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7087Y1 - Layout for storage room for remains case in charnel house - Google Patents

Layout for storage room for remains case in charnel hous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7087Y1
KR200207087Y1 KR2020000018698U KR20000018698U KR200207087Y1 KR 200207087 Y1 KR200207087 Y1 KR 200207087Y1 KR 2020000018698 U KR2020000018698 U KR 2020000018698U KR 20000018698 U KR20000018698 U KR 20000018698U KR 200207087 Y1 KR200207087 Y1 KR 20020708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rotating plate
ashes
inlet
ke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18698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주훈
Original Assignee
박주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주훈 filed Critical 박주훈
Priority to KR202000001869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7087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708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7087Y1/en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3/00Monuments; Tombs; Burial vaults; Columbaria
    • E04H13/006Columbaria, mausoleum with frontal access to vaul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ousing For Livestock And Bird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특히 복수개의 유골함이 도우넛 형상인 본체의 내 공간부에 원형의 수평상태로 봉안된 채 임의의 슬라이드식 회전이 가능토록 함으로 조문시 혹은 유골함의 보관에 따른 편익향상은 물론 공간의 효율적인 사용에 따라 점유 면적을 최소화 하면서도 지면과 봉분의 흙이 직접적으로 접합할 수 있도록 하여 수분의 공급과 이동을 가능케 하여 잔듸가 잘 살아날 수 있도록 한 구조에 관한 것인바, 그 구조로는 일정한 높이와 폭을 유지하면서 상부 평면으로는 일정 깊이의 COVER PLATE를 설치, 안내로가 형성되도록 내부가 빈 도우넛 형상의 본체; 상기 본체의 전면 일 측에 형성되어 개폐 가능하도록 볼트체결 잠금장치를 갖는 유입구; 버튼키 및 열쇠키 겸용의 편의성과 보안성을 강조한 석조물 외벽문 보드판; 상기 본체의 내부 빈 공간의 바닥에 보강성을 위해 방사상으로 형성되는 복수개의 보강용 리브; 상기 각 보강용 리브 사이에 적재된 채 유동성과 회동될 수 있는 구슬; 상기 구슬상에 안치된 채 본체 내부의 환형 공간을 따라 슬라이드 회전될 수 있도록 된 회전판; 및 상기 회전판 상단 홈에 영정,위패등이 설치 고정되며, 외부면을 향해 각각 방사상으로 후단부가 연결되어 환형상을 이루고 있는 복수개의 유골함 칸막이를 포함하는 회전 유골함을 구비하여 그 상단부로 둘레석과 봉분을 설치하되, 유입구의 전면으로 조문석이 위치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a plurality of ashes to be randomly rotated while being enclosed in a circular horizontal state in the inner space of the main body having a donut shape, so as to improve convenience and benefit from storage of the ashes, as well as efficient use of space. According to the structure that minimizes the occupied area while allowing the soil of the ground and rods to be directly bonded to allow the supply and movement of moisture so that the residue can survive well. Maintain a donut-shaped body inside the hollow while maintaining the upper surface to install a cover plate of a predetermined depth, the guide path; An inlet formed at one side of the front surface of the main body and having a bolting locking device to be opened and closed; A stone exterior door board board emphasizing the convenience and security of a combination of a button key and a key key; A plurality of reinforcing ribs radially formed on the bottom of the inner empty space of the main body for reinforcement; Beads that can be rotated with fluidity while being loaded between each reinforcing rib; Rotating plate that can be rotated along the annular space inside the body while seated on the bead; And a roving ash box including a plurality of ash box partitions formed in an annular shape by connecting the rear end portions radially toward the outer surface of the rotating plate at the top groove of the rotating plate, respectively. It is installed, but is configured so that the front door is located in front of the inlet.

Description

납골묘에 적용되는 회전식의 유골함 보관구조{LAYOUT FOR STORAGE ROOM FOR REMAINS CASE IN CHARNEL HOUSE}LAYOUT FOR STORAGE ROOM FOR REMAINS CASE IN CHARNEL HOUSE}

본 고안은 납골묘의 유골함 보관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복수개의 유골함이 도우넛 형상인 본체의 내 공간부에 원형의 수평상태로 봉안된 채 임의의 스라이드식 회전이 가능토록 함으로 조문시 혹은 유골함의 보관에 따른 편익향상은 물론 공간의 효율적인 사용에 따라 점유 면적을 최소화하면서도 지면과 봉분의 흙이 직접적으로 접합할 수 있도록 하여 수분 및 영양분의 공급과 이동을 가능케 함으로 잔듸가 잘 살아날 수 있도록 한 납골묘에 적용되는 회전식의 유골함 보관구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the ashes storage structure of the ossuary grave, and in particular, a plurality of ashes in the inner space of the main body of the doughnut shape in a circular horizontal state in the circular state to enable any slide-type rotation at the time of door or storage of ashes According to the improvement of the benefits, as well as the efficient use of space, the soil and the soil of the ground can be directly bonded while minimizing the occupied area, so that the supply and movement of moisture and nutrients is possible. It relates to a rotary skeleton storage structure.

일반적으로, 우리의 장례문화는 대다수가 매장식을 선호하고 있는것으로서 이는 고인은 물론 후손들 역시 시신의 훼손됨을 원하고 있지 않을 뿐만 아니라 조상공경의 유교와 풍수지리에 따른 도교의 영향을 받아 오랜 전통적인 문화로 자리 잡았으며, 이에 비하여 화장제도는 한정적인 범위에서 머물러 있음이 현 실정이다.In general, most of our funeral cultures are buried, which means not only the deceased, but also the descendants, do not want to be deceived, nor are they traditionally influenced by Taoism due to Confucianism and Feng Shui geography. In contrast, the makeup system is currently in a limited range.

그러나, 상기의 매장식 문화는 주로 긍정적인 측면보다는 불합리한 요소를 보다 많이 내재하고 있어 점차 화장식 장례문화(납골식 장묘제도)를 선호하는 경향이 확산되어 가고 있고, 국가적으로도 이러한 제도의 활용을 적극 권장하고 있는 추세이다.However, the burial culture has more unreasonable elements than the positive ones, and thus, the tendency to prefer cremation funeral culture (civil funeral system) is gradually spreading. It is highly recommended.

현실적으로 매장식 장묘제도에 따라 좁은 국토의 산야가 잠식되고 있으며,In reality, the burial of the narrow land of the country is encroached by the burial funeral system.

부분적 혹은 대형화된 공원묘지는 효율적인 국토 이용에 현저한 장애를 초래하는 것이고, 무분별한 개인 및 문중 묘지의 설치에 따라 장례에 소요되는 과다한 비용과 묘지 터에 대한 각종의 소유권 분쟁이 우려될 수 있는 것이다.Partial or enlarged park cemeteries cause significant obstacles to efficient land use, and the unreasonable cost of funerals and various ownership disputes over the cemetery can be a concern for the indiscriminate establishment of individual and cultural cemeteries.

따라서, 그 대안으로 모색되는 것인 전술한 바의 화장문화가 될 것이다.Thus, it will be a makeup culture as described above that will be explored as an alternative.

상기의 화장문화는 본래 불교의 다비식에서 전래되온 것으로 인도를 포함한 많은 불교국가에서 시행하고 있으며, 구미 각국에서도 자국의 산야를 보호하거나, 혹은 공원화를 조성하기 위해 화장식 장묘제도인 납골당으로 대체하고 있으나 납골당 역시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포함하고 있다.The cremation culture was originally derived from Buddhist dabyes, and is practiced in many Buddhist countries, including India, and in Western countries, it is being replaced by the ossuary of cremation, which is a cremation system in order to protect the mountains and forests of the country. Ossuary also has the following problems.

즉, 보관되어 있는 해당 유골함을 신속하게 유가족 등의 조문객이 찾아내어 안정시킨 상태에서 조문을 할 수 있는 제반 설치나 시설이 부족한 관계로, 이를 준비하기에는 필요아상의 시간이 소요되는 것이며, 또한 납골묘의 지하화 조성에 따른 공사작업의 곤란성과 아울러 폭이 좁은 면적에 많은 수의 유골함을 안치하기가 현실적으로 매우 곤란하여 이를 보완할 별도의 방안이 강구되어야 한다.In other words, there is a lack of installation and facilities that can quickly find the relevant remains of the ashes stored by family members such as family members and stabilize them. In addition to the difficulty of construction work due to the underground construction, it is practically difficult to place a large number of ashes in a narrow area.

특히, 가족별 묘역의(납골함)조성화를 적은 면적에서 시행하기에는 여러 가지의 문제점을 수반하는 것이고, 이와 함께 쓰레기 매립장 등의 유휴지 활용도가 낮고, 납골당이라는 다소 부정적인 선입견에 따라 부지 선정에 많은 애로점이 발생 하는 것이다.In particular, it is accompanied with various problems to establish family graveyards in a small area, along with low utilization of idle land such as landfills, and a lot of difficulties in site selection due to the rather negative preconception of ossuary. It is.

따라서, 대형화, 밀집화의 공원묘지 형태를 벗어나, 각종 유휴지 등에 많은 수의 유골함이 봉안되어 손쉽게 인출되거나 혹은 안치될 수 있도록 현대화된 외관을 갖춘 일반 매장형 묘지형태의 납골묘가 마련될 수 있도록 배려되어야 한다.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at a graveyard in the form of a burial cemetery in the form of a general burial type with a modernized appearance can be easily drawn out or enclosed by a large number of ashes in various idle areas, beyond the form of park cemetery of large-scaled and densely packed. do.

상기의 요망사항에 부흥하기 위하여 본 출원인이 공동 출원한 실용신안등록출원 제 99-6934호 '납골묘에 적용되는 회전식의 유골함 보관구조' 가 제안된바 있다.In order to revive the above requirements, a utility model registration application No. 99-6934 filed by the present applicant has been proposed 'rotary ashes storage structure applied to the crypt bone'.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봉분의 잔듸가 마치 지면에서와 같이 정상적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하며, 복수개 유골함의 보관 및 인출 그리고 조문을 위해 조문객이 해당 고인의 유골함을 찾는데 있어 유용함과 간편성이 수반될 수 있도록 원형상으로 회전되는 슬라이드식 방식을 채용하는 간단한 구조적인 변경으로 제작 및 설치의 간편함과 아울러 공간의 효율적인 활용을 도모할 수있는 회전식의 유골함 보관 구조를 제공함에 있다.Therefore,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llow the remnants of the bonbon to grow normally as if on the ground, and to be useful and simple in accommodating the visitor to find the remains of the deceased for the storage and withdrawal and the condolence of the plurality of ashes. It is a simple structural change that adopts a slide type that is rotated in a shape to provide a rotatable remains storage structure that can facilitate the production and installation as well as the efficient use of space.

상기의 목적 달성을 위해 본 고안은 일정한 높이와 폭을 유지하면서 상부 평면으로는 일정 깊이의 안내로가 형성되도록 내부가 빈 도우넛 형상의 본체; 상기 본체의 전면 일 측에 형성되어 개폐 가능하도록 볼트체결 잠금장치를 갖는 유입구; 버튼키 및 열쇠키 겸용의 편의성과 보안성을 강조한 석조물 외벽문 보드판; 상기 본체의 내부 빈 공간의 바닥에 보강성을 위해 방사상으로 형성되는 복수개의 보강용 리브; 상기 각 보강용 리브 사이에 적재된 채 유동성과 회동될 수 있는 구슬; 상기 구슬상에 안치된 채 본체 내부의 환형 공간을 따라 슬라이드 회전될 수 있도록 된 회전판; 및 상기 회전판 상단 홈에 영정,위패등이 설치 고정되며, 외부면을 향해 각각 방사상으로 후단부가 연결되어 환형상을 이루고 있는 복수개의 유골함 칸막이를 포함하는 회전 유골함을 구비하여 그 상단부로 둘레석과 봉분을 설치하되, 유입구의 전면으로 조문석이 위치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maintains a constant height and width, while the upper plane has a donut-shaped body having an internal hollow to form a predetermined depth; An inlet formed at one side of the front surface of the main body and having a bolting locking device to be opened and closed; A stone exterior door board board emphasizing the convenience and security of a combination of a button key and a key key; A plurality of reinforcing ribs radially formed on the bottom of the inner empty space of the main body for reinforcement; Beads that can be rotated with fluidity while being loaded between each reinforcing rib; Rotating plate that can be rotated along the annular space inside the body while seated on the bead; And a roving ash box including a plurality of ash box partitions formed in an annular shape by connecting the rear end portions radially toward the outer surface of the rotating plate at the top groove of the rotating plate, respectively. The installation, but characterized in that the front door is located in front of the inlet.

도1은 본 고안의 전체적인 외부 구성상태를 도시해 보인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overall external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도2는 본 고안의 구성상태를 보인 분해사시도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도3은 본 고안의 실시예를 보인 확대 단면도Figure 3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

10 : 본체 11 : 보강용 리브 12 : 유입구10 main body 11 reinforcing rib 12 inlet

13 : 개폐문(종교패널) 14 : 로울러 15 : 회전판13 opening and closing door (religious panel) 14 roller 15 rotating plate

16 : 유골함 칸막이 17 : 유골함 18 : 구슬 또는 로울러16: ashes compartment 17: ashes 18: beads or rollers

19 : 영정,위패 20 : 잠금장치 21 : COVER PLATE19: Youngjung, the corruption 20: Locking device 21: COVER PLATE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첨부된 도 1은 보 고안의 외부 구성상태를 도시해 보인 것이며, 도 2는 본 고안의 구성상태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를 보인 확대 단면도이다.The accompanying Figure 1 shows the external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고안에 따라 제공되는 회전식의 유골함 보관구조는 전술한 바와 같이 특히 가족묘 등에 적합할 것이나 굳이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물론이고, 먼저 지상의 표면으로 일정한 높이와 두께 폭(유골함의 폭을 고려하여)을 유지하는 도우넛 형상의 본체(10)가 마련되도록 하는데, 상기 환형상의 본체(10)는 내구성과 내한/내열성 등의 조건을 만족하는 경질의 합성수지재로 마련됨이 경제적, 제작상의 유용성을 고려할 때에 바람직하고, 외부 구조물(예컨데, 둘레석 및 봉분등)의 압력에 충분한 대응성을 갖기 위해서는 내부가 빈 공간 형태인 본체(10)의 내주면 하단에 보강성을 위해 방사형으로 복수개의 보강용 리브(11)를 일체로 설치하며, 이는 사출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Rotating ashes storage structure provid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particularly suitable for family graveyards, etc., as described above, but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is, first of all, the height and thickness width of the ground surface (in consideration of the width of the ashes) The donut-shaped main body 10 is provided to maintain the shape, wherein the annular main body 10 is made of a hard synthetic resin material that satisfies conditions such as durability and cold resistance / heat resistance. In addition, in order to have sufficient responsiveness to the pressure of the external structure (for example, circumferential stone, rod powder, etc.), a plurality of reinforcing ribs 11 are radially disposed on the lower end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ain body 10 having an empty space. It is installed integrally, which can use injection method.

이때, 상기 본체(10)위 전면 일측으로서는 내/외부가 연통될 수 있도록 일정한 크기(대략 유골함의 외주면 크기보다 다소 여유있도록)의 유입구(12)가 형성되도록 하며, 상기 유입구(12)의 중간에 두 개의 구멍을 뚫어 볼트와의 체결에 의해 개폐가 가능하도록 된 밀폐형 개폐문(종교패널)(13)이 설치된다.At this time, the front side of the main body 10 is formed so that the inlet 12 of a certain size (approximately more relaxed than the size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ashes) to communicate with the inside / outside, in the middle of the inlet 12 A sealed opening / closing door (religious panel) 13 is installed so as to be opened and closed by fastening two holes and fastening with a bolt.

또한, 상기 복수개의 보강용 리브(11) 각각에는 역시 일정 간격으로 칸막이를 설치하고 그 사이에 구슬 또는 로울러(18)을 넣어 설치되는데, 그 상부에 얹혀진 체 임의의 연속적인 회전이 본체(10)의 내부 공간을 통해 자유롭게 운동할 수 있도록 본체(10)의 도우넛형 내주면 형상과 동일한 형상으로 회전판(15)이 놓여진다.In addition, each of the plurality of reinforcing ribs 11 are provided with partitions at regular intervals, and bead or roller 18 is installed therebetween, and any continuous rotation of the sieve placed on the upper part of the main body 10 is provided. The rotating plate 15 is placed in the same shape as the donut-shaped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ain body 10 so as to move freely through the inner space of the main body 10.

상기 회전판(15)의 상단으로는 유골함이 안치될 수 있도록 외부면을 향해 각각 방사상으로 후단부가 연결되어 환형상을 이루고 있는 복수개의 유골함 칸막이(16)사이에 유골함(17)이 놓여 고정되며, 상기 유골함 칸막이(16)의 각 전면은 개방된 상태로 각각 외주면을 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The ashes 17 are placed and fixed between the plurality of ash box partitions 16 formed in an annular shape by connecting the rear ends of the rotating plates 15 radially toward the outer surface so that the ashes are settled. Each front surface of the ash compartment partition 16 is arranged to face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in an open state.

따라서, 본체(10)의 내주면을 통해 유골함(17)은 회전판(15)과 아울러 적이 회전될 수 있음으로 유입구(12)의 전면을 통해 각 유골함 칸막이(16)의 개방된 전면이 순차적으로 마주할 수 있게 되다.Accordingly, the ashes 17 through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ain body 10 may be rotated together with the rotating plate 15 so that the open fronts of each ash compartment partition 16 may face sequentially through the front of the inlet 12. Be able to

회전은 조문객에 의해서 유입구(12)를 통해 달성될 수 있으며, 각각 방사상으로 연결 설치되는 유골함 칸막이(16)로 인해 각 유골함 칸막이(16)의 전면부 사이에는 일정크기로 삼각형상의 공간이 형성되는 것이며, 이공간을 이용하여 조문객이 손을 이용하여 유골함(17)을 적절히 어느 방향으로든 회전시킬 수 있게 된다.Rotation can be achieved through the inlet (12) by the visitor, each of which is formed in a triangular space with a certain size between the front portion of each ash compartment partition 16 due to the ash compartment compartment 16 is radially connected. Using this space, the visitor can use the hand to rotate the ashes 17 in any direction as appropriate.

이때, 첨부된 도3의 단면도에서와 같이 회전시의 원활함 도모를 위해 본체(10)의 내주면 후단과 이에 인접하는 유골함 칸막이(16)와의 사이에 별도의 회동 로울러(14)를 설치함으로(바람직하게는 방사상으로 약 5개 정도) 안정감 부여를 위한 지지대의 역할과 구동의 자연스러움을 동시에 달성할 수 있게 된다.At this time, as shown in the accompanying cross-sectional view of Figure 3 by installing a separate rotational roller 14 between the rear end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ain body 10 and the ash box partition 16 adjacent thereto for smoothness during rotation (preferably It is possible to achieve both the role of the supporter for providing stability and the naturalness of driving at the same time.

한편, 외부로부터 유골함의 인입 및 인출과 조문시를 위해 설치되는 유입구(12)를 통해서라도 이와 연통되어 있는 유골함 칸막이(16)의 개방된 전면은 적절히 외부로부터 가려주어야 할 것인데, 첨부된 도2에서와 같이 이를 위하여 상기 유골함 칸막이(16)의 개방된 전면의 내주면과 상부에는 볼트를 조립할 수 있는 탭홀을 형성하고, 하부에 위패나 영정(19)등의 장착을 위한 홈부(16a)를 형성하고, 이에 상부에 볼트를 조립하고, 하부 끼움식으로 위치할 수 있는 판 상의 위패나 영정(19)을 착탈식으로 고정하는데, 그 외표면으로 안치된 고인의 영정 및 위패등이 모셔질 수 있도록 배려 함으로써 유입구(12)를 통해 위 영정 및 위패(19)가 상호 마주하여 바라볼 수 있도록 한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open front of the ash compartment compartment 16, which is in communication therewith, even through the inlet 12 installed for the introduction and withdrawal and extraction of the ashes from the outside, should be appropriately covered from the outside. To this en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open front of the ash compartment partition 16 to form a tab hole for assembling the bolt, and to form a groove portion (16a) for the installation of a plaque or spirit 19 on the lower, In this way, the bolts are assembled at the upper part, and the upper part of the plaque or spirit plate 19, which can be positioned as a lower fitting method, is detachably fixed, and the inlet port is considered so that the deceased person and the plaque of the deceased placed on the outer surface can be enshrined. Through (12), the above spirit and plaque (19) can be seen facing each other.

상기와 같은 구조는 지상의 표면상에 본체(10)가 위치 고정된 후 유입구(12)의 전면에 조문석이 위치되는 것이고, 유입구(12)의 상단으로 둘레석이 설치된 후 봉분이 형성되도록 한 것인데, 전술한 도 2에서와 같이 본체(10)의 도우넛 형상으로 연통된 중앙부를 통해 지면과 상단의 봉분이 직접적으로 마주 닿을 수 있음으로 수분 및 영양분의 공급과 유기물의 원활한 이동을 가능케 하여 잔듸가 잘살 수 있는 것이며, 수분의 보충성과 계속성 유지를 위하여 본체(10)의 상단 외표면으로는 일정한 깊이로 리브에 의해 보강되어 있는 COVER PLATE(21)를 설치, 자유로(본체의 두께부를 외벽으로 하여)를 형성하여 수분이 시간을 두고 공급되어진 후 충입된 채 순환되거나 혹은 고여진 상태 그대로 잔듸가 잘 살아날 수 있도록 지속적인 수분과 영양분을 공급하게 된다.The structure as described above is that the front door is located in front of the inlet 12 after the main body 10 is fixed on the surface of the ground, and the periphery is installed to the top of the inlet 12 to form a rod powder, As shown in FIG. 2, the rods of the ground and the top may directly face each other through the central portion communicated with the donut shape of the main body 10, thereby supplying moisture and nutrients and allowing smooth movement of the organic material. In order to maintain moisture replenishment and continuity, a cover plate 21, which is reinforced by ribs to a certain depth, is installed on the upper outer surface of the main body 10 and freely (with the thickness of the main body as the outer wall). It is formed to supply moisture over time, and then it is supplied with continuous moisture and nutrients so that the residue can survive as it is circulated or frozen.

반면에, 상술한 구조가 지상에 위치되는 관계로 본체(10)의 상단과 둘레석 및 봉분과의 높이 차가 얼마되지 아니하여 내구성 및 견고성에 문제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다른 실시예로 본체(10)를 일정 깊이의 지하(바람직하게는 본체의 두께 부분만큼)에 설치하게 됨으로 성토량을 많게하여 때에 수분공급이 충분하도록 함과 동시에 그 만큼 둘레석 혹은 봉분과의 보강성을 기할 수 있는 것인데, 이때 유골함의 인입 및 인출과 조문시의 유용성을 위하여 유입구(12)가 형성된 부분의 상단을 일정하게 다소 높여주는 구조를 채택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since the above structure is located on the ground, the height difference between the upper end of the main body 10 and the circumferential stone and the rod powder is not so small that in order to prevent a problem in durability and robustness, the main body 10 in another embodiment. ) Is installed in the basement (preferably as much as the thickness of the main body) of a certain depth, so that the amount of fill is increased so that the water supply is sufficient at the same time, and the reinforcement with the periphery or rod powder can be provided. For the purpose of the introduction and withdrawal of the inlet and the inlet of the inlet 12, the upper part of the formed portion may be adopted to increase the structure somewhat.

즉, 본체(10)의 나머지 부분은 지면의 하단에 위치하는 것이나, 유입구(12)와 위패,영정(19)이 회전되는 부분이 상측에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는 관계로 유골함을 넣을 경우에 발생하는 다른 간섭요인을 최소화할 수 있는 것이다.That is, the remaining portion of the main body 10 is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ground, but the inflow port 12 and the plaque, the portion 19 is rotated is formed when the bones in the relationship is formed because the protrusion is formed on the upper side. Other interferences can be minimized.

따라서, 가족별 혹은 어떤 특별한 인과관계를 맺고 있는 사람들의 묘지를 조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이 적용될 경우 조문객은 먼저 조문석의 전면에 위치되어 외부로 노출되는 석문을 번호.열쇠키 겸용방식의 잠금장치(20)를 해제함으로써 개폐하고 유입구(12)의 개폐문(13)을 개방시키게 되면, 영정 및 위패(19)등의 고정된 각각의 유골함 칸막이(16)가 노출되는 것이고, 이후 상기 유골함 칸막이(16)의 각 사이공간에 손을 넣어 이를 좌/우 어느 방향으로든 적절히 돌려주게 되면 로울러(14)와 바닥의 구슬 또는 로울러(18)을 의해 회전판(15)과 일체화된 회전 유골함(17)이 적이 회전하게 됨으로 조문코자 하는 고인의 영정이나 위패(19)를 보고 해당되는 고인을 찾아 유입구(12)상에 위치 고정시킨 후 조문할 수 있게 한 구성적인 체계를 갖는다.Therefore, when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in order to create a graveyard for family members or people with a special causal relationship, the first visitor first places a stone door that is located in front of the front door and exposed to the outside. By opening and closing the opening and closing door 13 of the inlet (12), the fixed remains of the ashes compartments 16, such as yeongjeong and spoil 19 is exposed, and then the remains of the ashes compartment 16 If you put your hand in each space and turn it properly in either left or right direction, the rotating ash box 17 integrated with the rotating plate 15 by the roller 14 and the ball or roller 18 at the bottom rotates the enemy. Seeing the deceased's detention or consolation (19) to find the relevant deceased to find the deceased in the position of the inlet (12) has a constitutive system that can be contacted.

이때 회전시 바닥의 구슬(18)이 원활치 못할 때에는 출원한 실용신안등록출원 제99-6934(4.26)'납골묘에 적용되는 회전식의 유골함 보관구조'로울러가 제공되는 또 다른 실시예가 구비될 수 있음도 물론이다.In this case, when the beads 18 on the bottom are not smooth when rotating, another embodiment may be provided with the utility model registration application No. 99-6934 (4.26) filed 'Rotary ashes storage structure applied to the ossuary'. Of course.

따라서, 본 고안은 복수개의 유골함이 도우넛 형상인 본체의 내 공간부에 위치된 유골함에 각각 고인의 유품과 함께 봉안된 체 임의의 슬라이드식 회전을 통해서 손쉽게 조문객과 접합할 수 있게 한 것으로 그 사용이 간편하고 시설 유지비가 저렴한 것임은 물론 공간의 효율적인 사용과 아울러 지면과 봉분의 흙이 직접적으로 접합할 수 있도록 하여 봉분의 잔듸가 잘 살아날 수 있는 경제적인 유용성을 갖는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a plurality of ashes to be easily joined to the visitor through an arbitrary sliding rotation of the sieves enclosed with the remains of the deceased each in the ashes located in the inner space of the main body having a donut shape. Not only is it simple and inexpensive to maintain the facility, but it is also economically useful for the efficient use of space as well as the direct bonding of the soil to the ground so that the residue of the wax can survive well.

또한, 경질의 합성수지를 이용한 원형의 박스 형태로 제공되어 물의 침수나 결로현상이 없고, 부식이나 마모율이 적어 반영구적인 사용과 설치 장소의 이동이 용이하다.In addition, since it is provided in the form of a circular box using hard synthetic resin, there is no water immersion or condensation, and there is little corrosion or wear rate, so it is easy to use semi-permanently and to move the installation place.

이하, 본 고안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실용신안 등록청구의 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고안의 정신이나 분야를 이탈하지 않는 한도내에서 본 고안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용이하게 알 수 있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illustrated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certain preferred embodiments, but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variously modified and modifi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the field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d by the following utility model registration claims. It will be readily apparent to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at changes may be made.

Claims (1)

일정한 높이와 폭을 유지하면서 상부 평면으로는 일정 깊이의 COVER PLATE를 설치 안내로가 형성되도록 내부가 빈 도우넛 형상의 본체; 상기 본체의 전면 일 측에 형성되어 개폐 가능하도록 볼트체결 잠금장치를 갖는 유입구; 버튼키 및 열쇠키 겸용의 편의성과 보안성을 강조한 석조물 외벽문 보드판; 상기 본체의 내부 빈 공간의 바닥에 보강성을 위해 방사상으로 형성되는 복수개의 보강용 리브; 상기 각 보강용 리브 사이에 적재된 채 유동성과 회동될 수 있는 로울러 또는 구슬; 상기 로울러 또는 구슬상에 안치된 채 본체 내부의 환형 공간을 따라 슬라이드 회전될 수 있도록 된 회전판; 및 상기 회전판 상단 홈에 영정,위패등이 설치 고정되며, 외부면을 향해 각각 방사상으로 후단부가 연결되어 환형상을 이루고 있는 복수개의 유골함 칸막이를 포함하는 회전 유골함을 구비하여 그 상단부로 둘레석과 봉분을 설치하되, 유입구의 전면으로 조문석이 위치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납골묘에 적용되는 회전식의 유골함 보관구조.A donut-shaped body having an empty interior such that a cover plate having a predetermined depth is formed in the upper plane while maintaining a constant height and width; An inlet formed at one side of the front surface of the main body and having a bolting locking device to be opened and closed; A stone exterior door board board emphasizing the convenience and security of a combination of a button key and a key key; A plurality of reinforcing ribs radially formed on the bottom of the inner empty space of the main body for reinforcement; Rollers or beads that can be rotated with fluidity while being loaded between each reinforcing rib; Rotating plate to be rotated along the annular space inside the body while being placed on the roller or bead; And a roving ash box including a plurality of ash box partitions formed in an annular shape by connecting the rear end portions radially toward the outer surface of the rotating plate at the top groove of the rotating plate, respectively. Rotating ashes storage structure applied to the ossuary grave, which is installed, but the front door is located in front of the inlet.
KR2020000018698U 1999-04-26 2000-06-30 Layout for storage room for remains case in charnel house KR200207087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8698U KR200207087Y1 (en) 1999-04-26 2000-06-30 Layout for storage room for remains case in charnel hous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6934 1999-04-26
KR2020000018698U KR200207087Y1 (en) 1999-04-26 2000-06-30 Layout for storage room for remains case in charnel house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06934 Division 1999-04-26 1999-04-2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7087Y1 true KR200207087Y1 (en) 2000-12-15

Family

ID=195754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8698U KR200207087Y1 (en) 1999-04-26 2000-06-30 Layout for storage room for remains case in charnel hous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7087Y1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5061825A1 (en) * 2003-12-22 2005-07-07 Sejin Funeral Graveyard Co.,Ltd Deposit device for person's remain
KR101323892B1 (en) * 2012-05-30 2013-10-30 이강원 Rotary type cinerary tomb
KR101457119B1 (en) * 2012-10-17 2014-10-31 석창호 Turn device for ash jar
WO2018021587A1 (en) * 2016-07-26 2018-02-01 석창호 Box for rotary type sculpture with decorative and additional functions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5061825A1 (en) * 2003-12-22 2005-07-07 Sejin Funeral Graveyard Co.,Ltd Deposit device for person's remain
KR101323892B1 (en) * 2012-05-30 2013-10-30 이강원 Rotary type cinerary tomb
KR101457119B1 (en) * 2012-10-17 2014-10-31 석창호 Turn device for ash jar
WO2018021587A1 (en) * 2016-07-26 2018-02-01 석창호 Box for rotary type sculpture with decorative and additional function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07087Y1 (en) Layout for storage room for remains case in charnel house
KR100740313B1 (en) A veranda flower bedin of apratment house
KR200163430Y1 (en) Charnel house of tradition round shape graveyard
KR200384790Y1 (en) deposit device for person's remain
KR100646106B1 (en) family charnel house
KR101003724B1 (en) Charnel house structure of tunnel type for inhabitants
KR200167016Y1 (en) Storage room structure for remains cases in a charnel house
KR200392040Y1 (en) the burial type charnel tomb structure
KR100272315B1 (en) Collective buial-cast system for relocation of unclaimed burials and niche cluster system for cremated remains utilizing retaining wall
KR100360330B1 (en) Method for construction of charnel house
KR200146075Y1 (en) Charnel grave
KR20090085397A (en) The charnel tomb
KR200367662Y1 (en) family charnel house
KR100680029B1 (en) A construction method and the structure of pro-environ mental charnel house of the public cemetery utilizing the used briquet ashes
KR200275214Y1 (en) A Charnel House
KR200220571Y1 (en) A charnel house for family
KR200175289Y1 (en) A charnel of a grave
JP3057172U (en) Ossuary room structure at family tomb
JP2917011B1 (en) Collective tomb facility
JPH0318590Y2 (en)
KR100306307B1 (en) A charnel house
KR200361497Y1 (en) the structure of pro-environ mental charnel house of the public cemetery utilizing the used briquet ashes
KR19990008089U (en) Manual Rotating Ossuary Remains Storage Device
Buccellati et al. Tell Mozan ancient Urkesh A self-guided tour to the site
KR200291918Y1 (en) A charnel hous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