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6281Y1 - 얽힘 방지용 코일스프링 - Google Patents

얽힘 방지용 코일스프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6281Y1
KR200206281Y1 KR2020000018889U KR20000018889U KR200206281Y1 KR 200206281 Y1 KR200206281 Y1 KR 200206281Y1 KR 2020000018889 U KR2020000018889 U KR 2020000018889U KR 20000018889 U KR20000018889 U KR 20000018889U KR 200206281 Y1 KR200206281 Y1 KR 20020628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tanglement
coil spring
spring
present
preven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1888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재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캄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캄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캄코
Priority to KR202000001888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628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628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6281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00Springs
    • F16F1/02Springs made of steel or other material having low internal friction; Wound, torsion, leaf, cup, ring or the like springs, the material of the spring not being relevant
    • F16F1/04Wound sp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2234/00Shape
    • F16F2234/02Shape cylindric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2236/00Mode of stressing of basic spring or damper elements or devices incorporating such elements
    • F16F2236/04Compres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eeding Of Articles To Conveyo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얽힘방지부를 일체형으로 형성하므로써, 자동화 생산라인에서 상호간에 서로 끼워져 얽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얽힘 방지용 코일스프링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얽힘 방지용 코일스프링은 탄성의 와이어를 나선형으로 코일형상으로 꼬아만든 원통형 압축 코일스프링으로서, 양단부위의 와이어를 유효권수로 감고, 중간부위의 와이어들을 서로 밀착시켜서, 피치(b)의 거리보다 긴 거리(c)를 갖게 한 얽힘방지부(20)를 포함하며, 다수로 자동화 생산라인에서 운반될 때, 서로 끼이지 않는다. 이런 본 고안의 얽힘 방지용 코일스프링에서 얽힘방지부(20)는 스프링의 제작시 일체형으로 형성된다.

Description

얽힘 방지용 코일스프링{Spring for tangle thereof}
본 고안은 얽힘 방지용 코일스프링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각종 산업용 기계에 사용되는 코일스프링을 자동생산하여, 피더(feeder), 컨베어(conveyer)와 같은 운반장치를 통해 운반시, 상호간에 끼워지지 않는 얽힘 방지용 코일스프링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화 조립라인에서는 각 종류별 스프링을 1회에 한 개씩 자동으로 공급하여 로봇이 생산라인에서 조립할 수 있도록 하는 피더, 컨베어와 같은 스프링 자동 공급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이런 스프링 자동 공급장치는 자동화 생산라인에서 조립될 때, 개별적으로 공급하여, 이를 조립하는 로봇이 각각의 스프링을 집어들어 생산하고자 하는 장치에 스프링을 설치한다.
이런 스프링의 공급 방식은 작업자가 간이치구를 이용하여 조립 작업수행시 팰릿 등에 쌓아 놓은 상태로 공급하여 스프링을 한 개씩 가져가서 조립을 하게 되기 때문에 스프링의 정렬작업에 따른 어려움이 있고, 작업자가 일일이 스프링을 쌓아 놓아야 하기 때문에 작업공수가 및 인력을 필요로 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어 왔다.
따라서, 이런 문제점들을 해결하고자, 자동생산 업체들에서는 일반적인 스프링을 개별적으로 운반하는 것에 초점을 맞추어서, 1999년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61611호에서 찾아볼 수 있는 스프링 자동 공급장치와 같은 장치를 개발 및 연구중에 있다.
그러한 스프링 자동 공급장치는 스프링의 배출을 안내하는 워크 배출 가이드와 같은 설비를 필요로 하기 때문에, 제품의 제작 단가를 높이는 요인이 되었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따른 코일스프링(1)은 탄성의 와이어를 나선형으로 꼬아만든 원통형 압축 코일 스프링으로서, 축방향으로 가해지는 압축력에 대응한 탄성력을 발생시킨다. 이런 코일스프링(1)은 스프링강으로 만든 매우 탄력있는 기계 재료로서, 소정 거리의 피치(a)를 갖도록 유효권수로 감겨져 있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코일스프링은 자동화 생산라인에서 서로 접촉하는 경우, 상호간에 끼워져 얽혀지기 때문에, 코일스프링을 정렬하는 작업에서 시간 낭비를 초래하였고, 자동화 생산라인에 문제를 일으킨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얽힘방지부를 일체형으로 형성하므로써, 자동화 생산라인에서 상호간에 서로 끼워져 얽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얽힘 방지용 코일스프링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코일스프링의 형상을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 따른 얽힘 방지용 코일스프링의 형상을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코일스프링 20 : 얽힘방지부
상술한 본 고안의 목적은 탄성의 와이어를 나선형으로 코일형상으로 꼬아만든 원통형 얽힘 방지용 코일스프링에 있어서, 양단부위의 와이어를 유효권수로 감고, 중간부위의 와이어들을 서로 밀착시켜서, 피치의 거리보다 긴 거리를 갖게 한 얽힘방지부를 포함하며, 다수로 자동화 생산라인에서 운반될 때, 서로 끼이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얽힘 방지용 코일스프링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얽힘방지부는 스프링의 제작시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한 도 2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얽힘 방지용 코일스프링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도 2는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 따른 얽힘 방지용 코일스프링의 형상을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얽힘 방지용 코일스프링(20)은 종래의 기술과 연관하여 설명하면, 소정거리의 피치(b)를 갖는 원통형 압축 코일 스프링으로서, 자동화 생산라인에서 운반시 서로 끼워져 얽히지 않게 얽힘방지부(20)를 중간에 형성하고 있다.
이런 본 고안의 얽힘 방지용 코일스프링(10)의 얽힘방지부(20)는 스프링의 제작시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것으로서, 양단부위의 와이어를 유효권수로 감고, 중간부위의 와이어들을 서로 밀착시켜서, 피치(b)의 거리보다 긴 거리(c)를 갖게 한 것이다.
이런 본 고안의 얽힘 방지용 코일스프링(10)은 다수로 자동화 생산라인에서 운반될 때, 서로 끼이지 않기 때문에 스프링(10)들이 상호간에 얽히지 않는다.
특히, 본 고안의 얽힘 방지용 코일스프링(10)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얽힘방지부(20)를 스프링의 중간에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양 끝단면이 종래의 코일스프링과 동일한 형상을 갖고, 이로 인하여, 코일스프링(10)이 설치되어질 기계장치의 장착부위의 형상을 변경시키지 않아도 된다.
또한, 본 고안의 얽힘 방지용 코일스프링(10)은 얽힘방지부(20)에 의해서, 무게 중심이 중앙으로 집중되어 있기 때문에, 스프링의 탄성력을 양끝단으로 분산시켜서, 보다 효율적으로 압축력에 대항한 탄성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앞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얽힘 방지용 코일스프링은 얽힘방지부를 중간부위에 일체형으로 형성되어서, 자동화 생산라인에서 운반될 때 상호간에 끼워져 얽히는 일이 없고, 이로 인하여, 제품 조립 작업을 원활하게 할 수 있으며, 스프링 정렬작업과 같은 부가적인 작업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얽힘 방지용 코일스프링은 일체형으로 얽힘방지부를 형성하고 있어서 용이하게 제작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얽힘 방지용 코일스프링은 양 끝단의 결합단면이 변경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특정 기계장치의 장착부위의 형상을 변경시키지 않아도 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얽힘 방지용 코일스프링은 부가적으로 스프링 정렬을 위한 수단을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자동화 생산라인의 추가설비 증축에 따른 경제적인 부담을 없앨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본 고안의 얽힘 방지용 코일스프링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고안의 가장 양호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고안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이면 누구나 본 고안의 기술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Claims (2)

  1. 탄성의 와이어를 나선형으로 코일형상으로 꼬아만든 원통형 얽힘 방지용 코일스프링에 있어서,
    양단부위의 와이어를 유효권수로 감고, 중간부위의 와이어들을 서로 밀착시켜서, 피치(b)의 거리보다 긴 거리(c)를 갖게 한 얽힘방지부(20)를 포함하며, 다수로 자동화 생산라인에서 운반될 때, 서로 끼이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얽힘 방지용 코일스프링.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얽힘방지부(20)는 스프링의 제작시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얽힘 방지용 코일스프링.
KR2020000018889U 2000-07-01 2000-07-01 얽힘 방지용 코일스프링 KR20020628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8889U KR200206281Y1 (ko) 2000-07-01 2000-07-01 얽힘 방지용 코일스프링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8889U KR200206281Y1 (ko) 2000-07-01 2000-07-01 얽힘 방지용 코일스프링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6281Y1 true KR200206281Y1 (ko) 2000-12-01

Family

ID=196633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8889U KR200206281Y1 (ko) 2000-07-01 2000-07-01 얽힘 방지용 코일스프링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6281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93641B1 (ko) 프로세싱 유닛에 대한 연결 요소의 자동 공급을 위한 장치 및 연결 요소를 위한 공급 호스
RU2129981C1 (ru) Крепежное устройство
US6633216B2 (en) Self-locating coil assembly
US7644492B2 (en) Dynamoelectric winding end portion forming apparatus
EP3414380B1 (en) Braided textile sleeve with self-sustaining expanded and contracted states and enhanced "as supplied" bulk configuration and methods of construction and supplying bulk lengths thereof
KR200206281Y1 (ko) 얽힘 방지용 코일스프링
WO2003029111A3 (en) Conveyance system for interface with component production and assembly equipment
AU2002360568A1 (en) Two wire spring making machine and method
JP2005147293A (ja) ケーブル保護案内装置
KR100922345B1 (ko) 처짐 방지 케이블 베어 장치
KR102017509B1 (ko) 케이블 베어
KR20170119445A (ko) 용접케이블용 스프링 라이너
KR20060049237A (ko) 스트립 형태 부품의 이송용 벨트
CN104517712A (zh) 汽车点火线圈护套自动组装和喷涂设备
KR200441235Y1 (ko) 연설구조를 단순화시킨 케이블 베어
KR20180044583A (ko) 와이어 거치지그
US6186303B1 (en) Device for conveying parts using gravity
JP2967600B2 (ja) コイルスプリング
CN109562437B (zh) 线材成型设备和使线材成型的方法
JPS63224601A (ja) 非接触電力供給装置
KR102060548B1 (ko) 케이블 베어 조립체
JP2000170809A (ja) 圧縮コイルバネ
KR20060007769A (ko) 비접촉 급전장치
UA40711A (uk) Гайка
SU1540694A1 (ru) Конвейер-питатель машины дл внесени минеральных удобрени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601 Decision to invalidate utility model after technical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