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6282Y1 - 스토퍼를 가지는 발포 합성수지 재질의 여닫이 문틀 - Google Patents

스토퍼를 가지는 발포 합성수지 재질의 여닫이 문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6282Y1
KR200206282Y1 KR2020000018933U KR20000018933U KR200206282Y1 KR 200206282 Y1 KR200206282 Y1 KR 200206282Y1 KR 2020000018933 U KR2020000018933 U KR 2020000018933U KR 20000018933 U KR20000018933 U KR 20000018933U KR 200206282 Y1 KR200206282 Y1 KR 20020628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frame
frame body
wall
stopper
synthetic res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1893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경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엘지화학
Priority to KR202000001893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628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628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6282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1/00Border constructions of opening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Frames to be rigidly mounted in such openings
    • E06B1/04Frames for doors, windows, or the like to be fixed in openings
    • E06B1/26Frames of plastics
    • E06B1/30Frames of plastics composed of several parts with respect to the cross-section of the frame itself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1/00Border constructions of opening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Frames to be rigidly mounted in such openings
    • E06B1/04Frames for doors, windows, or the like to be fixed in openings
    • E06B1/045Frames for doors, windows, or the like to be fixed in openings with separate wing abutment strips, e.g. adjustable; Door stop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1/00Border constructions of opening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Frames to be rigidly mounted in such openings
    • E06B1/56Fastening frames to the border of openings or to similar contiguous frames
    • E06B1/60Fastening frames to the border of openings or to similar contiguous frames by mechanical means, e.g. anchoring means
    • E06B1/6015Anchoring means
    • E06B1/6038Anchoring mean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the wal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oor And Window Frames Mounted To Open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발포 합성수지 재질의 문틀본체(2)의 하부에 보강재(3) 및 보강목 (4)을 조립하고, 문틀본체(2)의 스토퍼 끼움 홈(5')에 칼브록(6)이나 콘크리트못 (7)을 박음으로써 문틀본체(2)를 벽체(11)에 밀착 고정하며, 문틀본체(2)의 스토퍼 끼움 홈(5')에 발포 합성수지 재질의 스토퍼(5)를 장착함으로써 완성되는 여닫이 문틀 (1)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의 여닫이 문틀(1)은 발포 합성수지 재질의 문틀본체(2)의 스토퍼 끼움 홈(5')에 칼브록(6)이나 콘크리트못(7)을 사용하여 망치로 문틀본체(2)와 벽체(11)를 밀착 고정할 수 있어, 종래 문틀(100)의 시공시, 벽체(114)를 파내어 앵커자리 요홈(105)을 만들거나, 칼브록 요홈(11)을 캡(112)으로 고정할 필요가 없어 그 시공이 간편하게 되었다.

Description

스토퍼를 가지는 발포 합성수지 재질의 여닫이 문틀{Door Frame with the Stopper Made of the Foamed Plastic}
본 고안은 발포 합성수지 재질의 문틀본체의 하부에 보강재 및 보강목을 조립하고, 문틀본체의 스토퍼 끼움 홈에 칼브록이나 콘크리트못을 박음으로써 문틀본체를 벽체에 밀착 고정하며, 문틀본체의 스토퍼 끼움 홈에 발포 합성수지 재질의 스토퍼를 장착함으로써 완성되는 여닫이 문틀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여닫이 문틀(100)은 도 3의 사시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문틀턱(104)이 형성되어 있는 문틀본체(101)의 하부에 보강재(102)와 보강목(103)이 삽입되어 있는 구조를 가지고 있었다.
이때 보강재(102)는 문틀본체(101)의 강도를 보강하고, 벤딩(bending)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고, 보강목(103)은 경첩의 비스 조임력을 유지시켜 주고, 문짝을 반복 개폐시 내구성을 향상시켜 주는 역할을 하며, 문틀본체(101)에 형성되어 있는 문틀턱(104)은 문짝이 닫혔을 때 접촉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문틀본체(101)의 재질은 발포 합성수지이고, 보강재(102)의 재질은 아연도금된 강판이며, 보강목(103)의 재질은 목재이다.
이러한 종래의 여닫이 문틀(100)을 시공하는 종래기술에는 다음의 앵커 (anchor) 시공법과 칼브록(calblock) 시공법이 있다.
도 4a는 종래의 여닫이 문틀(100)의 시공도로서, 앵커 시공법에 의해 문틀 (100)이 벽체(114)에 밀착 고정되는 것을 보여준다.
앵커 시공법을 보면, 먼저 문틀본체(101)에 보강재(102)와 보강목(103)을 나사못으로 조립한 문틀(100)의 양쪽 끝부분에 'ㄱ'자 모양을 한 앵커(106)의 한쪽 부분을 갖다 댄뒤, 나사못(107)을 사용하여 고정시킴으로써 앵커(106)가 고정된 문틀(100)을 준비한다.
다음, 앵커(106)가 고정될 벽체(114)를 앵커(106)의 두께 이상으로 파내 앵커자리 요홈(105)을 만든 다음, 앵커(106)가 고정된 여닫이 문틀(100)을 벽체(114)에 가져가 문틀(100)의 수직과 수평을 잡기 위하여 문틀(100)과 벽체(114) 사이에 딱지(108)를 끼워 임시 고정한다.
여기서 딱지(108)는 농짝을 설치할 때, 농짝의 수직과 수평을 잡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과 같은 의미로 사용되는 것으로, 주로 합판을 사용하며, 딱지(108)를 끼우며 작업하는 이유는 상부문틀, 하부문틀 및 측부문틀로 이루어지는 사각 프레임인 문틀(100)의 크기가 문틀(100)이 시공될 벽체(114)의 크기보다 작기 때문에, 문틀(100)이 외부의 충격에 틀어지지 않으면서 벽체(114)에 고정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런 후에, 앵커자리 요홈(105) 부위에서 나사못(107)을 사용하여 앵커(106)의 나머지 한쪽 부위를 벽체(114)에 밀착 고정시킨 후, 딱지(108)의 삽입으로 인해 벌어진 벽체(114)와 문틀(100)사이의 공간에 우레탄폼(109)을 사용하여 사춤친 다음, 앵커자리 요홈(105) 부위는 미장 모르타르로 마감처리한 뒤, 미관상의 효과를 위하여 마감재(113)를 사용하여 마무리한다.
이처럼 앵커 시공법에 의해 종래의 여닫이 문틀(100)을 시공하게 되면, 앵커 (106)를 벽체(114)에 고정하기 위하여 10군데 이상의 벽체(114)를 파내어 앵커자리 요홈(105)을 만들어야 했고, 다시 이 부위를 미장으로 마감처리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도 4b는 종래의 여닫이 문틀(100)의 다른 시공도로서, 칼브록 시공법에 의해 종래의 여닫이 문틀(100)이 벽체(114)에 밀착 고정되는 것을 보여준다.
칼브록 시공법을 보면, 먼저 문틀본체(101)에 보강재(102)와 보강목(103)을 나사못으로 조립한 문틀(100)을 벽체(114)에 가져가 문틀(100)의 수직과 수평을 잡기 위하여 문틀(100)과 벽체(114) 사이에 딱지(108)를 끼워 임시 고정한다.
그런 후에, 칼브록(110)이 벽체(114)까지 관통하도록 하여 문틀(100)을 벽체 (114)에 밀착 고정시키고, 칼브록(110)이 박힘으로 인해 생기게 된 칼브록 요홈 (111)을 캡(112)으로 막고, 딱지(108)의 삽입으로 인해 벌어진 벽체(114)와 문틀(100) 사이의 공간에 우레탄폼(109)을 사용하여 사춤친 다음, 미관상의 효과를 위하여 마감재(113)를 사용하여 마무리한다.
여기서 칼브록(110)이란 회사이름에서 유래된 용어로, 이는 나사못과 가운데에 구멍이 뚫린 플라스틱 사출물을 사용하여 고정시키는 것으로, 우선 나사못이 박히게 될 부위에 구멍을 낸 다음, 그 구멍에 플라스틱 사출물을 삽입한 후 나사못을 삽입하여 조여줌으로써 밀착 고정시키는 것이다.
이처럼 칼브록 시공법에 의해 종래의 여닫이 문틀(100)을 시공하게 되면, 문틀(100)의 10군데 이상에 캡(112)이 끼워짐으로 인해 미관상 보기 좋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에서는 상기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종래의 문틀본체 (101)에 형성되어 있던 문틀턱(104)을 없애는 대신 스토퍼 장착이 가능한 구조를 가지는 발포 합성수지 재질의 문틀본체와 발포 합성수지 재질의 스토퍼를 사용한 여닫이 문틀을 제공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여닫이 문틀의 사시도.
도 2a는 본 고안의 여닫이 문틀의 시공도.
도 2b는 본 고안의 여닫이 문틀의 다른 시공도.
도 3은 종래의 여닫이 문틀의 사시도.
도 4a는 종래의 여닫이 문틀의 시공도.
도 4b는 종래의 여닫이 문틀의 다른 시공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문틀 2 : 문틀본체
3 : 보강재 4 : 보강목
5 : 스토퍼 5': 스토퍼 끼움 홈
6 : 칼브록 7 : 콘크리트못
8 : 딱지 9 : 우레탄 폼
10 : 마감재 11 : 벽체
100 : 문틀 101 : 문틀본체
102 : 보강재 103 : 보강목
104 : 문틀턱 105 : 앵커자리 요홈
106 : 앵커 107 : 나사못
108 : 딱지 109 : 우레탄 폼
110 : 칼브록 111 : 칼브록 요홈
112 : 캡 113 : 마감재
114 : 벽체
이하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발포 합성수지 재질의 여닫이 문틀(1)의 사시도로서, 스토퍼(5) 장착이 가능한 구조의 문틀본체(2)의 하부에 보강재(3) 및 보강목(4)이 삽입되고, 스토퍼 끼움 홈(5')에 스토퍼(5)가 삽입되어 있는 여닫이 문틀(1)을 보여준다.
이때 보강재(3)는 문틀본체(2)의 강도를 보강하고, 벤딩(bending)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고, 보강목(4)은 경첩의 비스 조임력을 유지시켜 주고, 문짝을 반복 개폐시 내구성을 향상시켜 주는 역할을 하며, 스토퍼(5)는 문짝이 닫혔을 때 접촉되는 부분으로 종래의 여닫이 문틀(100)에 있어 문틀턱(104)의 역할을 한다.
문틀본체(2)의 재질은 발포 합성수지이고, 보강재(3)의 재질은 아연도금된 강판이고, 보강목(4)의 재질은 목재이며, 스토퍼(5)의 재질은 발포 합성수지이다.
이러한 본 고안의 여닫이 문틀(1)을 시공하는 종래기술에는 다음의 도 2a 및 도 2b에서 볼수 있는 칼브록 시공법과 콘크리트못 시공법이 있다.
도 2a는 본 고안의 여닫이 문틀(1)의 시공도로서, 칼브록 시공법에 의해 본 고안의 여닫이 문틀(1)이 벽체(11)에 밀착 고정되는 것을 보여준다.
칼브록 시공법을 보면, 먼저 문틀본체(2)에 보강재(3) 및 보강목(4)을 나사못으로 조립한 다음, 문틀본체(2)를 벽체(11)에 가져가 문틀본체(2)의 수직과 수평을 잡기 위하여 문틀본체(2)와 벽체(11) 사이에 딱지(8)를 끼워 임시 고정한다.
그런 후에, 문틀본체(2)의 스토퍼 끼움 홈(5')에 칼브록(6)을 박아 벽체(11)까지 관통하도록 하여 문틀본체(2)를 벽체(11)에 밀착 고정시키고, 딱지(8)의 삽입으로 인해 벌어진 벽체(11)와 문틀본체(2) 사이의 공간에 우레탄폼(9)을 사용하여 사춤친 다음, 접착제를 사용하여 스토퍼(5)를 문틀본체(2)의 스토퍼 끼움 홈(5')에 조립함으로써 문틀(1)을 완성하고, 미관상의 효과를 위하여 마감재(10)를 사용하여 마무리한다.
도 2b는 본 고안의 여닫이 문틀(1)의 다른 시공도로서, 콘크리트못 시공법에 의해 본 고안의 여닫이 문틀(1)이 벽체(11)에 밀착 고정되는 것을 보여준다.
콘크리트못 시공법을 보면, 먼저 문틀본체(2)에 보강재(3) 및 보강목(4)을 나사못으로 조립한 다음, 문틀본체(2)를 벽체(11)에 가져가 문틀본체(2)의 수직과 수평을 잡기 위하여 문틀본체(2)와 벽체(11) 사이에 딱지(8)를 끼워 임시 고정한다.
그런 후에, 문틀본체(2)의 스토퍼 끼움 홈(5')에 콘크리트못(7)을 박아 벽체(11)까지 관통하도록 하여 문틀본체(2)를 벽체(11)에 밀착 고정시키고, 딱지(8)의 삽입으로 인해 벌어진 벽체(11)와 문틀본체(2) 사이의 공간에 우레탄폼(9)을 사용하여 사춤친 다음, 접착제를 사용하여 스토퍼(5)를 문틀본체(2)의 스토퍼 끼움 홈(5')에 조립함으로써 문틀(1)을 완성하고, 미관상의 효과를 위하여 마감재(10)를 사용하여 마무리한다.
이러한 본 고안의 여닫이 문틀(1)은 발포 합성수지 재질의 문틀본체(2)의 스토퍼 끼움 홈(5')에 칼브록(6)이나 콘크리트못(7)을 사용하여 망치로 문틀본체(2)와 벽체(11)를 밀착 고정할 수 있어, 종래 문틀(100)의 시공시, 벽체(114)를 파내어 앵커자리 요홈(105)을 만들거나, 칼브록 요홈(11)을 캡(112)으로 고정할 필요가 없어 그 시공이 간편하게 되었다.

Claims (2)

  1. 합성수지 재질의 문틀본체(2)의 하부에 보강재(3) 및 보강목(4)이 조립되고, 문틀본체(2)의 스토퍼 끼움 홈(5')에 칼브록(6)이나 콘크리트못(7)을 박음으로써 문틀본체(2)가 벽체(11)에 밀착 고정되며, 문틀본체(2)의 스토퍼 끼움 홈(5')에 합성수지 재질의 스토퍼(5)가 장착됨으로써 완성되는 여닫이 문틀(1).
  2. 제 1항에 있어서, 합성수지 재질이 발포 합성수지 재질인 여닫이 문틀(1).
KR2020000018933U 2000-07-03 2000-07-03 스토퍼를 가지는 발포 합성수지 재질의 여닫이 문틀 KR20020628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8933U KR200206282Y1 (ko) 2000-07-03 2000-07-03 스토퍼를 가지는 발포 합성수지 재질의 여닫이 문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8933U KR200206282Y1 (ko) 2000-07-03 2000-07-03 스토퍼를 가지는 발포 합성수지 재질의 여닫이 문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6282Y1 true KR200206282Y1 (ko) 2000-12-01

Family

ID=196634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8933U KR200206282Y1 (ko) 2000-07-03 2000-07-03 스토퍼를 가지는 발포 합성수지 재질의 여닫이 문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6282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6507B1 (ko) * 2004-08-16 2005-08-05 박준석 스톱퍼의 조립식 합성수지재 문틀 구조
KR100769288B1 (ko) * 2002-07-23 2007-10-24 김태홍 금속보강재를 이용한 합성목재 문틀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9288B1 (ko) * 2002-07-23 2007-10-24 김태홍 금속보강재를 이용한 합성목재 문틀 및 그 제조방법
KR100506507B1 (ko) * 2004-08-16 2005-08-05 박준석 스톱퍼의 조립식 합성수지재 문틀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50193653A1 (en) Door jamb assemblies and door assemblies
US4154034A (en) Door frame construction
US4509294A (en) Door frame assembly
US4809400A (en) Security hardware for doors
US6173541B1 (en) Window assembly
CN100582430C (zh) 门挡组合型合成树脂材料门框结构
KR200206282Y1 (ko) 스토퍼를 가지는 발포 합성수지 재질의 여닫이 문틀
KR101931738B1 (ko) 건축마감패널용 마감구
US667901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inforcing a door
US5987826A (en) Window assembly
US6357181B1 (en) Door hanging alignment plug
KR100459842B1 (ko) 문틀 및 그 시공방법
KR200402211Y1 (ko) 스톱퍼 및 장식판의 조립식 합성수지재 문틀 구조
WO1997007313A1 (en) Door jamb and architrave assembly
KR100344689B1 (ko) 콘크리트 구조물용 코너성형부재
KR20100086697A (ko) 여닫이 도어
KR200201465Y1 (ko) 여닫이문용 문틀
KR101614354B1 (ko) 보강프레임 결합홈을 갖는 문틀
KR102375506B1 (ko) 전단키를 구비한 pc블록 내진벽 및 그 시공방법
JP3278695B2 (ja) 開口枠
KR101936047B1 (ko) 문틀의 문선 조립구조
KR20230144948A (ko) 문틀용 지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립식 문틀
KR100724643B1 (ko) 건축물용 목재 프레임의 체결구
KR0140778Y1 (ko) 도어의 플라스틱 문틀
KR101024933B1 (ko) 문틀 시공용 가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831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