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7876Y1 - 이완식 발파공법 및 발파매트의 구조 - Google Patents

이완식 발파공법 및 발파매트의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7876Y1
KR200207876Y1 KR2020000020603U KR20000020603U KR200207876Y1 KR 200207876 Y1 KR200207876 Y1 KR 200207876Y1 KR 2020000020603 U KR2020000020603 U KR 2020000020603U KR 20000020603 U KR20000020603 U KR 20000020603U KR 200207876 Y1 KR200207876 Y1 KR 20020787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asting
section
mat
rock
ho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2060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용소
황현주
Original Assignee
조용소
황현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000026596A external-priority patent/KR100354220B1/ko
Application filed by 조용소, 황현주 filed Critical 조용소
Priority to KR202000002060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787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787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7876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2AMMUNITION; BLASTING
    • F42DBLASTING
    • F42D1/00Blasting methods or apparatus, e.g. loading or tamping
    • F42D1/08Tamping methods; Methods for loading boreholes with explosives; Apparatus therefor
    • F42D1/24Tamping methods; Methods for loading boreholes with explosives;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tamping material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Affording Protection Of Roads Or Walls For Sound Insula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도로개설시 또는 도로확장시 도로의 일측 또는 양측에 암반층으로 형성된 암사면 일부를 굴착하거나 또는 무자유면으로 된 암반층의 중간부분 일부를 굴착하기 위한 이완식 발파공법 및 발파매트의 구조에 관한 것으로, 암반층의 자유면과 절취면 사이의 수평상면에 굴착하고자 하는 암반층의 길이방향을 행해 일정거리로 발파구간을 등분 분할하여 구획한 다음 상기 발파구간마다 일정간격을 갖는 다수의 발파공을 수직하향을 향해 뚫어주는 발파공 천공단계와; 상기 발파공 천공단계에서 천공된 발파공에 투입되는 폭약은 각 발파구간별로 구분되어 폭발할 수 있도록 하며, 또한 각 발파구간의 발파공에 투입된 폭약들이 정해진 순서로 연속적으로 폭발할 수 있도록 발파도선을 연결시키는 발파도선 연결단계와; 상기 발파도선이 연결된 각 발파구간에 형성된 다수의 발파공들 전체를 덮어줄 수 있는 크기를 가지는 철판부재와, 상기 철판부재의 저부에는 발파구간의 발파공들 주위를 에워싸는 탄성부재가 부착되어 있으며, 상면에는 중량체인 I형이나 H형 빔으로 된 중량보강부재가 격자상으로 용접된 중량물의 발파매트를 설치하는 발파매트 설치단계와; 상기 발파매트가 설치된 발파구간에서 인출된 발파모선이 연결된 발파기를 발파조작하여 폭약을 폭발시키는 폭파단계를 포함하여 발파구간의 암반층이 폭발압력에 의해 균열되어 모암으로부터 이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안이다.

Description

이완식 발파공법 및 발파매트의 구조{Structure of blasting method and mat}
본 고안은 도로개설시 또는 도로확장시 도로의 일측 또는 양측에 암반층으로 형성된 암사면(岩斜面) 일부를 굴착 제거하거나 또는 무자유면으로 된 암반층의 중간부분 일부를 굴착하기 위한 이완식 발파공법 및 발파매트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산간도로 또는 산악지형을 낀 해안도로 등을 개설하거나 확장하는 도로공사시에는 암반지층으로 된 경사면을 깍아내야 하는 경우가 반드시 발생하게 되며, 이 경우 대부분의 도로공사시에는 통행중인 차량의 사고 및 피해를 방지하기 위하여 대형 브레이커나 굴삭기 등의 중장비를 이용하여 암반 경사면의 굴착작업을 수행하고 있으나 경사진 암반층이 암반강도가 높은 경암층일 경우에는 대형 브레이커 등의 중장비를 이용한 기계굴착작업은 그 굴착효율이 떨어지고 공사기간이 길어지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되므로 이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폭약을 이용한 발파공법으로 암사면을 절취하는 공사가 시행되고 있다.
종래 기술의 발파공법은 암반층에 뚫어놓은 다수의 발파공에 충진된 폭약을 폭파시켜서 그 폭발압력으로 암반층이 모암(母岩)에서 완전히 분리되면서 자유면을 향해 이동하도록 하는 이른바 이동식 발파공법을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이동식 발파공법은 절취하고자 하는 부분의 암반층을 모암에서 완전히 분리시키기 위해서는 폭약량을 많이 사용하여 폭발압력을 높여주어야 하므로 폭발소음이 크고 폭파시 부서진 암반 중 일부는 폭파현장에서 멀리까지 날아갈 뿐 아니라 폭발압력으로 인한 발파진동이 멀리 전파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이 때문에 폭발소음을 줄이고 부서진 암반조각이 비산되지 못하도록 암반층 표면위에 고무재질로 된 매트나 가마니 등을 깔아 놓고 폭파하여 왔으나, 폭발압력에 의해 암반층을 덮고 있는 고무매트나 가마니가 부서지는 암반조각과 함께 날아가 버리고 말기 때문에 폭발소음 및 진동을 크게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워 공사현장 인근 100m 이내에 인가 등이 위치하는 경우 발파공법의 적용이 어렵고 또 인근 도로의 통행을 차단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산간도로 또는 해안도로를 개설 또는 확장하는 공사현장에 경암으로 이루어진 암반층을 일정폭으로 절취해야 할 경우 그 공사현장으로부터 100m 이내에 주택과 축산시설 등이 산재해 있고 또 송전탑 등의 공공시설물이 설치되어 있거나 공사현장과 가까운 거리에 차량이나 열차가 운행되고 있는 도로 및 철로가 위치해 있을 경우에 상기한 이동식 발파공법을 사용하게 되면 암반층 폭파시 발생되는 폭발소음과 발파진동으로 인하여 주택에 거주하는 주민들이 놀라게 되는 것은 물론이고 비산석이 주택으로 날아들고 발파진동으로 인해 건물이 흔들리거나 지반침하현상도 나타나게 되는 피해가 발생되며, 또한 축산시설에 사육되고 있는 각종 동물에 막대한 피해를 입히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되며, 나아가 공사현장으로부터 가까운 거리에 있는 도로를 주행하는 차량의 운전자가 폭음의 영향으로 안전운행을 다하지 못하고 사고를 유발시키게 되는 피해가 발생될 우려가 있고, 또 철로를 운행 중인 열차의 기관사 및 열차에 탑승한 승객들에게 피해를 주게 됨은 물론 폭발에 따른 발파진동이 철로에 영향을 주어 운행 중인 열차의 탈선사고를 유발시키게 되는 등의 피해를 일으키게 되므로서 종래 기술의 이동식 발파공법은 상기와 같은 제반 사항을 고려하여 극히 제한적으로 사용되는 실정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출한 것으로, 산간도로 또는 해안도로 등의 도로의 개설공사구간이나 확장공사구간에 경암으로 된 암반층의 자유면 일부을 절취하고자 할 때 공사현장의 인근에 산재해 있는 주택이나 축산시설 및 공공시설물 등에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또한 공사현장과 가까운 거리에 위치한 도로와 철로에도 영향을 주지 않을 뿐 아니라 도로를 주행하는 차량의 운전자나 철로를 운행중인 열차의 기관사 및 탑승객들에게도 피해를 주지 않으면서 암반층을 폭약으로 폭파시켜 절취할 수 있도록 하는 이완식 발파공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으며, 또한 상기의 이완식 발파공법으로 암반층의 발파작업을 시행할 때 폭발압력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막아주며 폭발소음과 비산석이 외부로 방출을 되는 것을 방지하는 발파매트(Blast Mat)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으며, 또한 무자유면으로 된 암반층의 중간부분 일부도 발파공법으로서 일정깊이로 굴착할 수 있도록 하는데 또 다른 목적을 두고 고안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고안의 이완식 발파공법은, 암반층의 자유면과 절취면 사이의 수평상면에 굴착하고자 하는 암반층의 길이방향을 행해 일정거리로 발파구간을 등분 분할하여 구획한 다음 상기 발파구간마다 일정간격을 갖는 다수의 발파공을 수직하향을 향해 뚫어주는 발파공 천공단계와;
상기 발파공 천공단계에서 천공된 발파공에 투입되는 폭약은 각 발파구간별로 구분되어 폭발할 수 있도록 하며, 또한 각 발파구간의 발파공에 투입된 폭약들이 정해진 순서로 연속적으로 폭발할 수 있도록 발파도선을 연결시키는 발파도선 연결단계와;
상기 발파도선이 연결된 각 발파구간에 형성된 다수의 발파공들 전체를 덮어줄 수 있는 크기를 가지는 철판부재와, 상기 철판부재의 저부에는 발파구간의 발파공들 주위를 에워싸는 탄성부재가 부착되어 있으며, 상면에는 중량체인 I형이나 H형 빔으로 된 중량보강부재가 격자상으로 용접된 중량물의 발파매트를 설치하는 발파매트 설치단계와; 및
상기 발파매트가 설치된 발파구간에서 인출된 발파모선이 연결된 발파기를 발파조작하여 폭약을 폭발시키는 폭파단계;
를 포함하여 발파구간의 암반층이 폭발압력에 의한 균열되어 모암으로부터 이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발파매트의 구조는,
발파공에 투입된 폭약의 폭발압력에 견딜 수 있는 두께를 가지는 철판부재와;
상기 철판부재의 저부 가장자리를 따라 볼트로서 고정 부착되어 발파구간의 각 발파공에 투입된 폭약의 폭발소음과 폭발가스 및 비산물이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차단하는 탄성부재와;
상기 철판부재의 상면에 격자창틀과 같은 구조로 용접되며, 폭발압력을 견딜 수 있는 무거운 무게를 가지는 철골재질로 된 중량보강부재;
로 구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을 설명하기 위한 일실시예의 측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발파공 배열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3 및 도 4는 본 고안의 발파공의 천공깊이와 발파폭약의 충진상태를 나타
낸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발파 실시상태도.
도 6은 본 고안의 발파매트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의 발파매트 단면도.
도 8은 본 고안을 무자유면 암반층에 적용한 실시예.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암반층 11 : 자유면
12 : 절취면 13 : 수평상면
14 : 절취구간 15 : 발파공
2 : 발파매트 21 : 철판부재
22 : 탄성부재 23 : 중량보강부재
3 : 중장비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을 설명하기 위한 일실시예의 측면도이며, 도 2는 본 고안의 발파공 배열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발파폭약의 충진상태를 나타낸 단면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의 발파 실시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발파매트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고안의 발파매트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일실시예의 발파 실시상태 단면도이며, 도 8은 본 고안을 무자유면 암반층에 적용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부호 1은 산간도로 또는 해안도로를 개설공사를 할 때나 확장공사를 할 때 도로의 일측이나 양측에 형성되어 있는 암반층을 나타내며, 도면부호 2는 본 고안에 의한 발파매트를 나타낸다.
먼저, 본 고안의 이완식 발파공법에 사용되는 발파매트(2)의 구조에 관하여 설명한다.
상기 발파매트(2)는 발파공에 장치된 폭약의 폭발압력에 충분히 견딜 수 있는 두께(3mm 이상)를 가지는 철판부재(21)와, 상기 철판부재(21) 저부의 주연부에 고정 부착되어 폭발소음과 돌의 비산을 방지하는 탄성부재(22)와, 상기 철판부재(21) 상면에는 중량체인 I형 빔이나 H형 빔 등의 철골로 된 중량보강부재(23)가 상면 주연부와 그 내측으로 가로지르는 격자모양으로 용접되어 있으며, 또한 철판부재(21) 상면에는 발파매트(2)를 들어올려 운반 및 이동시킬 수 있는 운반용 와이어(24)나 그의 무게 중심부로 후크부재를 고정 부착하여 대형 브레이커나 굴삭기 등의 중장비(3)를 이용하여 상기 발파매트(2)를 이동 및 운반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에서 철판부재(21)의 저부 주연부에 부착되는 탄성부재(22)는 탄성력이 우수하고 볼트 등으로 부착이 용이하며, 산업폐기물의 재활용 측면에서 폐타이어(22a)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한 폐타이어(22a)는 폭약의 폭발시 철판부재(21)의 진동완충작용과 함께 폭발압력을 충분히 견디면서 폭발소음과 폭발가스 및 비산석의 외부 방출을 차단하게 되며, 또한 울퉁불퉁한 지면에의 밀착성을 좋게 만들어 철판부재(21)의 사방이 지면으로부터 들떠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차단한다.
상기와 같은 발파매트(2)를 사용하여 암반층(1)의 자유면(11)과 절취면(12) 사이를 상층부에서부터 하층부에 이르기까지 단계적으로 발파하여 절취하는 본 고안의 이완식 발파공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암반층(1)의 자유면(11)과 절취면(12) 사이의 수평상면(13)에는 일정구간으로 등분하여 발파구간(14)을 형성한 다음 각 발파구간(14) 마다 다수의 발파공(15)들이 일정간격으로 천공되는데, 상기 발파공(15)들은 발파구간(14)내에서는 물론이고 인접한 발파구간(14)에 형성되어 서로 마주하는 발파공(15)들끼리도 일정간격을 유지하도록 천공한다.
상기 발파구간(14)에 형성되는 각 발파공(15)들은 암반층(1)의 단층구조 등을 고려하여 천공깊이를 미리 설정하여 뚫어준다.
즉, 도 3과 같이 자유면(11)에 가까운 발파공과 중간에 위치하는 발파공은 깊게 천공하고 절취면(12)에 가까운 발파공을 조금 낮게 천공하여 발파공법을 시행할 수 있으며, 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든 발파공의 깊이를 동일하게 천공하여 발파공법을 시행할 수도 있다.
상기 발파구간(14)들 각각에 형성된 발파공(15)에는 절취하고자 하는 깊이까지의 절취부분을 모암에서 이완시킬 수 있는 정도의 폭발력을 나타낼만큼의 폭약(15a)을 장전한 다음 발파도선을 연결하는데, 이때 발파공(15)에 장전되는 폭약량은 발파구간(14)의 암반층(1)을 낙하시키거나 비산시키는 폭발압력보다는 약하고 암반층(1)을 모암 즉, 절취면(12)으로부터 이완되게 하는 균열만 발생시킬 수 있는 정도(0.4㎏/㎥ 이하)만 장전되는 것이며, 또한 상기한 발파도선은 각 발파구간(14)에 있는 발파공(15)에 장전된 폭약(15a)들이 극히 짧은 시간(0.02초 내지 0.05초 정도)의 간격으로 연속해서 폭발할 수 있도록 발파도선을 장치하는 것이며, 이와 같이 발파공(15)에 장전된 폭약(15a)들에 발파도선을 연결한 후에는 발파공(15)에 모래(15b)를 채워준다.
상기와 같이 각 발파구간(14)의 발파공(15)에 폭약(15a)과 모래(15b)를 채워준 후에는 각 발파공(15)의 폭약(15a)을 폭발시키는 발파모선을 발파기에 연결한 다음 상기 발파매트(2)를 중장비(3)로 들어서 발파하고자 하는 발파구간(14)의 상면을 덮어주는데, 상기 발파매트(2)의 크기는 발파구간(14)보다 크고 또 탄성부재(22)인 폐타이어(22a)들이 발파공(15)을 벗어난 상태에서 발파구간(14)의 상면에 밀착되어 중량보강부재(23)의 무게에 의하여 압착되고 있는 상태이므로 상기 발파구간(14)의 상면 즉, 암반층(1)의 수평상면(13)이 고르지 못하고 불규칙적으로 울퉁불퉁한 면으로 형성되어 있더라도 탄성부재(22)의 폐타이어(22a)들은 중량보강부재(23)의 무게에 의해 울퉁불퉁한 발파구간(14) 상면에 밀착되는 것이며, 더우기 중장비(3)의 붐대로서 발파매트(2)의 상면을 강하게 눌러주게 되면 상기의 폐타이어(22a)들은 발파구간(14)의 상면에 더욱 강한 탄력으로 압착됨과 동시에 서로 인접한 폐타이어(22a)들끼리도 탄력적으로 밀착되며, 강한 폭발압력과 진동에 발파매트(2)가 견고한 자세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발파구간(14)에 설치된 발파매트(2)를 중장비(3)로 누르고 있는 상태에서 발파기를 발파조작하게 되면 상기 발파매트(2)가 덮고 있는 발파구간(14)의 각 발파공(15)에 장전된 폭약(15a)들이 연쇄적으로 폭발하게 되는데, 이때 연쇄적으로 폭발하는 폭약(15a)은 발파구간(14)의 암반층(1)을 절취면(12)에서 완전히 분리되도록 이동시키지 않고 균열만 발생시키게 되는 것이며, 또한 폭약(15a)의 폭발시 발파공(15)에 채워주었던 모래(15b)와 폭발가스 및 폭발소음은 강한 압력을 동반한 채 발파공(15)의 상측으로 이동하게 되는데, 상기 발파구간(14)의 상면을 덮고 있는 발파매트(2)의 철판부재(21)는 폭발압력을 충분히 견딜 수 있는 두께의 철판으로 되어 있으며 또 탄성부재(22)인 폐타이어(22a)들은 발파구간(14)의 상면에 밀착된 상태일 뿐 아니라 폐타이어(22a)들끼리도 서로 밀착되어 있으므로 폭약(15a)의 폭발시 발생되는 폭발압력과 그에 동반하여 비산되는 비산모래와 폭발가스가 상기 발파매트(2)의 외부로 비산 또는 누출되지 않게 되며, 또한 상기 탄성부재(22)인 폐타이어(22a)들이 폭발소음과 진동을 흡수 완화시키는 작용을 하게 되므로 발파현장의 주위에 전파되는 폭발소음과 진동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게 되는 것이며, 또한 폭약(15a)의 폭발압력은 절취하고자 하는 암반층(1)을 모암으로부터 균열되는 상태로 이완시킬 수 있는 정도이므로 폭발진동이 발파구간(14)의 주위에만 전파될 뿐 멀리까지 전파되지 않게 된다.
상기와 같이 한곳의 발파구간(14)의 발파작업이 완료되면 중장비(3)로 발파매트(2)를 다음 발파구간(14)으로 옮겨 덮어주고 발파작업을 단계적으로 진행하여 암반층(1)의 모든 발파구간(14)의 발파작업을 완료한 후에는 브레이커(Breaker), 리퍼(Ripper) 등의 중장비(3)로 발파구간(14)의 암반층(1)을 굴착하는 방법으로 암반층(1)을 절취작업을 완료하는 것이다.
〈실시예>
본 고안에 의한 발파공법을 적용하여 다음과 같이 암반층의 발파를 시험하였으며, 그에 따른 진동 및 소음 등의 계측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상기 시험결과에 의하면 발파 작업현장에서 50m 떨어진 시설에서의 소음의 최대값은 67.6dB로 측정되었으며, 일상적인 대화시의 소음허용치인 60dB은 넘어섰으나 인간과 동물이 소음에 의한 고통을 느끼기 시작하는 90dB 보다는 훨씬 낮게 검출되었다. 특히 작업현장에 인접한 10m 지점의 소음도 최대치가 92.6dB에 불과하여 고속도로상의 자동차 주행시 소음 허용치인 100dB 보다 낮았으며, 진동 역시 50m 지점에서 0.1cm/s로 검출되므로서 축사 등이 작업현장으로부터 100m 이상 떨어져 있을 경우 가축에게 미치는 영향이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발파조건
* 발파작업대상 : 경암반층(도 2 및 도 3과 같은 조건의 작업장)
절취사면폭 25m, 높이 15m
* 발파공 천공구경 및 장비 : ø51mm, Crawler Drill
* 사용폭약 : ø32mm NewMITE 5500(한국화약주식회사제품)
* 사용뇌관 : MS 전기뇌관(한국화약주식회사제품)
* 발파공 천공깊이 : 내측공 2.0m, 자유면측 3.0m
* 각 발파공 천공간격 : 0.9m
* 발파공 천공수 : 6개(2열 배열)
* 발파매트 : 철판 두께 3.5m, 가로 3.0m, 세로 2.3m, 무게 2.2ton
* 포크레인의 버켓으로 발파매트 상부를 눌러줌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산간도로 및 해안도로의 개설공사 또는 확장공사시에 도로의 일측 또는 양측에 경암층으로 된 암반층의 자유면 일부를 절취하기 위해 폭약을 이용한 발파공법을 시행할 때 두꺼운 철판부재와 폐타이어 완충부재로 된 매트체를 공사현장에 덮어주므로서 공사현장의 인근에 산재해 있는 주택이나 축산시설에 비산석이 날아가는 현상을 완벽하게 배제함과 동시 발파소음이나 발파진동을 현저히 감소시켜 소음 및 진동으로 인한 피해발생을 극소화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송전탑 등의 공공시설물에도 아무런 영향을 주지않고 암반층의 자유면 일부를 모암으로부터 이완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또한 발파 후 돌이 매트체 외부로 비산되는 것이 차단되므로 인근 도로의 차량의 통행을 통제하지 않고 암반층 절취작업을 진행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으며, 또한 발파현장의 작업자와 발파된 암반층을 굴착하는 브레이커, 리퍼 등의 중장비가 발파현장의 근거리(5∼10m 정도)에서 위치하여 발파작업을 수행하게 되므로서 발파구간의 발파작업이 완료된 후에는 중장비로서 신속하게 굴착작업을 진행할 수 있어 암반층의 절취공사의 공기를 단축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져다주며, 또한 무자유면으로 형성된 암반층에도 적용하여 암반층을 일정깊이로 굴착할 수 있게 하는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4)

  1. 암반층의 자유면과 절취면 사이의 수평상면에 굴착하고자 하는 암반층의 길이방향을 행해 일정거리로 발파구간을 등분 분할하여 구획한 다음 상기 발파구간마다 일정간격을 갖는 다수의 발파공을 수직하향을 향해 뚫어주는 발파공 천공단계와;
    상기 발파공 천공단계에서 천공된 발파공에 투입되는 폭약은 각 발파구간별로 구분되어 폭발할 수 있도록 하며, 또한 각 발파구간의 발파공에 투입된 폭약들이 정해진 순서로 연속적으로 폭발할 수 있도록 발파도선을 연결시키는 발파도선 연결단계와;
    상기 발파도선이 연결된 각 발파구간에 형성된 다수의 발파공들 전체를 덮어줄 수 있는 크기를 가지는 철판부재와, 상기 철판부재의 저부에는 발파구간의 발파공들 주위를 에워싸는 탄성부재가 부착되어 있으며, 상면에는 중량체인 I형이나 H형 빔으로 된 중량보강부재가 격자상으로 용접된 중량물의 발파매트를 설치하는 발파매트 설치단계와;
    상기 발파매트가 설치된 발파구간에서 인출된 발파모선이 연결된 발파기를 발파조작하여 폭약을 폭발시키는 폭파단계;
    를 포함하여 발파구간의 암반층을 폭발압력으로 균열되게 하여 모암으로부터 이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완식 발파공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파구간을 발파할 때 발파매트의 상면을 대형 브레이커 등과 같은 크롤러 중장비의 붐대로 눌려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완식 발파공법.
  3. 발파공에 투입된 폭약의 폭발압력에 견딜 수 있는 두께를 가지는 철판부재와;
    상기 철판부재의 저부 가장자리를 따라 볼트로서 고정 부착되어 발파구간의 각 발파공에 투입된 폭약의 폭발소음과 폭발가스 및 비산물이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차단하는 탄성부재와;
    상기 철판부재의 상면에 격자창틀과 같은 구조로 용접되며, 폭발압력을 견딜 수 있는 무거운 무게를 가지는 철골재질로 된 중량보강부재;
    로 구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완식 발파공법의 발파매트.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발파매트의 철판부재의 저부 주연부에 설치되는 탄성부재는 폐타이어임을 특징으로 하는 이완식 발파공법의 발파매트.
KR2020000020603U 2000-05-18 2000-07-19 이완식 발파공법 및 발파매트의 구조 KR20020787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0603U KR200207876Y1 (ko) 2000-05-18 2000-07-19 이완식 발파공법 및 발파매트의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6596A KR100354220B1 (ko) 2000-05-18 2000-05-18 이완식 발파공법 및 이의 발파매트
KR2020000020603U KR200207876Y1 (ko) 2000-05-18 2000-07-19 이완식 발파공법 및 발파매트의 구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26596A Division KR100354220B1 (ko) 2000-05-18 2000-05-18 이완식 발파공법 및 이의 발파매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7876Y1 true KR200207876Y1 (ko) 2000-12-15

Family

ID=266378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0603U KR200207876Y1 (ko) 2000-05-18 2000-07-19 이완식 발파공법 및 발파매트의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7876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54220B1 (ko) 이완식 발파공법 및 이의 발파매트
Wyllie Stabilisation of rock slopes
CN103291308B (zh) 用于隧道施工的悬臂式掘进机及隧道施工方法
CN103243665B (zh) 深挖方路堑拦落石防护方法
CN108871131B (zh) 路基石方二氧化碳静态爆破施工方法
KR20190121551A (ko) 코어장비를 이용한 무진동 굴착 방법
KR20090017520A (ko) 콤팩터 및 콤팩터의 작동 방법
KR101066296B1 (ko) 천공 리드를 이용한 무진동 암반파쇄공법
KR200207876Y1 (ko) 이완식 발파공법 및 발파매트의 구조
KR20160076885A (ko) 암반 절취시 도저 굴착을 위한 취약화 발파 방법
KR20120063210A (ko) 이중공법을 통한 터널의 굴착방법
CN109577351B (zh) 土石方开挖安全防护结构及土石方开挖安全防护方法
JP3750043B2 (ja) 大断面地下空洞原石採掘場
CN105648931B (zh) 一种分离式上跨桥的爆破方法
RU2317521C1 (ru) Способ взрывания уступов в стесненных условиях
CA2295230C (en) Method for the combined exploitation of mining fields
RU2362877C1 (ru) Способ циклично-поточной отработки скальных горных пород
KR101256587B1 (ko) 진동흡수공간부를 적용한 터널굴착방법
Casale et al. Improvements of safety conditions of unstable rock slopes through the use of explosives
RU2314419C1 (ru) Способ отработки высоких уступов в стесненных условиях
Peila et al. The use of rockfall protection systems in surface mining activity
CN215640796U (zh) 多场耦合放矿振动模拟实验装置
RU2310812C1 (ru) Укрытие мест взрыва матами из шин
Potnis et al. Design and construction of scissor crossover tunnel in pune metro project
Swinn et al. Cross river rail-blasting AA2 tunnel under caver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