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8385Y1 - 반찬용기 - Google Patents

반찬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8385Y1
KR200208385Y1 KR2019980019957U KR19980019957U KR200208385Y1 KR 200208385 Y1 KR200208385 Y1 KR 200208385Y1 KR 2019980019957 U KR2019980019957 U KR 2019980019957U KR 19980019957 U KR19980019957 U KR 19980019957U KR 200208385 Y1 KR200208385 Y1 KR 20020838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de dish
cover
container
dish container
part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1995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08301U (ko
Inventor
한상용
Original Assignee
한상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상용 filed Critical 한상용
Priority to KR201998001995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8385Y1/ko
Publication of KR2000000830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830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838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8385Y1/ko

Links

Landscapes

  • Table Devices Or Equipment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반찬용기에 관한 것으로, 다수의 칸막이(2)가 구비된 몸체(1)와, 몸체(1)의 상부 개구면을 밀폐하는 커버(3)로 구성된 종래 반찬용기에 있어서, 상기 칸막이(2)는 상호 90°의 각을 이루며 교차되는 세로 막(2a)과 가로 막(2b)으로 구분되고, 통형 몸체(4a)와 이 몸체(4a)의 상구 개구면을 밀폐하는 커버(4b)로 구성된 다수의 반찬 저장통(4)들이 칸막이(2)에 의해 구획된 공간들에 각각 안착되어진 구조로 되어, 여러 종류의 반찬들을 구별하여 밀봉 저장할 수 있으면서 그 이용이 편리하고, 다양하게 활용가능하도록 된 것이다.

Description

반찬용기
본 고안은 반찬용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여러 종류의 반찬들을 구별하여 밀봉 저장할 수 있으면서 그 이용이 편리하고, 다양하게 활용가능한 반찬용기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종래 일반적인 반찬용기는 각각 독립적으로 만들어져서 하나의 반찬용기에 한 종류의 반찬을 저장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반찬용기의 몸체에 칸막이를 설치하여 하나의 반찬용기에 여러 종류의 반찬들을 구별하여 저장할 수 있는 것들도 널리 이용되고 있다.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반찬용기의 일예를 도시한 요부분해사시도로서, 이에 도시된 반찬용기는 대한민국 의장등록 제214249호의 반찬용기인 바, 이에 따르면 종래 반찬용기는, 다수의 칸막이(12)가 구비되어 다수의 저장부(11a)가 형성된 몸체(11)와, 몸체(11)의 상부 개구면을 밀폐하는 커버(13)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반찬용기의 사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인 바, 이에 따르면, 몸체(11)의 저면에 지지부(11b)가 돌출되게 형성되고, 손잡이(13b)가 구비된 커버(13)의 상면에 몸체(11)의 지지부(11b)에 대한 안착홈(13a)이 형성되어, 제1 반찬용기의 커버(13) 위에 제2 반찬용기의 몸체(11')를 안정되게 올려놓을 수 있게 되므로, 필요에 따라서 다수의 반찬용기를 순차적으로 쌓아올려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반찬용기는 몸체(11) 상에 커버(13)를 고정함에 있어서, 별도의 체결부재의 사용없이 단지 자중에 의해 커버(13)가 얹혀져 고정되도록 되어 있지만, 이러한 구조는 밀봉성과 이동성에 상당히 불리한 단점이 있다. 따라서, 근래에는 밀봉성이 향상되면서 이동이 간편하게 되도록 커버(3)가 별도의 체결부재를 매개로 몸체(11)에 탈착 가능하게 고정되도록 하고 있다. 또한 여행용 반찬용기의 경우에는 ,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13)가 몸체(11)로부터 완전히 분리되도록 하면 커버(13)가 분실될 우려가 크므로, 몸체(11)에 커버(13)를 힌지 고정하여 몸체(11)로부터 커버(13)가 개폐되도록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상기 여러 종류의 반찬들을 구별하여 저장할 수 있는 반찬용기는 상기 실시예 이외에도 그 형태가 다양하지만, 몸체(11)에 구비되는 다수의 칸막이(12)를 이용하여 여러 종류의 반찬들을 구별 저장하도록 된 구조 자체는 모두 유사하다.
그러나, 상기 종래 저장용기는 칸막이(12)를 매개로 구획된 저장부(11a)에 반찬들이 직접적으로 저장되도록 되어 있어서, 여러 종류의 반찬 중에서 일부 반찬들만이 식사로 소비된 경우, 이들이 저장되었던 저장부(11a)만을 세척할 수 없으므로(남겨진 반찬들로 인해서) 위생상 불리한 단점이 있고, 이로 인해 세척하고자 할 경우에는 남겨진 반찬들을 다른 저장용기에 옮겨 놓은 후 행해야 하므로, 편이성도 크게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종래 저장용기는 비록 칸막이(12)에 의해 여러 종류의 반찬들이 구별되어 저장된다고 하더라도, 각 저장부(11a)들 간의 밀봉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여, 각 반찬들의 고유의 향들이 혼합되어 이들 반찬들의 고유의 맛이 변하게 됨과 더불어 부폐도 촉진되는 문제가 발생되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여러 종류의 반찬들을 구별하여 밀봉 저장할 수 있으면서 그 이용이 편리하고, 다양하게 활용가능한 반찬용기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반찬용기의 일예를 도시한 요부분해사시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반찬용기의 일예를 도시한 요부분해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반찬용기의 사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1 ; 몸체, 1a ; 체결부재,
2 ; 칸막이, 2a ; 세로 막,
2b ; 가로 막, 3 ; 커버,
3a ; 체결부, 3b ; 손잡이,
4 ; 반찬 저장통, 4a ; 몸체,
4b ; 커버, 5 ; 보조 블록,
5a ; 안착홈, 6 ; 조미료 저장통.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다수의 칸막이가 구비된 몸체와, 몸체의 상부 개구면을 밀폐하는 커버로 구성된 반찬용기에 있어서, 상기 칸막이는 상호 90°의 각을 이루며 교차되는 세로 막과 가로 막으로 구분되고, 통형 몸체와 이 몸체의 상구 개구면을 밀폐하는 커버로 구성된 다수의 반찬 저장통들이 칸막이에 의해 구획된 공간들에 각각 안착되어진 구조로 되어 있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반찬용기의 일예를 도시한 요부분해사시도인 바, 이에 의하면 본 고안에 따른 반찬용기는, 몸체(1) 내부에 상호 90°의 각을 이루며 교차되는 세로 막(2a)과 가로 막(2b)으로 구분된 칸막이(2)가 구비되고, 이 칸막이(2)에 의해 구획된 공간들에는 통형 몸체(4a)와 이 몸체(4a)의 상부 개구면을 밀폐하는 커버(4b)로 구성된 다수의 반찬 저장통(4)들이 탈착 가능하게 안착되며, 이들 반찬 저장통(4)들이 내부에 격리되도록 탈착 가능한 커버(3)가 몸체(1)의 상부 개구면을 밀폐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본 고안에 따른 반찬용기는, 여러 종류의 반찬들이 독립적으로 각각의 반찬 저장통(4)에 저장된 후, 이들 반찬 저장통(4)들이 칸막이(2)에 의해 구획된 공간에 안착되므로, 몸체(1)에 보관된 반찬들 중에서 일부 반찬들이 식사 등으로 소비된다고 하더라도, 이들을 저장했던 반찬 저장통(4)만을 끄집어내어 세척하면되므로, 위생과 편이성이 크게 향상된다. 또한, 여러 종류의 반찬들이 독립적인 반찬 저장통(4)에 의해 밀봉되므로, 상기 종래 기술에서 언급한 바와 같은, 각 반찬들의 고유의 향들이 혼합되어 이들 반찬들의 고유의 맛이 변하면서 부폐도 촉진되는 문제가 방지된다.
한편 도 1에 따르면, 상기 칸막이(2)에 의해 구획된 공간들 중에서, 임의의 하나의 공간상에 보조 블록(5)이 안착되고, 이 보조 블록(5)에 다수의 조미료 저장통(6)들이 구비되어 있는데, 이와 같은 경우에는 사용자들이 각자의 입맛에 맞도록 반찬 혹은 국 등의 별도의 음식에 조미료를 첨가하기가 수월하다. 또한, 반찬 저장통(4)은 다양한 형태의 것들이 모두 사용 가능하지만, 반찬 저장통(4)의 재질을 투명 혹은 반투명한 재질로 하면, 사용자가 반찬의 잔류량을 파악하기가 용이하면서 미관도 향상되는 효과가 기대된다.
상기 도 1에 도시된 반찬용기는, 몸체(1)의 외측면에 체결부재(1a)가 설치되고, 손잡이(3b)를 갖춘 커버(3)의 외측면에 체결부(3a)가 구비되어, 몸체(1)에 커버(3)를 얹은 후 수조작으로 체결부재(1a)와 체결부(3a)를 체결시켜서 몸체(1)에 커버(3)가 충분히 고정되도록 되어 있지만, 상기 몸체(1)에 커버(3)를 탈착 혹은 개폐 가능하게 체결하는 구조로는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공지의 것들이 모두 이용가능하다.
이상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르면, 여러 종류의 반찬들이 반찬 저장통에 의해 구별되어 밀봉 저장되므로, 그 이용이 편리하면서 반찬들의 맛과 향의 변질이 크게 억제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저장용기는 저장성이 우수하므로, 일반 가정에서는 물론이고 여행용이나 상업용으로도 다양하게 활용 가능하다.
본 고안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청구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Claims (3)

  1. 다수의 칸막이(2)가 구비된 몸체(1)와, 몸체(1)의 상부 개구면을 밀폐하는 커버(3)로 구성된 반찬용기에 있어서,
    상기 칸막이(2)는 상호 90°의 각을 이루며 교차되는 세로 막(2a)과 가로 막(2b)으로 구분되고, 통형 몸체(4a)와 이 몸체(4a)의 상구 개구면을 밀폐하는 커버(4b)로 구성된 다수의 반찬 저장통(4)들이 칸막이(2)에 의해 구획된 공간들에 각각 안착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찬용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칸막이(2)에 의해 구획된 공간들 중에서, 임의의 하나의 공간상에 보조 블록(5)이 안착되고, 이 보조 블록(5)에 다수의 조미료 저장통(6)들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찬용기.
  3. 제 1항 내지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반찬 저장통(4)은 투명 혹은 반투명한 재질로 만들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찬용기.
KR2019980019957U 1998-10-19 1998-10-19 반찬용기 KR20020838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9957U KR200208385Y1 (ko) 1998-10-19 1998-10-19 반찬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9957U KR200208385Y1 (ko) 1998-10-19 1998-10-19 반찬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8301U KR20000008301U (ko) 2000-05-15
KR200208385Y1 true KR200208385Y1 (ko) 2001-02-01

Family

ID=697098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19957U KR200208385Y1 (ko) 1998-10-19 1998-10-19 반찬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8385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8301U (ko) 2000-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198848A1 (en) Leak-proof portable food and beverage storage container
US6510946B2 (en) Vacuum insulated lunch box
KR200208385Y1 (ko) 반찬용기
KR200165510Y1 (ko) 내부 격벽을 갖는 음료용기
KR200285946Y1 (ko) 도시락 용기
JP2000060624A (ja) 保温容器
KR102351533B1 (ko) 밀폐수단이 구비된 도시락용기
CN218651243U (zh) 一种可降解型纸碗
KR930000359Y1 (ko) 휴대용 도시락
KR200316999Y1 (ko) 다수의 수용 내용물에 대한 독립적 밀폐 및 사용이용이한 식품보관용기
CN217242990U (zh) 多层食品餐盒
KR20110005645U (ko) 치킨 배달용 포장상자
KR20040054462A (ko) 다수의 수용 내용물에 대한 독립적 밀폐 및 사용이 용이한식품보관용기
WO2008037017A1 (en) Refrigerator caddy
KR890005398Y1 (ko) 도시락
KR200379039Y1 (ko) 복수의 용기를 구비한 밀폐용기세트
KR101991613B1 (ko) 식료품 포장 용기
KR960000474Y1 (ko) 도시락
KR200259314Y1 (ko) 식품용기
KR100750230B1 (ko) 김치통
JP3336956B2 (ja) 保温弁当箱
KR20140147187A (ko) 복합 양념통
KR920005899Y1 (ko) 물통수납형 도시락
KR20210132996A (ko) 일회용 식품용기
KR20050002745A (ko) 복수의 용기를 구비한 밀폐용기세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100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