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6252Y1 - 철선의 직진유도장치 - Google Patents

철선의 직진유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6252Y1
KR200206252Y1 KR2020000018313U KR20000018313U KR200206252Y1 KR 200206252 Y1 KR200206252 Y1 KR 200206252Y1 KR 2020000018313 U KR2020000018313 U KR 2020000018313U KR 20000018313 U KR20000018313 U KR 20000018313U KR 200206252 Y1 KR200206252 Y1 KR 20020625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zigzag
straight
cutting
rotating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1831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화규
Original Assignee
김화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화규 filed Critical 김화규
Priority to KR202000001831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625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625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6252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FWORKING OR PROCESSING OF METAL WIRE
    • B21F45/00Wire-working in the manufacture of other particular articles
    • B21F45/12Wire-working in the manufacture of other particular articles of fishing hoo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ire Process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주로 낚시바늘 등의 제조를 위해 철선(Wire;이하 철선이라 함.)을 소정 길이로 일정하게 절단하는 철선 절단기 등에 장착되어 철선을 직진상태로 곧게 펴서 절단부로 공급하여 절단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철선의 직진유도장치에 관한 것으로,
고속으로 회전작동하는 회전체(2)에 유도부재(4,4')를 지그재그로 설치하여 철선(A)의 굴곡력을 제거하고 곧게 펴서 절단 등의 각종의 가공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하는 철선(A)의 직진유도장치(1)에 있어서, 회전체(2)에 지그재그로 배치되는 유도부재(4,4')에 베어링(5)을 각각 결합하여 각 베어링(5)의 축공(6)을 통해 철선(A)이 지그재그로 안내되게 구성함으로서 철선(A)을 곧게 펴는 작업중에 철선(A)의 외표면이 손상되지 않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철선의 직진유도장치{Wire straightener}
본 고안은 주로 낚시바늘 등의 제조를 위해 철선(Wire;이하 철선이라 함.)을 소정 길이로 일정하게 절단하는 철선 절단기 등에 장착되어 철선을 직진상태로 곧게 펴서 절단부로 공급하여 절단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철선의 직진유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낚시바늘제조 등과 같이 가는 직경의 철선을 소재로 하는 제품의 성형작업에 있어서는 철선 절단기로 철선을 제품성형에 필요한 길이만큼 일정하게 절단하는 작업을 선행하게 된다.
이러한 철선절단기의 절단작업은 보빈에 권취된 철선을 절단부로 공급하여 커터로서 소정 길이로 일정하게 절단한 후 이를 제품의 성형기에 투입하여 제품의 성형작업을 하게 된다. 이하, 낚시바늘의 제조과정을 일례로 철선을 일정 길이로 절단하는 철선 절단기의 작업과정에 대하여 간략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3에서와 같이 보빈(11)으로부터 풀려 나온 철선(A)은 절단부에서 낚시바늘의 제조에 필요한 길이만큼 일정하게 절단한 후 이를 낚시바늘 성형기에 투입하여 낚시바늘을 제조하게 되는 바, 상기에서 보빈(11)에 권취된 철선(A)은 절단부(13)로 공급되는 중에 직진유도장치(1)를 거쳐 곧게 펴주는 작업을 행하게 된다.
즉, 보빈(11)에 감겨진 철선(A)은 이송로울러(12)를 통해 절단부(13)로 공급하는 도중에 소성에 의해 변형된 원형(圓形)의 상태를 유지하려는 성질을 가지고 있으므로 이를 곧은 상태로 복귀시키고 굴곡부를 곧바르게 펴주는 작업을 행하여 직진상태로 절단부(13)로 공급하여 절단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바, 이러한 직진유동장치(1)는 다양한 형태의 철선절단장치에 적용되고 있다. 이하, 기존 직진유도장치에 대하여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도 4참조)
기존 직진유도장치는 회전체(100)를 관통하는 철선(A)이 회전체(100) 내측에 지그재그로 연이어 수개가 결합된 유도부재(101,101')에 의해 지그재그로 유도된 상태에서 고속 회전하는 회전체(100)를 통과, 이송되면서 지그재그로 설치된 유도부재(101,101')에 의해 굴곡된 부위가 직선으로 곧게 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기존의 직진유도장치는 원형(圓形)의 굴곡력을 가진 철선(A)을 곧게 펴거나 부분적인 굴곡부를 곧게 펴는 작용에는 별다른 문제가 발생되지 않는 것이었으나, 이러한 직진유도과정 중에 철선(A)의 외표면이 훼손되는 불량발생률이 매우높고, 고장률 역시 높은 것이었다.
즉, 기존 직진유동장치는 도 4에서와 같이 회전체(100)에 지그재그로 설치된 유도부재(101,101')의 끝단에 대략 반원형의 유도홈(102)이 형성되어 철선(A)이 각 유도홈(102)을 따라 회전하는 회전체(100) 내측에서 지그재그로 안내되게 함으로서 곧게 펴지는 작업을 수행하였던 것이다.
따라서 유도부재(101,101')의 유도홈(102)을 지그재그로 지나는 철선(A)이 유도홈(102)과의 심한 마찰로 접촉되면 철선(A)의 외표면이 상처를 입어 훼손되는 작업불량이 빈번히 발생하는 것이었고, 이로 인해 유도부재(101,101')상에 과부하 등이 작용하여 일으키는 고장발생 역시 잦은 것이었다.
특히, 낚시바늘 제조에 사용되는 철선(A)은 스테인레스재의 것이 주종인 바, 이러한 스테인레스재 철선(A)은 가격도 고가하지만 유도부재(101,101')의 유도홈(102)을 따라 지그재그로 안내될 시에 외표면의 훼손 우려가 타 재질에 비해 매우 높아 가공단계에서의 불량발생률이 상당히 높은 것이었으며, 검사과정에서 자칫 이를 확인하지 못하면 제품(낚시바늘) 완성단계에서 완성품의 불량발생으로 이어져 생산량 감소 등의 상당한 경제적 손실을 야기하는 것이었다.
그리고 기존 유도부재(101,101')의 유도홈(102)은 철선(A)과의 접촉으로 인한 마모도를 높이기 위하여 초경 재질 등으로 구성하는 단점을 가지고 있었고, 이와 더불어 반원형 유도홈(102)의 구경과 거의 일치되는 직경의 철선(A)만이 작업 가능한 것이었다.
즉, 유도홈(102)에 비하여 비교적 작은 직경의 철선(A)은 어느 정도 직진유도작업이 가능하나 유도홈(102)에 비하여 미세하게나마 직경이 큰 직경의 철선(A) 등은 작업이 곤란하여 철선(A)의 직경에 따라 유도부재(101,101')을 교체, 설치하여 작업해야 하는 등의 여러 단점과 문제점을 가지고 있는 것이었다.
또한,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직진유도로울러를 지그재그로 설치한 다양한 직진유도장치가 이미 여럿 고안된 바 있으나 이들 역시 철선 외표면이 회전로울러와 직접 접촉하여 훼손됨으로서 철선 외표면을 효과적으로 보호하는 데에는 부족한 것이었다.(참고문헌; 실용신안공고번호 제1989-9206호, 실용신안공고번호 제20-2000-167507호)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기존 직진유도장치는 전술한 문제점과 이로 인한 여러 경제적 손실이 파생되어 이를 개선할 수 있는 새로운 직진유도장치의 개발이 요구되었던 것이다.
이에 본 고안에서는 각종 철선 절단기에 적용되는 직진유동장치에 있어서, 기존 직진유도장치의 구조를 크게 변경하지 않는 저렴가로 제작할 수 있도록 하고, 철선(A)의 직경 크기에 따라 유도부재를 교체하지 않고도 작업이 가능하게 하며, 특히 고속으로 회전하는 회전체에 지그재그로 안내이송되는 철선의 외표면이 상처를 입어 훼손되는 불량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게 함으로서 생산성 향상 등의 여러 경제적 잇점과 작업효율성 등을 제공할 수 있는 직진유동장치를 공급코자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부 절결 평면도
도 3은 본 고안이 적용되는 절단기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4는 기존 장치의 평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사용된 부호에 대한 설명 ☜
1;직진유도장치 2;회전체
3,3';안내공 4,4';유도부재
5;베어링 6;축공
7;풀리 8;전동벨트
9;모우터 10;절단기
11;보빈 12;이송로울러
13;절단부 14;조절볼트
A;철선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부 절결 평면도, 도 3은 본 고안이 적용될 수 있는 철선 절단기(1)의 개략도이다.
본 고안은 철선(A)이 보빈(11)에 권취되어 이송로울러(12)에 의해 직진유동장치(1)를 거쳐 절단부(13)로 송급되어 소정 길이로 일정하게 절단되는 철선 절단기(10)에 있어서, 보빈(11)에서 절단부(13)로 철선(A)을 송급하는 중에 철선(A)을 곧게 펴서 절단부(13)로 공급하는 직진유동장치(1)를 개량한 것에 특징이 있다.
직진유도장치(1)는 양측이 회전지지되는 회전체(2) 일측에 전동모터(9)와 전동벨트(8)와 연결되는 풀리(7)가 형성되어 일방으로 고속 회전되는 바, 회전체(2)를 회전작동하기 위한 동력전달수단은 전술한 풀리(7)외에 다양한 등가수단으로 실시될 수 있다.
또, 회전체(2) 양측에는 보빈(11)으로 철선(A)이 풀려나와 절단부(13)로 이송되는 안내공(3,3')이 구비되며, 이들 안내공(3,3') 사이의 회전체(2) 내측에는 철선(A)을 지그재그로 안내하는 수개의 유도부재(4,4')가 결합된다.
상기 유도부재(4,4')는 회전체(2)의 중심선으로부터 상호 대향측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편심 결합되어 지그재그로 배치되며, 유도부재(4,4')에는 조절볼트(14)가 구비되어 회전체(2)의 중심선으로부터 편심 정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회전체(2)로 이루어지는 직진유도장치(1)의 구성은 일반적인 것이다.
본 고안은 전술한 직진유도장치(1)의 회전체(2) 내측에 설치되어 철선(A)을 지그재그로 유도하는 유도부재(4,4')상에 베어링(5)을 결합하여 베어링(5)의 중앙 축공(6)을 통해 철선(A)이 지그재그로 안내되게 한 것이다.
즉, 회전체(2) 내측에 지그재그로 설치되는 유도부재(4,4')에 철선(A)이 통과하여 안내될 수 있는 베어링(5)을 각각 결합하여 각 베어링(5)의 중앙 축공(6)을 철선(A)이 지그재그로 통과하도록 함으로서 철선(A)이 고속회전하는 회전체(2)의 통과할 시에 철선(A)과 접촉하는 베어링(5)의 축공(6) 내측 역시 회전작용이 발생되게 하여 철선(A)의 외표면이 상처를 입어 훼손되는 것을 방지토록 한 것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주로 낚시바늘 등고 같이 철선(A)을 소재로 한 각종 제품의 제조에 있어서, 철선(A)을 소정 길이로 절단하는 절단기(1)에 장착되어 보빈(11)으로부터 풀려 나온 철선(A)을 절단부(13)에서 절단하기 위해 직선으로 곧게 펴주는 직진유도장치(2)를 개량 구성함으로서 불량발생율을 현저히 개선하여 생산성 향상 등에 기여하는 되는 것으로, 이하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보빈(11)상에 롤상으로 권취된 상태에서 공급되는 철선(A)은 휘어진 굴곡력을 갖게 되므로 이를 절단부(13)로 송급하여 소정 길이로 절단하기 위해서는 곧게 펴주는 작업을 선행하게 된다.
이를 위해 직진유도장치(1)는 보빈(11)과 철선(A)을 소정 길이로 일정하게 절단하는 절단부(13) 사이에 설치하게 되는 데, 이러한 직진유도장치(1)는 철선(A)이 절단부(13)로 이송되는 중에 고속으로 회전하는 회전체(2)를 지그재그로 통과하면서 회전체(2)의 회전작동으로 곧게 펴지게 된다.
이를 상세히 살펴보면; 회전체(2)는 내측에 수개의 유도부재(4,4')가 지그재그로 설치되어 철선(A)을 지그재그로 유도, 통과시키게 되는 데, 이때 철선(A)은 유도부재(4,4')상에 결합된 베어링(5)의 중앙 축공(6)을 경유하여 통과하게 된다.
물론, 각 유도부재(4,4')상에 결합되는 베어링(5)은 철선(A)을 지그재그로 안내하기 위하여 당연히 상호 지그재그(5)로 배치되도록 결합된다.
이와 같이 회전체(2) 내측에 지그재그로 설치된 유도부재(4,4')의 각 베어링(5) 축공(6)을 통과하는 철선(A)은 회전체(2)가 빠르게 회전하는 것에 의해 철선(A)의 굴곡력이 상실되면서 곧게 펴지게 된다.
이와 같이 고속회전하는 회전체(2)에 철선(A)을 지그재그로 안내하여 직선으로 곧게 펴지도록 하는 직진유동장치(1)의 작용은 일반적인 것이다.
본 고안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회전체(2)의 유도부재(4,4')에 의해 지그재그로 안내되는 철선(A)이 회전체(2)의 회전으로 곧게 펴지게 되는 과정에서 유도부재(4,4')에 결합된 베어링(5)의 축공(6)을 지나게 되어 철선(A)의 외표면이 훼손되지 않는 것이다.
즉, 회전체(2)의 회전으로 지그재그로 설치된 유도부재(4,4')에 의해 철선(A)이 곧게 펴지게 되는 데, 이 과정에서 철선(A)은 베어링(5)의 축공(6)을 지나게 되므로 회전되는 회전체(210)가 빠르게 회전될 때 당연히 철선(A)이 베어링(5)의 축공(6)과 접촉하게 된다.
따라서 유도부재(4,4')의 베어링(5) 축공(6)을 통과하는 철선(A)은 회전하는 회전체(2)의 회전작동에 의해 철선(A) 외표면이 베어링(5)의 축공(6) 내측면과 접촉할 수 밖에 없는 것이지만 회전하는 회전체(2)의 회전작동에 의해 철선(A)과 접촉한 베어링(5)의 축공(6) 역시 자체 회전됨으로서 철선(A)과 철선(A)을 지그재그로 안내하는 베어링(5) 축공(6)간의 접촉에 의한 마찰력이 크게 감소되는 윤활작용을 하게 됨으로서 철선(A)의 외표면이 훼손될 우려가 크게 감소되는 것이다.
이것은 철선(A)이 유도부재(4,4')를 지그재그로 통과하면서 고속으로 회전하는 회전체(2)의 회전력에 의해 유도부재(4,4')의 베어링(5) 축공(6) 내측면에 접촉, 안내되면서 철선(A)이 직선으로 곧게 펴지는 기존 작용은 그대로 수행하는 것이지만 철선(A)이 지그재그로 통과하는 중에 베어링(5)의 축공(6) 내측면과의 접촉으로 발생될 수 있는 철선(A) 외표면의 훼손우려는 철선(A)이 통과하는 중에 회전체(2)의 회전으로 베어링(5)의 축공(6) 역시 철선(A)과의 접촉발생시 함께 회전하게 되므로 철선(A)과의 접촉부하가 최소화되어 철선(A)의 외표면이 손상될 우려는 매우 최소화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직진유도장치(1)에 의해 직진상태를 유지한 철선(A)은 절단부(13)로 공급되어 소정 길이로 일정하게 절단된다.
이상에서 본 고안은 철선 절단기(1)에 장착되는 철선의 직진유도장치(2)를 대표적으로 언급하고 있으나, 절단장치가 아닌 기타의 여러 장치에 철선(A)을 직선으로 곧게 펴기 위한 목적으로 널리 범용되는 것으로, 반드시 철선절단기(1)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철선(A)을 소재로 하는 각종 제품의 제조를 위해 철선(A)을 소정 길이로 일정하게 절단하는 철선 절단장치 등에 있어서, 보빈(11)에 감겨진 철선(A)을 곧게 펴주는 직진유도장치(1)를 매우 간편한 구성으로서 철선(A)이 고속회전하는 회전체(2)에 지그재그로 안내될 시에 철선(A)의 외표면이 훼손되지 않게 함으로서 여기서 발생되는 불량률을 크게 줄여 높은 생산성을 달성할 수 있는 것이며, 이로부터 제품의 상품성과 신뢰도를 크게 높여줄 수 있는 것이다.
특히, 본 고안은 스테인레스재질의 철선(A) 등과 같이 직진유도작업중에 훼손우려가 높은 소재를 대상으로 하는 낚시바늘의 제조 등에 있어서는 불량발생을 극히 우수하게 방지하여 제품의 질적 향상과 생산성 증대로 여러 경제적 이득과 고품질의 제품을 공급할 수 있는 것이며, 철선(A)을 가공하는 각종 장치에 적용하여 불량률 감소와 원가절감 등의 여러 이익과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Claims (1)

  1. 고속으로 회전작동하는 회전체(2)에 유도부재(4,4')를 지그재그로 설치하여 철선(A)의 굴곡력을 제거하고 곧게 펴서 절단 등의 각종의 가공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하는 철선(A)의 직진유도장치(1)에 있어서
    회전체(2)에 지그재그로 배치되는 유도부재(4,4')에 베어링(5)을 각각 결합하여 각 베어링(5)의 축공(6)을 통해 철선(A)이 지그재그로 안내되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선의 직진유도장치.
KR2020000018313U 2000-06-27 2000-06-27 철선의 직진유도장치 KR20020625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8313U KR200206252Y1 (ko) 2000-06-27 2000-06-27 철선의 직진유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8313U KR200206252Y1 (ko) 2000-06-27 2000-06-27 철선의 직진유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6252Y1 true KR200206252Y1 (ko) 2000-12-01

Family

ID=196626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8313U KR200206252Y1 (ko) 2000-06-27 2000-06-27 철선의 직진유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6252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301610C (en) Bending machine
US3427912A (en) Process for preparation for splitting fiber and its apparatus for the same
KR200206252Y1 (ko) 철선의 직진유도장치
US4774824A (en) Apparatus for straightening self-hardening hot-rolled wires and for feeding them to a consumer
CN210701693U (zh) 一种金属异型长材冷成型的加工装置
KR100658385B1 (ko) 미가황 고무/스틸 와이어 복합체의 제조 방법 및 제조 장치
AU778466B2 (en) Device for producing metal fibers
EP2095917B1 (en) Tissue paper cutting mechanism having upper knife with variable spiral curve angle and upper knife structure therefor
CN106735483A (zh) 内孔键槽铣削装置及铣削方法
US20030200845A1 (en) Log saw apparatus and method
US2612912A (en) Machine for straightening and cutting wire
KR100707251B1 (ko) 철선의 직진장치
US20230241858A1 (en) Machine and method for producing a tubular product, preferably made of paper, preferably usable to produce straws
CN216378832U (zh) 一种导带辊、烫平机导带装置以及烫平机
US3279506A (en) Method and machine for producing an article by strand wrapping
KR102573474B1 (ko) 흑피 차단용 회전결속부 커버를 구비한 결속기
CN216027731U (zh) 一种钢丝绳生产用调直装置
JPS62234618A (ja) スクリユ−シヤフトの製造方法及び装置
KR20110073053A (ko) 와운드 코아 와운딩 장치
KR100504586B1 (ko) 교정부재를 갖춘 선재 직선교정기
EP2025792B1 (en) Brushing machine for fabrics
KR200241461Y1 (ko) 장신구용 체인에 나선홈을 가공하는 회전식 가공기
JPH01264764A (ja) ワイヤ張設機構に対するワイヤ巻付装置
JP3535125B2 (ja) 直線機
JPH08164419A (ja) 線材の端末除去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92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