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7497Y1 - 휴대전화기용 목걸이 - Google Patents

휴대전화기용 목걸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7497Y1
KR200207497Y1 KR2020000019583U KR20000019583U KR200207497Y1 KR 200207497 Y1 KR200207497 Y1 KR 200207497Y1 KR 2020000019583 U KR2020000019583 U KR 2020000019583U KR 20000019583 U KR20000019583 U KR 20000019583U KR 200207497 Y1 KR200207497 Y1 KR 20020749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cklace
mobile phone
neck
handset
power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1958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경수
Original Assignee
이경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경수 filed Critical 이경수
Priority to KR202000001958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749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749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7497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개시된 내용은 휴대전화기를 목에 걸기 위한 목걸이에 전원라인을 구성하여 마이크,이어폰, 다이얼링수단 및 액정표시수단등을 강구함으로써 휴대전화기를 목에 걸거나 주머니등에 휴대한 채 소정의 송수화가 가능해지도록 한 휴대전화기용 목걸이에 관한 것이다.
상기 휴대전화기용 목걸이는 일반 목걸이와 같이 휴대전화기를 목에 걸기 위한 착탈 혹은 걸림수단을 갖추면서 그 목걸이 줄의 내부에 전원공급이 가능하도록 전원라인을 내설하고, 이 목걸이(200)의 전원라인에서 송수화수단(230), 접속잭(220), 다이얼링수단(240) 및 액정표시수단(250)등을 적당한 길이로 인출함으로써 사용자가 휴대전화기의 덮개를 열지 않고 목에 걸거나 주머니등에 휴대한 상태에서 편리하게 송,수화가 가능진 특징을 갖는다.

Description

휴대전화기용 목걸이{Necklace for the use of cellular phone}
본 고안은 휴대전화기용 목걸이에 관한 것으로 특히 목걸이에 마이크,이어폰 ,다이얼링수단 및 액정표시수단이 강구된 휴대전화기용 목걸이에 관한 것이다.
전화통신의 발달로 초기에 선 보였던 휴대전화기는 점점 소형화하고 그 기능도 인터넷 통신,화상 통신등 점점 다양한 기능과 고급화한 기능을 부여하는 쪽으로 발전해 가고 있다.
이와같이 발전되고 작아진 휴대전화기는 가죽케이스등을 이용하여 허리에 차고 다닐 필요없이 들고 다니거나 셔츠 주머니에 넣을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소형 일수록 사용중이나 휴대중에 실내외 바닥에 떨어트리는 일이 많아 졌다.
최근에는 줄을 이용하여 휴대전화기를 목에 걸 수 있도록 하여 떨어뜨려져 파손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게 되었다. 그러나 아직까지 착,발신 신호시 휴대전화기의 덮개를 열기 위하여 손으로 전화기 몸체를 잡지 않으면 안되었다.
목걸이를 사용하여 휴대전화기를 목에 걸기 위해서는 목걸이와 휴대전화기 사이에 쉽게 분리되는 착탈식의 연결잭이 암,수접속구조로 접속된다. 이와같은 연결잭을 구비한 목걸이 일지라도 발신,착신시 일일이 휴대폰을 손에 쥐고 통화를 하게 된다.
한편, 차량에 설치되는 휴대전화기는 손으로 잡지 않고도 이어폰과 마이크를 이용하여 간단히 착신통화가 이루어지고 있다. 단지 송화시에만 휴대전화기의 덮개를 열고 다이얼링해야하는 단점은 있으나, 나름대로 편리하게 사용되고 있다.
따라서 목걸이를 이용하여 휴대전화기를 휴대하도록 함과 동시에 송화시에나 혹은 발신신호에 따라 수화를 하는 경우에 휴대전화기의 덮개를 일일이 열지 않고도 송수화가 이루어지는 수단이 필요로 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휴대전화기의 송수화시 일일이 휴대전화기 몸체를 잡고 그 덮개를 열어 다이얼링하지 않고, 소정의 전선라인 혹은 전선라인이 매설된 목걸이줄을 이용하여 다이얼링및 액정표시가 가능하게 한 휴대전화기용 목걸이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 휴대전화기용 목걸이의 일실시예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 휴대전화기용 목걸이의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 휴대전화기용 목걸이의 또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 휴대전화기용 목걸이에 다이얼링수단과 액정표시수단이 함께 구현됨을 예시하는 발췌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휴대전화기 200: 목걸이
210: 착탈수단 212: 숫합부재
214: 암합부재 220: 접속잭
230: 송수화수단 232: 마이크
234: 이어폰 240:다이얼링수단
250:커넥터 252:접속공
260:액정표시수단
이와같은 본 고안의 목적은 휴대전화기를 목에 걸기 위한 목걸이에 있어서,휴대전화기 몸체와 착탈연결되고, 전원라인이 형성된 목걸이; 상기 목걸이의 소정위치에서 인출된 송수화수단; 상기 송수화수단을 상기 목걸이의 전원라인을 통하여 상기 휴대전화기에 접속하기 위한 접속잭; 및 상기 목걸이의 소정위치에 접속연결된 다이얼링수단을 포함하는 휴대전화기용 목걸이로서 달성된다.
상기 목걸이는 휴대전화기에 직접 접속되도록 접속잭과 착탈수단이 하나에 집합된 커넥터로 실시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다이얼링수단은 숫자,통화,해제등의 입력키이고, 이 다이얼링수단은 액정표시수단을 더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에 따라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 도면중 도 1은 본 고안의 제 1실시예의 사시도이다.
상기 도면에서 도시하는 본 고안은 크게 휴대전화기(100)와, 이 전화기(100)를 목에 걸기 위한 목걸이(200)로 구분된다.
목걸이(200)는 목에 걸기위한 적당한 길이의 줄로 이루어지며, 그 양단부를 하나로 모아 착탈수단(210)을 연결한다. 이 착탈수단(210)은 숫합부재(212)와 암합부재(214)로 이루어지고, 암합부재(214)는 상기 휴대전화기(100)에 형성된 고리에 짧은 끈으로 연결되며, 목걸이(200)에는 숫합부재(212)가 연결된다.
따라서 휴대전화기(100)와 목걸이(200)는 이 숫합부재(212)를 암합부재(214)에 접속함으로써 연결된다. 목걸이와 휴대전화기의 분리는 착탈수단(210)을 분리함에 따르며, 숫합부재(212)의 탄편을 눌러 밀어냄으로써 이탈된다(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목걸이(200)는 그 줄의 내부에 전원라인이 매설되어 있고, 이 전원선에 접속잭(220)과, 송수화수단(230)을 연결하여 소정길이 인출한다. 송수화수단(230)은 흔히 사용되는 마이크(232)와 이어폰(234)이 적용된다.
따라서 휴대전화기(100)을 목에 걸고 있다가 전화벨이 울리면 목에 건채로 통화가 가능해진다.
첨부 도면중 도 2는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상기 도 2에서 도시하는 본 고안 휴대전화기용 목걸이(200)는 그 줄의 내부에 전원선이 내설되어 있고, 이 전원선을 목걸이 아래 쪽에서 인출하여 접속잭(220)을 연결하고 윗쪽으로는 송수화수단(230)을 연결한다.
특히, 본 고안은 이 송수화수단(230) 및 접속잭(220)외에 다이얼링수단(240)을 상기 목걸이(200)에 더 구비함으로써 휴대전화기(100)를 잡지 않고도 통화가 이루어지게 된다. 다이얼링수단(240)은 휴대전화기에 배열된 숫자입력키,통화키,해제키등의 여러가지 기능 입력키가 적용된다. 또한, 목걸이의 줄을 적당한 길이로 연장하여 가방이나 핸드백,주머니등에 휴대하면서도 송수화가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 경우 목걸이는 하나의 연장된 전원라인의 기능을 하게 된다.
첨부 도면중 도 3은 본 고안의 제 3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상기 도 3에서 도시하는 바와같이 목걸이(200)는 그 줄의 내부에 전원선이 배열되어 있고, 이 전원선이 매설된 목걸이의 윗쪽에는 송수화수단(230)을 형성하고, 아래쪽으로는 상기 접속잭의 기능과 착탈수단의 기능을 한데 모은 커넥터(250)를 구현한다. 커넥터(250)는 휴대전화기 몸체의 접속공(252)에 삽입되어 통전됨과 동시에 걸려지는 구조로 실시된다.
따라서 목걸이와 휴대전화기의 연결을 위한 착탈수단의 번거로움이 해소되고, 보다 간단한 착탈구조 및 접속구조를 제공하게 된다.
첨부 도면 도 4는 본 고안 다이얼링수단(240)외에 액정표시수단(260)을 더 부가하여 송수화시 해당 전화번호나 멧세지등이 표시되도록 함으로써 휴대전화기의 분리사용효과를 증대하게 된다.
아울러 본 고안은 MP3, MD플레이어 및 PDA등의 소형전자통신기기에도 적용된 오디오 송수신,화상통신등의 통신수단의 휴대구조에 적용 가능하다.
이와같이 이루어진 본 고안 휴대전화기용 목걸이는 전화벨이 울리는 경우 일일이 휴대전화기 몸체의 덮개를 열고 통화를 하게 되는 불편함을 개선한 효과를 갖는다.
본 고안은 휴대전화기를 가방,주머니등에 넣어진 상태에서 목걸이에 달린 다이얼링수단을 통하여 상대방번호의 입력은 물론 각종 키입력이 가능하게 되어 휴대중인 전화기를 일일이 꺼내지 않고도 통화가 이루어지는 장점이 있다.
뿐만아니라 본 고안은 목걸이와 휴대전화기 사이의 착탈수단과 통전수단이 함께 구현된 커넥터를 구현함으로써 더욱 간단한 착발신 통화가능의 휴대전화기 목걸이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휴대전화기를 목에 걸기 위한 목걸이에 있어서,
    휴대전화기 몸체와 착탈연결되고, 전원라인이 형성된 목걸이;
    상기 목걸이의 소정위치에서 인출된 송수화수단;
    상기 송수화수단을 상기 목걸이의 전원라인을 통하여 상기 휴대전화기에 접속하기 위한 접속잭; 및
    상기 목걸이의 소정위치에 접속연결된 다이얼링수단을 포함하는 휴대전화기용 목걸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목걸이가 휴대전화기에 직접 접속되도록 접속잭과 착탈수단이 하나에 집합된 커넥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전화기용 목걸이.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얼링수단은 숫자,통화,해제등의 입력키가 구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전화기용 목걸이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얼링수단에는 액정표시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전화기용 목걸이.
KR2020000019583U 2000-07-08 2000-07-08 휴대전화기용 목걸이 KR20020749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9583U KR200207497Y1 (ko) 2000-07-08 2000-07-08 휴대전화기용 목걸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9583U KR200207497Y1 (ko) 2000-07-08 2000-07-08 휴대전화기용 목걸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7497Y1 true KR200207497Y1 (ko) 2000-12-15

Family

ID=196642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9583U KR200207497Y1 (ko) 2000-07-08 2000-07-08 휴대전화기용 목걸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7497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57765B1 (en) Mobile phone with integrated wireless camera
US20020043545A1 (en) Holder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JPH08335968A (ja) 携帯用情報端末装置
US7090076B2 (en) Cell phone/personal digital assistant built into handbag
JP4071727B2 (ja) 携帯電話
JP3090729U (ja) 筆記用ペン型セパレート送受話器
KR200207497Y1 (ko) 휴대전화기용 목걸이
KR20140049381A (ko) 통화전용 보조스마트폰이 구비된 스마트폰
CN203377919U (zh) 腕戴式触控智能电话
KR200224794Y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장치
KR200185675Y1 (ko) 휴대폰용 목걸이 이어폰
KR100556881B1 (ko) 리모콘 연결부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및 휴대용 단말기용 리모콘 장치
KR200284358Y1 (ko) 핸드폰 매립안테나 내경에 내장된 이어폰 탄력대
KR200184934Y1 (ko) 다이얼기능을 가지는 휴대폰용 이어폰
US20040141610A1 (en) Telephone set
CN201008176Y (zh) 一种无线电信多功能耳机
KR20010025887A (ko) 마이크 겸용 안테나를 가진 셀룰라폰
JPH04180329A (ja) コードレス電話機
KR200194028Y1 (ko) 탈착식 이어폰이 내장되어 있는 유·무선 화상전화기
KR200201902Y1 (ko) 휴대 전화기용 목걸이
KR101131103B1 (ko) 스마트폰 연동기능이 구비된 전화장치
KR200234222Y1 (ko) 휴대폰용 이어폰
KR20000010498A (ko) 벨트와 일체로 결합된 핸드폰
KR200252883Y1 (ko) 휴대전화기용 다목적 목걸이줄
KR200170131Y1 (ko) 마이크 겸용 안테나를 가진 셀룰라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101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