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5240Y1 - 책상 상판의 테두리 마감부재 - Google Patents

책상 상판의 테두리 마감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5240Y1
KR200215240Y1 KR2020000026735U KR20000026735U KR200215240Y1 KR 200215240 Y1 KR200215240 Y1 KR 200215240Y1 KR 2020000026735 U KR2020000026735 U KR 2020000026735U KR 20000026735 U KR20000026735 U KR 20000026735U KR 200215240 Y1 KR200215240 Y1 KR 20021524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sk
finishing
edge
top plate
finish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2673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주상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씨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씨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씨스코
Priority to KR202000002673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524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524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5240Y1/ko

Links

Landscapes

  • Tables And Desks Characterized By Structural Shap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책상 상판의 테두리를 미려하고 깨끗하게 마감처리하기 위한 책상 상판의 테두리 마감부재에 관한 것으로, 특히 통상의 형상을 갖는 책상(100) 상판(3)의 각 측면부에 마감부재(1)를 끼워 결합고정할 수 있도록 각각 결합홈(3a)을 형성하고, 상기 결합홈(3a)에 일정형상을 갖는 마감부재(1)가 결합고정되되, 상기 마감부재(1)의 내측에는 상기 결합홈(3a)에 끼워져 조립될 수 있도록 결합돌조(2)가 일체로 돌출형성되며 그 상부측 단부에는 곡면부(1a)를 형성 함으로써, 결합고정시켜서 사용할때 상기 곡면부(1a)에 의해 책이나 옷등이 걸리는 것이 방지되고 또한 사용상의 걸리적거림이 배제되어 사용상의 편의성이 제공되며, 상판에 대한 마감 처리가 용이하고 깨끗한 외형을 유지하게 되므로 제품에 대한 신뢰도가 향상되는 잇점이 있다.

Description

책상 상판의 테두리 마감부재{The edge's finishing of desk's plate}
본 고안은 책상 상판의 테두리를 미려하고 깨끗하게 마감처리하기 위한 책상 상판의 테두리 마감부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결합고정작업이 간단용이하고 사용시 마감부재에 의해 책이나 노트 또는 옷등이 걸리거나 끼이는 것을 방지하여 사용자의 신뢰도가 향상되는 책상 상판의 테두리 마감부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무용 및 학습용등의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는 책상은 그 재질이 목재, 철재 또는 합성수지재등으로 제작되는 것으로서, 각 책상을 구성하는 상판의 테두리에는 외력에 의한 파손방지 및 미려한 외관을 제공하기 위한 별도의 마감부재로 마감처리하게 된다.
특히, 목재로 제작되는 책상의 경우에는 원목을 그대로 사용하거나 압축목재 및 베니어 합판으로 가공하여 사용하기 때문에 외관이 미려하지 못하고 거칠어져 그 표면에 수지재나 비닐재와 같은 시트를 접착하여 사용하는데 이는 상기의 시트가 쉽게 변형되거나 벗겨질 우려가 높아, 마감재로서의 충분한 기능를 수행하지 못하게 되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의 단점을 보안하고자 합성수지로 압출성형된 보강띠와 같은 마감부재가 제공되어 사용된바 있으나, 상기 보강띠는 압출성형되는 과정에서 상하폭이 불규칙하게 성형되므로 정해진 상판의 테두리폭과 정확하게 일치시키기가 어렵고, 조립시 테두리부와 밀착되는 내측면의 상하단이 첨예한 직각으로 형성되어있어 마감부재가 조금만 이격되게 조립되어도 첨예한 직각부위에 의해 걸리적거리게 되어 책상의 품질을 떨어뜨리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고자 종래에도 책상의 상판 테두리부에 견고하게 고정시키면서 그 외형이 완만한 호형으로 형성된 보강테, 보강재와 같은 다양한 마감부재가 고안되어 실용화 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마감부재들은 주로 알루미늄재로 제작되어 나사 체결에 의해 고정되며 그 구조 또한 복잡하여 작업성이 현저하게 떨어지고 제작에 따른 생산단가가 상승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마감부재는 책상 상판의 상면으로 돌출되는 형태로 체결고정되기 때문에 책상 사용시 돌출된 마감부재에 의해 책이나 노트 또는 옷등이 끼이게 되어 책상 사용에 따른 매우 불편한 문제점이 대두 되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이 갖는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조립설치가 간단 용이하고 책상 사용시 마감부재에 의해 걸리적거림이나 책 또는 옷등이 끼이지 않게 함으로써, 책상의 품질 향상으로 사용자에 대한 신뢰도가 향상될 뿐만 아니라 작업성이 우수하게 되는 책상 상판의 테두리 마감부재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마감부재가 적용된 책상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A-A 선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마감부재 1a : 곡면부
2 : 결합돌조 2a : 걸림돌기
3 : 상판 3a : 결합홈
100 : 책상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책상 상판의 테두리 마감부재는 책상을 구성하는 상판과, 내측으로 결합돌조와 그 상단에 곡면부를 일체로 형성하여서 이루어진 마감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도시한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이 결합설치된 책상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A-A선단면도를 보여주는 것으로,
통상의 형상을 갖는 책상(100) 상판(3)의 각 측면부에는 마감부재(1)가 끼워져 결합될 수 있도록 각각 결합홈(3a)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홈(3a)에는 일정형상을 갖는 마감부재(1)가 결합고정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마감부재(1)는 내측으로 상기 결합홈(3a)에 끼워져 결합될 수 있도록 결합돌조(2)가 일체로 돌출형성되고 그 상부측 단부에는 곡면부(1a)가 형성되어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결합돌조(2)의 외면에는 상기 결합홈(3a)에 끼워져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이상의 걸림돌기(2a)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마감부재(1)는 책상(100) 상판(3)의 테두리부에 결합고정되어 사용되는데, 상기 테두리부에 형성된 결합홈(3a)에 상기 마감부재(1)의 결합돌조(2)를 간단한 방법으로 끼워서 결합고정시키게 되므로 조립에 따른 작업성이 우수하게 되며, 상기 결합돌조(2)에 형성된 걸림돌기(2a)에 의해 견고하게 결합고정되는 것이다.
이렇게 결합고정된 상기 마감부재(1)는 결합고정시 약간의 이격에 의해 상판(3)과 동일평면을 유지하지 않더라도 상기 마감부재(1)의 상부측 단부에 형성된 곡면부(1a)에 의해 책이나 옷등이 걸리는 것이 방지되고 또한 사용상의 걸리적거림이 배제되어 사용상의 편의성이 제공되며, 상판의 대한 마감 처리가 용이하고 깨끗한 외형을 유지하게 되므로 제품에 대한 신뢰도가 향상된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같이 본 고안의 책상 상판의 테두리 마감부재는 결합고정작업에 따른 작업성과 사용에 따른 편의성이 우수하게 제공되며 또한, 깨끗한 마감처리로 외관미를 개선 하므로서, 품질의 우수성은 물론 신뢰도가 제공되는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1. 책상의 상판과 그 테두리 부분에 결합고정되는 마감부재에 있어서,
    상기 책상(100) 상판(3)의 각 측면부에는 마감부재(1)가 끼워져 결합고정될 수 있도록 결합홈(3a)이 각각 형성되고, 마감부재(1)의 내측에는 상기 결합홈(3a)에 끼워지는 결합돌조(2)와 그 상단에 곡면부(1a)가 일체로형성되며, 결합돌조(2)의 외주면에는 이 결합돌조(2)가 상기 결합홈(3a)에서 이탈되지 않고 견고하게 끼워질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이상의 걸림돌기(2a)가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하는 책상 상판의 테두리 마감부재.
KR2020000026735U 2000-09-23 2000-09-23 책상 상판의 테두리 마감부재 KR20021524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6735U KR200215240Y1 (ko) 2000-09-23 2000-09-23 책상 상판의 테두리 마감부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6735U KR200215240Y1 (ko) 2000-09-23 2000-09-23 책상 상판의 테두리 마감부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15240Y1 true KR200215240Y1 (ko) 2001-03-02

Family

ID=730534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6735U KR200215240Y1 (ko) 2000-09-23 2000-09-23 책상 상판의 테두리 마감부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5240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011793U (ko) 평면형 직소 퍼즐
KR200401840Y1 (ko) 책상 상판용 몰딩
MXPA05002352A (es) Mesa.
KR200215240Y1 (ko) 책상 상판의 테두리 마감부재
KR200491434Y1 (ko) 가구용 도어틀
US3961456A (en) Molding for cabinets and doors
KR200263773Y1 (ko) 창호의 외관 및 성능 향상구조
KR100614156B1 (ko) 캐비넷용 코너연결 구조물
KR200439860Y1 (ko) 가구용 문판
KR200386601Y1 (ko) 가구용 패널
US20060073286A1 (en) Skirting board structure
CN101310648B (zh) 带把手面板及其制造方法
WO2005071206A1 (en) A corner cap
CN211722433U (zh) 装饰柱及柜体
KR200177059Y1 (ko) 가구용 판재의 테두리
JPS609348Y2 (ja) 框組構造物
KR200208825Y1 (ko) 가구용 판재
US20050061936A1 (en) Clip
KR200343999Y1 (ko) 씽크대문짝의 프레임구조
KR960000011Y1 (ko) 건축 내장용 장식구
KR200276538Y1 (ko) 독서실용 책상의 발판 모서리 보호대
KR100572324B1 (ko) 가구용 엣지 마감재
KR200162799Y1 (ko) 가구용 판재의 보강테
KR200325439Y1 (ko) 가구의 곡선 에찌면 마감재 조립구조
KR200479793Y1 (ko) 집성목이 구비된 싱크대용 도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