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6022Y1 - 즉석 개표가 가능한 개량 투표함 - Google Patents

즉석 개표가 가능한 개량 투표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6022Y1
KR200206022Y1 KR2019980014025U KR19980014025U KR200206022Y1 KR 200206022 Y1 KR200206022 Y1 KR 200206022Y1 KR 2019980014025 U KR2019980014025 U KR 2019980014025U KR 19980014025 U KR19980014025 U KR 19980014025U KR 200206022 Y1 KR200206022 Y1 KR 20020602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llot box
voting
candidate
ballot
coun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1402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03728U (ko
Inventor
양해완
Original Assignee
양해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해완 filed Critical 양해완
Priority to KR201998001402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6022Y1/ko
Publication of KR2000000372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372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602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6022Y1/ko

Links

Landscapes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Time Recorders, Dirve Recorders, Access Control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지금까지 일반화된 투표함의 구성을 개량한 것으로 본 고안의 특징은 투표함에 자동 카운팅 장치를 내장하여 투표와 함께 각 후보자별 투표수를 즉시 개봉하여 확인할 수 있도록 하므로서 투표의 편의성과 관리상의 효율성 및 경제성을 도모 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즉, 본 고안은 후보자별로 독립되는 투표함(1)을 구비하여 각 투표함(1) 내부에 각 후보자의 득표수를 확인할 수 있는 개별카운터(4)를 설치하고 뚜껑(2)에는 삽입공(7)이 개구된 안내구(6)를 설치하여 안내구(6) 하측에 투표카드(9)의 통과 숫자를 표시 할 수 있고, 센서(5)를 내장 설치하며 각 투표함(1)의 개별카운터(4)로 부터는 이들의 합산치를 동시에 나타낼 수 있는 종합카운터(8)를 별도로 연결 배선하여 외부에서 총 투표자를 확인 할 수 있게 한 것에 요지가 있다.

Description

즉석 개표가 가능한 개량 투표함{Remake ballot box}
본 고안은 지금까지 일반화된 투표함의 구성을 개량한 것으로, 본 고안의 특징은 투표함에 자동 카운팅 장치를 내장하여 투표 종료와 함께 각 후보자별 득표수를 즉시 개봉하여 확인할 수 있도록 하므로서 투 개표의 편의성과 관리상의 효율성 및 경제성을 도모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종래의 전통적인 투표방식은 투표용지에 후보자를 기호순에 따라 일괄 인쇄표시한 후 이를 투표할시에는 절취선을 떼어 수집함에 넣고 기표소에 들어가서 붓대롱으로 인주를 찍어서 선택 후보자의 표기란에 기표하고 이를 다시 기표소 밖에 설치된 투표함에 넣어 보관한 후, 투표가 종료 되었을때에 각종 운송수단을 강구하여 일괄적으로 투표함을 개표소에 집결시킨 후 다수의 개표인원에 의해 수작업으로 개표집계를 하는 방식을 취해왔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투표방식과 투표함의 구성은 투표과정이 복잡하고 까다로우며 투표와 개표에 이르는 전체 선거과정에 수많은 인력과 장비 등의 예산이 동원되므로 경제적인 부담이 크고 투개표의 정확성이 비교적 부정확하므로 선거 후 재검표 등의 부작용이 빈발하는 등 문제점이 다대하였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각종 선거절차상의 고비용 저효율의 폐단을 효과적으로 시정하기 위하여 투표절차의 간편화, 개표의 능률화를 도모케 한 것이다.
투표지를 사용하는 종래의 일반적인 선거 방식은 기표와 개표라는 2개 과정을 필수적으로 거치므로 절차상의 번잡성과 다수인력의 소요가 불가피한 것이다.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가장 효율적으로 개선하기 위하여서는 붓대롱 기표방식과 각 투표함의 일괄집결에 의한 통합개표방식 및 수작업에 의한 검표방식을 지양하지 않으면 안된다.
본 고안은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투표함을 각 후보자별로 구비하여 기표소에 설치하고 해당 투표함마다 내부에 개별카운터를 내장하며, 선거 참관인석에는 총 투표량 확인을 위한 종합 카운터를 누구나 확인 가능하게 설치하므로서, 투표의 공정성을 유지하면서 투표과정의 편의성, 개표의 신속정확성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본 고안의 구성을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구성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요부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사용되는 선거후보자 표시물과 투표용구의 구성도
도 4는 투표의 실제상황을 설명하기 위한 기표소와 참관인실의 배치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투표함 2:뚜껑
3:잠금장치 4:개별카운터
5:센서 6:안내구
7:삽입공 8:종합카운터
9:투표용 카드 10:홍보인쇄물
A:기표소
본 고안은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기표소A에 각 후보자별로 독립되는 투표함1을 복수로 개별 설치하여 투표자는 자기가 선호하는 후보자 전용투표함에 투표용 카드9를 투입하게 하여 붓대롱식 직접표기방식이 아니라 티켓식 투입 기표방식을 취하게 하고, 선거 참관인석에는 총 투표자의 숫자만이 나타나는 종합카운터8를 설치하여 1사람이 2이상의 투표용 카드9를 집어넣을시 불량투표 카드(이물 등)를 사용하는지의 여부를 쉽게 감시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전자 카운터식 투표장치를 구성하려는데 목적이 있다.
도 1은 상기 본고안의 투표함의 구성사시도로서, 각 투표함1은 후보자별로 독립된 함체로 되어 뚜껑2 및 잠금장치3에 의해 봉인되며 각 투표함의 뚜껑2에는 도 3과 같이 선거종별, 기호, 소속정당, 후보자의 사진 및 이름이 표시되는 홍보인쇄물10을 부착한다.
이러한 홍보물의 부착은 투표자가 보다 손쉽게 후보자를 식별할 수 있어 실수에 의한 타후보의 투표를 근원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투표함1의 내측벽에는 개별 카운터4(디지털 또는 아날로그식 숫자표시 카운터)가 설치되고 뚜껑2의 저면에는 투표카드 감지센서5가 부착되며 이 센서5의 사이에 삽입공7이 천공된 안내구6가 부착된다.
그리고 안내구6의 삽입공7은 주화 등 불량 이물질이 통과할 수 없을 정도로 폭이 좁게 형성하여 이의 규격에 꼭 맞는 투표용 카드9(즉 투표를 위하여 특별히 준비된 투표용 카드9)를 도 3과 같이 선거용임을 표시하여 다수 준비하였다가 선거관리위원회에서 각 투표자의 신분확인시 투표용지를 나누어주듯 한 장씩 나누어주고 이를 기표시에 각 후보자의 투표함1위에 설치된 투입안내구측 삽입공7에 삽입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각 투표함1의 개별카운터4로부터는 별도의 카운터 인가회로를 인출하여 이를 개별카운터4에 표시된 숫자가 합산되어 종합적으로 표시되는 종합카운터8를 연결설치하여 전술한 도 4의 예시와 같이 선거 참관인실에 종합투표숫자가 공개 표시되도록 한다.
이상과 같이 된 본 고안은 각 투표소에 기밀이 보장되는 기표소A를 설치하되 기표소A내에는 도 1과 같이 각 후보자별로 독립되는 투표함1을 설치하여 뚜껑2측에 잠금장치3 및 봉인장치로서 안전을 유지시킨다.
한편, 선거 참관인석(B) 등 공개된 장소에는 종합카운터8를 설치하여 누구나 종합카운터8의 숫자를 확인하면 그 시점까지의 총투표자수를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기표소A내는 기밀성이 유지되므로 투표자가 누구에게 투표하였는지를 알 수 없게되므로 투표의 비밀은 종래와 동일하게 보장된다.
이 상태에서 투표자는 선거관리 위원으로부터 신분을 확인 받고 얇은 투표카드9 한장을 교부받아 기표소에서 자기가 선택한 후보자의 투표함1 상측에 부착된 안내구6의 삽입공7에 투표카드9를 집어넣는다.
이렇게 되면 투표카드9가 투표함1의 내부로 떨어지면서 뚜껑2 하측의 센서5 사이를 경유하므로 투표카드9가 한장씩 떨어질때마다 개별카운터4에는 하나씩 숫자가 증가표시된다.
투표가 계속중에는 각 후보자별 투표함1 내부의 개별카운터4가 작동하여 당해 후보자의 득표수가 비밀상태에서 표시기록되고, 참관인석에는 각 투표소의 총투표수만이 표기되어 언제든지 총 투표자의 확인이 가능하다.
투표가 종결 되었을 시에는 참관인들이 함께 참관하여 각 투표소 별로 투표함1의 뚜껑2을 봉인해제와 함께 개봉을 하게되며, 개별 카운터4에는 당해 후보자의 총 득표수가 즉시에 나타나므로 별도의 개표과정을 거칠 필요가 없이 투표소에서 개표를 동시에 할 수 있고, 개표에 따르는 별도의 시설이나 운송, 인력, 경비 및 시간이 요하지 않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투표함1을 채용하는 경우 종래와 같은 개표시설이나 개표작업 등 개표시간이 요하지 아니하며 각 후보자별 득표수가 종합카운터(8)의 숫자와 일치되는 것을 확인하면 재검표 등을 할 필요도 없이 정확한 검표가 동시에 이루어지는 것이다.
본 고안의 투표함1은 그 구조가 매우 간단하고 기존 상품화된 콤팩트형 카운터기구를 이용하여 염가로 제작 보급 할 수 있으며 반복사용으로 반영구적 사용이 가능하여 경제성 면에서 매우 유리하다.
한편, 개별카운터(4)와 종합카운터(8) 등에는 플레쉬메모리 등과 같이 정전시에도 입력내용이 소거되지 않는 장치를 적용하여 구성하게 되면 비상시 발생되는 정전사고에 대하여서도 충분히 대처하여 안전하고 효과적인 투,개표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투표함1의 구성을 후보자별 개별함체로 형성하고 그 내부에 개별카운터4와 외부에 종합카운터8를 함께 설치하므로서 투표의 기밀성을 유지하면서 투표 전과정의 편의성과 운영의 효율성을 도모할 수가 있고, 또한 별도의 개표과정이 불필요하므로 개표의 신속성, 정확성을 기할 수 있어서 고질적인 투표과정의 고비용 저효율성을 일거에 시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투표함의 구성에 있어서,
    후보자별로 독립되는 투표함1을 구비하여 각 투표함1 내부에 각 후보자의 득표수를 확인할 수 있는 개별카운터4를 설치하고 뚜껑2에는 삽입공7이 개구된 안내구6를 설치하며 안내구6 하측에 투표용 카드9의 통과 숫자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5를 내장 설치하여 각 투표함1의 개별카운터4로부터 이들의 합산치를 동시에 나타낼 수 있는 종합카운터8와 별도로 연결 배선함으로서 외부에서 총 투표자를 확인할 수 있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즉석 개표가 가능한 개량 투표함.
KR2019980014025U 1998-07-24 1998-07-24 즉석 개표가 가능한 개량 투표함 KR20020602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4025U KR200206022Y1 (ko) 1998-07-24 1998-07-24 즉석 개표가 가능한 개량 투표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4025U KR200206022Y1 (ko) 1998-07-24 1998-07-24 즉석 개표가 가능한 개량 투표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3728U KR20000003728U (ko) 2000-02-25
KR200206022Y1 true KR200206022Y1 (ko) 2000-12-01

Family

ID=195364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14025U KR200206022Y1 (ko) 1998-07-24 1998-07-24 즉석 개표가 가능한 개량 투표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6022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49773A (ko) * 2000-12-20 2002-06-26 이구택 엘보관내의 지금제거장치
KR20010069536A (ko) * 2001-04-13 2001-07-25 백종문 부정 방지 투표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3728U (ko) 2000-0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99723B2 (en) Automated voting system
US5610383A (en) Device for collecting voting data
US8814045B1 (en) Voting station and voting system
US8261985B2 (en) Manual recount process using digitally imaged ballots
US20020066780A1 (en) Voting systems and methods
US8011582B2 (en) Voting system
US20060202031A1 (en) Reader for an optically readable ballot
KR100537564B1 (ko) 전자투개표 및 전자선거시스템
US8136729B2 (en) Ballot tabulation device and method for tabulating paper ballots printed according to ballot style
Jones The evaluation of voting technology
US20090283597A1 (en) Electronic Voting Device, and Corresponding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KR200206022Y1 (ko) 즉석 개표가 가능한 개량 투표함
US8413880B2 (en) Voting apparatus with secure ballot box assembly
WO2006112748A1 (fr) Procede de vote secret utilisant un dispositif automatise de traitement de bulletins de vote
US8063885B2 (en) Ballot marking system and apparatus utilizing pivotal touchscreen
US20080173715A1 (en) System and method for electronic voting, using existing ATM network and ATMs associated therewith
US20040078261A1 (en) Automated vote counting
US20050145695A1 (en) Process and device for electronic voting
Parker Glossary Terms
ZA200408999B (en) A voting system and method.
EP3525182A1 (en) Electronic voting system
Suleiman et al. The Role of Technology in Election management with example from five Democracies
RU38981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роведения голосования
TWI714997B (zh) 投票防弊裝置及使用其進行投票之方法
US412761A (en) Apparatus for us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918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