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6684Y1 - 가구 형태의 컴퓨터 시스템 - Google Patents

가구 형태의 컴퓨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6684Y1
KR200206684Y1 KR2020000010071U KR20000010071U KR200206684Y1 KR 200206684 Y1 KR200206684 Y1 KR 200206684Y1 KR 2020000010071 U KR2020000010071 U KR 2020000010071U KR 20000010071 U KR20000010071 U KR 20000010071U KR 200206684 Y1 KR200206684 Y1 KR 20020668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rniture
computer
computer system
lower portion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1007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경돈
Original Assignee
조경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경돈 filed Critical 조경돈
Priority to KR202000001007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668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668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6684Y1/ko

Links

Landscapes

  • Tables And Desks Characterized By Structural Shape (AREA)

Abstract

본 고안에 따른 가구 형태의 컴퓨터 시스템은 상판, 여러 개의 측판 및 뒷판으로 이루어진 가구와, 상기 가구의 일부를 이루며 각각의 드라이브가 폭 방향으로 배치되는 컴퓨터 본체를 구비한다. 상기 컴퓨터 본체는 상기 각각의 드라이브를 위한 드라이브 포트가 설치되는 전면과, 평탄한 상부와, 계단형의 하부를 포함하며, 상기 하부는 전방부, 상기 전방부로부터 수직으로 하강한 하강부 및 상기 하강부로부터 수직 후방으로 이어지는 후방부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컴퓨터 본체가 가구 상판과 연결되어 가구와 일체화되므로 컴퓨터 본체만을 위해 사용되는 공간이 줄어들어 공간 사용에 여유가 생긴다. 아울러, 각종 드라이브와 기능 스위치를 전면에 노출되게 하였기 때문에 사용자의 편의가 증대된다.

Description

가구 형태의 컴퓨터 시스템{PERSONAL COMPUTER SYSTEM HAVING THE SHAPE OF FURNITURE}
본 고안은 컴퓨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컴퓨터 본체가 가구와 일체화되어 공간 효율과 사용자의 편의가 극대화된 컴퓨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현재 정보화 시대를 맞이함에 따라 각 가정이나 사무실에서의 컴퓨터 시스템의 사용은 필요 불가결의 구성요소가 되었다. 그에 따라, 컴퓨터 시스템이 차지하는 공간을 어떻게 줄일 수 있을까 하는 이전부터 계속되어 온 과제가 더욱 중요해지고 있다.
이러한 컴퓨터 시스템이 차지하는 공간을 줄이려는 시도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998-065063호(1998년 6월 22일 출원) 및 공개실용신안공보 제1999-0038247호(1998년 3월 21일 출원) 등에 다수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이러한 문헌은 모니터를 책상과 같은 가구의 상판 하부에 수납시켜 상판 위의 공간을 확보하는 것만을 개시하고 있고, 컴퓨터 본체가 차지하는 공간을 줄일 수 있는 수단을 개시하지는 않는다.
한편, 컴퓨터 본체가 차지하는 공간을 줄이기 위한 방법은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1997-11954호(1995년 9월 27일 출원) 등에 개시되어 있다. 전술한 공보의 개시에 따르면, 컴퓨터 본체와 키보드가 책상의 서랍에 수납되기 때문에 책상 상판의 공간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하지만, 이 고안은 통상의 책상에만 적용될 수 있을 뿐이며, 컴퓨터 본체와 키보드가 서랍에 내장되기 때문에 이들 서랍은 사무 작업 또는 학습에 필요한 용품을 수납시킨다는 서랍 고유의 기능을 수행하지 못하게 된다는 단점을 갖는다. 아울러, 컴퓨터 본체가 서랍에 내장되기 때문에 본체 후면의 각종 슬롯의 단자를 주변 기기에 연결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게 되는데, 전술한 공보는 이에 대한 해결책을 제시하고 있지 않다.
따라서, 본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컴퓨터 본체와 가구를 일체화시킴으로써 전술한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는 가구 형태의 컴퓨터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가구 상판의 하부에 용이하게 부착됨으로써 공간 사용의 효율을 높여주는 컴퓨터 본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컴퓨터 시스템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정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평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우측면도이며,
도 5는 도 1의 배면도이고,
도 6은 도 2의 A 부분의 상세도이고,
도 7은 도 6의 측면도이며,
도 8은 본 고안의 주요부인 컴퓨터 본체를 측판에 고정시키는 하나의 예를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9는 컴퓨터 본체와 책상 상판을 파이프 형태의 보강 부재에 의해 지지하는 하나의 예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며,
도 10은 도 9의 보강 부재의 배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11은 도 9의 보강 부재의 배치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며,
도 12는 도 9의 보강 부재의 배치를 나타내는 배면도이고,
도 13은 도 9의 B 부분의 상세도이며,
도 14a는 컴퓨터 본체의 측면과 상판의 측면을 고정하는 고정 부재의 사시도이고,
도 14b는 도 14a의 고정 부재에 의한 고정의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15는 책상의 뒷판을 이용하여 컴퓨터 본체를 지지하는 하나의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16은 천공 철판이 설치된 본 고안에 따른 컴퓨터 시스템의 배면도이고,
도 17은 월 패널을 구비한 본 고안에 따른 컴퓨터 시스템의 사시도이고,
도 18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본체의 사시도이며,
도 19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본체를 책상 상판 하부에 부착하는 하나의 예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의 부호의 설명>
100 : 컴퓨터 시스템 200 : 컴퓨터 본체
201 : 컴퓨터 본체의 전면 202 : 컴퓨터 본체의 상면
203 : 컴퓨터 본체의 하부 204 : 하부의 전방부
205 : 하부의 하강부 206 : 하부의 후방부
207, 208 : 컴퓨터 본체의 측면 209 : 컴퓨터 본체의 후면
300 : 책상 301 : 상판
302 : 측판 303 : 뒷판
전술한 하나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의한 본 고안의 하나의 예에 따른 가구 형태의 컴퓨터 시스템은 상판, 여러 개의 측판 및 뒷판으로 이루어진 가구와, 상기 가구의 일부를 이루며 각각의 드라이브가 폭 방향으로 배치되는 컴퓨터 본체를 구비하며, 상기 컴퓨터 본체는 상기 각각의 드라이브를 위한 드라이브 포트가 설치되는 전면과, 평탄한 상부와, 계단형의 하부를 포함하며, 상기 하부는 전방부, 상기 전방부로부터 수직으로 하강한 하강부 및 상기 하강부로부터 수직 후방으로 이어지는 후방부로 이루어진다.
다른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하나의 예에 따른 컴퓨터 본체는 폭 방향으로 배치된 복수 개의 드라이브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 개의 드라이브를 위한 드라이브 포트가 설치되는 전면과, 평탄한 상부와, 계단형의 하부를 포함하며, 상기 하부는 상기 전면으로부터 수직 후방으로 이어진 전방부, 상기 전방부로부터 수직으로 하강한 하강부 및 상기 하강부로부터 수직 후방으로 이어진 후방부를 포함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컴퓨터 시스템(100)의 사시도이고, 도 2 내지 도 5는 도 1의 컴퓨터 시스템을 각각의 방향에서 바라본 것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컴퓨터 시스템(100)에서는 컴퓨터 본체(200)가 책상 상판(301)과 연결되어 책상의 상부를 형성하도록 책상(300)과 일체로 제작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컴퓨터 본체(200)는 케이스가 철제로 제조되며, 전면(201), 평탄한 상부(202), 계단형 하부(203) 및 후면(207)을 구비한다. 계단형 하부(203)는 전면(201)으로부터 수직 후방으로 이어진 전방부(204)와 이 전방부(204)로부터 수직으로 하강한 하강부(205)와 이 하강부(205)로부터 수직 후방으로 이어진 후방부(206)로 이루어져 있다(도 7 참조). 한편, 컴퓨터 본체(200)의 전면(201) 및 상부(202)는 책상 상판(301)의 전면 및 상부와 동일 평면을 이루고 있으며, 하부(203)는 그 일부가 책상 측판(302) 중의 하나와 뒷판(303)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자세한 도시는 도 15 참조). 이러한 컴퓨터 본체(200)는 그 내부에 일반적인 컴퓨터의 하드웨어 사양이 모두 내장되어 구성된다.
도 1과 도 3을 참조하면, 책상 상판(301)의 하부에는 키보드와 마우스를 놓기 위한 키보드 레일(304)이 부착되어 있다. 또한, 책상 상판(301)의 뒷판(303)에 인접한 부분에는 모니터(220)를 컴퓨터 본체에 연결하는 모니터 전원선 및 시그널 케이블용 구멍(305)이 뚫려 있다.
도 5에는 본 고안에 따른 컴퓨터 시스템(100)의 후면이 도시되어 있다. 이 도면을 살펴보면, 컴퓨터 본체(200) 후면(209)의 하부에는 컴퓨터 본체의 전원 단자(218)와 각종 카드 슬롯 단자(219)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컴퓨터 본체 후면(209) 우하측에는 멀티탭(230)과 필요한 경우 설치되는 ISDN 모뎀(231)이 배치되는 선반(307)이 설치되어 있다. 멀티탭(230)은 외부 전원을 컴퓨터 본체의 전원 단자(218), 모니터(220), 스피커 등에 분배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이와 같이 컴퓨터 본체에 연결되는 외부 전원선 및 통신선(232)은 측판 후면 하부의 구멍(306)을 통해 멀티탭(230) 또는 카드 슬롯 단자(219)에 연결된다. 이와 같이 구성됨으로써, 외부로는 하나의 선만이 노출된다.
이하, 도 2의 A 부분을 상세히 나타내고 있는 도 6과 도 7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주요부인 컴퓨터 본체(200)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컴퓨터 본체(200)의 전면(201)에는 중앙에 CD 롬 드라이브 포트(215)가 배치되어 있고, 우측에 온/오프 스위치와 리셋 스위치를 비롯하여 빌리지 콘텐츠(village-contents) 스위치, 다운 닥터(down-doctor) 스위치, 온라인 업그레이드 스위치, 이바이러스(e-virus) 체크 스위치 등의 추가의 기능 스위치를 포함하는 스위치부(212)와, 이 스위치부(212) 우측에 배치된 이어폰 잭(213)과, 이들 구성요소의 상부에 배치된 플로피 디스크 드라이브(214)가 배치되어 있으며, 좌측에는 DVD, CD 리코더, 외장 하드디스크 드라이브 또는 추가의 CD 롬 드라이브와 같은 추가의 드라이브(216)가 설치될 수 있다. 이들 구성요소가 이와 같이 횡으로 책상 상판(301)과 동일 높이에 설치되므로, 사용자는 각종의 스위치 및 드라이브를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이들 구성요소 가운데, 이어폰 잭(213)은 통상 컴퓨터 본체 후면(209)의 확장 슬롯 단자(219)에 설치되지만, 본 고안에서는 슬롯 단자(219)로부터 커넥터 케이블(도시 생략)에 의해 이어폰 잭(213)을 전면(201)에 설치함으로써 사용자의 편리를 도모하였다.
도 6의 좌측면도인 도 7을 참조하면, 컴퓨터 본체(200)의 하부(203)는 전면(201)으로부터 수직 후방으로 이어진 전방부(204)와, 이 전방부(204)로부터 수직으로 하강한 하강부(205)와, 이 하강부(205)로부터 수직 후방으로 이어진 후방부(206)를 포함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렇게 해서, 전방부(204)와 상부(202) 사이에는 드라이브(214-216; 점선으로 도시)가 배치되는 얇은 부분(210)이 형성되고, 후방부(206)와 상부(202) 사이에는 CPU, 메인보드 등이 배치되는 두꺼운 부분(211)이 형성된다. 각각의 드라이브(214-216)는 얇은 부분(210)의 전방에 배치되므로 얇은 부분(210)의 후방 공간에는 케이블과 코드만이 수납되어 있다. 한편, 측면(207)에는 하부(203)의 후방부(206)에 인접하여 키보드와 마우스용 커넥터 잭(217)들이 설치되어 있다. 이들 잭(217)도 역시 통상 후면의 확장 슬롯 단자(219)에 설치되는 것이지만, 본 고안에서는 커넥터 케이블(도시 생략)에 의해 이들 잭(217)을 컴퓨터 본체(200)의 측면(207)에 설치함으로써, 사용자의 편리를 도모하였다.
한편,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컴퓨터 본체(200)의 상부(202)는 측면(208)과 접한 부분에 설치되는 힌지에 의해 컴퓨터 본체(200)의 내부를 볼 수 있도록 개방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슬라이더에 의해 상부(202)가 개방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8은 컴퓨터 본체(200)의 하부(203)와 책상의 측판(302)을 연결하는 방식의 하나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 도면에 따르면, 컴퓨터 본체 하부(203)에는 브래킷(240)이 설치되어 이 브래킷(240) 안으로 측판(302)의 상단부가 삽입되어 있으며, 이들 브래킷(240)과 측판(302)의 상단부는 볼트(241)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컴퓨터 본체(200)와 측판(302)은 보다 안정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9는 관형의 제1 보강 부재(320)를 설치해 컴퓨터 본체(200)와 책상의 상판(301)의 연결을 보강하는 하나의 예를 도시하는 정면도이고, 도 10과 도 11은 보강 부재(320)와 이 보강 부재에 결합된 제2 보강 부재의 배치를 나타낸 평면도 및 측면도이며, 도 12는 도 9의 저면도이고, 도 13은 도 9의 B 부분의 상세도이다. 이하, 설명의 편의상 도 9 내지 도 13을 연계하여 기술한다.
제1 보강 부재(320)는 구부러진 하나의 단부가 책상 측판(302)의 내벽에 볼트(322)로 고정되고, 중간 부분이 컴퓨터 본체(200)의 전방부(204)를 하측에서 지지하며, 다른 단부가 책상 상판(301)의 하측에 볼트(322)로 고정되어 있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보강 부재(230)는 전방부(204) 상측에 배치된 드라이브(214-216; 점선으로 도시)의 후방에 설치되기 때문에, 제1 보강 부재(320)를 전방부(204)에 체결시키는 볼트(322)는 전방부(204) 내에 배치된 CD 롬 드라이브 등의 부품을 손상시키지 않는다.
또한, 도 12에는 컴퓨터 본체(200)의 측면(207)에 인접한 위치에서 제1 보강 부재(230)와 교차된 제2 보강 부재(231)가 도시되어 있다. 이 제2 보강 부재(231)는 교차된 지점으로부터 컴퓨터 본체(200)의 측면(207)과 평행하게 상판(301)의 후단 부근까지 이어진 후 수직으로 하강하여 뒷판(303)을 따라 이어져 있다(도 10과 도 111 참조). 이러한 제2 보강 부재(231)는 책상 상판(301)에서는 그 하측에 삽입되어 볼트(322)에 의해 고정되어 있으며, 컴퓨터 본체(200)의 후면(209)과 책상 측판(302)에서도 유사한 방식으로 고정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됨으로써, 제1 및 제2 보강 부재(230, 231)는 컴퓨터 본체(200)와 상판(301) 간의 연결 부위가 하중에 의해 파괴되지 않도록 이들 구성요소(200, 301)를 견고하게 보강한다.
도 14a와 도 14b는 책상의 상판(301)과 컴퓨터 본체(200)를 연결시키는 고정부재(330)를 나타내고 있다. 브래킷(330)은 볼트(331)와 너트(332) 사이의 나사 체결에 의해 컴퓨터 본체(200)의 측벽(208)과 상판(301)의 우측면을 고정하여 연결시킨다.
도 15는 컴퓨터 본체 하부(203)의 후방부(206)의 일부가 책상의 뒷판(303) 위에 착지됨으로써 컴퓨터 본체(200)가 지지되는 것을 나타낸다.
한편,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컴퓨터 본체(200) 후면(207)의 전원 단자(218), 확장 슬롯 단자(219) 및 선반(307)에 덮개(308)를 설치함으로써 컴퓨터 시스템(100) 후면의 외양을 개선할 수 있다. 이 경우 덮개(310)는 통상 천공 철판으로 제작되는데 그 이유는 컴퓨터 시스템의 작동시 발생하는 열을 용이하게 방출하기 위한 것이다.
도 17은 본 고안의 가구 형태의 컴퓨터 시스템(200)에 월 패널(308)을 장착한 것을 나타낸다. 월 패널(308)의 하부에는 스피커(221)가 장착되어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하는데, 이 스피커(221)는 월 패널(308)의 다른 부분에 장착될 수 있으며, 심지어 월 패널(308) 이외의 부분, 예컨대 책상 상판(301), 컴퓨터 본체(200)의 상부(201) 등에도 선택적으로 장착될 수 있다.
이하, 도 18과 도 19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제2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7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본체(200')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8은 이 컴퓨터 본체(200')가 책상 상판(301)의 하부에 부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이 컴퓨터 본체(200')는 책상에 일체화되지 않은 별개의 조립체라는 점에서 전술한 실시예의 컴퓨터 본체(200)와 구별된다. 한편, 컴퓨터 본체(200')에 설치된 나머지 구성요소는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이들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주목할 것은 컴퓨터 본체(200')의 양 측면(207, 208)의 상부에 맞물림 레일(250)이 설치되어 있다는 점이다. 이 맞물림 레일(250)은 상판 하부에 볼트(262) 등으로 고정된 부착 부재(260)의 레일(261)과 맞물림으로써 컴퓨터 본체(200')를 통상의 컴퓨터용 책상 또는 가구의 상판 하부에 부착시킨다(도 18 참조). 필요한 경우, 부착 부재(260)와 맞물림 레일(250)은 이와는 다른 구성 또는 형상을 취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라 컴퓨터 본체(200)가 책상과 같은 가구(300)에 일체화됨으로써, 컴퓨터 본체가 사용하는 사공간이 줄어들고 사용자는 공간을 여유 있게 활용할 수 있다. 또한, 컴퓨터 본체의 전면에 각종의 기능 스위치와 이어폰 잭(213)을 설치하였을 뿐만 아니라 키보드 및 마우스 커넥터 잭(217)을 컴퓨터 본체의 측면(207)에 설치하였기 때문에 사용자의 편의가 증대되었다. 아울러, 각종 전선 및 케이블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기 때문에 외관이 미려해졌다.

Claims (14)

  1. 상판, 여러 개의 측판 및 뒷판으로 이루어진 가구와,
    상기 가구의 일부를 이루며 각각의 드라이브가 폭 방향으로 배치되는 컴퓨터 본체를
    구비하며,
    상기 컴퓨터 본체는 상기 각각의 드라이브를 위한 드라이브 포트가 설치되는 전면과, 평탄한 상부와, 계단형의 하부를 포함하며, 상기 하부는 전방부, 상기 전방부로부터 수직으로 하강한 하강부 및 상기 하강부로부터 수직 후방으로 이어지는 후방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 형태의 컴퓨터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에는 이어폰 잭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 형태의 컴퓨터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에는 다수의 기능 스위치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 형태의 컴퓨터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에는 추가의 드라이브를 위한 드라이브 포트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 형태의 컴퓨터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본체의 한쪽 측면에는 키보드 커넥터 잭과 마우스 커넥터 잭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 형태의 컴퓨터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는 컴퓨터 본체에 접근할 수 있도록 개폐 가능한 상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 형태의 컴퓨터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판의 상단이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컴퓨터 본체의 하부에는 브래킷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 형태의 컴퓨터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하나의 단부가 상기 컴퓨터 본체의 하부가 지지되는 측판에 고정되고 중간부가 상기 컴퓨터 본체 하부에 고정되고 다른 단부가 상기 가구 상판에 고정됨으로써 상기 가구 상판과 상기 컴퓨터 본체를 지지하는 관형의 제1 보강 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 형태의 컴퓨터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보강 부재와 볼트 체결된 관형의 제2 보강 부재를 더 구비하며, 상기 제2 보강 부재는 상기 제1 보강 부재와 교차되도록 상기 상판의 측면과 나란하게 상판 하부에 삽입되어 상기 뒷판까지 연장된 후 뒷판을 따라 하측으로 연장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 형태의 컴퓨터 시스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의 한쪽 측면과 상기 컴퓨터 본체의 한쪽 측면을 고정시키는 고정 부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 형태의 컴퓨터 시스템.
  11. 제1항에 있어서, 전원선 및 케이블이 통과할 수 있도록 상기 측판의 후면에 마련된 구멍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 형태의 컴퓨터 시스템.
  12. 제1항에 있어서, 외부 전원을 분배하는 멀티 탭을 수납하기 위해 상기 뒷판의 후면에 마련된 선반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 형태의 컴퓨터 시스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본체의 후면 하부와 상기 선반을 덮는 분리 가능한 천공 철판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 형태의 컴퓨터 시스템.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구는 스피커가 설치된 월 패널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 형태의 컴퓨터 시스템.
KR2020000010071U 2000-04-10 2000-04-10 가구 형태의 컴퓨터 시스템 KR20020668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0071U KR200206684Y1 (ko) 2000-04-10 2000-04-10 가구 형태의 컴퓨터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0071U KR200206684Y1 (ko) 2000-04-10 2000-04-10 가구 형태의 컴퓨터 시스템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14857A Division KR20010090182A (ko) 2000-03-23 2000-03-23 가구 형태의 컴퓨터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6684Y1 true KR200206684Y1 (ko) 2000-12-15

Family

ID=730851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0071U KR200206684Y1 (ko) 2000-04-10 2000-04-10 가구 형태의 컴퓨터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6684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59385A (en) Computer module for a desk
US5729430A (en) Corner placement monitor stand
KR100354552B1 (ko) 책상 일체형 컴퓨터
US7008028B2 (en) Corner computer workcenter
JPH11234874A (ja) コンピュータデスク装置
US6059386A (en) Detachable computer case
KR200206684Y1 (ko) 가구 형태의 컴퓨터 시스템
KR100914341B1 (ko) 컴퓨터용 기기받침대
KR20010090182A (ko) 가구 형태의 컴퓨터 시스템
KR200372711Y1 (ko) 컴퓨터 케이스 일체형 책상
JP3501069B2 (ja) キッチンキャビネット
JP3910110B2 (ja) 間仕切装置
US5454636A (en) Articulated desk assembly with enhanced storage capabilities
WO1998040814A1 (en) Work station with personal computer support structure
JP2001061558A (ja) コンセントボックス付き天板
CN2470882Y (zh) 电脑电视
CN219845513U (zh) 一种可增连的单桌
JP3306775B2 (ja) 配線案内用家具
JP3072931U (ja) キーボード収納箱
JP3575530B2 (ja) キャビネットとパネル装置との組み合わせ
CN216932420U (zh) 一种具有连接稳定的厨柜踢脚板转角连接结构
CN209118231U (zh) 一种壁挂式键盘操作装置
JPH036122Y2 (ko)
CN117315840A (zh) 壁挂式自助服务机
KR20200134535A (ko) 피씨방 책상용 선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