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6213Y1 - 화상통신용 카메라의 각도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화상통신용 카메라의 각도 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6213Y1
KR200206213Y1 KR2020000016254U KR20000016254U KR200206213Y1 KR 200206213 Y1 KR200206213 Y1 KR 200206213Y1 KR 2020000016254 U KR2020000016254 U KR 2020000016254U KR 20000016254 U KR20000016254 U KR 20000016254U KR 200206213 Y1 KR200206213 Y1 KR 20020621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era
support
rotating body
angle
video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1625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길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프로칩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프로칩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프로칩스
Priority to KR202000001625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621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621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6213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7Mechanical or electrical details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02Specific input/output arrangements not covered by G06F3/01 - G06F3/16
    • G06F3/005Input arrangements through a video camer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95Control of camera direction for changing a field of view, e.g. pan, tilt or based on tracking of obje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컴퓨터의 모니터에 내장되는 화상통신용 카메라의 각도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화상통신용 카메라를 모니터에 내장시켜 그 모니터 외관을 그대로 유지함은 물론, 카메라의 각도 조절을 정교하며 다양하게 할 수 있고, 또 카메라의 각도 조절 후에도 그 조절 각도가 안전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성은 외부로 돌출되게 카메라헤드부가 설치된 회전체와 그 회전체를 지지하며 회전가능하게 마련된 고정체로 구성되는 화상통신용 카메라의 각도 조절장치에 있어서, 상기 각도조절구는 원주면을 따라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체는 전방에 카메라가 설치된 회전체의 일부가 끼워지는 홀이 형성된 지지판이 마련되며 그 지지판의 후면 양측에는 지지판과 분해결합되며 회전체의 양측면을 감싸는 지지구가 마련되고 상기 지지구와 대향하는 회전체의 내부에는 상기 지지구를 관통하는 체결부재의 끝단부와 체결되는 지지보조재를 마련하여서 된 것이다.

Description

화상통신용 카메라의 각도 조절장치{Angle control device of image communication camera}
본 고안은 컴퓨터의 모니터에 내장되는 화상통신용 카메라의 각도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화상통신용 카메라를 모니터에 내장시켜 그 모니터 외관을 그대로 유지함은 물론, 카메라의 각도 조절을 정교하며 다양하게 할 수 있고, 또 카메라의 각도 조절 후에도 그 조절 각도가 안전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상통신용 카메라라 함은 컴퓨터의 모니터에 설치되어 컴퓨터 통신을 할때에 상대방의 모습을 모니터로 보면서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써, 상기 화상통신용 카메라가 갖추어야 할 조건은 각조 조절이 용이해야 하고 또 조절된 각도가 임의로 움직이야 않아야 하며 설치 후 모니터의 외관을 해치지 않아야 한다.
이와 같은 조건을 갖추어야 하는 종래의 화상통신용 카메라 각도 조절장치(10)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모니터(M)의 외측 상부 선택된 곳에 하단부에 지지대(11)가 마련된 화상통신용 카메라(12)(이하 '카메라'라 칭함)가 고정 설치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모니터(M)의 외측 상부 선택된 곳에 설치된 카메라(12)를 각도 조절하기 위해서는 카메라(12)본체를 지지대(11)로부터 이동시켜 조절해야 함으로 그에 따른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으며, 또 상기 카메라(12)의 각도를 조절 후 방치하게 되면 그 조절된 각도가 카메라(12)의 자중에 의해 변하게 되어 제 2의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시켜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카메라(12)는 각도 조절의 정확성이 떨어지고 모니터(M)의 외측 상부 선택된 곳에 설치되어 외부로 노출되기 때문에 모니터(M)의 외관을 조잡하게 하는 문제점과 구조물들의 이송중 충격을 받게 되어 파손될 염려가 있었다.
따라서 근래에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은 실용신안등록 제158900호가 제공되어 있는 바, 이의 구성을 보면 평면을 절결하여 안착부(26)를 형성하며 그 안착부의 양측면에는 서로 대칭되도록 한쌍의 축받이(25)를 형성하고 상기 안착부의 저면에는 다수개의 고정홈(24)을 갖는 모니터(M)와,
상기 안착부에 안착되고 양측면에 상기 축받이에 결합되는 힌지(23)가 형성되며 그 저면에는 상기 고정홈에 요입될 수 있도록 고정돌기(22)가 형성되고 그 전면에 카메라의 렌즈(21)를 갖는 카메라케이스(20)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상기 화상통신용 카메라 각도 조절장치는 렌즈(21)가 설치된 카메라케이스(20)의 양측에 마련된 힌지(23)가 모미터(M)에 마련된 축받이(25)에 결합되게 됨으로 카메라케이스(20)는 힌지(23)를 중심으로 상/하 회전된다. 그리고 카메라케이스(20)의 저면에 부착된 고정돌기(22)가 탄력적으로 특정되지 않는 어느 한 고정홈(24)에 삽입되게 된다.
그러나 상기의 화상통신용 카메라 각도 조절장치 역시 도 1의 화상통신용 카메라 각도 조절장치와 마찬가지로 모니터(M)의 외측 상부에 별도로 마련되기 때문에 그 모니터(M)의 외관을 조악하게 만드는 문제점이 있고, 또 상기 카메라케이스(20)를 수회 움직이다 보면 힌지(23)와 축받이(25)가 마모가 발생하여 헐거워지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따라서 상기 힌지(23)와 축받이(25)의 결합력이 견고하지 못하고 헐거워지면 렌즈(21)가 설치된 카메라케이스(20)의 각도조절 후에도 그 조절 각도가 유지되지 못하고 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어 사용자의 신체조건에 따른 카메라케이스(20)의 각도조절이 원할하게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소하고자 고안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화상통신용 카메라를 모니터에 내장시켜 그 모니터 외관을 그대로 유지함은 물론, 카메라의 각도 조절을 정교하며 다양하게 할 수 있고, 또 카메라의 각도 조절 후에도 그 조절 각도가 안전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한 화상통신용 카메라의 각도 조절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종래의 화상통신용 카메라가 모니터에 설치된 상태의 사시도
도 2는 도 1과 다른 상태의 종래 화상통신용 카메라가 모니터에 설치된 상태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화상통신용 카메라의 각도 조절장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화상통신용 카메라의 각도 조절장치 결합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화상통신용 카메라의 각도 조절장치 결합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화상통신용 카메라의 각도 조절장가 모니터 내부에 설치된 상태의 요부 발췌 확대 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의 화상통신용 카메라의 각도 조절장가 모니터에 설치된 상태의 정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30 : 회전체 31 : 카메라헤드부
32 : 각도조절구 33 : 돌기
34 : 케이블 40 : 고정체
41 : 지지판 41a : 홀
42 : 지지구 43 : 체결부재
44 : 지지보조재 44a : 너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화상통신용 카메라 각도 조절장치에 대한 특징적인 기술적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외부로 돌출되게 카메라헤드부가 설치된 회전체와 그 회전체를 지지하며 회전가능하게 마련된 고정체로 구성되는 화상통신용 카메라의 각도 조절장치에 있어서, 상기 각도조절구는 원주면을 따라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체는 전방에 카메라헤드부가 설치된 부분의 회전체 일부가 끼워지는 홀이 형성된 지지판이 마련되며 그 지지판의 후면 양측에는 지지판과 분해결합되며 회전체의 양측면을 감싸는 지지구가 마련되고 상기 지지구와 대향하는 회전체의 내부에는 상기 지지구를 관통하는 체결부재의 끝단부와 체결되는 지지보조재를 설치하여서 된 것이다.
한편 상기 지지보조재의 회전체와 접촉되는 부분은 회전체의 내면과 동일한 호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지지보조재의 내부에는 상기 체결부재의 끝단부와 체결되도록 너트를 마련하여서 된 것이다.
이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고안의 화상통신용 카메라 각도 조절장치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고안의 화상통신용 카메라의 각도 조절장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화상통신용 카메라의 각도 조절장치 결합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의 화상통신용 카메라의 각도 조절장치 결합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의 화상통신용 카메라의 각도 조절장가 모니터 내부에 설치된 상태의 요부 발췌 확대 단면도이며, 도 7은 본 고안의 화상통신용 카메라의 각도 조절장가 모니터에 설치된 상태의 정면도로써,
본 고안은 먼저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크게 2개의 구성품으로 이루어지는데, 그 하나는 일측에 카메라헤드부(31)가 외부로 돌출되게 설치된 구형의 회전체(30)이고, 나머지 하나는 상기 카메라헤드부(31)가 설치된 부분의 회전체(30) 양측을 회전가능하게 감싸며 지지하는 고정체(40)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화상통신용 카메라 각도 조절장치(A)를 도 5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회전체(30)는 구형으로 형성시켰고 그 구형으로 된 회전체(30)의 일측에는 원주면을 따라 돌기(33)가 형성된 각도조절구(32)가 설치된 카메라헤드부(31)가 외부로 돌출되게 설치되었으며 상기 회전체(30)의 양측에는 구멍(30a)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회전체(30)의 후방 중앙에는 케이블(34)이 설치되어 있다.
또 상기 고정체(40)의 구성은 회전체(30)의 내부 양측에 지지보조재(44)가 마련되는데, 그 지지보조재(44)는 상기 회전체(30)와 접촉되는 부분을 호형으로 형성시켰고 내부에 체결부재(43)의 끝단부가 체결되는 너트(44a)가 내장되어 있다.
또한 상기 지지보조재(44)가 마련된 회전체(30)의 외부에는 그 회전체(30)를 감싸는 지지구(42)가 설치되는데, 상기 지지구(42)의 일측 단부에는 절곡편(42a)을 마련하여 지지판(41)과 분해결합 가능하게 하였고 상기 지지구(42)의 중앙부에는 체결부재(43)를 마련하여 지지보조재(44)의 너트(44a)와 나사결합되게 하였다.
그리고 지지판(41)은 모니터(M)의 내면과 접촉되며 결합되도록 소정크기의 판으로 형성되어 있고 중앙에는 카메라헤드부(31)가 설치된 부분의 회전체(30)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소정 크기의 원형 홀(41a)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화상통신용 카메라 각도 조절장치(A)에 대한 실시예를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먼저 모니터(M)의 설치부위를 선택하고 그 선택된 부위에 각도조절구(32)가 입/출할 수 있는 크기의 구멍을 천공한다.
이와 같이 각도조절구(32)가 입/출할 수 있는 크기의 구멍을 천공되면 이에 상기 각도조절구(32)를 삽입하여 그 각도조절구(32)가 모니터(M)의 외부로 돌출되게 함과 동시에 지지판(41)을 모니터(M)의 내면과 접면시킨 다음 나사를 이용하여 상기 지지판(41)를 관통하며 모니터(M)의 내면에 체결되게 한다.
상기의 작업이 완료되면 도 7과 같이 본 고안의 화상통신용 카메라 각도 조절장치(A)가 모니터(M)에 장착되는 것이다. 그후 상기 카메라를 각도 조절하기 위해서는 각도조절구(32)를 손으로 잡고 원하고자 하는 위치로 이동시키면 회전체(30)는 지지구(42)와 지지보조재(44)에 의해 지지되면서 회전하여 각도 조절이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각도 조절된 회전체(30)는 상기 지지구(42)와 지지보조재(44)에 의해 안전하고 견고한 지지를 이루고 있음은 물론, 카메라(31)가 설치된 회전체(30) 주위의 일부가 지지판(41)의 홀(41a)과 긴밀히 접촉된 상태이기 때문에 상기 각도 조절된 회전체(30)는 움직이지 않고 안전하게 고정되는 것이다.
단 상기 체결부재의 체결력은 지지구(42)와 지지보조재(44)가 회전체(30)를 파지하는 정도를 결정하는 것이고, 그리고 각도조절구(32)의 원주면을 따라 형성된 돌기(33)는 상기 각도조절구(32)를 손으로 잡았을때 파지력을 좋게하기 위하여 형성시킨 것이다.
또 상기 지지구(42)의 내측면과 지지보조재(44)의 외면을 호형으로 형성시킨 이유는 회전체(30)가 회전할때에 원할하게 회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과 회전체(30)를 안전하게 파지하기 위하여 형성시킨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의 화상통신용 카메라의 각도 조절장치는 모니터내에 장착되기 때문에 모니터의 외관을 해치지 않으며, 카메라의 각도를 통신자의 신체조건에 따라 간편하고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고, 또 각도 조절 후에는 그 각도가 임으로 변하지 않는 장점이 있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은 고정체의 지지판에 의해 카메라의 각도 조절장치를 모니터의 내부에 간편하고 견고하게 설치할 수 있음은 물론, 지지구와 지지보조재 및 체결부재에 의해 회전체의 견고한 지지와 다양한 각도로의 회전이 원할하게 이루어지고, 또 카메라의 각도를 다양하면서도 정확하고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어 통화자의 얼굴을 정확하게 찍을 수 있는 특유의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외부로 돌출되게 카메라헤드부(31)가 설치된 회전체(30)와 그 회전체를 지지하며 회전가능하게 마련된 고정체(40)로 구성되는 화상통신용 카메라의 각도 조절장치에 있어서,
    상기 각도조절구(32)는 원주면을 따라 돌기(33)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체는 전방에 카메라헤드부(31)가 설치된 회전체(30)의 일부가 끼워지는 홀(41a)이 형성된 지지판(41)이 마련되며 그 지지판의 후면 양측에는 지지판과 분해결합되며 회전체의 양측면을 감싸는 지지구(42)가 마련되고 상기 지지구와 대향하는 회전체의 내부에는 상기 지지구를 관통하는 체결부재(43)의 끝단부와 체결되는 지지보조재(44)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통신용 카메라의 각도 조절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보조재의 회전체와 접촉되는 부분은 회전체의 내면과 동일한 호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지지보조재의 내부에는 상기 체결부재(43)의 끝단부와 체결되도록 너트(44a)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통신용 카메라의 각도 조절장치.
KR2020000016254U 2000-06-08 2000-06-08 화상통신용 카메라의 각도 조절장치 KR20020621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6254U KR200206213Y1 (ko) 2000-06-08 2000-06-08 화상통신용 카메라의 각도 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6254U KR200206213Y1 (ko) 2000-06-08 2000-06-08 화상통신용 카메라의 각도 조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6213Y1 true KR200206213Y1 (ko) 2000-12-01

Family

ID=196598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6254U KR200206213Y1 (ko) 2000-06-08 2000-06-08 화상통신용 카메라의 각도 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621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5769B1 (ko) * 2007-07-30 2008-03-20 박수자 카메라 고정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5769B1 (ko) * 2007-07-30 2008-03-20 박수자 카메라 고정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591467B1 (en) Support and selfie stick with support
CA2342312C (en) Ajustable mechanism with locking brake
US20070174956A1 (en) Adjustable shower rod assembly
US5870081A (en) Mouse housing structure
KR200206213Y1 (ko) 화상통신용 카메라의 각도 조절장치
JP2008178016A (ja) インターホン機器の取付台
KR200206214Y1 (ko) 화상통신용 카메라의 각도 조절장치
JP3779892B2 (ja) 自在支持具
KR200207746Y1 (ko) 화상통신용 카메라의 각도 조절장치
KR200216799Y1 (ko) 화상통신용 카메라의 각도 조절장치
KR200189384Y1 (ko) 낚시받침대의 각도조절장치
JPH1065999A (ja) チルトスタンド
JP2602937Y2 (ja) 調整蝶番
KR200398599Y1 (ko) 파노라마 촬영용 로테이터
JP3020457B2 (ja) 蝶 番
JP3445972B2 (ja) 手摺ブラケット
KR200189378Y1 (ko) 낚시받침대의 각도조절장치
US11071883B2 (en) Mode changing mechanism for use with a pole
JPH0722106Y2 (ja) 引出しの鏡板取付け角度調整機構
CN220623533U (zh) 脚管开合结构与摄影支撑架
JPH11262415A (ja) ディスプレイ装置内蔵机
KR200290842Y1 (ko) 사진촬영용 반사판
KR20000011141U (ko) 모니터의 화상카메라 장착구조
JPH1042981A (ja) 機器用調整脚
JP2008080488A (ja) 携帯用丸のこ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