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7431Y1 - 전기 손톱깎이 - Google Patents

전기 손톱깎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7431Y1
KR200207431Y1 KR2020000011914U KR20000011914U KR200207431Y1 KR 200207431 Y1 KR200207431 Y1 KR 200207431Y1 KR 2020000011914 U KR2020000011914 U KR 2020000011914U KR 20000011914 U KR20000011914 U KR 20000011914U KR 200207431 Y1 KR200207431 Y1 KR 20020743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eiving portion
motor
cutter
cover
sl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1191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차성일
Original Assignee
차성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차성일 filed Critical 차성일
Priority to KR202000001191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743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743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7431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9/00Manicuring or pedicuring implements
    • A45D29/02Nail clippers or cutters

Landscapes

  • Scissors And Nipp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기 손톱깎이에 대한 것으로서, 모터의 동력을 이용하여 손톱을 자동으로 깍아 손의 사용에 따른 불편을 제거하여 편리성을 증진시킬 수 있도록 된 것이다.
이를 위한 특징적인 실시 수단은 그 내부로 건전지나 전기인 동력원(A)을 연결시키는 스위치(C)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모터(5)를 구동하는 기판(C)을 구비함과 더불어 모터(5)를 수용하는 수용부(2)로 이루어진 몸체(1)와, 이 몸체(1)의 수용부(2)에 결합되는 작동어셈블리(4)로 구성되되, 이 작동어셈블리(4)는 수용부(2)에 수용되어 기판(B)과 전기적으로 연결됨과 더불어 외경에 스플라인이 형성된 축(5a)이 구비된 모터(5)와, 이 모터(5)에 결합되어 함께 회전되는 커터(6) 및 상기 수용부(2)에 삽입되면서 커터(6)를 수용하는 커버(7)로 구성된다.

Description

전기 손톱깎이 {ELECTRIC NAIL SCISSORS}
본 고안은 전기 손톱깎이에 대한 것으로서, 특히 모터의 동력을 이용하여 자동으로 손톱을 깍으면서 다듬을 수 있도록 된 전기 손톱깎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손톱깎이는 2개의 날을 힌지핀을 매개로 지렛대기능을 하여 날사이에 위치된 손톱을 절단하도록 된 구조를 갖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손톱깎이는 손톱을 2날사이로 위치시킨 상태에서 다른손을 이용하게 되어, 오른손이나 왼손의 손톱을 깍는 경우에는 왼손잡이든 오른손잡이든 사용이 익숙하지 않은 손을 사용해야만 하므로 상당한 불편을 가져오는 문제가 있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 보완하고자 안출한 것으로서, 모터의 동력을 이용하여 손톱을 자동으로 깍아 손의 사용에 따른 불편을 제거하여 편리성을 증진시킬 수 있도록 된 것이다.
이를 위한 특징적인 실시 수단은 그 내부로 건전지나 전기인 동력원을 연결시키는 스위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모터를 구동하는 기판을 구비함과 더불어 모터를 수용하는 수용부로 이루어진 몸체와, 이 몸체의 수용부에 결합되는 작동어셈블리로 구성되되, 이 작동어셈블리는 수용부에 수용되어 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됨과 더불어 외경에 스플라인이 형성된 축이 구비된 모터와, 이 모터에 결합되어 함께 회전되는 커터 및 상기 수용부에 삽입되면서 커터를 수용하는 커버로 구성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제1실시예로서, 전기 손톱깎이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커버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부분 결합도
도 3 (가),(나),(다),(라)은 커버의 작동상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제2실시예로서, 전기 손톱깎이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도 4에 따른 커버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부분 결합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6a,7a : 몸체 2 : 수용부
2a : 제1슬랏 2b : 제2슬랏
2c : 제3슬랏 3 : 간격스트립
3' : 절곡단
4 : 작동어셈블리 5 : 모터
5a,6a' : 축 6 : 커터
6b : 결합홀 6c : 블레이드
6d : 마감부재 7 : 커버
7b,7f : 개구홀 7b1,7b2,7b3: 제1·2·3개구홀
7c : 안전턱 7c1,7c2,7c3: 제1·2·3안전턱
7d : 가압단 7d' : 걸림부
7d' : 돌기부 7e : 가이드
A : 동력원 B : 스위치
C : 기판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구성 및 작용을 첨부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제1실시예로서, 전기 손톱깎이의 분해 사시도를 도시한 것인바, 그 내부로 건전지나 전기인 동력원(A)을 연결시키는 스위치(C)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모터(5)를 구동하는 기판(C)을 구비함과 더불어 모터(5)를 수용하는 수용부(2)로 이루어진 몸체(1)와, 이 몸체(1)의 수용부(2)에 결합되는 작동어셈블리(4)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몸체(1)는 손으로 잡기 용이 하도록 형성됨과 더불어 이 몸체(1)에 일체로 이어진 수용부(2)는 몸체(1)에 직각으로 형성되거나 또는 수평하게 형성됨은 물론이다.
그리고, 상기 수용부(2)에는 작동어셈블리(4)가 삽입되어 사용자에 의해 상·하이동되도록 개구된 제1슬랏(2a)과, 이 제1슬랏(2a)의 뒤쪽 즉, 수용부(2)의 내면으로 제1슬랏(2a)의 폭보다 큰 폭으로 형성된 제2슬랏(2b) 및 수용부(2)의 내면으로 형성되어 작동어셈블리(4)의 상·하이동시 안내기능을 하는 제3슬랏(2c)이 형성되되, 상기 제1슬랏(2a)의 양 측면으로는 다수의 절곡단(3')이 형성된 고정스트립(3)이 구비되어 진다.
여기서, 상기 제3슬랏(2c)은 소정 간격으로 다수개 형성되지만 바람직하게는 120°간격으로 형성되는 한편, 상기 고정스트립(3)은 작동어세블리(4)가 단계별로 이동되도록 여러 단계의 절곡단이 형성되지만 바람직하게는 3단계의 이동을 이루도록 되어 진다.
또한, 상기 작동어셈블리(4)는 수용부(2)에 수용되어 기판(B)과 전기적으로 연결됨과 더불어 외경에 스플라인이 형성된 축(5a)이 구비된 모터(5)와, 이 모터(5)에 결합되어 함께 회전되는 커터(6) 및 상기 수용부(2)에 삽입되면서 커터(6)를 수용하는 커버(7)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커터(6)는 모터(5)의 축(5a)에 결합되도록 그 내면에 스플라인이 형성된 결합홀(6b)이 형성된 몸체(6a)와, 이 몸체(6a)에 돌출되도록 고정된 블레이드(6c) 및 몸체(6a)의 상면으로 구비된 마감부재(6d)로 이루어 진다.
여기서, 상기 블레이드(6c)는 다수개로 이루어지며 바람직하게는 90°간격으로 4개가 형성되어지는 한편, 상기 마감부재(6d)는 고운입자의 샌드페이퍼(Sand Paper)로 이루어 진다.
또한, 상기 커버(7)는 그 상부로 개구된 개구홀(7f)을 형성한 몸체(7a)와, 이 몸체(7a)의 측면으로 수용부(2)의 제3슬랏(2c)에 삽입되도록 돌출 형성된 가이드(7e), 손톱을 삽입할 수 있도록 장방형으로 길게 개구된 개구홀(7b)의 하부로 손가락의 손톱밑부위를 위치시킬 수 있도록 오목하게 만곡진 형상으로 돌출됨과 더불어 수용부(2)의 제2슬랏(2b)에 삽입되는 안전턱(7c) 및 이 안전턱(7c)의 하부로 간격을 두고 돌출형성된 가압단(7d)으로 구성되되, 이 가압단(7d)의 상부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부(2)에 구비된 간격스트립(3)에 형성된 절곡단(3')의 함몰부위 사이로 위치되도록 길게 형성된 걸림부(7d')가 형성됨과 더불어 그 표면에는 손으로 밀기 용이하도록 장방형으로 다수의 홈이 형성된 돌기부(7d')가 형성되어 진다.
그리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제2실시예인 전기 손톱깎이의 분해 사시도를 도시한 것인바, 전술한 제1실시예와 달리 몸체(1)에 형성된 수용부(2)에 제3슬랏(2c)만이 형성됨과 더불어 작동어셈블리(4)의 구조를 단순화 시키게 된다.
즉, 상기 작동어셈블리(4)를 구성하는 모터(5)의 축(5a)에 결합되는 커터(6)는 그 몸체(6a)를 마감부재(6d)를 부착한 상부부위만을 소정두께로 원을 형성하면서 그 중앙으로 삽입홀(6b)을 형성한 작은 직경의 축(6a')을 일체로 형성하되, 이 축(6a')에 고정되어 상기 몸체(6a)의 외경과 동일한 크기를 이루는 다수의 블레이드(6c)를 구비하게 된다.
이때, 상기 커터(6)가 축(6a')을 중심으로 몸체(6a)를 형성하는 것은 자체의 중량을 줄여 모터(5)의 회전력 감소를 줄여주기 위한 것임은 물론이다.
그리고, 상기 수용부(2)의 제3슬랏(2c)에 가이드(7e)를 매개로 삽입되는 커버(7)는 손톱을 삽입할 수 있도록 장방형으로 개구된 개구홀(7b)의 하부로 손가락의 손톱밑부위를 위치시킬 수 있도록 오목하게 만곡진 형상으로 돌출된 안전턱(7c)이 다수개 형성되되, 상기 개구홀(7b)은 도 5에 도시된 바와같이 커터(6)의 블레이드(6c)의 사용위치를 3단계 위치로 구분하도록 서로 간격을 둔 다수개의 제1·2·3개구홀(7b1,7b2,7b3)이 형성됨과 더불어 이 제1·2·3개구홀(7b1,7b2,7b3)사이로 서로 단차지게 형성된 제1·2·3안전턱(7c1,7c2,7c3)이 형성되어 진다.
이하 본 고안의 작동을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본 고안의 제1실예에 따른 전기손톱깎이에 대해 설명한다.
본 고안의 전기손톱깎이의 몸체(1)를 잡고 스위치(B)를 켜 동력원(A)의 동력이 기판(C)을 통해 작동어셈블리(4)의 모터(5)를 회전시키게 되면, 이 모터(5)에 결합된 커터(6)가 함께 회전하게 된다.
이어, 도 3의 (가)에 도시된 바와같이 수용부(2)에 완전히 삽입된 커버(7)의 가압단(7d)을 손으로 가압하면서 위로 올려 걸림부(7d')를 간격스트립(3)의 간격단(3')의 하단와 중단 사이의 함몰부위로 이동시켜 도 3의 (나)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7)의 개구홀(7b)이 커터(6)의 블레이드(6c)하부부위로 위치시켜 준다.
이후, 도 3의 (나)에 도시된 바와같이 커버(7)의 개구홀(7b)로 손톱을 삽입하면 모터(5)와 함께 회전되는 커터(6)의 블레이드(6c)가 삽입된 손톱을 깍아주게 되며, 이때 손톱의 전체부위를 깍으려면 손톱이 삽입된 상태에서 손가락을 천천히 좌·우로 돌려준다.
이때, 상기 개구홀(6c)의 하부로 구비된 안전턱(7c)은 개구홀(6b)로 손톱을 삽입할 때 손톱밑의 부위와 접촉하여 손톱만을 깍을 수 있도록 안전기능을 하게 됨은 물론이다.
그리고, 만약 상기 커터(6)의 블레이드(6c)의 장기간 사용에 따라 블레이드(6c)가 무디어지게 되면 도 3의 (다)나 (라)와 같이 그 사용부위를 조절하게 되는데, 이는 커버(7)의 가압단(7d)을 손으로 가압하면서 위로 올려 걸림부(7d')를 간격스트립(3)의 간격단(3')의 중단와 상단 사이의 함몰부위로 이동시키거나 또는 상단의 함몰부위로 이동시켜주게 되면, 상기 커버(7)의 개구홀(7b)이 각각 커터(6)의 블레이드(6c)의 중간부위나 또는 상부부위로 위치되어져 블레이드(6c)의 전체 부위를 고르게 사용하게 됨은 물론이다.
그리고, 본 고안의 제2실시예는 전술한 제1실시예에 비해 커터(6)의 회전력이 상대적으로 빠르지만 커버(7)의 이동이 필요없게 된 것으로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5)와 함께 회전되는 커버(6)의 블레이드(6c)위치에 따라 커버(7)에 형성된 제1·2·3개구홀(7b1,7b2,7b3)을 통해 블레이드(6c)의 사용부위를 선택적으로 조절하게 된 것으로 전술한 제1실시예와 동일한 작용과 기능에 대해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즉, 손톱을 커버(7)의 제1·2·3개구홀(7b1,7b2,7b3)중 하단에 위치된 제3개구홀(7b3)로 삽입하게 되면 블레이드(6c)의 하부부위를 사용하여 손톱을 깍게되는 반면, 손톱을 각각 제1·2개구홀(7b1,7b2)에 선택적으로 삽입하게 되면 각각 블레이드(6c)의 중간부위와 상부부위를 사용할 수 있게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제1·2·3개구홀(7b1,7b2,7b3)의 아래에 각각 구비된 제1·2·3안전턱(7c1,7c2,7c3)은 전술한 제1실시예와 같이 개구홀(6c)로 손톱을 삽입할 때 손톱밑의 부위와 접촉하여 손톱만을 깍을 수 있도록 안전기능을 하게 됨은 물론이다.
이상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모터의 동력을 이용하여 손톱을 자동으로 깍아 손의 사용에 따른 불편을 제거하여 편리성을 증진시킬 수 있게됨은 물론, 손톱을 깍는 블레이드의 전체 구간을 고르게 사용하게 되어 장기간 사용할 때에도 최적의 성능을 유지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게 된다.

Claims (9)

  1. 그 내부로 건전지나 전기인 동력원(A)을 연결시키는 스위치(C)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모터(5)를 구동하는 기판(C)을 구비함과 더불어 모터(5)를 수용하는 수용부(2)로 이루어진 몸체(1)와, 이 몸체(1)의 수용부(2)에 결합되는 작동어셈블리(4)로 구성되되, 이 작동어셈블리(4)는 수용부(2)에 수용되어 기판(B)과 전기적으로 연결됨과 더불어 외경에 스플라인이 형성된 축(5a)이 구비된 모터(5)와, 이 모터(5)에 결합되어 함께 회전되는 커터(6) 및 상기 수용부(2)에 삽입되면서 커터(6)를 수용하는 커버(7)로 구성된 전기 손톱깎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7)가 몸체(1)의 수용부(2)에 착·탈식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손톱깎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2)의 내면으로 형성되어 커버(7)의 의 상·하이동시 안내기능을 하는 제3슬랏(2c)이 형성됨과 더불어 커버(7)에 상기 제3슬랏(2c)과 상응되는 가이드(7e)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손톱깎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2)가 개구된 제1슬랏(2a)의 뒤쪽인 수용부(2)의 내면으로 제1슬랏(2a)의 폭보다 큰 폭으로 제2슬랏(2b)이 형성되면서 다수의 절곡단(3')이 형성된 고정스트립(3)이 구비되는 한편, 상기 커터(6)가 모터(5)의 축(5a)에 결합되도록 결합홀(6b)이 형성된 몸체(6a)와, 이 몸체(6a)에 돌출되도록 고정된 다수개의 블레이드(6c)로 이루어지고, 상기 커버(7)는 그 상부로 개구된 개구홀(7f)을 형성한 몸체(7a)와, 손톱을 삽입할 수 있도록 장방형으로 길게 개구된 개구홀(7b)의 하부로 손가락의 손톱밑부위를 위치시킬 수 있도록 오목하게 만곡진 형상으로 돌출됨과 더불어 수용부(2)의 제2슬랏(2b)에 삽입되는 안전턱(7c) 및 이 안전턱(7c)의 하부로 간격을 두고 돌출형성된 가압단(7d)으로 구성되어진 전기 손톱깎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6a)의 상면으로 고운입자의 샌드페이퍼로 이루어진 마감부재(6d)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손톱깎이.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단(7d)의 상부에는 수용부(2)에 구비된 간격스트립(3)에 형성된 절곡단(3')의 함몰부위 사이로 위치되도록 길게 형성된 걸림부(7d')가 형성됨과 더불어 그 표면에는 손으로 밀기 용이하도록 장방형으로 다수의 홈이 형성된 돌기부(7d')가 형성 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손톱깎이.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커터(6)는 그 몸체(6a)의 중앙으로 삽입홀(6b)을 형성한 작은 직경의 축(6a')과 이 축(6a')에 고정되어 상기 몸체(6a)의 외경과 동일한 크기를 이루는 다수의 블레이드(6c)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손톱깎이.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7)가 손톱을 삽입할 수 있도록 장방형으로 개구된 다수의 개구홀(7b1,7b2,7b3)의 하부로 손가락의 손톱밑부위를 위치시킬 수 있도록 오목하게 만곡진 형상으로 돌출된 다수의 안전턱(7c1,7c2,7c3)이 형성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손톱깎이.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홀(7b1,7b2,7b3)사이로 구비된 제1·2·3안전턱(7c1,7c2,7c3)이 서로 단차지게 형성 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손톱깎이.
KR2020000011914U 2000-04-26 2000-04-26 전기 손톱깎이 KR20020743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1914U KR200207431Y1 (ko) 2000-04-26 2000-04-26 전기 손톱깎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1914U KR200207431Y1 (ko) 2000-04-26 2000-04-26 전기 손톱깎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7431Y1 true KR200207431Y1 (ko) 2000-12-15

Family

ID=196537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1914U KR200207431Y1 (ko) 2000-04-26 2000-04-26 전기 손톱깎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7431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7684B1 (ko) 2010-03-04 2010-08-24 오상근 반자동 안전 손톱깎이
KR20230097610A (ko) * 2021-12-24 2023-07-03 주식회사 쓰리쎄븐 유아용 손톱깎이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7684B1 (ko) 2010-03-04 2010-08-24 오상근 반자동 안전 손톱깎이
WO2011108875A2 (ko) * 2010-03-04 2011-09-09 Oh Sang-Keun 반자동 안전 손톱깎이
WO2011108875A3 (ko) * 2010-03-04 2012-03-01 Oh Sang-Keun 반자동 안전 손톱깎이
KR20230097610A (ko) * 2021-12-24 2023-07-03 주식회사 쓰리쎄븐 유아용 손톱깎이
KR102660818B1 (ko) * 2021-12-24 2024-04-26 주식회사 쓰리쎄븐 유아용 손톱깎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757413B1 (en) Hair clipper
KR200473990Y1 (ko) 면도기
KR200472977Y1 (ko) 면도기
JP2702760B2 (ja) 散髪方法
US5123159A (en) Hair clipper
KR200207431Y1 (ko) 전기 손톱깎이
KR20010103849A (ko) 전기 손톱깎이
JP2002052269A (ja) 少量の髪のカット或いは特殊スタイル用の散髪用ハサミ
HU196331B (en) Wall-paper cutting device
KR200449571Y1 (ko) 180° 헤드틸팅 슬라이딩 면도기
JPS595311B2 (ja) 往復動式電気かみそり
KR200170804Y1 (ko) 손톱깎이
KR20090048661A (ko) 자동 손톱깎이
KR20020060142A (ko) 손톱깍이
KR200294067Y1 (ko) 손톱깎이
CN218802407U (zh) 便于携带的削发装置
KR200367485Y1 (ko) 돋보기가 구비된 손톱깍기
JP3098555U (ja) 爪切り
KR200382077Y1 (ko) 삽출식 비산방지판이 구비된 전기 바리깡
KR200398688Y1 (ko) 슬립형 전기바리깡
KR100597688B1 (ko) 미용가위
CN1204568A (zh) 折刀
KR200209852Y1 (ko) 양날식 전기바리캉
KR200181068Y1 (ko) 후레쉬가 부설된 코털깍기용 가위
KR200233950Y1 (ko) 손톱깍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1005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