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7054Y1 - 악보용지 자동 넘김 장치가 구비된 악보대 - Google Patents

악보용지 자동 넘김 장치가 구비된 악보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7054Y1
KR200207054Y1 KR2020000018026U KR20000018026U KR200207054Y1 KR 200207054 Y1 KR200207054 Y1 KR 200207054Y1 KR 2020000018026 U KR2020000018026 U KR 2020000018026U KR 20000018026 U KR20000018026 U KR 20000018026U KR 200207054 Y1 KR200207054 Y1 KR 20020705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usic
sheet
movable rod
sheet music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1802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국
Original Assignee
김성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국 filed Critical 김성국
Priority to KR202000001802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705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705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7054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GREPRESENTATION OF MUSIC; RECORDING MUSIC IN NOTATION FORM; ACCESSORIES FOR MUSIC OR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SUPPORTS
    • G10G1/00Means for the representation of music
    • G10G1/02Chord or note indicators, fixed or adjustable, for keyboard of fingerboar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3/00Bed-tables; Trays; Reading-racks; Book-rests, i.e. items used in combination with something else
    • A47B23/004Not free-standing music sta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9/00Bookmarkers; Spot indicators; Devices for holding books open; Leaf turners
    • B42D9/04Leaf turn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Tables And Desks Characterized By Structural Shap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악보 용지를 자동으로 넘길 수 있는 악보용지 작동 넘김 장치가 구비된 악보대에 관한 것으로, 다수개의 간봉을 악보의 각 장 사이에 미리 삽입시킨 후 연주자의 발을 이용하여 내부에 배터리가 장착된 페달 스위치를 밟음으로써 악보가 거치된 상부 프레임의 전면 하부에 설치된 작동부의 구동 모우터를 구동시켜 상기 간봉과 연결된 이동봉을 이동시켜 연주 중에도 악보를 자동으로 넘길 수 있도록 한 악보용지 자동 넘김 장치가 구비된 악보대이다.

Description

악보용지 자동 넘김 장치가 구비된 악보대{A music-rack having device of turning the leaves of music book}
본 고안은 악보대에 관한 것으로, 특히 연주자의 발로 페달 스위치를 밟음으로써 연주 중에도 악보를 임의의 방향으로 넘길 수 있도록 한 악보 용지를 자동으로 넘길 수 있는 악보용지 자동 넘김 장치가 구비된 악보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피아노나 관현악기 등 악기를 연주할 시에 대부분 악기의 전방에 악보를 둔 상태에서 악보를 보며 연주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전방에 위치한 악보의 각 장을 넘기기 위해서는 연주중 한 손을 별도로 사용하여 악보를 넘기게 되므로 연주가 중단되거나 지연될 소지가 있으며, 특히 악장을 넘기는 과정중 악보가 악보대에서 떨어지게 되는 경우 연주에 결정적인 방해를 초래하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손으로 사용하는 수 작업에 비해 보다 진보된 방법으로 악보를 자동으로 넘기기 위한 장치가 여러 가지 제시되어 있으나 상기한 종래의 방법은 이동막대와 고무 흡착기를 이용하여 악보를 넘기고 있으나 고무 흡착기의 압착정도 및 한 개의 이동막대만을 사용함에 따라 악보용지의 넘어감이 여전히 원활하지 못하고, 심한 경우 악보 용지가 찢어지게 되는 일이 생기는 등의 문제점을 안고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은 다수개의 이동봉을 넘겨야 할 악보의 각 장 사이에 미리 삽입하고, 하부 페달 스위치를 이용한 제어방법으로 악보를 원하는 방향으로 자동으로 넘기도록 함으로써 악보용지의 찢어지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악보의 견고한 결착을 도모할 수 있는 악보용지 자동 넘김 장치가 구비된 악보대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도 1 은 본 고안에 따른 악보대의 전체 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악보대의 분해 사시도
도 3 은 본 고안의 페달 스위치의 평면도
도 4 는 본 고안의 페달 스위치의 측 단면도
도 5 는 본 고안에 따른 악보대에 있어서 이동봉에 의한 악보 용지의 넘김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6 은 구동 모터의 풀리에 결착된 벨트에 의해 이동봉의 동작 상태를 도시한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악보용지 3 : 지지기둥(pole)
10 : 작동부 케이스 13 : 가이드 와이어
20,30 : 구동 모우터 21,31 : 케이블
23 : 벨트 52,62 : 답판
60 : 페달 스위치 65 : 걸림턱
A : 상부 프레임부 B : 받침부
C : 조작부 D : 작동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악보용지 자동 넘김 장치가 구비된 악보대는,
전개 상태의 악보를 거치할 수 있는 상부 프레임부(A)와;
상기 프레임부(A)의 하부로 지지기둥(3)이 일정길이 연장되어 나오며 상기 지지기둥(3)의 하측 단부에서 다수의 지지각(4)이 설치되어 악보대 전체를 지지하는 받침부(B)와;
상기 상부 프레임부(A)의 하부 전면에 위치하며, 넘기고자 하는 악보의 각 장 사이에 간봉(43)이 미리 삽입되고, 단부에 상기 간봉(43)이 부착되는 다수개의 이동봉(40)과 내부에 상기 이동봉(40)을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 모우터(30)를 각각 수용하는 작동부 케이스(10a,10b)가 구비되되, 상부 케이스(10a)의 상부면상에 상기 이동봉(40)이 통과하도록 장공(12)이 마련되고, 하부 케이스(10b)의 내부 측벽면상에 상기 이동봉(40)의 직선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 와이어(13)가 설치되는 와이어 안착홈(11)이 마련되며, 내측 저부면상에 두 개의 구동 모우터(30)가 일정 간격 이격되어 설치되고, 상기 구동 모우터(30)의 풀리(22)간에 벨트(23)가 연결되되, 상기 벨트(23)의 외측방으로 걸림턱(15)이 형성되어 상기 벨트(23)의 회전 시 상기 걸림턱(15)에 의해 상기 이동봉(40)을 이동시킴으로써 악보를 넘기는 작동부(D)와;
연주자의 발에 의한 조작이 용이한 위치에 두 개의 페달 스위치(50,60)가 설치되되, 상기 페달 스위치의 내부에 배터리(57)가 장착되어 상기 페달 스위치의 작동에 의해 상기 작동부의 구동 모우터(30)가 작동하여 악보를 소정 방향으로 넘기도록 하는 조작부(C)를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이동봉과 이동봉의 사이에 소정길이의 연결끈이 설치되어 상기 이동봉의 직선 운동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며,
상기 페달 스위치는 연주자의 발에 의해 힘이 직접 가해지는 상부의 답판(52)과, 상기 답판(52)의 눌러짐에 의해 전기적 접점이 이루어지며 내부에 수용된 전원 배터리(57)에 의해 전원이 인가되게 하는 스위치 하부 케이스(51) 및 상기 답판(52)과 상기 스위치 하부 케이스(51)의 사이에 복원 스프링(53)으로 구성되며,
상기 작동부 케이스 내부 측면에 형성되는 가이드 와이어 안착홈은 상부 및 하부 두 개의 홈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다수개의 이동봉의 각 단부에 결착되는 간봉은 '??' 자 형상으로 결착시켜 악보 내에 삽입이 용이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악보대의 일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은 본 고안에 따른 악보대의 전체 사시도이고,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악보대의 분해 사시도이다.
상기 도면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악보대는 악보를 직접 받쳐주는 상부 프레임부(A)와; 상기 프레임부(A)의 하부로 지지기둥(Supporting pole)(3)이 일정길이 연장되어 나오며, 상기 지지기둥(3)의 단부에 다수의 지지각(4)이 형성되어 악보대장치 전체의 중량을 지지하는 하부 받침부(B)와; 상기 상부 프레임부(A)의 전면 하부에 위치하여 내부에 수용된 구동 모우터(20,30)의 작동으로 이동봉(40)이 이동하여 악보의 각 장을 이동시키는 작동부(D)와; 상기 작동부(D)와 케이블(21,31)에 의해 연결되어 연주자의 발로 페달 스위치(50,60)를 누름으로써 상기 작동부의 이동봉을 소정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신호를 부여하는 조작부(C)로 크게 구성된다.
상기한 본 고안의 구성에 있어서, 작동부(D)는 상기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에 작동부 케이스(10a,10b)가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는 다수개의 이동봉(40)이 횡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일련의 구성부재가 장착된다.
즉, 상기 작동부 케이스(10a,10b)는 상,하 분리형으로 형성되게 할 수 있으며, 일 예로 상기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 케이스(10a)는 상부커버와 전면판이 결착되고, 하부 케이스(10b)는 저면부와 배면판이 결착된 형태로 구성되어 결착시 대략 직 육면체의 형상을 이루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하부 작동부 케이스(10b)의 측면판 전면에는 상,하 두 개의 와이어 안착홈(11)이 횡방향으로 일정 길이만큼 형성되고, 상기 홈(11) 내부에는 가이드 와이어(13)가 홈의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된다. 또한 상기 가이드 와이어(13)는 이동봉(40)과 수직 방향으로 결합되어 있는 가이드 튜브(42)를 결합하여 상기 가이드 튜브(42)가 가이드 와이어(13)를 따라 이동이 자유롭게 되도록 하고 있다.
상기 이동봉(40)은 가이드 와이어(13)에 결착되어 있는 가이드 튜브(42)와 연결대(41)에 의해 연결되며, 상기 이동봉(40)은 벨트(23)의 측면에 설치된 걸림턱(15)에 의해 벨트(23)의 회전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이동봉(40)의 상측 단부는 상부 작동부 케이스(10a)의 상부면상에 형성된 장공(12) 내부로 삽입되어 직접 악보 내부에 접촉되는 간봉(43)과 연결단(44)에서 결착이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다수개의 이동봉(40)의 각 단부에 결착되는 간봉(43)은 악보 용지내오 용이하게 삽입되어 악보가 용이하게 넘어갈 수 있는 형상, 예컨데 'ㄴ' 자 형상으로 형성하였다.
또한 상기 이동봉(40)이 벨트의 걸림턱(15)에 의해 회전이동할 시 가이드 와이어를 따라 원활히 움직일 수 있도록 와이어 안착홈(11)을 상하 두 군데 형성하여 가이드 튜브(42)와 보다 견고한 결착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그리고 하부 작동부 케이스(10b)의 저부면상의 양측에는 구동 모우터(20)가 각각 설치되고 상기 각 모우터의 풀리(22)간을 벨트(23)로 연결된다.
한편, 상기 벨트(23)에 회전력을 부여하는 구동 모우터(20)는 하부로 각각 연결된 케이블(31)을 통해 동작이 이뤄진다.
상기 케이블(31)을 통해 상기 작동부(D)와 연결되는 조작부(C)는 연주가 이루어지는 바닥면상에 안착되어 악보대 전체의 하중 및 위치를 고정하기 위해 일정 크기의 평판 플레이트로 된 베이스 플레이트(59)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59) 상에 설치되며 발로 밟을 경우 악보를 소정 방향으로 넘길 수 있도록 신호를 부여하는 두 개의 페달 스위치(50)와, 상기 페달 스위치에서 나오는 연결선을 상기 작동부의 하부에 연결된 케이블(31)과 결착시키는 커넥터(24)로 구성된다.
상기 페달 스위치(50,60)를 베이스 플레이트(58)에 고정시키는 방법의 하나로 본 실시예에서는 페달 스위치의 하부면에 고정용 돌기(56)를 형성하고 베이스 플레이트(58)의 상부면상에 상기 고정용 돌기와 대칭되는 위치에 삽입공(58a)을 형성하여 상기 고정용 돌기(56)가 상기 삽입공(58a) 내로 끼워맞춤 결합으로 고정되도록 하고 있다.
도 3 과 도 4 는 상기 조작부 중 페달 스위치(50,60)의 구성을 보다 상세히 도시하기 위한 평면도 및 단면도이다.
상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페달 스위치는 연주자의 발 등에 의해 힘이 직접 가해지는 상부의 답판(52)과, 상기 답판(52)의 눌러짐에 의해 전기적 접점이 이루어지며 내부에 수용된 전원 배터리(57)에 의해 전원이 인가되게 하는 스위치 하부 케이스(51)로 구성된다.
상기 스위치 하부 케이스(51)와 상기 답판(52)의 사이에는 복원 스프링(53)이 설치되어 답판에 작용되는 외부의 힘이 제거된 경우에는 답판(52)의 상부로 다시 원위치 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답판의 저부면에 케이블(21)이 설치되고 상기 케이블의 단부 접점(55)은 답판이 하부로 이동되어 스위치 하부 케이스(61)의 상부면과 접촉이 이루어질 때 상기 스위치 하부 케이스 내에 배터리(57)와 연결되는 연결선(54)의 상측 단부 접점(55)과 일치하여 접촉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한다.
따라서 답판(52)의 상하 운동에 의해 배터리(57)로부터의 전원 공급이 연결되거나 단락되도록 하는 구조를 갖는다.
한편, 도 5 는 본 고안에 따른 악보용지 자동 넘김 장치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 은 구동 모우터의 풀리에 결착된 벨트에 의해 이동봉(40)의 동작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봉(40)은 벨트의 양측에 측방향으로 돌출된 걸림턱(15)에 의해 직선운동을 하게 되며 상기 이동봉(40)과 이동봉(40)의 사이에는 이음줄(67)이 연결되어 있다. 상기 이음줄(67)은 이동봉(40)이 벨트의 걸림턱(65)에 의해 직선이동을 할 경우 악보가 다음 페이지로 넘어 갈 때까지 전방의 이동봉(40)이 이동하는 동안 후방의 이동봉(40)은 이동하지 않고 벨트의 회전에 의해 걸림턱(65)이 다음의 이동봉(40)의 후방으로 이동할 때 걸림턱이 이동봉(40)의 사이로 유입이 원할하도록 전방으로 일정거리 이동되도록 상기 이음줄(67)의 길이가 설정된다.
따라서 악보를 본 장치의 프레임상에 거치시킨 후 악보의 각 장 사이에 이동봉의 각 단부를 삽입시킨 다음, 연주자가 베이스 플레이트상의 페달 스위치(50)를 밟아 줌으로써 악보를 원하는 방향으로 용이하게 넘길 수 있다.
참고로, 상기 본 고안의 악보용지를 자동으로 넘길 수 있는 장치는 음악연주를 위한 모든 악보대에 적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강의실 등에서 사용하는 강의용 책상 다이 등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악보용지 자동 넘김 장치가 구비된 악보대는 다수개의 간봉을 악보의 각 장 사이에 미리 삽입시킨 후 연주의 발을 이용하여 페달 스위치를 밟음으로써 연주 중에도 악보를 효과적으로 넘길 수 있다.

Claims (5)

  1. 전개 상태의 악보를 거치할 수 있는 상부 프레임부(A)와;
    상기 프레임부(A)의 하부로 지지기둥(3)이 일정길이 연장되어 나오며 상기 지지기둥(3)의 하측 단부에서 다수의 지지각(4)이 설치되어 악보대 전체를 지지하는 받침부(B)와;
    상기 상부 프레임부(A)의 하부 전면에 위치하며, 넘기고자 하는 악보의 각 장 사이에 간봉(43)이 미리 삽입되고, 단부에 상기 간봉(43)이 부착되는 다수개의 이동봉(40)과 내부에 상기 이동봉(40)을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 모우터(30)를 각각 수용하는 작동부 케이스(10a,10b)가 구비되되, 상부 케이스(10a)의 상부면상에 상기 이동봉(40)이 통과하도록 장공(12)이 마련되고, 하부 케이스(10b)의 내부 측벽면상에 상기 이동봉(40)의 직선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 와이어(13)가 설치되는 와이어 안착홈(11)이 마련되며, 내측 저부면상에 두 개의 구동 모우터(30)가 일정 간격 이격되어 설치되고, 상기 구동 모우터(30)의 풀리(22)간에 벨트(23)가 연결되되, 상기 벨트(23)의 외측방으로 걸림턱(15)이 형성되어 상기 벨트(23)의 회전 시 상기 걸림턱(15)에 의해 상기 이동봉(40)을 이동시킴으로써 악보를 넘기는 작동부(D)와;
    연주자의 발에 의한 조작이 용이한 위치에 두 개의 페달 스위치(50,60)가 설치되되, 상기 페달 스위치의 내부에 배터리(57)가 장착되어 상기 페달 스위치의 작동에 의해 상기 작동부의 구동 모우터(30)가 작동하여 악보를 소정 방향으로 넘기도록 하는 조작부(C)를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보용지자동 넘김 장치가 구비된 악보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봉과 이동봉의 사이에 소정길이의 연결끈이 설치되어 상기 이동봉의 직선 운동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보대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페달 스위치는 연주자의 발에 의해 힘이 직접 가해지는 상부의 답판(52)과, 상기 답판(52)의 눌러짐에 의해 전기적 접점이 이루어지며 내부에 수용된 전원 배터리(57)에 의해 전원이 인가되게 하는 스위치 하부 케이스(51) 및 상기 답판(52)과 상기 스위치 하부 케이스(51)의 사이에 복원 스프링(53)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보대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 케이스 내부 측면에 형성되는 가이드 와이어 안착홈은 상부 및 하부 두 개의 홈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보대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개의 이동봉의 각 단부에 결착되는 간봉은 'ㄴ' 자 형상으로 결착되어 악보 내에 삽입이 용이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보대
KR2020000018026U 2000-06-24 2000-06-24 악보용지 자동 넘김 장치가 구비된 악보대 KR20020705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8026U KR200207054Y1 (ko) 2000-06-24 2000-06-24 악보용지 자동 넘김 장치가 구비된 악보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8026U KR200207054Y1 (ko) 2000-06-24 2000-06-24 악보용지 자동 넘김 장치가 구비된 악보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7054Y1 true KR200207054Y1 (ko) 2000-12-15

Family

ID=196622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8026U KR200207054Y1 (ko) 2000-06-24 2000-06-24 악보용지 자동 넘김 장치가 구비된 악보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7054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76949A (ko) * 2001-03-31 2002-10-11 박지환 자동악보장치
KR100944586B1 (ko) 2008-01-25 2010-02-25 임한이 악보책 고정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76949A (ko) * 2001-03-31 2002-10-11 박지환 자동악보장치
KR100944586B1 (ko) 2008-01-25 2010-02-25 임한이 악보책 고정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307006B (ko)
KR100495303B1 (ko) 자동 책장넘기는 장치
KR200381508Y1 (ko) 악보용지 자동 넘김 장치가 구비된 악보대
CN201317174Y (zh) 一种自动翻谱仪
KR200207054Y1 (ko) 악보용지 자동 넘김 장치가 구비된 악보대
US4882969A (en) Page turning device
US20050173877A1 (en) Mobile base
EP0307010B1 (en) Page turning apparatus
US5773738A (en) Piano toy having automatic playing keys
KR960005639Y1 (ko) 악보 넘김장치
US6083078A (en) Toy with moving body movable between two platforms
JP2007047689A (ja) 鍵盤楽器
KR100284327B1 (ko) 자동 페이지 넘김장치
KR200234965Y1 (ko) 자동악보장치
JP2001309993A (ja) 運動機器
CN219738380U (zh) 一种轨道交通教学用仿真模型
CN215834237U (zh) 一种带可折叠琴谱架的多层键盘结构
KR20020076949A (ko) 자동악보장치
JP4378770B2 (ja) 譜面台装置
KR200209652Y1 (ko) 자동으로 악보를 넘기는 악보대
KR200252975Y1 (ko) 자동 책장 넘김 장치
KR20000024765A (ko) 자동 책장 넘기는 장치
KR200303934Y1 (ko) 낱장넘김용자동악보대
DE69802867T2 (de) Ausgabeautomat für Büchlein oder Broschüren
CN211021435U (zh) 一种二胡自动翻谱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1006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