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7051Y1 - 우산 집을 구비한 우산 - Google Patents

우산 집을 구비한 우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7051Y1
KR200207051Y1 KR2020000017840U KR20000017840U KR200207051Y1 KR 200207051 Y1 KR200207051 Y1 KR 200207051Y1 KR 2020000017840 U KR2020000017840 U KR 2020000017840U KR 20000017840 U KR20000017840 U KR 20000017840U KR 200207051 Y1 KR200207051 Y1 KR 20020705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mbrella
house
bag
stand
storag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1784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신묵
Original Assignee
강신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신묵 filed Critical 강신묵
Priority to KR202000001784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705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705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7051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B
    • A45B2200/10Umbrellas; Sunshades
    • A45B2200/1009Umbrellas; Sunshades combined with other objects

Landscapes

  • Walking Sticks, Umbrellas, And Fans (AREA)
  • Holders For Apparel And Elements Relating To Apparel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우산 집을 구비한 우산에 관한 것으로, 우산을 담을 수 있는 우산 집을 일체로 형성하고, 상기 우산 집을 수납할 수 있도록 한 수납부를 구비하여 우산의 사용 및 휴대를 용이하게 한 것이다.
즉, 본 고안은 우산대(31)와 우산틀(32) 및 우산천(33)으로 이루어진 우산에 있어서, 우산대(31)와 우산틀(32) 및 우산천(33)으로 이루어진 우산에 용이하게 씌울 수 있게 유연성을 갖는 주머니 상으로 이루어져 일측 단부가 우산대(31)의 상부에 구비되는 우산 집(10)과, 상기 우산 집(10)을 절첩수납할 수 있게 수납부를 형성하여 우산대(31)의 상단에 나사 결합되는 우산집 수납부(20)로 구성한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씌움유도관을 구비한 우산 집을 우산과 일체로 형성하므로서 우산의 사용 후 휴대가 용이하고, 우산집 수납부를 구비하여 우산의 사용시 우산 집을 절첩수납할 수 있게 하므로서 우산의 사용이 용이하며, 우산의 사용 후 우산천에 잔류한 빗물을 우산집 수납부로 집수하므로서 낙수 방지를 위하여 별도의 비닐주머니를 사용하지 않아도 되며, 우산 집의 휴대를 위한 별도의 조치를 취하지 않아도 되는 것이다.

Description

우산 집을 구비한 우산{An umbrella having pocket}
본 고안은 우산 집을 구비한 우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우산을 담을 수 있는 우산 집을 일체로 형성하고, 상기 우산 집을 수납할 수 있도록 한 수납부를 구비하여 우산의 사용 및 휴대를 용이하게 함을 목적으로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우산은 우천시 비를 맞지 않고 보행을 할 수 있게 하는 것으로 하단에 손잡이가 구비된 우산대와 상기 우산대에 전개 가능하게 구비되는 우산틀과, 상기 우산틀에 씌워지는 우산천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이상과 같은 우산은 우산천으로 이루어진 우산 집에 담아져 있는 것으로,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우산 집을 벗겨낸 후 우산틀을 전개시켜 사용하고, 벗겨낸 우산 집은 우산틀 또는 우산대에 묶어 분실하지 않게 하며, 우산의 사용 후에는 우산을 접은 후 우산 집에 담아 휴대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우산은 우산 집이 우산과 분리되는 별도의 주머니로 이루어져 있어 휴대가 용이하지 않고, 분실의 우려가 많으며, 우산 집의 구조가 단순히 우산천으로 이루어진 주머니로 이루어져 있어 우산에 씌우기가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그러므로, 대부분의 사람들이 우산 집을 사용하지 않아 우산을 사용 후 건물에 진입시는 낙수방지를 위한 별도의 일회용 비닐주머니를 사용하고 있어 환경오염과 낭비를 초래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우산에 용이하게 씌울 수 있도록 한 씌움유도관을 구비한 우산 집을 우산의 상단부에 일체로 구비하고, 상기 우산 집을 절첩수납할 수 있게 우산의 상단부에 구비되는 우산집 수납부를 구비한 것이다.
도 1 은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를 보인 분해 사시도.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우산의 전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4 는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에 따른 요부의 상세 측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우산 집
11 : 주머니부 12 : 씌움유도관
12a : 주머니결합부 12b : 수납부결합부
12c : 확대관 12d : 걸림턱
20 : 우산집 수납부 21 : 형광표시부
31 : 우산대 32 : 우산틀 33 : 우산천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를 보인 분해 사시도로서, 본 고안은 우산을 담아 보관하는 우산 집을 용이하게 휴대 및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우산대(31)와 우산틀(32) 및 우산천(33)으로 이루어진 우산에 용이하게 씌울 수 있게 유연성을 갖는 주머니 상으로 이루어져 일측 단부가 우산대(31)의 상부에 구비되는 우산 집(10)과, 상기 우산집(10)을 절첩수납할 수 있게 수납부를 형성하여 우산대(31)의 상단에 나사 결합되는 우산집 수납부(20)를 구비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우산 집(10)은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 단부가 우산대(31)의 상단부에 끼워 결합되는 주머니부(11)와 상기 주머니부(11)의 단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주머니부(11)를 우산에 용이하게 씌울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파지 할 수 있도록 형성된 씌움유도관(12)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상기 씌움유도관(12)은 우산집 수납부(20)에 수납시 주머니부(11)가 용이하게 절첩수납되게 주머니결합부(12a)의 폭을 상기 주머니부(11)의 직경보다 좁게 형성하고, 우산집 수납부(20)에 끼워 결합되는 수납부결합부(12b)를 주머니결합부(12a)로부터 연이어 형성하며, 단부에는 주머니부(11)의 씌움 작업이 용이하게 단부가 확대형성된 확대부(12c)를 형성하는 한편, 상기 확대부(12c)의 외주연에는 우산집 수납부(20)에 끼워 결합시 걸려지게 하는 걸림턱(12d)을 형성한 것이다.
한편, 상기 주머니부(11)는 우산천(33)의 빗물이 우산집 수납부(20)에 집수될 수 있게 투수성 천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우산집 수납부(20)와 씌움유도관(12)은 금속제 또는 합성수지재를 모두 사용하여 실시할 수 있으나 휴대 및 유지관리를 위하여 합성수지재를 사용하여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예 있어서, 야간에 우산을 쓰고 보행하는 보행자들을 차량이 용이하게 인지하여 교통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우산집 수납부(20)의 외주연에 형광표시부(21)를 형성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사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한 바와 같이 주머니부(11)와 씌움유도관(12)으로 이루어진 우산 집(10)을 우산대(31)의 상단부에 구비하고, 상기 우산 집(10)의 수납을 위한 우산집 수납부(20)를 우산대(31) 상단부에 구비한 본 고안은 우산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씌움유도관(12)을 잡고 우산대(31) 단부에서부터 끼워 결합하여서 씌워 휴대한다.
이때, 상기 씌움유도관(12)의 단부에 확대형성된 확대부(12c)가 형성되어 있어 씌움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것이다.
그리고, 우산을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씌움유도관(12)을 잡고 우산 집(10)을 우산에서 벗겨낸다.
이때, 벗겨지는 우산 집(10)의 주머니부(11)는 씌움유도관(12)의 주머니결합부(12a)의 직경이 상기 주머니부(11)보다 좁게 형성되어있어 절첩되며 벗겨지게 되고, 벗겨진 주머니부(11)는 우산집 수납부(20)의 수납부에 수납되게되며, 상기 씌움유도관(12)도 상기 우산집 수납부(20)에 끼워 결합되고, 끼워 결합됨이 씌움유도관(12)의 걸림턱(12d)에 의하여 제한되게 되는 것이다.
이때, 벗겨진 우산 집(10)이 우산집 수납부(20)에 수납 보관되므로 분실되거나 휴대를 위한 별도의 조치를 취하지 않아도 되는 것이며, 우산의 사용 후 건물 등에 들어갈 때 빗물이 우산집 수납부(20)에 집수되므로 낙수 방지를 위하여 별도의 일회용 비닐주머니를 씌우지 않고 일체로된 우산 집(10)을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씌움유도관을 구비한 우산 집을 우산과 일체로 형성하므로서 우산의 사용 후 휴대가 용이하고, 우산집 수납부를 구비하여 우산의 사용시 우산 집을 절첩수납할 수 있게 하므로서 우산의 사용이 용이하며, 우산의 사용 후 우산천에 잔류한 빗물을 우산집 수납부로 집수하므로서 낙수 방지를 위하여 별도의 비닐주머니를 사용하지 않아도 되며, 우산 집의 휴대를 위한 별도의 조치를 취하지 않아도 되는 매우 유용한 것이다.

Claims (2)

  1. 우산대(31)와 우산틀(32) 및 우산천(33)으로 이루어진 종래의 우산에 있어서;
    우산대(31)와 우산틀(32) 및 우산천(33)으로 이루어진 우산에 용이하게 씌울 수 있게 유연성을 갖는 주머니 상으로 이루어져 일측 단부가 우산대(31)의 상부에 구비되는 우산 집(10)과,
    상기 우산 집(10)을 절첩수납할 수 있게 수납부를 형성하여 우산대(31)의 상단에 나사 결합되는 우산집 수납부(20)로 구성하되,
    상기 우산 집(10)은 일측 단부가 우산대(31)의 상단부에 끼워 결합되는 주머니부(11)와 상기 주머니부(11)의 단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주머니부(11)를 우산에 용이하게 씌울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파지 할 수 있도록 형성된 씌움유도관(12)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 집을 구비한 우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씌움유도관(12)은 우산집 수납부(20)에 수납시 주머니부(11)가 용이하게 절첩수납되게 주머니결합부(12a)의 폭을 상기 주머니부(11)의 직경보다 좁게 형성하고, 우산집 수납부(20)에 끼워 결합되는 수납부결합부(12b)를 주머니결합부(12a)로부터 연이어 형성하며, 단부에는 주머니부(11)의 씌움 작업이 용이하게 단부가 확대형성된 확대부(12c)를 형성하는 한편, 상기 확대부(12c)의 외주연에는 우산집 수납부(20)에 끼워 결합시 걸려지게 하는 걸림턱(12d)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 집을 구비한 우산.
KR2020000017840U 2000-06-22 2000-06-22 우산 집을 구비한 우산 KR20020705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7840U KR200207051Y1 (ko) 2000-06-22 2000-06-22 우산 집을 구비한 우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7840U KR200207051Y1 (ko) 2000-06-22 2000-06-22 우산 집을 구비한 우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7051Y1 true KR200207051Y1 (ko) 2000-12-15

Family

ID=196620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7840U KR200207051Y1 (ko) 2000-06-22 2000-06-22 우산 집을 구비한 우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7051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40060587A1 (en) Hiking stick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CA1183742A (en) Dual purpose cane
KR200207051Y1 (ko) 우산 집을 구비한 우산
US7204533B2 (en) Animal faeces collector device
US20060283905A1 (en) No-drip umbrella sheath
KR200199695Y1 (ko) 우산 집을 구비한 우산
KR200266363Y1 (ko) 빗물받이용 우산커버 장치
KR200467823Y1 (ko) 우산 케이스 및 이를 포함하는 우산
KR200366498Y1 (ko) 우산커버가 구비된 우산
KR200227874Y1 (ko) 나침반이 부착된 등산용 지팡이
KR200418437Y1 (ko) 우산이 수납되는 지팡이
CN213908859U (zh) 夹持装置和伞
KR200275629Y1 (ko) 우산용 비닐봉투
KR100779231B1 (ko) 손잡이 속 우산
KR20100003318U (ko) 보관 케이스가 구비된 우산
JP2008006255A (ja) 雨傘
KR200287200Y1 (ko) 우산 꽂이대
KR200244327Y1 (ko) 우산주머니 보관집이 구비된 우산
JP3790219B2 (ja) 傘保持具
KR200326454Y1 (ko) 가방 겸용 우산
KR200447681Y1 (ko) 우산
KR200302370Y1 (ko) 우산의 빗물 수집장치
KR200180361Y1 (ko) 우산빗물 낙수방지및 야간 조명등 겸용 우산대 케이스.
KR980006375U (ko) 우산수납구를 가지는 가방
KR200323561Y1 (ko) 물받이가 구비된 우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