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8825Y1 - 가구용 판재 - Google Patents

가구용 판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8825Y1
KR200208825Y1 KR2020000021834U KR20000021834U KR200208825Y1 KR 200208825 Y1 KR200208825 Y1 KR 200208825Y1 KR 2020000021834 U KR2020000021834 U KR 2020000021834U KR 20000021834 U KR20000021834 U KR 20000021834U KR 200208825 Y1 KR200208825 Y1 KR 20020882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furniture
sheet
curved surface
corn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2183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원용수
Original Assignee
원용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원용수 filed Critical 원용수
Priority to KR202000002183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882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882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8825Y1/ko

Links

Landscapes

  • Tables And Desks Characterized By Structural Shap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가구용 판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외부면에 멜라민수지재의 접착시트와 모서리캡을 붙임하여 측면 및 모서리 부분을 둥글게 처리하도록 하는 가구용 판재의 표면마감 구조에 관한 것이다.
그 구성은 모든 측면의 모서리가 라운딩 된 굴곡면(140)과 귀퉁이를 절단한 절단부(150)를 갖는 판재(100)와, 상기 판재(100)의 일측평면부(110)와 상기 굴곡면(140)를 감싸며 상기 판재(100)의 절단부(150)에 대응되어지게 절취한 절취부(210)를 마련하여 접착하는 시트(200)와, 상기 절단부(150)에 대응되어지게 결합하는 꼭지가 둥글게 형성된 모서리캡(300)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일개의 시트를 이용하여 시트의 끝 부분인 이음부분이 노출되어져 걸림이나 분리됨을 방지하고, 미관상에서 오는 부드러운 인지됨을 향상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 이와 함께, 측면부와 모서리부분이 곡면을 이루도록 하여서 신체의 상해를 입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모서리부분이 외부압력에 의해 쉽게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특히, 상기와 같이 마련된 가구용 판재를 이용하여서 테이블의 상판 또는 책상의 상판 그리고, 각종 가구의 내·외부판재로 다양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가구용 판재{PLATE USED FOR FURNITURE}
본 고안은 가구용 판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외부면에 멜라민수지재의 접착시트와 모서리캡을 붙임하여 측면 및 모서리 부분을 둥글게 처리하도록 하는 가구용 판재의 표면마감 구조에 관한 것이다.
먼저, 가구는 원목이나 합판을 이루는 목재 등을 사용하여 판재로 가공하여서 사용하고 있는 것이며, 이는 테이블상판, 책상, 협탁 등으로 조립 및 결합하여 가구로 가공되어지는 것이다.
특히, 합판을 이용한 경우에는 주로 접착시트를 사용하여 표면을 마감하고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의 접착시트 중 주로 사용하는 멜라민수지(Melamine resin)는 무색의 결정성 물질로서, 헤테로고리 유기화학물에 속하며, 멜라민과 포름알데히드로 반응시켜 만든 열경화성수지이다.
이는 무색·투명하여 아름다운 착색을 할 수 있으며, 열·산·용재에 대하여 강하고, 전기적 성질도 뛰어나므로 인해서 식기, 화장판, 도료 그리고 가구 등의 표면마감재로 사용토록 부착하는 접착시트 등으로 널리 사용되어지고 있는 것이다.
반면에, 상기 멜라민수지재의 시트로 사용할 경우 휨 등에 약하여 쉽게 꺾임으로 파손되어지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그리고, 가구 외부면에 멜라민수지재의 접착시트를 이용한 종래의 구조에 대해서 ‘도6’에 의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도는 일예로서 가구의 판재로서 가공되어지는 테이블의 상판의 표면마감 방법 및 구조를 보인 것이며 귀퉁이부분을 확대·해석한 것이다,
이는, 일측모서리(120′)는 라운딩 된 굴곡면(140′)과 타측모서리(140′)는 각이 진 절단면(121′)을 갖는 판재(100′)와,
상기 판재(100′)의 일측평면부(110′)와 일측모서리(120′)를 이루는 굴곡면(140′)을 덮어 접착하는 제1시트(200′)와,
상기 판재(100′)의 타측에 각을 이루는 절단면(121′)과 대응되어지게 덮어 접착하는 제2시트(200″)로 이루어 진 것이다.
그러나, 종래의 구조는 상기 시트가 휨에 약함으로 인하여 일측면이 굴곡을 이루어 마감한다 해도 타측면은 꺾임에 의한 파손으로 인해 일개의 시트로 완성을 하지 못하고 또 다른 측면을 마감할 수 있는 시트를 더 마련하여 붙임으로 이루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붙임 한 시트의 끝부분이 상부면 또는 일측면부의 모서리부에 노출되어져 사용 중 쉽게 걸림 하여서 떨어지는 문제점을 갖음과 동시에 미관상 바람직하지 아니한 문제점을 갖고 있는 것이다.
또한, 테이블의 상판 등에 쓰일 경우 일측면 또는 모서리부분이 굴곡되지 못하고 절단면을 이루어 각을 갖게 됨으로 인해 유아의 신체 등이 접촉되어 상해를 입게되는 커다란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특히, 각이 있는 모서리로 인해 사용 중 또는 운반 중 하중을 받아 쉽게 파손되어지는 문제점도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일개의 시트를 이용하여 시트의 끝 부분인 이음부분이 노출되어져 걸림이나 분리됨을 방지하고, 미관상에서 오는 부드러운 인지됨을 향상한 가구용 판재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함께, 측면부와 모서리부분이 곡면을 이루도록 하여서 신체의 상해를 입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모서리부분이 외부압력에 의해 쉽게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가구용 판재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1은 본 고안의 가구용 판재의 결합상태 사시도.
도2, 도3, 도4는 본 고안의 가구용 판재의 조립과정을 보인 요부조립사시도.
도5는 본 고안의 판재의 모서리캡을 결합과정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6은 종래고안의 가구용 판재의 조립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판재 101-상단패널 102-하단패널
110-일측평면부 120-측면부 130-하측평면부
140-곡면부 150-절단부 151-삽입공
200-시트 210-절취부 220-접착제
300-모서리캡 310-삽입편 320-걸림돌기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르는 가구용 판재의 구조에 대해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모든 측면의 모서리가 라운딩 된 굴곡면(140)과 귀퉁이를 절단한 절단부(150)를 갖는 판재(100)와,
상기 판재(100)의 일측평면부(110)와 상기 굴곡면(140)을 감싸며 상기 판재(100)의 절단부(150)에 대응되어지게 절취한 절취부(210)를 마련하여 접착하는 시트(200)와,
상기 절단부(150)에 대응되어지게 결합하는 꼭지가 둥글게 형성된 모서리캡(300)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절단부(150)에는 절단면에 삽입하는 삽입공(151)과, 상기 모서리캡(300) 내측에는 상기 삽입공(151)에 대응되어지게 끼움으로 삽입하는 삽입편(31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모서리캡(300)의 삽입편(310)에는 선단은 되돌림형상을 갖으며 당김만으로 빠지지 않는 걸림돌기(32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는 구성에 대해서 좀더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2’‘도3’그리고, ‘도4’는 가구용 판재를 보인 것으로 본 도면에는 비용을 절감하기 위해 상단패널(101)에 일정두께를 더 갖도록 하는 하단패널(102)을 더 마련하여서 이룬 것이며, 이는 합판이나 합성수지재 또는 철재를 이용하여서도 이룰 수 있으며, 일정두께를 갖는 상단패널(101)만을 구성하여서도 이룰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판재(100)의 귀퉁이에는 삽입하여서 되는 삽입공(141)을 일정폭과 깊이로 형성하여 마련한 것이다.
이때, ‘도4’와 ‘도5’는 시트(200)와 모서리캡(300)을 결합하는 것을 보인 조립상태의 결합사시도이며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판재(100)의 모든 측면의 모서리가 라운딩을 한 굴곡면(140)을 마련하였다.
또한, 상기 판재(100)의 귀퉁이는 측면부(120)로 라운딩이 시작되는 굴곡면(140)의 내측으로 두께를 절단하여서 된 절단부(150)를 마련하였다.
이때, 본 도에서는 각을 이루어 절단하였지만,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다른실시예로서 호형 또는 평형 등의 다양한 모양으로도 이룰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시트(200)는 상기 판재(100)의 일측평면부(110)와 굴곡면(140)을 이루는 측면부(120) 그리고 타측평면부(130)의 일부를 덮을 수 있는 넓이를 갖도록 마련한 것이다.
이때, 상기 판재(100)의 절단부(150)와 대응되어지게 절단한 절취부(210)를 더 마련한 것이며 접착면에는 접착제(220)를 더 마련하여서 붙임하는 것이다.
그리고, 모서리캡(300)은 상기 절단부(150)에 결합하여 귀퉁이를 이루도록 하는 것이며 이는 꼭지를 둥근형상으로 마련한 것이다.
또한, 상기 모서리캡(300)은 내측에 상기 절단부(150)의 삽입공(151)에 대응되어지게 결합하는 삽입편(310)을 더 마련하였으며, 상기 삽입편(310)에는 상기 삽입공(151)에 삽입한 후 당김만으로는 탈락시킬 수 없는 형상의 걸림돌기(320)를 더 마련한 것이다.
이는 상기 판재(100)의 표면에 시트(200)를 붙임한 상부면과 일치하는 두께 그리고 굴곡면(140)을 마련하여서 삽입 후 돌출 됨 없이 상기 판재(100)에 일체로 마련된 것이다.
그리고, 상기 기술한 본 고안의 구성에 따른 작용에 대해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판재(100)는 측면부가 라운딩 된 굴곡면(140)을 갖음으로 인해 미관상에서 오는 부드러운 인지됨을 향상하는 작용을 하는 것이다.
이와 함께 마련된 모서리캡(300) 역시 상기 굴곡면(140)과 대응되어지게 모서리부분과 귀퉁이의 곡면을 이루도록 하여서 신체의 상해를 입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모서리부분과 귀퉁이가 외부압력에 의해 쉽게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작용을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시트(200)는 일체로 마련하여서 일측평면부(110)와 각각의 측면부(120) 그리고 타측평면부(130)의 일부분 모두 일개의 시트로 덮음 하여 접착할 수 있는 작용을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모서리캡(300)에 마련된 삽입편(310)과 절단부(150)에 마련된 삽입공(151)은 서로 결합함과 동시에 상기 걸림돌기(320) 역시 상기 모서리캡(300)이 탈락되는 것을 방지하는 작용을 하는 것이다.
이후, 상기와 같이 마련된 가구용 판재를 이용하여서 테이블의 상판 또는 책상의 상판 그리고, 각종 가구의 내·외부판재로 사용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가구용 판재는,
일개의 시트를 이용하여 시트의 끝 부분인 이음부분이 노출되어져 걸림이나 분리됨을 방지하고, 미관상에서 오는 부드러운 인지됨을 향상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
이와 함께, 측면부와 모서리부분이 곡면을 이루도록 하여서 신체의 상해를 입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모서리부분이 외부압력에 의해 쉽게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특히, 상기와 같이 마련된 가구용 판재를 이용하여서 테이블의 상판 또는 책상의 상판 그리고, 각종 가구의 내·외부판재로 다양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3)

  1. 모든 측면의 모서리가 라운딩 된 굴곡면(140)과 귀퉁이를 절단한 절단부(150)를 갖는 판재(100)와,
    상기 판재(100)의 일측평면부(110)와 상기 굴곡면(140)를 감싸며 상기 판재(100)의 절단부(150)에 대응되어지게 절취한 절취부(210)를 마련하여 접착하는 시트(200)와,
    상기 절단부(150)에 대응되어지게 결합하는 꼭지가 둥글게 형성된 모서리캡(300)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용 판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부(150)에는 절단면에 삽입하는 삽입공(151)과, 상기 모서리캡(300) 내측에는 상기 삽입공(151)에 대응되어지게 끼움으로 삽입하는 삽입편(31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용 판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모서리캡(300)의 삽입편(310)에는 선단은 되돌림형상을 갖으며 당김만으로 빠지지 않는 걸림돌기(32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용 판재.
KR2020000021834U 2000-07-31 2000-07-31 가구용 판재 KR20020882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1834U KR200208825Y1 (ko) 2000-07-31 2000-07-31 가구용 판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1834U KR200208825Y1 (ko) 2000-07-31 2000-07-31 가구용 판재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44374A Division KR100420452B1 (ko) 2000-07-31 2000-07-31 가구용 판재의 표면마감 방법 및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8825Y1 true KR200208825Y1 (ko) 2001-01-15

Family

ID=730866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1834U KR200208825Y1 (ko) 2000-07-31 2000-07-31 가구용 판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882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2270B1 (ko) 2012-02-17 2013-05-08 박석환 테이블 다리의 라운딩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2270B1 (ko) 2012-02-17 2013-05-08 박석환 테이블 다리의 라운딩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45088Y1 (ko) 전분제 생분해성 수지를 이용한 도마
KR200208825Y1 (ko) 가구용 판재
US5918434A (en) Simulated panel door structure and method
KR100420452B1 (ko) 가구용 판재의 표면마감 방법 및 구조
KR101097703B1 (ko) 가구용 도어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US20050035693A1 (en) Solid surface countertop assembly
KR200332976Y1 (ko) 가구용 패널
KR100814106B1 (ko) 가구용 패널
USD463573S1 (en) Wood trim corner piece
KR200434569Y1 (ko) 가구용 패널의 측면 마감부재
WO2008141529A1 (fr) Panneau à poignée et son procédé de fabrication
KR200479793Y1 (ko) 집성목이 구비된 싱크대용 도어
KR200187622Y1 (ko) 자리용 목편
USD465084S1 (en) Woven wooden briefcase
KR200344058Y1 (ko) 가구용 상판 패널
KR200192796Y1 (ko) 주방용 싱크대 도어
USD1022256S1 (en) Panel with the appearance of board and batten
KR800001225Y1 (ko) 식 탁
KR200303410Y1 (ko) 손잡이홈이 일체로 형성된 서랍의 전면판
KR200240195Y1 (ko) 조립식 책상다리
KR950000699Y1 (ko) 목재를 이용한 가구장식용 무늬판
KR200215240Y1 (ko) 책상 상판의 테두리 마감부재
KR200325439Y1 (ko) 가구의 곡선 에찌면 마감재 조립구조
KR200347595Y1 (ko) 침대용 매트리스 받침틀
JP2018029646A (ja) 棚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100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