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37564B1 - 전자투개표 및 전자선거시스템 - Google Patents

전자투개표 및 전자선거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37564B1
KR100537564B1 KR10-2005-0021591A KR20050021591A KR100537564B1 KR 100537564 B1 KR100537564 B1 KR 100537564B1 KR 20050021591 A KR20050021591 A KR 20050021591A KR 100537564 B1 KR100537564 B1 KR 1005375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ting
electronic
electronic voting
election
el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215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102046A (ko
Inventor
김용희
이성룡
백두성
이동규
김기병
양광석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대한민국
Priority to KR10-2005-00215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37564B1/ko
Publication of KR200501020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020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375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37564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1/00Table-ware
    • A47G21/14Knife racks or stands; Holders for table utensils attachable to plates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투개표 및 전자선거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통합선거인명부확인시스템, 전자투표시스템, 전자개표시스템, 전자선거관리시스템으로 구성된다. 통합선거인명부확인시스템은 온라인을 통한 실시간 통합선거인명부 조회를 통하여 선거인 본인 확인 및 이중투표여부를 확인하고 디지털 서명 후 전자투표권을 발급하는 기능이 있다. 통합선거인명부와 상호 독립적으로 운영되는 전자투표시스템은 전자투표기에 외부 저장매체를 통하여 입력된 전국 선거구의 후보자 정보의 이미지 파일을 저장시키고 전자투표권에 저장된 정보에 따라 선거인이 속한 선거구의 후보자 정보의 이미지 파일을 디스플레이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전자투표권을 삽입함으로써 선거인에게 자동으로 투표절차를 안내하며 투표결과를 암호화하여 저장매체에 이중으로 저장하고 또 투표기록지에 투표결과를 인쇄하여 선거인에게 보여주는 기능이 있다. 전자개표시스템은 전자투표기에 저장된 투표결과를 오프라인 방식으로 취합하여 개표하고 필요시 저장매체와 투표기록지를 비교하여 검표를 수행하는 검표시스템을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은 온라인 실시간으로 통합선거인명부를 활용하는 시스템과 상호 독립적 또는 네트워크 연결이 가능한 전자투표기를 활용함으로써 해킹 및 자료조작에 대한 우려를 근본적으로 제거하였으며 투표기록지를 별도 보관함으로써 투개표의 신뢰성을 제고하였다.

Description

전자투개표 및 전자선거시스템{ELECTRONIC VOTING AND ELECTION SYSTEM}
본 발명은 전자투개표 및 전자선거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네트워크 상에 공유되는 통합선거인명부 확인시스템과 상호 독립적으로 운영되는 전자투표시스템으로 구성되는 분리방식을 채용하여, 외부로부터의 해킹이나 오류발생 등에 효과적으로 대응하여 안정적인 시스템 운영이 가능한 전자투·개표 및 전자선거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대통령이나 국회의원 등의 선거에서 선거인은 투표소에 가서 투표용지의 후보자를 선택하고, 투표지를 투표함에 넣는다. 그 다음 투표의 개표 및 집계는 수작업으로 행해진다. 따라서 투표 및 집계 작업을 행하는 데에 많은 시간과 노력이 소요되며, 집계 오차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수작업 위주의 투표 및 개표의 문제점을 해결하면서 선거분야에서도 첨단 정보기술 활용으로 투표 및 집계 사무를 신속·정확하게 관리하여 선거관리의 효율을 도모하고자 전자투표기 및 전자투표시스템이 제안된 바 있다.
예를 들어, 한국특허 제0133954호에 개시된 전자투표시스템의 특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즉, 각 투표소마다 1대 또는 복수대의 선거단말장치가 설치된다. 각각의 선거단말장치의 득표수 카운터 버퍼에 축적된 각 입후보자의 득표 데이터는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단말제어장치에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전송된다. 단말제어장치는 예를 들면, 특정 지역단위로 설치된다. 단말제어장치는 각 선거단말장치에 축적된 득표 데이터를 수신하여 입후보자별로 득표 데이터를 집계한다. 또한, 단말제어장치에 의하여 집계된 득표 데이터는 주컴퓨터로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전송된다. 주컴퓨터는 단말제어장치 또는 선거단말장치로부터 전송된 득표 데이터를 집계한다.
전자투표시스템에 관한 종래기술의 다른 예로써, 본 발명의 출원인이 출원하여 특허등록받은 한국특허 제407076호에 개시된 전자투표시스템이 있다.
상기 종래기술은, 시스템을 운용하는데 필요한 데이터와 응용 프로그램을 내장한 전자투표 제어기와, 전자투표 제어기와 케이블을 통하여 연결된 전자투표기를 포함하는 전자투표시스템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전자투표 제어기와 전자투표기는 신-클라이언트(Thin-Client) 환경에서 네트워크를 구현하며, 전자투표기에는 WBT(windows based terminal)의 기술이 채용되어, 선거인의 사용 편리성이 증대되고, 중앙 집중화된 네트워크 관리가 가능하며, 시스템 구축 비용이 최소화되는 효과가 있었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 따른 전자투표시스템은 모든 구성요소가 네트워크를 통하여 연결되어 있어서 외부로부터의 해킹 시도나 특정 구성요소에서 동작 오류가 발생되는 경우에 전체 시스템의 운영에 지장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한 본 발명의 목적은, 통합선거인명부 확인시스템을 네트워크 상에서 공유하고 전자투표시스템을 상호 독립적으로 운영함으로써 외부로부터의 해킹 시도나 시스템 오류 등의 비상사태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전자투개표 및 전자선거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투표결과 데이터의 손상 또는 오류의 발생시에도 백업 시스템 또는 이중 저장장치 등을 통하여 신속한 개표 및 집계 작업이 가능하도록 하며, 투표 결과에 대한 분쟁 발생시 정확한 사후 검증이 가능한 전자개표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다양한 투표방식(종이투표, 전자투표)을 효과적으로 병행하여 사용하여, 선거인이 직접 자신에게 편리한 방법을 선택할 수 있는 수요자 중심의 민주적인 선거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투표시스템은, 네트워크로 연결된 통합선거인명부 DB 또는 단위선거인명부 DB를 검색하여 선거인에 대한 본인 확인을 수행하며, 상기 본인 확인 수단에 의한 상기 선거인의 본인 확인 및 이중투표 여부의 확인이 성공적으로 완료되면 상기 통합선거인명부 DB 또는 단위선거인명부 DB에 실시간 저장방식을 통하여 투표여부를 저장하는 선거인 본인 확인 단말기와, 선거 및 선거구 정보, 전자투표기 내에 저장된 소속 선거구의 후보자 조합의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게 하는 기능 및 투표완료 후 저장된 정보를 소거하는 기능을 갖춘 전자투표권을 발행하는 전자투표권 발행기와, 상기 통합선거인명부 DB와 상호 독립적인 오프라인 방식으로 운영되며 상기 선거인이 상기 전자투표권을 투입하면 상기 선거인에게 기표 절차를 안내하며 상기 선거인에 의한 투표결과를 저장하는 전자투표기를 포함하며, 상기 전자투표기는, 전국의 모든 선거구의 등록된 후보자 조합의 이미지를 저장하는 후보자정보 저장장치와, 상기 전자투표권에 저장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후보자정보 저장장치에 저장된 상기 선거인이 속한 선거구의 후보자 조합의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표시장치와, 상기 표시장치에 디스플레이된 후보자 중의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입력장치와, 상기 투표결과를 저장하는 투표결과 저장매체와, 상기 투표결과를 투표기록지에 문자 및 바코드로 인쇄 및 출력하기 위한 출력장치를 구비한다.
상기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전자투표권은 스마트 카드, 마그네틱 카드, RFID 카드 또는 바코드 등이 인쇄된 카드를 포함하는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출력장치는 전자투표기의 내부 또는 외부에 별도로 설치될 수 있으며, 투표기록지에는 검표시 투표결과를 쉽게 알 수 있도록 투표결과를 포함한 정보를 나타내는 바코드 등 다양한 형태로 인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투개표시스템은, 상기 전자투표시스템을 포함하며, 상기 투표결과 저장매체에 저장된 정보를 입력하는 투표 결과 입력 단말기와, 상기 투표결과 입력 단말기와 연결되어 각 선거별 또는 선거구별로 투표결과를 개표 및 집계하는 선거관리시스템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검표시스템은, 상기 전자투표시스템에서 인쇄 및 출력된 투표기록지를 이용하여 검표를 수행하며, 상기 투표기록지에 인쇄된 정보를 입력하는 입력장치와, 상기 입력된 정보에 기초한 검표 결과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와, 상기 검표 결과를 검색하는 검색장치를 포함한다.
삭제
본 발명의 실시예로는 다수개가 존재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의 목적, 특징 및 이점들을 보다 잘 이해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투표시스템에 의하여 투표 절차가 수행되는 과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투개표시스템을 이용한 전자투표의 절차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전자투개표시스템과 분리되어 상호 독립적으로 운영되는 통합선거인명부 확인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투표소에 입장한 선거인은 먼저 선거관리요원에게 신분증을 제시하고 선거관리요원은 전용망에 연결된 컴퓨터 단말기(선거인 본인 확인 단말기)(102)를 이용하여 통신망(104) 및 DB(database) 서버(106)를 통해 통합선거인명부 DB(108)에 접속하여 선거인명부 확인 절차를 수행한다. 여기서, 통합선거인명부 DB(108)는 전국 또는 지역 단위로 통합하여 작성된 선거인 정보를 저장한 DB로써, 선거 관련 담당자에 의해 직접 작성되거나, 자치단체 관할기관(구시군)으로부터 선거인명부 정보가 저장된 기록 매체를 전달받아 구축하거나, 네트워크를 통해 선거인명부 정보를 온라인으로 전송 받아 구축할 수 있다. 또한, 선거인에 관한 정보에 변동이 발생되는 경우에 실시간으로 그 변동사항이 통합선거인명부 DB(108)에 반영될 수 있도록 하고, 선거인의 투표 여부를 실시간으로 확인하여 모든 종류의 투표시스템에 있어서 이중투표를 방지할 수 있게 한다.
만약, 선거인 본인 확인 단말기(102)와 통합선거인명부 DB(108)와의 네트워크 연결이 단절되는 경우를 대비하여, 각 투표소에는 예를 들어 각 선거구별 또는 투표소별의 단위선거인명부 DB(110) 또는 서류로 작성된 선거인명부가 구비되어 운영될 수 있다. 선거인 본인 확인 단말기(102)는 통합선거인명부 DB(108)와의 네트워크 연결이 단절되는 경우에는 소규모의 지역 네트워크에 연결된 각 선거구별 단위선거인명부 DB(110)에 연결될 수도 있으며, 각 투표소별 단위선거인명부 DB(110)를 이용하여 그 기능을 계속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연결이 복구된 경우에는 그때까지 진행된 선거인 본인 확인 결과를 통합선거인명부 DB(108)에 실시간으로 저장하여 업데이트할 수 있다.
선거관리요원은 선거인명부 확인 절차를 통하여 유권자 여부, 이중투표 여부 등을 확인하고, 선거인으로 하여금 전자 서명기(112)를 이용하여 전자서명(전자펜, 홍채인식, 지문인식 등)을 하게 함으로써 선거인에 대한 본인 확인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본인 확인 절차는 전자펜을 이용한 전자서명 외에도 지문인식, 홍채인식 등의 생체인식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선거인명부 확인 및 본인 확인 절차가 완료되면, 통합선거인명부 DB(108)에 선거인의 투표여부를 실시간 저장방식으로 저장하며, 선거관리요원의 명령 입력에 따라 전자투표권 발행기(114)는 선거 및 선거구에 관한 정보, 소속 선거구의 후보자 조합의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게 하는 기능 및 투표완료 후 저장된 정보를 소거하는 기능을 갖춘 전자투표권을 선거인에게 발행한다. 여기서, 전자투표권은 바람직하게는 스마트 카드의 형태로 구현되지만, 그 외에도 마그네틱 카드, RFID 카드 또는 바코드 등이 인쇄된 카드의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선거인명부 확인 및 본인 확인 절차의 수행에 따른 결과를 통합선거인명부 DB(108)에 저장할 때에는 선거인 검색 순서대로 저장할 수도 있으나 전국의 행정서열 순서에 의하여 실시간으로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자투표권을 발행 받은 선거인은 투표소에 설치된 기표소에 입장하여 투표를 수행한다. 선거인은 발급 받은 전자투표권을 전자투표기에 투입함으로써 투표 절차를 시작하게 된다. 즉, 선거인이 입장하는 각 기표소의 전자투표기의 내부에는 전국의 모든 후보자에 관한 정보가 저장되어 있으며, 저장된 후보자 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선거인이 속하는 선거구별로 후보자 조합의 이미지가 음성안내에 함께 자동으로 터치스크린과 같은 모니터에 디스플레이되며, 선거인은 상기 절차에 따라 투표를 하게 된다.
도 3은 각 기표소에 설치된 전자투표기의 일예의 외형도이며, 도 4는 전자투표기의 일예의 내부 구조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투표기 제어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전자투표기 제어장치는 전자투표권 투입기(302), 전자투표권 인식부(304), 암호화 모듈(306), 안내음성 모듈(308), OS 프로그램(310), 투표 관리용 응용 프로그램(312), 터치 스크린 응용 프로그램(314), 저장매체 구동부(316), 후보자 정보 저장장치(318), 중앙 제어부(320), 터치 스크린(211), 모니터(213), 점자 키패드(220), 프린터(230), 이어폰(240), 회전 구동기(25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전자투표권 투입기(302)는 선거관리요원으로부터 전자투표권을 발급 받은 선거인이 투표 절차를 시작하기 위하여 전자투표권을 투입하면 이 전자투표권을 전자투표기 내부로 이송하고, 모든 투표 절차가 완료되면 중앙 제어부(320)의 제어신호에 따라 전자투표권을 외부로 배출한다.
전자투표권 인식부(304)는 전자투표권 투입기(302)에 의해 내부로 이송된 전자투표권에 기록되어 있는 정보를 판독한다.
OS 프로그램(310)은 전자투표기 제어장치가 공지의 퍼스널 컴퓨터와 같이 정보처리단말로 운용될 수 있도록 하는 운용체제로서, 일예로 마이크로소프트사의 윈도우프로그램이 채용된다.
투표 관리용 응용 프로그램(312)은 전자투표기 제어장치 및 전자투표기의 환경 설정과 선거 진행에 맞추어 전체 시스템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이다.
터치 스크린 응용 프로그램(314)은 전자투표기의 입력 수단인 터치 스크린(211)을 구동시키기 위한 장치 드라이버 및 제어 프로그램이다.
저장매체 구동부(316)는 이후에 설명될 기표절차에 따라 결정된 투표결과를 저장매체(950)에 저장하기 위한 투표결과 저장장치이며, 보안을 강화하기 위한 필요에 따라 투표결과는 암호화 모듈(306)에 의해 소정 암호화 방식에 따라 암호화되어 저장매체(950)에 저장된다.
후보자 정보 저장장치(318)는 전국의 모든 선거구의 후보자에 관한 정보를 이동 가능한 저장매체에 저장하는 것으로서, 이러한 후보자 정보에 의해 선거인이 속한 선거구의 후보자 조합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안내 음성 모듈(308)에는 선거 진행 절차를 안내하기 위한 음성 데이터가 저장된다.
터치 스크린(211)은 모니터(213)에 장착된 터치 패널을 통한 입력을 중앙 제어부(320)로 전달하는 입력 수단이며, 점자 키패드(220)는 패드 상면에 점자가 양각된 키패드로서 터치 스크린(211)과 동일하게 정보를 입력 및 선택할 수 있는 입력 수단이다.
이어폰(240)은 안내 음성 모듈(308)로부터 추출된 음성 데이터를 외부로 송출하며, 프린터(230)는 터치 스크린(211) 또는 점자 키패드(220)를 통한 입력에 의거하는 투표 결과를 투표기록지에 인쇄하여 출력한다. 회전 구동기(255)는 프린터(230)의 동작에 연동하여 투표기록지를 수거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중앙 제어부(320)는 OS 프로그램(310)과 투표 관리용 응용 프로그램(312) 및 터치 스크린 응용 프로그램(314)에 의거하여 상기한 전체 시스템을 제어한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터치 스크린(211)을 위한 터치 패널이 장착된 모니터(213)는 그 전면이 보호박스(250)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보호박스(250) 내에 설치된다. 도 3에는 모니터(213)가 본체와 일체형으로 제작된 형태가 도시되어 있으나 본체와 분리 제작되어 접합된 형태로 제작될 수도 있다. 프린터(230)는 투표기록지(260)에 투표 결과를 인쇄한 출력면이 보호박스(250)의 일측에 마련된 투시창(253)에 비춰지도록 보호박스(250)내의 선반(251) 상에 설치된다. 여기서, 프린터(230)는 전자투표기의 외부에 설치되어 접속 케이블을 통하여 전자투표기에 연결되는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으며, 투시창(253)은 선거인에 의한 투표 결과의 확인이 용이하도록 볼록렌즈로 구성될 수 있다. 도 3에는 전자투표기의 보호박스(250)를 불투명 재질로 제작된 형태를 도시하고 있으나, 투표기록지(260)에 투표결과가 인쇄되는 과정, 투표결과가 인쇄된 투표기록지(260)가 보관되는 과정 등을 선거인이 확인할 수 있도록, 보호박스(250)를 포함한 전자투표기의 외형을 투명한 재질을 사용하여 제작할 수도 있다.
투표결과가 인쇄된 투표기록지(260)에는 투표결과를 문자 또는 숫자로 표시할 뿐만 아니라 후에 설명될 검표 절차를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바코드 등이 추가로 표시된다. 일반적으로, 투표기록지(260)는 종이로 제작되지만, 종이 이외의 특수재질(예를 들어, 박막 필름)로 제작될 수도 있다.
또한, 점자 키패드(220)는 모니터(213) 설치 위치의 하부에 설치되고, 이어폰(240)은 점자 키패드(220)의 인근 위치에 배치되며, 프린터(230)의 인쇄 출력에 연동하여 회전되는 투표기록지 수거롤(270)이 선반(251)상의 프린터(230) 인근 위치에 설치되어 투표 결과가 인쇄된 투표기록지(260)를 감아서 보관한다. 여기서, 회전 구동기(255)는 프린터(230)의 동작에 연동하도록 투표 결과지 수거롤(270)을 회전시킨다.
도면 중 미설명 부호인 257은 보호박스(250)의 개폐를 위한 패널이고, 259는 보호박스(250)의 개방 상태에서 선반(251)을 외부로 인출하기 위한 가이드 레일이다. 도면에는 도시 생략되었으나 모니터(213) 설치 위치의 하부에는 키패드 보호용 덮개가 설치되고, 이 덮개 내부에 점자 키패드(220)가 배치되어 외부 충격 또는 불요한 조작으로부터 점자 키패드(220)가 보호된다.
전자투표기에 설치된 점자 키패드(220)와 이어폰(240)은 시각장애 선거인을 위한 기표 입력 수단 또는 기표 절차의 안내 수단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이어폰(240)을 통하여 선거인에게 기표 절차를 안내하기 위한 음성 안내가 수행될 수도 있다. 또한, 전자투표기의 모니터(213)의 전면에 터치 스크린(211)을 위해 장착되는 터치 패널은 선거인이 기표 절차를 수행하기 위한 입력수단으로써 예를 들어 내구성이 강한 강화유리로 제작될 수 있다.
한편, 도 4에서는 전자투표기의 프린터(230)에 의해 선거인의 투표결과가 인쇄된 투표기록지(260)가 수거롤(270)에 의해 감겨진 형태로 보관되는 구성이 도시되어 있으나, 수거롤(270)에 의해 감겨진 투표기록지(260)의 부피 제한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전자투표기의 외부에 투표기록지의 보급장치 및 보관장치를 별도로 설치하는 구성도 가능하다.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전자투표기에는 선거인의 전자투표권을 투입하기 위한 투입구가 별도로 구비되며, 이 투입구의 내부에 전자투표권 투입기(302)가 설치된다.
전자투표기는 투입된 전자투표권에 표시되거나 저장된 정보에 따라 해당 선거구의 후보자 조합의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여 선거인이 모니터(213), 즉 터치 스크린(213)에 나타난 화면의 내용에 따라 기표절차를 수행하게 된다. 선거인이 전자투표기의 투입구를 통하여 전자투표권을 투입하면, 그 전자투표권은 선거인이 투표절차를 완료할 때까지 전자투표기의 외부로 배출되지 않도록 한다. 또한, 선거인이 투표절차를 완료하기 전에는 전자투표권을 회수하지 못하도록, 전자투표권의 몸체 전체가 완전히 전자투표기에 투입되도록 한다.
전자투표권에 저장된 정보는 선거인의 투표절차가 완료된 후에 전자투표권에서 삭제되어 회수되도록 하고, 다른 선거인에 대한 선거정보 입력 절차를 통해 재사용될 수 있다. 또한, 선거인의 투표절차가 완료된 후에는 전자투표권이 전자투표기의 투입구를 통하여 자동 배출되도록 하며, 선거인이 투표절차를 완료한 후에도 전자투표권을 회수하지 않은 경우를 방지하기 위하여, 전자투표기에는 전자투표권이 자동 배출된 후 선거인에게 전자투표권의 회수를 알리는 음성안내를 수행하거나 일정한 시간이 경과하면 경고음 또는 경고신호를 출력하는 장치가 추가될 수 있다.
전자투표기에 설치되는 이와 같은 전자투표권의 회수를 위한 장치 외에, 투표를 마친 선거인이 퇴장하는 통로 등에는 전자투표권의 소지여부를 탐지할 수 있는 검색대가 설치될 수도 있다. 전자투표권의 소지여부를 탐지하는 검색대가 설치되는 경우에, 전자투표권은 RFID 태그를 이용하여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원활한 투표절차의 진행과 투표의 비밀보호를 위하여, 전자투표기가 설치된 기표소 외부에는 선거인의 투표진행 중에는 적색등, 투표완료 후에는 청색등이 점등되도록 하는 신호장치가 추가될 수 있다.
또한, 시스템 에러에 의한 데이터 손실에 따른 장애를 방지하기 위하여, 투표결과 저장매체(950) 또는 후보자정보 저장장치(318)는 동일 데이터를 중복적으로 저장하기 위한 서로 다른 종류 또는 동일 종류의 다수의 저장매체(예를 들어, HDD, FDD, CD, DVD, 플레쉬 메모리 카드 등)를 이용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전자투표기의 표면상에는 시스템 장애가 발생되었음을 알리거나 선거인의 투표절차 진행여부를 알리는 기능을 수행하는 별도의 표시장치(예를 들어, LED 표시장치)가 추가로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용전원의 순간정전, 불의의 정전, 부하급변, 전원전압의 변동, 전원잡음 등으로 인한 전원 이상을 방지하고 전자투표기 각각에 항상 안정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하여 AVR(Automatic Voltage Regulator) 기능이 내장된 UPS(Uninterruptible Power Supply)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전원 이상 등의 비상사태가 발생되는 경우에, 투표결과 저장매체 또는 후보자정보 저장매체에 기록된 가장 최근의 정보를 백업하기 위한 별도의 저장장치가 추가될 수 있다.
도 6은 도 2 내지 도 5를 통해 설명한 바와 같은 전자투개표시스템을 이용한 전자투표의 절차를 나타낸 흐름도이며, 도 7a 및 도 7b는 전자투표 중에 전자투표기 제어장치의 신호 처리과정을 보인 흐름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여 선거인의 기표 절차를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먼저,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선거인명부 확인 및 전자서명이 완료되면 선거관리요원은 해당 선거인의 시각 장애 여부를 확인한 후 해당 정보를 선거인 보인 확인 단말기(102)를 통해 입력한다. 물론 시각 장애자의 식별을 위한 정보가 선거인명부 DB(108)에 기 저장된 경우라면 선거관리요원이 별도의 입력을 수행할 필요는 없다(S401, S403).
전자투표권 발행기(114)를 통해 전자투표권을 발급 받은 선거인은 유후의 기표소에 입장한 후에 전자투표기의 전자투표권 투입기(302)에 전자투표권을 투입한다(S405, S407).
전자투표권이 전자투표기에 의해 판독되면 전자투표기의 안내에 따라 시각 장애자는 이어폰(240) 및 점자 키패드(220)를 활용하여 후보자를 선택하며(S409, S413), 정상인은 터치 스크린(211)을 활용하여 후보자를 선택하게 된다(S409, S411).
그리고, 선거인은 전자투표기의 안내에 따라 자신이 선택한 후보자를 한번 더 확인한 후에 투시창(253)을 통해 투표기록지(260)의 출력을 확인하며, 최종적으로 전자투표권 투입기(302)를 통해 전자투표권을 회수하면 모든 투표절차가 완료된다(S415∼S419).
전술한 바와 같은 투표절차 중에 전자투표기 제어장치의 신호 처리과정을 도 7a 및 도 7b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전자투표기는 초기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중에 전자투표권 투입기(302)를 통해 전자투표권이 삽입되는 가를 지속적으로 체크한다(S501). 이때 선거인의 전자투표권 투입을 안내하기 위하여 별도의 스피커를 통해 안내방송을 송출할 수도 있다.
전자투표권 투입기(302)를 통해 전자투표권이 투입되면 이를 전자투표기 내부로 이송하며, 전자투표권 인식부(304)는 전자투표권에 저장되거나 인쇄된 정보를 판독하여 중앙 제어부(320)로 제공한다(S503, S505).
그러면, 중앙 제어부(320)는 전자투표권 판독 정보에 근거하여 선거인의 장애자 여부를 확인하며(S507), 선거인이 정상인이면 터치 스크린(211)의 기능을 활성화하며, 장애자의 경우에는 점자 키패드(220)와 이어폰(240)을 활성화한다. 여기서 초기값을 터치 스크린(211)의 활성화 상태로 설정하고, 장애자의 경우에만 별도의 활성화 처리를 수행할 수도 있다.
당해 선거인이 정상인이면 점자 키패드(220)와 이어폰(240)은 비활성화하고 터치 스크린(211)만을 활성화한 상태에서 중앙 제어부(320)는 후보자정보 저장장치(318)에 저장된 선거구별 후보자 DB의 저장 데이터에 의거하여 해당 선거구의 등록된 후보자 정보를 추출하며(S509), 추출된 후보자 정보에 따라 디스플레이 모드를 결정한다(S511). 이는 후보자의 인원수에 따라 화면상의 후보자별 할당 크기를 달리하는 여러 가지 형태의 후보자 선택 화면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디스플레이 모드가 결정되면 전자투표기의 모니터(213), 즉 터치 스크린(211)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은 후보자 선택 화면이 디스플레이되며(S513), 전자투표기는 표시된 후보자에 관한 정보 및 후보자 선택 방법 등에 대해 화면 안내 또는 음성 안내를 수행한다.
선거인이 전자투표기의 안내에 따라 화면상의 특정 후보자 할당 영역을 누르면 터치 스크린(211)에 의하여 해당 좌표가 인식되고, 전자투표기는 해당 좌표 정보에 의거하여 선거인이 선택한 후보자를 식별하며(S515), 선거구별 후보자 DB를 검색하여 선택된 후보자의 상세 정보를 추출하여 모니터(213)에 출력한다.
이로서, 모니터(213)에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은 후보자 상세 정보 및 확인 화면이 디스플레이되고 이와 관련된 음성 안내가 수행되며(S517), 선거인에 의한 수정 버튼 또는 확인 버튼("예" 또는 "아니오")의 선택 정보는 상기의 좌표 정보 송수신 과정에 의하여 전자투표기에 입력된다(S519).
선거인이 시각장애 선거인인 경우에는 위에서 설명한 방식과는 다른 방식으로 기표 절차가 진행된다. 즉, 전자투표기는 터치 스크린 기능을 정지시키며(S601), 선거구별 후보자 DB의 저장 데이터에서 후보자 정보를 읽어 들인다(S603). 그리고 음성안내를 통하여 후보자의 기호 및 간략 정보를 이어폰(240)을 통해 출력한다(S605, S607). 이어폰(240)을 통해 후보자 정보를 제공받은 선거인이 점자 키패드(220)를 조작하여 특정 후보자를 선택하면(S609), 전자투표기는 해당 키 신호에 의거하여 선거인이 선택한 후보자를 식별하며, 선거구별 후보자 DB를 검색하여 선택된 후보자의 상세 정보를 추출한 후에 이어폰(240)을 통하여 선택 후보자의 상세 정보 및 확인 요청 음성을 출력한다(S611). 그리고, 선거인에 의한 점자 키패드(220)의 정정 버튼 또는 확인 버튼의 선택 정보는 상기의 키 신호 송수신 과정에 의하여 전자투표기에 입력된다(S613).
한편, 여러 가지 선거를 동시에 수행하는 경우에는 도 10과 같은 선거 대기 화면 또는 선거 안내 음성이 출력되어 선거인의 선거 수행을 안내하며, 상기와 같은 후보자 선택 절차가 해당 횟수만큼 반복 수행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니터(213), 즉 터치 스크린(211) 상에 표시된 확인 버튼("예" 또는 "아니오")의 선택에 의해서 후보자 선택이 완료되면, 전자투표기의 프린터(230)는 상기의 기표 절차에 따른 투표 결과를 투표기록지(260)에 인쇄하여 출력하는데(S521), 이때 선거인은 보호박스(250)의 일측에 마련된 투시창(253)을 통하여 인쇄 결과를 확인할 수 있다. 도 11a 및 도 11b는 투표 결과가 인쇄된 투표기록지(260)의 예시도로서, 단일선거일 경우에는 도 11a와 같은 인쇄 결과를 출력하고, 동시선거인 경우에는 도 11b와 같은 인쇄 결과를 출력한다. 도 11a 및 도 11b에는 후보자의 기호 및 이름만이 표시되었지만, 그 외에도 전자투표기의 고유번호, 지역코드(시도-구시군-투표구-일련번호-일자) 등이 함께 표시될 수도 있다.
후보자 선택 절차, 즉 기표 절차가 마무리되면 모니터(213), 즉 터치 스크린(211)에는 기표 절차가 종료되었음을 알리는 "종료" 버튼(도시되지 않음)이 표시된다. 선거인이 "종료" 버튼을 선택하면, 전자투표기의 전자투표권 투입기(302)는 투입되었던 전자투표권을 외부로 배출하고 수거롤(270)을 회전시켜서 투표결과가 인쇄된 투표기록지(260)를 보관함 등에 보관시키며, 도 12와 같은 종료 화면을 디스플레이하거나 이어폰(240)으로 종료 안내 음성을 출력한다(S523).
한편, 전자투표기의 중앙 제어부(320)는 상기한 기표 절차에 의하여 획득된 투표 결과 데이터를 저장매체 구동부(316)를 통해 투표결과 저장매체(950)에 저장한다. 이때 투표 결과 데이터는 암호화 모듈(306)에 의해 소정의 암호화 방식(예를 들어, PKI 방식)을 이용하여 코딩 후에 저장된다(S521).
상기와 같은 절차에 따라 투표가 완료되면 전자투표기 및 투표결과 저장매체(950)의 봉인 및 이송 절차가 수행되는데, 이는 각 투표소에 설치된 전자투표기의 내부에 설치된 투표결과 저장매체(950)와 투표기록지(260)를 지정된 개표소로 이동함으로써 수행된다.
개표소로 이송된 저장매체(950)는, 개표소에 설치된 선거관리시스템에 연결된다. 도 13은 투표결과 저장매체(950)가 개표소에 설치된 선거관리시스템(910)에 연결된 형태의 일예를 보여준다. 즉, 투표결과 입력 단말기(930/1∼930/k)는 전자투표기를 통한 후보자 선택 결과에 의거하는 투표결과 데이터가 암호화되어 저장된 투표결과 저장매체(950/1∼950/m)로부터 암호화된 투표결과 데이터를 읽어 들이고, 선거관리시스템(910)은 투표결과 입력 단말기(930/1∼930/k)와 네트워크 연결 제어 장치(예를 들어, 허브)(920)로 연결되어 투표결과를 선거별 또는 선거구별로 개표 및 집계한다.
한편, 선거관리시스템(910)의 개표 및 집계 결과는 후보자별, 선거구별로 정렬되어 디스플레이 장치(도시되지 않음)에 표시될 수 있다. 또한, 개표 및 집계 결과는 투표결과 저장매체의 해당 선거구를 우선으로 표시되며, 기타 선거구의 경우에는 행정서열의 순서로 추가로 표시될 수도 있다.
상기에서는 투표 관련 데이터가 기록 매체에 저장되어 오프라인 이송되는 예를 설명하였으나, 투표소의 전자투표기와 개표소의 선거관리시스템을 네트워크로 연결함으로써 이러한 개표 및 집계 절차는 온라인으로 수행될 수도 있다. 즉, 전자투표기에는 필요한 경우에 유선 또는 무선의 네트워크에 접속하기 위한 외부 네트워크 접속장치의 탈착이 가능한 인터페이스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개표소에서의 개표과정에서 참관인 등에 의한 이의제기가 있는 경우에는, 개표소에 취합된 투표결과 저장매체와 투표기록지를 지정된 검표시스템으로 이송하여 검표 절차를 수행하게 된다. 검표시스템은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투표기록지(260)에 표시된 정보(문자 정보 또는 바코드)를 입력할 수 있는 입력장치(702)(예를 들어, 바코드 입력장치), 후보자별 득표수, 투표지 등에 관한 데이터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장치(704), 검표결과를 검색하는 명령어를 입력하기 위한 검색장치(706), 검표시스템의 검표 처리를 위한 검표 응용 프로그램(708), 검표시스템의 전체 운용을 관장하는 검표 제어기(710)를 포함한다. 검표시스템의 검색장치(706)는 입력된 투표기록지(260) 정보를 1 페이지 씩 검색하는 기능, 저속 또는 고속으로 다수의 페이지를 연속적으로 검색하는 기능, 반복 검색 기능 등을 수행할 수 있다.
검표시스템의 디스플레이 장치(704)는 입력장치(702)에 의해 입력된 투표기록지(260)의 이미지 또는 바코드 판독 결과를 확대하여 출력하며, 검표 담당자가 판독 결과를 신속하고 용이하기 인식할 수 있도록 판독 결과를 가공하여 출력할 수도 있다. 또한, 검표 결과가 후보자별, 선거구별, 투표소별로 분류되는 상황은 시각적으로 인지하기 용이하게 예를 들어 동영상으로 표시될 수도 있다.
검표시스템은 앞서 설명한 전자투표기와 별도로 구성되지만, 전자투표기에 보관된 (투표결과가 인쇄된) 투표기록지(260)를 바로 입력할 수 있도록, 전자투표기에 탈부착 가능한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는, 전자투표기와 검표시스템이 결합된 투표·검표 복합기의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 투표기능과 검표기능의 절환이 가능하도록 하는 절환 스위치 또는 버튼을 전자투표기 또는 투표·검표 복합기에 설치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기표소에 설치된 전자투표기를 이용한 전자투표시스템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실제의 선거절차에서는 상기한 전자투표시스템과 함께 선거인의 기호 또는 투표소에 따라 투표용지를 이용한 투표시스템을 병행하여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5는 투표용지를 이용한 투개표 절차를 도시하고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한편, 상기한 여러 가지의 전자투개표시스템 중 네트워크로 연결된 상태(온라인 상태)에서 진행되는 절차에 대해서는, 필요에 따라 오프라인 상태로의 전환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한 전자투개표시스템의 외부로부터의 해킹 시도 등에 효율적으로 대비하기 위하여 네트워크 상에 방화벽 시스템을 추가로 구축할 수도 있다.
상기한 전자투표시스템은 기존의 투표소 외에도 선거인의 왕래가 잦은 곳(백화점, 시장, 공단 입구, 전철역 입구, 유원지 입구, 고속도로 휴게소 등)에 설치된 투표소에도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산간 오지 등 기존의 투표소로부터 멀리 떨어진 농어촌지역의 경우에는 차량 등의 이동식 투표소에 전자투표기를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에, 선거관리요원의 선거인명부 확인 작업 등 온라인 상태에서 수행되는 절차는 선거인명부 확인 작업을 위한 단말기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설치된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 접속장치를 통하여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 상에서 수행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전자투개표시스템을 이용한 투표 및 개표 절차는 각 후보자 또는 정당에서 선임한 참관인에 의해 감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투개표시스템은 선거기초자료, 후보자, 선거운동, 선거비용, 부재자관리 등의 선거관리업무 전반을 전산화하여 수행하는 전자선거관리시스템과 연계되어 운영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선거관리시스템은 지방행정망 또는 초고속국가망을 이용하여 정부전자관인인증센터 등 공인기관의 인증 및 G4C, 지자체와 연결되어 선거관리업무를 수행하며, 유권자/후보자 및 이해관계자는 인터넷 또는 무선망을 통하여 전자선거관리시스템에 접속하여 선거관련정보를 신속하게 확인할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선거관리시스템의 구성도를 보여준다.
전자선거관리시스템은 선거 기초자료 관리(인구수 현황 관리, 선거인명부 작성상황 관리, 부재자신고인명부 작성상황 관리, 선거인명부 확정 상황 관리, 투표소 설치 상황, 장애선거인수 관리, 선거비용 관리, 선전벽보 등 수량 관리, 인쇄물 원가 계산, 선거비용제한액 산출 등 처리, 선거비용 수입과 지출 신고내역 관리, 선거비용 보전 등), 후보자 관리 (입후보 및 선거운동 제한자 관리, 추천자 관리, 후보자 등록 자료 관리, 후보자 명부 출력, 후보자 등록 자료 보고, 비례대표 후보자 조회 및 당선인 결정, 기탁금 관련 보고, 선거운동 관리, 선거운동 기구/사무관계자 관리, 인쇄물 관리, 신문 방송 이용 선거운동 관리, 정당홍보물/기관지 관리 등), 부재자 관리(부재자명부 관리, 부재자신고현황 자료 집계 보고, 부적격자 처리 등), 투개표 관리(투표 관리, 개표 관리, 개표자료 조회, 당선인 관리, 선거록 등 첨부자료 출력 등), 보고관리(입후보 안내 설명회 개최상황 관리, 선거관리 인력 현황, 선거인명부, 부재자투표 관리, 투개표 관리 등)를 수행하는 선거관리 응용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운영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국한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이 당업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변형 실시될 가능성이 자명하다. 이러한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사상에 포함된다고 하여야 할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네트워크로 공유되는 통합선거인명부 확인 시스템과 상호 독립적으로 운영되는 전자투표시스템을 포함하는 분리된 형태의 시스템을 구현함으로써, 외부로부터의 해킹 시도나 시스템 에러 등의 비상사태에 효율적으로 대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선거인에 의한 후보자 선택 결과를 투표기록지에 인쇄한 후에 투표결과 저장매체와는 별도로 수거함으로써, 전자투표기의 저장매체에 저장된 투표 결과 데이터의 손상 또는 오류의 발생시에도 개표 및 집계 작업이 가능하도록 하며, 투표 결과에 대한 분쟁 발생시 투표기록지를 증거물로 사용하여 사후 검증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전자투표권 내에는 해당 선거구 정보 외에 선거인에 관한 개인 정보가 저장되지 않으며, 전자투표기의 저장매체 및 투표기록지에도 선거인의 투표결과 외에 선거인에 관한 개인 정보가 저장되지 않으므로, 선거인의 개인 정보 누출 등의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자투표시스템은 다양한 투표방식(종이투표, 전자투표)과 효과적으로 병행하여 사용하기 용이하므로, 선거인이 직접 편리한 방법을 선택할 수 있는 (공급자 중심이 아닌) 수요자 중심의 민주적인 선거시스템의 운영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투개표시스템을 이용한 선거 절차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전자투개표시스템과 분리되어 상호 독립적으로 운영되는 통합선거인명부 확인시스템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투표기의 외형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투표기의 내부 구조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투표기 제어장치의 구성도,
도 6은 도 2 내지 도 5를 통해 설명한 바와 같은 전자투개표시스템을 이용한 전자투표의 절차를 나타낸 흐름도,
도 7a 및 도 7b는 전자투표 중에 전자투표기 제어장치의 신호 처리과정을 보인 흐름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투표기의 후보자 선택 화면 일예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투표기의 후보자 상세 정보 화면 일예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투표기의 동시선거 대기 화면 일예도,
도 11a 및 도 11b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투표기에서 출력되는 투표기록지 일예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투표기에서 종료 화면 일예도,
도 1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개표시스템의 구성도,
도 1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검표시스템의 구성도,
도 1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종이투표 방식을 이용한 선거절차를 보인 도면,
삭제
삭제
삭제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선거관리시스템의 구성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2 : 선거인 본인 확인 단말기 106 : DB 서버
108 : 통합선거인명부 DB 110 : 단위선거인명부 DB
112 : 전자 서명기 114 : 전자투표권 발행기
213 : 모니터 220 : 점자 키패드
230 : 프린터 240 : 이어폰
250 : 보호박스 260 : 투표기록지
270 : 투표기록지 수거롤 302 : 전자투표권 투입기
304 : 전자투표권 인식부 306 : 암호화 모듈
308 : 안내음성 모듈 316 : 저장매체 구동부
318 : 후보자 정보 저장장치 320 : 중앙 제어부
702 : 입력장치 704 : 디스플레이 장치
706 : 검색장치 910 : 선거관리시스템
삭제
삭제
920 : 네트워크 연결제어 장치 930 : 개표결과 입력 단말기
940 : 개표기 950 : 저장매체

Claims (24)

  1. 네트워크로 연결된 통합선거인명부 DB 또는 단위선거인명부 DB를 검색하여 선거인에 대한 본인 확인을 수행하며, 상기 본인 확인 수단에 의한 상기 선거인의 본인 확인 및 이중투표 여부의 확인이 성공적으로 완료되면 상기 통합선거인명부 DB 또는 단위선거인명부 DB에 실시간 저장방식을 통하여 투표여부를 저장하는 선거인 본인 확인 단말기와,
    선거 및 선거구 정보, 소속 선거구의 후보자 조합의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게 하는 기능 및 투표완료 후 저장된 정보를 소거하는 기능을 갖춘 전자투표권을 발행하는 전자투표권 발행기와,
    상기 통합선거인명부 DB와 상호 독립적인 오프라인 방식으로 운영되며 상기 선거인이 상기 전자투표권을 투입하면 상기 선거인에게 기표 절차를 안내하며 상기 선거인에 의한 투표결과를 저장하는 전자투표기를 포함하며,
    상기 전자투표기는,
    전국의 모든 선거구의 등록된 후보자 조합의 이미지를 저장하는 후보자정보 저장매체와,
    상기 전자투표권에 저장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후보자정보 저장매체에 저장된 상기 선거인이 속한 선거구의 후보자 조합의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표시장치와,
    상기 표시장치에 디스플레이된 후보자 중의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입력장치와,
    상기 투표결과를 저장하는 투표결과 저장매체와,
    상기 투표결과를 투표기록지에 인쇄 및 출력하기 위한 출력장치를 구비한
    전자투표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투표기록지에는 상기 투표결과를 포함한 정보를 나타내는 바코드가 인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투표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투표기는 상기 선거인에 의한 투표가 완료되면, 상기 전자투표권에 저장된 정보를 삭제하여 상기 전자투표권이 재사용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투표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투표기는,
    투입된 상기 전자투표권을 상기 전자투표기 내부로 이송하고, 모든 투표 절차가 완료되면 상기 전자투표권을 외부로 배출하는 전자투표권 투입기와,
    상기 내부로 이송된 전자투표권에 저장 또는 인쇄되어 있는 정보를 판독하는 전자투표권 인식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투표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투표기는,
    기표 절차를 안내하기 위한 음성 데이터가 저장된 안내 음성 모듈과,
    그 상면에 점자가 양각된 키패드와,
    상기 음성 데이터를 외부로 송출하는 이어폰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투표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투표기는 상기 전자투표권에 저장 또는 인쇄되어 있는 정보의 판독 결과에 의거하여 상기 입력장치와 상기 키패드 중에서 어느 하나만을 활성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투표시스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선거인 본인 확인 단말기는 선거인의 본인 확인을 위해 상기 선거인의 본인 확인 정보를 입력하는 입력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투표시스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본인 확인 정보는 전자펜 또는 생체인식을 이용한 전자서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투표시스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투표기는 상기 선거인에 의한 투표결과를 암호화하여 상기 투표결과 저장매체에 저장하는 암호화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투표시스템.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투표기는 상기 투표기록지의 인쇄를 위한 출력장치가 보호박스 내에 설치되고, 상기 출력장치의 인쇄 출력에 연동하여 상기 인쇄된 투표기록지를 보관하는 투표기록지 수거수단이 상기 출력장치의 인근 위치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투표 시스템.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투표기는 상기 출력장치의 출력면이 비춰지도록 상기 보호박스의 일측에 투시창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투표 시스템.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투표권은 스마트 카드, 마그네틱 카드, 바코드가 표시된 카드 및 RFID 카드 중의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투표시스템.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투표결과 저장매체 및 상기 후보자정보 저장매체는 HDD, FDD, CD, DVD 및 플래쉬 메모리 중의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투표시스템.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선거인이 상기 전자투표기의 내부에서 수행되는 기표 과정 및 투표결과 인쇄 과정을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전자투표기의 외형은 투명한 재질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투표시스템.
  15. 제 1 항 내지 제 14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선거인 본인 확인 단말기 및 전자투표기는 이동식 투표소 내에 설치되며, 상기 선거인 본인 확인 단말기는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 접속장치에 의해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투표시스템.
  16. 제 1 항 내지 제 14 항 중의 어느 한 항의 전자투표시스템을 포함하는 전자투개표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투표결과 저장매체에 저장된 정보를 입력하는 투표 결과 입력 단말기와,
    상기 투표 결과 입력 단말기와 연결되어 각 선거별 또는 선거구별로 투표결과를 개표 및 집계하는 선거관리시스템을 포함하는
    전자투개표시스템.
  17. 제 1 항 내지 제 14 항 중의 어느 한 항의 전자투표시스템에서 인쇄 및 출력된 투표기록지를 이용하여 검표를 수행하는 전자검표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투표기록지에 인쇄된 정보를 입력하는 입력장치와,
    상기 입력된 정보에 기초한 검표 결과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와,
    상기 검표 결과를 검색하는 검색장치를 포함하는
    전자검표시스템.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장치는 상기 입력된 정보를 1 페이지 씩 검색하는 기능, 저속 또는 고속으로 다수의 페이지를 연속적으로 검색하는 기능, 반복 검색 기능을 선택적으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검표시스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KR10-2005-0021591A 2005-03-15 2005-03-15 전자투개표 및 전자선거시스템 KR1005375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1591A KR100537564B1 (ko) 2005-03-15 2005-03-15 전자투개표 및 전자선거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1591A KR100537564B1 (ko) 2005-03-15 2005-03-15 전자투개표 및 전자선거시스템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88243A Division KR100643182B1 (ko) 2005-09-22 2005-09-22 인터넷을 이용한 전자투표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2046A KR20050102046A (ko) 2005-10-25
KR100537564B1 true KR100537564B1 (ko) 2005-12-22

Family

ID=372803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21591A KR100537564B1 (ko) 2005-03-15 2005-03-15 전자투개표 및 전자선거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3756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3740B1 (ko) * 2021-07-09 2022-01-06 주식회사 상하 유권자 능동 참여형 선거 후보자 조직 관리 시스템
KR102431944B1 (ko) * 2022-04-08 2022-08-12 주식회사 우심시스템 투입 투표용지 자동 계수 표시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8832B1 (ko) * 2005-11-02 2007-06-14 (주)나노스토리지 종이 절감 및 비밀투표 보장이 가능한 전자투표기록방법
WO2009136717A2 (ko) * 2008-05-06 2009-11-12 엑스엠에스(주) 개인 단말기를 이용한 네트워크상의 선거관리 방법 및 선거관리 서버
US11687957B2 (en) 2009-02-04 2023-06-27 Neopad Inc. Mobile cloud and mobile cloud computing for a user-customized survey or election service system and method
KR101474993B1 (ko) * 2013-02-20 2014-12-22 주식회사 미루시스템즈 고유번호 인쇄부가 구비된 전자 개표장치
WO2021132804A1 (en) * 2019-12-26 2021-07-01 Ermi Electronic voting system and electronic voting control method
WO2022029800A1 (en) * 2020-08-06 2022-02-10 Konanur Ramachandra Satyamurthy An election extender devic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3740B1 (ko) * 2021-07-09 2022-01-06 주식회사 상하 유권자 능동 참여형 선거 후보자 조직 관리 시스템
KR102431944B1 (ko) * 2022-04-08 2022-08-12 주식회사 우심시스템 투입 투표용지 자동 계수 표시장치
WO2023195706A1 (ko) * 2022-04-08 2023-10-12 주식회사 우심시스템 투입 투표용지 자동 계수 표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2046A (ko) 2005-10-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78572B2 (en) System for electronically voting, counting, and examining ballots
KR100537564B1 (ko) 전자투개표 및 전자선거시스템
US6799723B2 (en) Automated voting system
US6412692B1 (en) Method and device for identifying qualified voter
KR100643182B1 (ko) 인터넷을 이용한 전자투표시스템
US7461787B2 (en) Electronic voting apparatus, system and method
US7036730B2 (en) Electronic voting apparatus, system and method
US4015106A (en) Electronic voting machine
US20040046021A1 (en) Electronic voting apparatus, system and method
US20090230192A1 (en) Voting system
US8660889B2 (en) Electronic voting terminal and voting system
KR20060083454A (ko) 전자투개표 및 전자선거시스템
US6722562B2 (en) Method for accurate and secure voting
RU2290695C1 (ru) Способ и система подготовки и проведения электронного голосования
US20030047596A1 (en) Voting machine and method of use
JP2002279126A (ja) 電子投票装置
US20080173715A1 (en) System and method for electronic voting, using existing ATM network and ATMs associated therewith
KR100407076B1 (ko) 전자투표 시스템
Annadate et al. Online voting system using biometric verification
Suleiman et al. The Role of Technology in Election management with example from five Democracies
WO2022113121A1 (en) A tamperproof voting machine (tpvm)
JP5349138B2 (ja) 電子投票システム
RU2402066C2 (ru) Способ сбора информации
KR20090127775A (ko) 투표장치 및 이를 이용한 투표방법
Herawati et al. Evaluation of Implementation of Election Villages Election Choice through the e-Voting System in Pemalang District 2018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