼트(510, 520)가 결합된 연결대에 단부측으로 연결대나사부(540)가 구비된 축소볼트를 구비한다.
축소볼트에 구비된 연결대나사부(540)에 결합너트를 먼저, 결합시킨 후에 복수개의 볼트(510, 520)를 신축외관(100)의 가압링연결플랜지(110)와 가압링(200)의 연결플랜지(210)의 관통구에 삽입하며, 상기 연결대나사부(540)에 결합된 너트가 상기 지지대(140)의 “U”자형 홈의 외측에 위치한 후에 복수개의 볼트(510, 520) 단부에 결합너트를 결합시키고, 상기 지지대(140)의 “U”자형 홈에 삽입된 연결대나사부(540)에 결합되는 너트(550)를 지지대(140)의 외측에서 회전시켜면, 상기 연결대나사부(540)의 이동에 따라 복수개의 볼트(510, 520)도 이동하여 신축외관(100)의 가압링연결플랜지(110)와 가압링(200)의 연결플랜지(210) 사이의 간격을 줄일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이 신축외관(100)의 가압링연결플랜지(110)와 가압링(200)의 연결플랜지(210) 사이의 간격을 줄이기 위한 작업 전에는 가압링이 이동되기 위한 사전 조건으로 신축외관(100)의 가압링연결플랜지(110)와 가압링(200)의 연결플랜지(210)를 지지하고 있는 확장볼트를 모두 풀어서 가압링이 이동 가능하게 사전에 실행하여야 한다.
또한, 배관 라인 상에 설치되는 신축 이음관의 신축외관과 신축내관을 전산볼트로서 간편하게 신축시켜, 신축 이음관을 배관 라인 상에서 손쉽게 설치 및 분리시킬 수 있도록 상기 신축외관의 접합플랜지(120)에는 왼나사 너트로 형성된 연결브라켓(410), 신축내관의 접합플랜지(310)에는 오른나사 너트로 형성된 연결브라켓(420)이 각각 구비되고, 상기 각각의 연결브라켓(410, 420)과 결합될 수 있도록 한쪽에는 왼나사와 타단쪽은 오른나사로 형성된 전산볼트(430)가 결합되어, 상기 전산볼트(430)를 회전시킴에 따라 신축내관(300)과 신축외관(100)의 간격이 신축(伸縮)되게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비된 상태에서 전산볼트(430)를 정회전 또는 역회전시키면, 양측의 왼나사 및 오른나사가 연결브라켓의 너트부에 체결되거나 풀림되면서 신축외관(100)과 신축내관(300)을 수축 또는 확장시키게 됨으로써, 신축외관(100)과 신축내관(300)을 배관 라인 상에 견고하게 설치할 수 있을 뿐 아니라 간편하게 분리시켜 유지보수 할 수 있게 된다.
신축외관(100)에 삽입되어 설치되는 신축내관(300) 역시도 중공관으로서, 그 외경은 신축외관(100)의 내경에 대응한 직경을 갖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신축내관(300)은 그 일단부가 신축외관(100)에 삽입되어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타단부에는 외향 절곡된 접합플랜지(310)가 형성된다.
게다가, 신축내관(300)의 외주면에는 패킹부재(230)가 결합된 가압링(200)이 끼워져 구비되고, 가압링(200)은 대략 "ㄴ"자 형상으로 형성되는바, 신축내관(300)의 외측면에 평행하게 끼워져 구비되어 패킹부재(230)를 가압하는 관부와, 관부의 일단부에서 외측으로 수직하게 절곡되어 구비되는 플랜지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가압링(200)의 단부와 패킹부재의 결합부(240)에는 "T" 또는 "역삼각형"의 돌출부와 홈부가 서로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결합되어 상기 가압링(200)을 분리하면 가압링(200)의 단부에 결합된 패킹부재도 동시에 분리되므로 패킹부재의 교체도 가능하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이 명백하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명확해질 것이다.
100 : 신축외관 110 : 가압링연결플랜지
120 : 접합플랜지 130 : 스톱퍼
140 : 지지대 200 : 접합플랜지
210 : 연결플랜지 220 : 가압링 단부
230 : 패킹부재 240 : 결합부
300 : 신축내관 310 : 접합플랜지
500 : 축소부 510, 520 : 볼트
530 : 연결대 540 : 연결대나사부
550 : 너트 600 : 확장부
610, 620 : 가압봉 630 : 연결대
640 : 나사부 650 : 너트
P : 배관 V : 접합밸브

Claims (6)

  1. 양단부에 각각 외향 접합된 접합플랜지(120)와 가압링연결플랜지(110)가 형성되는 신축외관(100)과;
    상기 신축외관(100)에 일단부가 삽입되고, 타단부에는 외향 접합된 접합플랜지(310)가 형성되는 신축내관(300)과;
    신축내관(300)의 외주면에 구비되어 신축외관(100) 내로 삽입되어 실링하는 패킹부재(230)와
    신축내관(300)의 외주면으로 신축외관(100)에 일단부가 삽입되고, 타단부에는 외향 접합된 연결플랜지(210)가 형성되는 가압링(200)과
    상기 가압링(200)의 연결플랜지(210)와 신축외관(100)의 가압링연결플랜지(110)의 결합에 의하여 가압링(200)의 단부가 패킹부재(230)를 가압하여 밀봉할 수 있도록 형성된 신축관 이음체에 있어서,
    상기 가압링(200)의 이동에 따라 패킹부재(230)가 이동가능 하도록 가압링 단부(220)와 패킹부재(230)가 결합되는 결합부(240)를 구비하며,
    상기 신축외관(100)의 외주면에는 상기 가압링연결플랜지(110)와 가압링(200)의 연결플랜지(210)의 간격을 신축할 수 있도록 신축부(700)를 형성하되,
    상기 신축부(700)는
    가압링(200)의 연결플랜지(210)를 신축외관(100)의 가압링연결플랜지(110)를 기준으로 간격을 좁게 하여서 패킹부재(230)를 가압하는 축소부(縮小部; 500)와,
    상기 가압링(200)의 연결플랜지(210)와 신축외관(100)의 가압링연결플랜지(110) 간격을 넓게 하여 패킹을 이동하는 확장부(擴張部; 600)가 구비되며,
    상기 확장부(擴張部; 600)는
    상기 신축외관(100)의 가압링연결플랜지(110)에 복수개의 관통구를 형성하고,
    상기 가압링연결플랜지(110)에 형성된 관통구와 접합플랜지(120) 사이의 신축외관(100)에 외향접합되며 상부면에 “U”자형 홈을 구비한 지지대(140)가 더 구비되고,
    상기 신축외관(100)의 가압링연결플랜지(110)에 형성된 복수개의 관통구에 삽입되는 복수개의 가압봉(610, 620)을 “U”자형상의 연결대(630)로 결합하고, 상기 복수개의 가압봉(610, 620)이 결합된 연결대의 단부측으로 나사부(640)가 구비된 확장볼트를 구비하여,
    상기 확장볼트에 구비된 복수개의 가압봉(610, 620)을 신축외관(100)의 가압링연결플랜지(110)의 관통구에 삽입한 후 나사부(640)에 너트(650)를 결합시키고,
    상기 “U”자형 홈에 나사 부를 위치시키되,
    나사부(640)에 결합되어 삽입된 너트(650)가 상기 지지대(140)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하여 상기 너트를 회전시켜 복수개의 가압봉(610, 620)이 이동하여 가압링(200)의 연결플랜지(210) 면을 가압하여 신축외관(100)의 가압링연결플랜지(110)와 가압링(200)의 연결플랜지(210) 사이의 간격을 넓일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빠른 신축과 패킹교환이 가능한 신축관 이음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축소부(縮小部; 500)는
    상기 신축외관(100)의 가압링연결플랜지(110)와 가압링(200)의 연결플랜지(210)를 각각 관통하는 복수개의 관통구를 구비하며,
    상기 가압링연결플랜지(110)에 형성된 관통구와 접합플랜지(120) 사이의 신축외관(100)에 외향접합되며 상부면에 “U”자형 홈을 구비한 지지대(140)가 더 구비되고,
    상기 신축외관(100)의 가압링연결플랜지(110)와 가압링(200)의 연결플랜지(210)에 형성된 각각 관통구에 삽입되는 복수개의 볼트(510, 520)를 “U”자형상의 연결대(530)로 결합하고, 상기 복수개의 볼트(510, 520)가 결합된 연결대에 단부측으로 연결대나사부(540)가 구비된 축소볼트를 구비하여,
    상기 축소볼트의 복수개의 볼트(510, 520)를 신축외관(100)의 가압링연결플랜지(110)와 가압링(200)의 연결플랜지(210)의 관통구에 삽입한 후 단부에 결합너트(560)를 결합시키고, 상기 지지대(140)의 “U”자형 홈에 삽입된 연결대나사부(540)에 결합되는 너트(550)를 지지대(140)의 외측에서 회전시켜 복수개의 볼트(510, 520)가 연결된 연결대의 이동에 의하여 신축외관(100)의 가압링연결플랜지(110)와 가압링(200)의 연결플랜지(210) 사이의 간격을 줄일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빠른 신축과 패킹교환이 가능한 신축관 이음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240)는
    상기 가압링 단부(220)와 패킹부재(230)의 연결부에는 "T" 또는 "역삼각형"의 돌출부와 홈부가 서로 대응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와 홈부를 끼워맞춤으로 결합되어 상기 가압링(200)을 이동하면 신축외관(100)에 삽입된 패킹부재도 동시에 이동될 수 있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빠른 신축과 패킹교환이 가능한 신축관 이음체.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190177537A 2019-12-30 2019-12-30 빠른 신축과 패킹교환이 가능한 신축관 이음체 KR1021673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7537A KR102167300B1 (ko) 2019-12-30 2019-12-30 빠른 신축과 패킹교환이 가능한 신축관 이음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7537A KR102167300B1 (ko) 2019-12-30 2019-12-30 빠른 신축과 패킹교환이 가능한 신축관 이음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67300B1 true KR102167300B1 (ko) 2020-10-26

Family

ID=730060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7537A KR102167300B1 (ko) 2019-12-30 2019-12-30 빠른 신축과 패킹교환이 가능한 신축관 이음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7300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31141B1 (ko) 2006-02-17 2006-10-04 메가플랙슨공업(주) 자동압력조절장치가 설치된 벨로우즈 신축이음관
KR20120126685A (ko) * 2011-05-12 2012-11-21 메가플랙슨공업(주) 산업용 고무 익스펜션 조인트
KR20140001443A (ko) * 2012-06-27 2014-01-07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익스펜션 조인트의 타이로드
KR101679615B1 (ko) * 2014-12-29 2016-11-25 조동국 이너스테인레스 신축관 제조방법
KR101844820B1 (ko) 2017-05-12 2018-04-03 이성일 내압성능이 향상된 신축 관 이음장치
KR20190031405A (ko) 2017-09-15 2019-03-26 플로우하이텍(주) 신축 이음관 조립체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31141B1 (ko) 2006-02-17 2006-10-04 메가플랙슨공업(주) 자동압력조절장치가 설치된 벨로우즈 신축이음관
KR20120126685A (ko) * 2011-05-12 2012-11-21 메가플랙슨공업(주) 산업용 고무 익스펜션 조인트
KR20140001443A (ko) * 2012-06-27 2014-01-07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익스펜션 조인트의 타이로드
KR101679615B1 (ko) * 2014-12-29 2016-11-25 조동국 이너스테인레스 신축관 제조방법
KR101844820B1 (ko) 2017-05-12 2018-04-03 이성일 내압성능이 향상된 신축 관 이음장치
KR20190031405A (ko) 2017-09-15 2019-03-26 플로우하이텍(주) 신축 이음관 조립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00094B1 (ko) 신축 이음관 조립체
JP4837473B2 (ja) 管内面補修継手
KR101006355B1 (ko) 벨로우즈형 신축밸브
KR101201393B1 (ko) 고감도보호통용 대용량 연결관의 신축조절구조
US3917324A (en) Pipe joint
KR102167300B1 (ko) 빠른 신축과 패킹교환이 가능한 신축관 이음체
US3703297A (en) Articulated link seals
CN111022810B (zh) 一种管道卡接装置及使用方法
CN210034703U (zh) 一种用于给排水管道间的密封连接装置
CN108730671A (zh) 一种管道修复方法及经修复的管道
JP2009057714A (ja) マンホールと下水道本管との接続構造
US3672705A (en) Pipe jack
CN108488529B (zh) 一种高效减振的波纹管补偿器
CN210531810U (zh) 一种快速装配的橡胶管接头
KR102319277B1 (ko) 밸브 접합관
JP4808544B2 (ja) 伸縮可撓管継手
KR20180124665A (ko) 무용접 배관 플랜지 구조물
KR200368635Y1 (ko) 신축이음
AU2018218665B2 (en) Method for pipe coupling encapsulation
KR20060003727A (ko) 신축이음
RU169897U1 (ru) Муфта для ремонта раструбных соединений
KR200368634Y1 (ko) 신축이음
CN110985781A (zh) 一种水泵水轮机顶盖高压管路联接结构
CN212077670U (zh) 钢箱涵端头止水结构
KR200411386Y1 (ko) 상, 하수도관 연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