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6108Y1 - 헤어드라이어 - Google Patents

헤어드라이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6108Y1
KR200206108Y1 KR2020000018252U KR20000018252U KR200206108Y1 KR 200206108 Y1 KR200206108 Y1 KR 200206108Y1 KR 2020000018252 U KR2020000018252 U KR 2020000018252U KR 20000018252 U KR20000018252 U KR 20000018252U KR 200206108 Y1 KR200206108 Y1 KR 20020610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b
hair
water absorbing
attached
absorbing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1825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상원
Original Assignee
강상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상원 filed Critical 강상원
Priority to KR202000001825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610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610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6108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4/00Hair combs for care of the hair; Accessories therefor
    • A45D24/32Combs with suction appliance

Landscapes

  • Brush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모발을 빗는 물품의 모발이 닿는 부위에 물기흡수부가 부착되어, 세발후 상기 물품으로 모발을 빗을 때에 모발에 남아있는 물기를 물기흡수부가 흡수하여 모발을 건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드라이어이다. 물기흡수부는 모발을 빗는 물품의 빗살의 뿌리 부분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물기흡수부는 물기흡수부와 일체로 수직 돌출되는 다수의 빗살부, 빗살부의 내부에 삽입되어 빗살부의 형상을 유지하는 빗살심, 물기흡수부의 빗살부 반대면에 부착되어 물기흡수부를 모발을 빗는 물품에 부착시키는 접착재를 포함한다. 위에서, 빗살심은 각 빗살부마다 분리되어 독립적으로 삽입될 수도 있고, 다수의 빗살부에 대해 서로 연결되어 각 빗살심이 각 빗살부에 삽입될 수도 있다.

Description

헤어드라이어{Hair drier}
본 고안은 인체의 모발 등의 세발후 물기를 제거하여 건조시키는 헤어드라이어에 관한 것으로서, 모발을 빗는 물품(빗, 브러시 등)에 물기흡수부를 부착하여 모발을 빗는 것만으로 모발의 물기를 제거할 수 있는 헤어드라이어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헤어드라이어에는 전기를 이용한 열풍식 헤어드라이어가 주류를 이루고 있다. 이들 열풍식 헤어드라이어는 세발후 1차적으로 수건 등을 이용하여 물기제거를 한 후에 사용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고, 이를 과도하게 사용하면 모발에 손상을 주어 오히려 모발관리에 악영향을 주는 문제가 있으며, 보관과 이동이 불편하고, 전기가 없는 곳에서는 사용할 수 없고, 사용을 위한 전기 사용료 문제와, 특히 전기사고의 위험이 항상 존재하고 있다.
본 고안은 모발을 빗는 물품의 모발이 닿는 부위에 물기흡수부가 부착되어, 세발후 상기 물품으로 모발을 빗을 때에 모발에 남아있는 물기를 물기흡수부가 흡수하여 모발을 건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드라이어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도1a,b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를 나타내는 평빗의 그림.
도2a,b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를 나타내는 브러시의 그림.
도3은 본 고안의 제3실시예를 나타내는 브러시의 모식도.
도4a~d는 제3실시예에 따른 브러시를 분해한 도면.
<도면 주요부의 설명>
물기흡수부(100), 빗살(200), 평빗 몸체(300), 접착재(400), 빗살부(110), 빗살심(130a, 130b, 140), 물기흡수부(100'), 브러시살(200'), 브러시(300'), 물기흡수부(100'), 브러시(300')
본 고안은 모발을 빗는 물품의 모발이 닿는 부위에 물기흡수부가 부착되어, 세발후 상기 물품으로 모발을 빗을 때에 모발에 남아있는 물기를 물기흡수부가 흡수하여 모발을 건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드라이어이다.
물기흡수부는 모발을 빗는 물품의 빗살의 뿌리 부분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물기흡수부는 물기흡수부와 일체로 수직 돌출되는 다수의 빗살부, 빗살부의 내부에 삽입되어 빗살부의 형상을 유지하는 빗살심, 물기흡수부의 빗살부 반대면에 부착되어 물기흡수부를 모발을 빗는 물품에 부착시키는 접착재를 포함한다.
위에서, 빗살심은 각 빗살부마다 분리되어 독립적으로 삽입될 수도 있고, 다수의 빗살부에 대해 서로 연결되어 각 빗살심이 각 빗살부에 삽입될 수도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1a, 1b는 본 고안에 따른 헤어드라이어가 적용된 제1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으로, 평빗을 나타내고 있다. 도1a, b에서, 평빗 몸체(300)의 각 빗살(200)의 뿌리 부분에 물기흡수부(100)가 부착됨을 알 수 있다.
물기흡수부(100)는 빗의 제조가 끝난 다음에 접착제를 통해 부착할 수도 있고, 빗의 제조공정 중에 물기흡수부를 부착하는 공정을 추가하여 몰딩 등의 방법으로 부착할 수도 있다. 또는, 도1b와 같이 물기흡수부(100)를 빗살(200)에 끼울 수 있도록 제작하여 사용자가 물기흡수부(100)를 빼내어 짜서 다시 사용할 수 있고, 오랜 사용으로 열화된 경우에는 새것으로 교환할 수 있도록 제작할 수도 있다.
물기흡수부(100)는 물기를 되도록 많이 흡수하는 재질의 것으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수영용 타월로 널리 보급되어 있는 PVA(polyvinyl alcohol)스폰지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2a, 2b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으로, 헤어드라이어가 적용된 브러시(300')를 나타낸다. 브러시의 각 살(돌출부)(200')의 바탕면(100')이 물기흡수부로 이루어진다. 제조공정중에 물기흡수부 바탕면(100')을 만든 다음에 브러시살(200')을 꽂아서 완성하면 된다. 본 실시예는 제1실시예의 경우보다 물기흡수부(100)의 표면적이 훨씬 넓기 때문에 젖은 모발로부터 물기를 흡수하는 양이 더 많아지므로 효율적인 헤어드라이어가 될 수 있다.
도3은 본 고안의 제3실시예를 나타낸다. 도2a, b의 실시예와 유사하지만, 제3실시예는 브러시살(200')이 물기흡수부(100')에 별도로 삽입되어 조립되는 것이 아니라, 물기흡수부(100')와 일체로 된 빗살부(110)가 브러시살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로써 물기흡수부(100')의 표면적이 제2실시예의 경우보다 훨씬 넓어져 훨씬 더 물기제거 효과가 커질 수 있다.
도4a와 도4b는 도3에 도시한 브러시의 분해도이다. 브러시 몸체(300)에 물기흡수부(100)가 접착재(400)를 통해 부착되는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빗살부(110)가 물기흡수부(100)와 일체로 형성되기 때문에 훨씬 더 물기 흡수 효과가 커지는 것은 물론이고, 물기흡수부(100)의 제작공정이 훨씬 더 단순해진다. 즉, 한번의 성형으로 빗살부(110)가 포함된 물기흡수부(100)를 제작할 수 있다.
도면에는 접착재(400)에 의한 물기흡수부(100)의 부착에 대해 도시하고 있지만, 이 물기흡수부(100)는 용이하게 브러시로부터 분리하여 흡수된 물을 짜내거나 세척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가령, 접착재(400)로는 탈착이 용이한 벨크로를 사용할 수도 있다.
도4c와 도4d는 도4b의 A부 확대단면도이다. 본 제3실시예에서는 빗살부(110)가 물기흡수부(100)와 일체로 형성되기 때문에 빗살부(110)의 강도가 약해 브러시 또는 빗으로서의 역할을 다하기가 곤란할 수 있다. 이를 피하기 위하여, 도4c와 도4d와 같은 구조로 물기흡수부를 제작하면 빗살부(110)의 강도를 높힐 수 있어, 물기흡수 역할과 함께 브러시로서의 역할도 충실히 할 수 있다. 즉, 빗살부(110)의 내부에 빗살심(130a,b 또는 140)을 삽입하는 것이다.
도4c는 낱개의 빗살심(130a, 130b)이 각 빗살부(110)에 대해 서로 독립적으로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도4d는 빗살심(140)이 다수의 빗살부(110)에 대해 연결되어 각 빗살부(110)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빗살심은 금속재질로 핀형상으로 날카롭게 제조되어 각 빗살부(110)에 삽입될 수도 있고, 물기흡수부(100)의 성형시에 함께 삽입되는 이른바 '인써트성형'에 의해 삽입될 수도 있다. 빗살심은 또한, 합성수지로 제작될 수도 있다.
도4c의 경우에는 각 빗살부(110)가 서로 유연하게 적당히 휠 수 있으므로, 종래의 브러시와 같이 사용하기가 자연스러운 장점이 있는 반면에, 각 빗살심(130a,b)이 각각 독립적이므로 생산공정과 생산단가가 다소 증가할 수 있는 단점이 있다.
도4d의 경우에는 각 빗살심(140)이 일체로 형성되기 때문에 빗살심의 제작이 용이하고 제조단가가 낮은 장점이 있지만, 각 빗살부(110)가 도4c의 경우보다는 전체적으로 강직되어 사용이 다소 불편해질 수 있는 단점이 있다.
본 고안의 효과는 일반적인 빗과 같이, 사용상 특별한 교육이나 주의가 필요없이 편리하게 사용이 가능하고, 모발을 세척한 후 모발에 열풍이나 기타 손상을 줄만한 일체의 어떤것도 가하지 않고 신속하게 모발의 형태를 엉키지 않게 유지하며 물기를 닦아 건조시킴으로써 모발에 손상이 없고, 크기가 일반빗과 같은 크기여서 소지가 용이하며, 모발의 수분을 신속히 없애서 모발의 형태를 자연스럽게 유지하여 건조하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긴머리의 세척후 물기를 건조시키는데 유리하다.

Claims (5)

  1. 모발을 빗는 물품의 모발이 닿는 부위에 물기흡수부가 부착되어, 세발후 상기 물품으로 모발을 빗을 때에 모발에 남아있는 물기를 물기흡수부가 흡수하여 모발을 건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드라이어.
  2. 청구항 1에서, 물기흡수부는 모발을 빗는 물품의 빗살 부분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드라이어.
  3. 청구항 1에서, 물기흡수부는
    물기흡수부와 일체로 수직 돌출되는 다수의 빗살부,
    빗살부의 내부에 삽입되어 빗살부의 형상을 유지하는 빗살심,
    물기흡수부의 빗살부 반대면에 부착되어 물기흡수부를 모발을 빗는 물품에 부착시키는 접착재를 포함하는 헤어드라이어.
  4. 청구항 3에서, 빗살심은 각 빗살부마다 분리되어 독립적으로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드라이어.
  5. 청구항 3에서, 빗살심은 다수의 빗살부에 대해 서로 연결되어 각 빗살심이 각 빗살부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드라이어.
KR2020000018252U 1999-06-28 2000-06-27 헤어드라이어 KR20020610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8252U KR200206108Y1 (ko) 1999-06-28 2000-06-27 헤어드라이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1804 1999-06-28
KR2019990011804 1999-06-28
KR2020000018252U KR200206108Y1 (ko) 1999-06-28 2000-06-27 헤어드라이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6108Y1 true KR200206108Y1 (ko) 2000-12-01

Family

ID=266349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8252U KR200206108Y1 (ko) 1999-06-28 2000-06-27 헤어드라이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610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0903B1 (ko) 2007-08-16 2009-02-03 (주)용성엔지니어링 모발의 건조 기능을 갖는 머리 빗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0903B1 (ko) 2007-08-16 2009-02-03 (주)용성엔지니어링 모발의 건조 기능을 갖는 머리 빗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1013739A1 (ja) 頭皮洗浄具
JPH0755163B2 (ja) 吸水乾燥ヘアブラシ
KR200206108Y1 (ko) 헤어드라이어
KR101397121B1 (ko) 가발 건조장치
JPH0529618Y2 (ko)
KR200166280Y1 (ko) 머리솔
KR200323517Y1 (ko) 헤어 브러쉬
KR200206107Y1 (ko) 헤어드라이어
KR200438530Y1 (ko) 손가락 삽입식 칫솔
JPS6290080U (ko)
JP4057570B2 (ja) 自立式洋服ブラシ
KR200316045Y1 (ko) 고흡수성 모세관 구조를 가진 빗살을 이용한모발신속건조 기능성 머리빗
KR200323482Y1 (ko) 콤팩트형 헤어 브러쉬
KR200379270Y1 (ko) 귀소제용 면봉
JPH0368804U (ko)
JPS6022868Y2 (ja) ブラシケ−ス
JP2005194678A (ja) すっぽり巻き
JP2004121646A (ja) 摺洗具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8049096A (ja) パーマ液垂れ付着防止ヘアーバンド兼用ケープ
JP3031338U (ja) 手 袋
KR960004226Y1 (ko) 수세미
KR940007143Y1 (ko) 로울러 소제기
KR200236437Y1 (ko) 뭉치부가 형성된 세척타올
KR200236230Y1 (ko) 칫솔모와 스폰지가 부착된 휴대용 비누
JPH0340270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100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