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7851Y1 - 소화용 스프링클러 헤드의 감열체 결합구조 - Google Patents

소화용 스프링클러 헤드의 감열체 결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7851Y1
KR200207851Y1 KR2020000020147U KR20000020147U KR200207851Y1 KR 200207851 Y1 KR200207851 Y1 KR 200207851Y1 KR 2020000020147 U KR2020000020147 U KR 2020000020147U KR 20000020147 U KR20000020147 U KR 20000020147U KR 200207851 Y1 KR200207851 Y1 KR 20020785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rinkler head
plate
heat
fire
unev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2014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수철
Original Assignee
정수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수철 filed Critical 정수철
Priority to KR202000002014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785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785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7851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08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comprising an outlet device containing a sensor, or itself being the sensor, i.e. self-contained sprinklers
    • A62C37/10Releasing means, e.g. electrically released
    • A62C37/11Releasing means, e.g. electrically released heat-sensitiv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1/00Delivery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
    • A62C31/02Nozzles specially adapted for fire-extinguish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소화용 스프링클러 헤드의 감열체 결합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평소에는 감열체가 스프링 클러 헤드의 내부에 부착하여 천장 마감재와 돌출없이 평면선으로 유지하고 있으며, 화재 발생시에는 화염이 발생되어 온도가 상승되면 스프링클러 헤드의 내부에 장착된 가용부가 이를 감지하고, 용해 또는 파열됨으로써 열감지판과 요철너트 받침판이 분리,해체 되면서 이를 진압할 수 있는 스프링클러 헤드가 작동 되도록 하여 소화용 물이 분사되어 소화기능을 발휘할 수 있는 초기 작동원리의 부품으로 물의 분사 방향을 넓은 면적에 골고루 퍼지게 하는 소화용 스프링클러 헤드의 감열체 결합 구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소화용 스프링클러 헤드의 감열체 결합구조{Combined Structure of Thermoresopnsive Element of Sprinkler Head for Fire-Extinguishing Purpose}
본 고안은 소화용 스프링클러 헤드의 감열체 결합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평소에는 감열체가 스프링클러 헤드의 내부에 부착하여 천장 마감재와 돌출없이 평면선으로 유지하고 있으며, 화재 발생시에는 화염이 발생되어 온도가 상승되면 스프링클러 헤드의 내부에 장착된 가용부가 이를 감지하고, 용해 또는 파열됨으로써 열감지판과 요철너트 받침판이 분리,해체 되면서 이를 진압할 수 있는 스프링클러 헤드가 작동 되도록 하여 소화용 물이 분사되어 소화기능을 발휘할 수 있는 초기 작동원리의 부품으로 물의 분사 방향을 넓은 면적에 골고루 퍼지게 하는 소화용 스프링클러 헤드의 감열체 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이나 공장 등의 내,외부에는 화재발생시 화염의 전파를 방지하고, 동시에 화재의 진압이 용이하도록 소화용 스프링클러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소화용 스프링클러는 통상 건물의 실내,외 천장부위에 설치되어 온도 감지센서와 연계되어 동작되고는 있으나, 그 설치방법과 스프링클러 헤드의 모양에 따라 천장면 높이의 제한과 인테리어 측면에서 항상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다시 말해, 종래의 소화용 스프링클러는 천장 등의 배관상에 스프링클러 헤드를 배치하고, 화염이 발생하여 온도가 상승하면 스프링클러의 가용부가 이를 감지하여 용해 또는 파열됨으로써 배관속에 항시 가압되어 있는 물을 방수하여 자동으로 소화를 하는 장치이다.
그러나, 종래의 스프링클러 헤드의 내부에 장착되어 있는 감열체는 요철너트 받침판의 상단 양쪽에 돌출부의 걸고리인 날개를 형성하고 하단에는 원형의 넓은 판에 열감지판을 납으로 부착하여 완성되는 구조로 구성되어 이와같은 감열체는 스프링클러가 작동시 열감지판에 있는 납이 용해되어 요철너트의 받침판으로부터 열감지판이 하단으로 분리되어 떨어져 나감으로서 작동되는 감열체의 원리이다.
이러한 구조의 스프링클러 헤드의 내부에 장착된 감열체는 순간 작동으로 분리되어야 할 열감지판과 요철너트 받침판이 각각 완전하게 분리되지 않는 것은 요철너트 하단의 크기보다 더 넓은 면적의 열감지판이 부착되므로 납의 용해속도와 조립하중의 힘이 직접전달이 아닌 간접전달 됨으로써 조립하중의 균형이 깨어지는 순간이 일정하지 않으므로 충분히 가압된 상태의 물이 소량으로 분사된후 순간 방수를 하게 된다.
이와같이 고압력의 물이 소량 분사시 열감지판에서 일부 용해되었던 납이 순간적으로 냉각되어 다시 고체화 되므로 두개의 요철너트 받침판중 한개에는 항시 열감지판이 부착되어 분리,해체 되므로서 오작동의 원인을 제공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소화용 스프링클러 헤드가 천장 마감재로부터 돌출부분이 없이 마감 시공할 수 있도록 하면서 항상 천장면에 설치시 문제가 되는 스프링클러 헤드의 크기 축소가 외부로 돌출되지 않으면서 화재발생시 열감지판과 요철너트 받침판이 동시에 분리 되면서 물 분사판이 일정한 거리를 순간적으로 작동하여 하부로 내려와 물의 분사 방향을 넓은 면적에 많은 물을 동시에 분사하여 충분한 방수능력을 발휘할 수 있는 소화용 스프링클러 헤드의 감열체 결합구조를 제공 하고자 한다.
이러한 본 고안은 건물이나 공장의 천장 상부에 설치되는 배관에서 분기되며, 화재발생시 열감지판과 요철너트 받침판이 분리되어 해체 되므로 항시 가압된 상태로 유지되는 물을 방수시켜 화재를 진압하는 스프링클러 헤드에 있어서, 요철너트 받침판의 하단에 단턱으로 구성된 걸림턱을 형성하고 양쪽으로 두개의 열감지판을 상호 마주보게 끼워넣어 열감지판이 상하로 접지되게 하며 상,하로 접지된 부분에는 용해물질인 납으로 요철너트 받침판과 두개의 열감지판을 견고하게 부착하고 요철너트 받침판의 중앙 관통부에는 방열판을 부착하여 조립하면 되는 것이다.
화재 발생시에는 상기 두개의 열감지판에서 반원형홈 내부에 장착되어 있는 용해물질인 납의 온도가 상승되면 가용부가 이를 감지하여 용해 또는 파열되면서 요철너트 받침판 상단 날개에서 밀어주는 힘의 작용에 의하여 두개의 열감지판이 동시에 좌,우로 각각 분리 해체되고, 요철너트 받침판의 관통부에 부착되어 있는 방열판은 하단으로 분리되도록 하여 넓은 면적에 많은 물을 분사하여 소화능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하는 특징을 가지는 것이다.
도 1 은 본 고안의 결합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 2 는 본 고안 감열체의 분해 사시도,
도 3 은 본 고안 감열체의 조립 단면도,
도 4 는 본 고안 감열체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열감지판 1a : 반원형 걸림홈
1b : 반원형 홈 2 : 요철너트 받침판
2a : 돌출부 2b : 요철너트 받침턱
3 : 관통부 4 : 중앙볼트
5 : 걸림턱 6 : 방열판
7 : 볼트 8 : 스프링클러 헤드의 걸림턱
9 : 요철너트 10 : 물분사판
11 : 방수구 12 : 용해물질
50 : 감열체 100 : 스프링클러 헤드 본체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 고안의 결합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 2 는 본 고안 감열체의 분해 사시도, 도 3 은 본 고안 감열체의 조립 단면도, 도 4 는 본 고안 감열체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우선, 각종 건물을 비롯한 공장의 천장 상부측에는 항시 가압된 상태로 물을 유지시켜 화재발생시 방수하도록 하는 배관과, 이 배관에서 분기되어 안내되는 안내관과,천장의 외측 다시 말해서 실내측으로 노출되는 소화용 스프링클러 헤드 본체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스프링클러 헤드 본체(100)의 하부와 내측에 장착되어 있는 감열체(50)는 화염이 발생하여 온도가 상승되면 내측에 장착된 가용부가 이를 감지하여 용해물질을 용해 또는 파열됨으로써 분리되는 두개의 열감지판(1)과 요철너트 받침판(2)이 설치된 구성이다.
이러한 스프링클러 헤드 본체(100)의 내부에 장착되는 감열체(50)인 열감지판(1)의 내측에는 반원형 걸림홈(1a)이 형성되어 서로 맞물려서 상,하로 접지되게 끼워서 조립하면 열감지판(1)은 반원형 홈(1b)이 구성되고, 요철너트 받침판(2)의 상부에는 양쪽 돌출부(2a)를 형성하여 요철너트 받침턱(2b)을 형성하고, 중앙에는 관통부(3)를 만들어 중앙볼트(4)가 관통할 수 있도록 구성하며 하단부에는 약간의 단턱으로 형성된 걸림턱(5)을 구성한다.
한편, 하단부에는 원통형의 방열판(6)을 형성하고, 중앙부에는 볼트(7)를 형성하여 상기 요철너트 받침판(2)의 중앙부에 구성된 관통부(3)에 결합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조립 및 작동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 2는 본 고안 감열체의 분해 사시도로서 양측에 두개로 구성된 반원형으로 형성된 열감지판(1)의 반원형 걸림홈(1a)을 요철너트 받침판(2)의 하단부에 단턱으로 형성된 걸림턱(5)에 서로 맞물려서 상,하로 접지되게 끼워서 조립하고, 하단부에 구성된 방열판(6)의 중앙부에 형성된 볼트(7)를 상기 요철너트 받침판(2)의 중앙부에 관통된 관통부(3)에 결합하면 도 3에 도시한바와 같이 감열체(50)의 조립이 완성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조립 완성된 감열체(50)을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프링클러 헤드 본체(100)의 내부에 감열체(50)을 장착하여 조립완성 시키고자 할때에는 상기 요철너트 받침판(2)의 상부 양측에 형성된 돌출부(2a)의 하단부(2c)를 이용하여 스프링클러 헤드 본체(100)의 내부에 구성된 걸림턱(8)에 결합하여 걸려 있도록 구성하고, 요철너트 받침판(2)의 상부에는 요철너트(9)의 중앙볼트(4)가 위로 상승되므로 요철너트(9)와 방수구 막음판인 물분사판(10)사이의 간격이 벌어지게 되므로서 방수구(11)을 물분사판(10)이 상승되는 높이에 따라 요철너트 받침판(2)를 밀어주는 힘이 상대적으로 발생되어 요철너트 받침판(2)의 상부에 있는 요철너트 받침턱(2b)에서 힘의 하중이 집중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감열체(50)가 스프링클러 헤드 본체(100)의 내부에 장착되어서 발생되는 힘은 요철너트 받침판(2)의 하단부가 좌,우로 벌어지려는 힘이 도 4에 도시한바와 같이 발생되는 것이다.
한편, 요철너트 받침판(2)의 하단부에 형성된 걸림턱(5)의 양측에 두개로 구성된 반원형으로 형성된 열감지판(1)의 반원형 걸림홈(1a)을 요철너트 받침판(2)의 하단부에 단턱으로 형성된 걸림턱(5)에 서로 맞물려서 상,하로 접지되게 끼워서 조립하고, 반원형 홈(1b)의 내측에는 납과 같은 용해물질(12)로 고정되게 구성하여 좌,우로 벌어지려고 하는 힘을 안정되게 유지하면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스프링클러 헤드 본체(100)의 내부에 감열체(50)을 장착하고, 화재 발생시에는 상기 두개의 열감지판(1)에서 반원형 홈(1b) 내부에 장착되어 있는 납과같은 용해물질(12)의 온도가 상승되면 용해되면서 요철너트 받침판(2) 상단 날개에서 밀어주는 힘의 작용에 의하여 두개의 열감지판(1)이 동시에 좌,우로 각각 분리 해체되고, 요철너트 받침판(2)의 관통에 부착되어 있는 방열판(6)은 하단으로 분리되도록 하여 넓은 면적에 많은 물을 분사하여 소화능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의 스프링클러 헤드 본체의 내부에 장착되는 감열체는 조립이 간단하여 작업성이 우수하며, 스프링클러 헤드가 작동시 요철너트 받침판의 하단에 부착된 감열판이 좌,우로 분리되도록 설계되어 스프링클러 조립하중이 종래의 간접 전달방식과는 달리 직접 전달되므로 감열판이 요철너트 받침판 하단부에서 강력한 힘으로 좌,우로 순간 분리 해체가 된다.
또한, 요철너트 받침판의 하단부에는 방열판을 부착하여 화재로 인하여 발생된 열이 방열판 안에서 일정기간 정류 및 기류 하도록 하여 주어진 온도에서 납이 용해되는 속도를 균일하게 하므로 열감지판으로 인하여 발생되는 오작동을 근본적으로 제거하므로서 많은 양의 물이 낙하되면서 동시에 분사시켜 화재발생시 이를 효과적으로 진압할 수 있도록 고안된 효과가 있다.

Claims (3)

  1. 건물이나 공장의 천장 상부에 설치되는 배관에서 분기되며, 화재 발생시 열감지판과 요철너트 받침판이 분리 해체되어 항시 가압된 상태로 유지되는 물을 방수시켜 화재를 진압하는 스프링클러 헤드 본체에 있어서,
    요철너트 받침판의 상부에는 양쪽 돌출부를 형성하여 요철너트 밤침턱을 형성하고, 중앙에는 관통부를 만들어 중앙볼트가 관통할 수 있도록 구성하며, 하단부에는 약간의 단턱으로 형성된 걸림턱을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용 스프링크러 헤드의 감열체 결합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요철너트 받침판의 하단부에 형성된 걸림턱의 양측에 두개로 구성된 반원형으로 형성된 열감지판에서 반원형 걸림홈을 서로 맞물려서 상,하로 접지되게 끼워서 조립하고, 반원형 홈의 내측에 납과같은 용해물질로 고정되게 구성하여 온도가 상승되면 상기 요철너트 밤침판과 열감지판이 분리 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용 스프링클러 헤드의 감열체 결합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요철너트 받침판의 중앙부에 관통된 관통부의 하단부에 방열판의 중앙에 형성된 볼트로 결합하여 감열체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소화용 스프링클러 헤드의 감열체 결합구조.
KR2020000020147U 2000-07-13 2000-07-13 소화용 스프링클러 헤드의 감열체 결합구조 KR20020785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0147U KR200207851Y1 (ko) 2000-07-13 2000-07-13 소화용 스프링클러 헤드의 감열체 결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0147U KR200207851Y1 (ko) 2000-07-13 2000-07-13 소화용 스프링클러 헤드의 감열체 결합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7851Y1 true KR200207851Y1 (ko) 2000-12-15

Family

ID=196649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0147U KR200207851Y1 (ko) 2000-07-13 2000-07-13 소화용 스프링클러 헤드의 감열체 결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7851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8020B1 (ko) * 2002-03-25 2005-01-29 주식회사 육송 소화용 소형 스프링클러
WO2021172826A3 (ko) * 2020-02-25 2021-10-21 정인진 스프링클러 합금퓨즈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8020B1 (ko) * 2002-03-25 2005-01-29 주식회사 육송 소화용 소형 스프링클러
WO2021172826A3 (ko) * 2020-02-25 2021-10-21 정인진 스프링클러 합금퓨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58703B1 (ko) 회전가능한 디플렉터가 구비된 스프링클러 헤드
KR101055583B1 (ko) 화재진압용 스프링쿨러
CA2663780C (en) Extended coverage horizontal sidewall sprinkler
US8474545B2 (en) Sprinkler head
KR200207851Y1 (ko) 소화용 스프링클러 헤드의 감열체 결합구조
KR101069939B1 (ko) 복수 개의 자동 작동장치를 구비한 무인 자동 소화 장치
US7314094B2 (en) Concealed cover for a fire sprinkler head
KR101062239B1 (ko) 천정 부착 타입형 자동소화장치
KR200408362Y1 (ko) 플러시형 드라이 팬턴트 타입 스프링클러 헤드
CN112843562A (zh) 一种齐平式喷头
CN201394303Y (zh) 复式玻璃球洒水喷头
US20060042802A1 (en) Sprinkler head
CN214596948U (zh) 一种齐平式喷头
KR100716471B1 (ko) 스프링쿨러헤드
JP2005027929A (ja) スプリンクラーヘッド
KR200174473Y1 (ko) 소화용 스프링 쿨러 헤드의 물 분사판 조절장치
KR102158704B1 (ko) 날개부가 형성된 디플렉터가 구비된 스프링클러 헤드
KR20100002350A (ko) 스프링클러 헤드 고정용 홀더
KR200375591Y1 (ko) 조기반응형 스프링클러 헤드
KR101047028B1 (ko) 스프링클러 헤드
KR200457828Y1 (ko) 스프링클러헤드
JP2651854B2 (ja) スプリンクラヘッド
KR200396451Y1 (ko) 스프링쿨러헤드
JP2014136000A (ja) スプリンクラーヘッド
WO2003076838A1 (en) Combined structure of sprinkler head for extinguishing a fi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1013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