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5918Y1 - 전화도청방지기 - Google Patents

전화도청방지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5918Y1
KR200205918Y1 KR2020000019296U KR20000019296U KR200205918Y1 KR 200205918 Y1 KR200205918 Y1 KR 200205918Y1 KR 2020000019296 U KR2020000019296 U KR 2020000019296U KR 20000019296 U KR20000019296 U KR 20000019296U KR 200205918 Y1 KR200205918 Y1 KR 20020591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trunk line
impedance
telephone
detec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1929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성동
Original Assignee
한성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성동 filed Critical 한성동
Priority to KR202000001929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591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591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5918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8Circuit arrangements for preventing eavesdropp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19Arrangements of transmitters, receivers, or complete sets to prevent eavesdropping, to attenuate local noise or to prevent undesired transmission; Mouthpieces or receiver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6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with means for preventing unauthorised or fraudulent cal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관공서나 기업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는 유선 전화기에서의 도청방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공중통신망과 국선으로 연결되어 있는 전화기와 병렬로 연결되며, 국선에 걸리는 전압을 정류하여 출력하는 정류수단과; 입력되는 제어 구동신호에 의해 내부 임피던스의 변경을 통해 정류수단를 통해 정류되어진 국선 전압을 소비하여 임피던스 변경에 따른 전압변동을 유도하는 전류 소비 수단과; 전류 소비 수단의 동작이전에는 정류수단을 통해 정류되어진 국선 전압을 검출하며, 전류 소비 수단의 동작시 변동되는 전압을 검출하는 전압 검출 수단; 및 전압 검출수단에서 검출되어지는 신호를 일정시간 간격으로 저장하여 데이터 테이블을 형성하며, 기 설정되어 있는 운영 체계에 의해 상기 전류 소비 수단의 제어를 통해 임피던스 변동을 유도하여 병렬 연결되어 있는 전화기의 전체 임피던스를 검출한 후 실제 전화기 동작시 국선전압의 변동 임계범위를 설정하고, 실제 전화기 동작시 변동되어진 국선전압이 설정된 변동 임계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이를 도청됨으로 판단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도청 방지기

Description

전화도청 방지기{TELEPHONE WIRETAP PREVENTION}
본 고안은 관공서나 기업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는 유선 전화기에서의 도청방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특별한 부가장치 없이 국선과 전화기 사이에 병렬로 연결하면 전화기 사용이 없는 상태에서의 국선전압의 상태를 감지함과 동시에 연결되어 있는 전화기의 소비전력을 감지하여 이를 기준으로 정상통화시 발생되는 국선 전압의 강하정도가 정상적인지 혹은 비정상적인지를 판단하여 비정상적인 경우 도청되고 있음을 경고하도록 하는 전화도청 방지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현대인들은 많은 정보속에서 생활하고 있으며, 21C를 맞아 산업구조의 형태가 정보산업 혹은 지식산업의 형태를 지향하고 있다.
따라서, 일반기업이나 개인의 구분이 없이 내부적인 노하우(Knowhow)의 비밀 보장성에 따른 중요성은 더더욱 강조되고 있는 실정이며, 이러한 정보화 사회에서 타인이나 경쟁기업 혹은 경쟁국가에게 자신이 갖고 있는 비밀 혹은 노하우가 밝혀진다면 상당한 타격을 입는 것은 더 말할 필요가 없을 것이다.
반대로, 상대의 비밀 혹은 노하우를 알 수 있다면 상당히 우세한 입장이 될 수 있으므로 자신의 보안은 철저히 강조함과 동시에 상대의 보안체계를 헛점을 파고들고자 노력하고 있는 것 또한 현실이라 할 것이다.
더욱이, 급속한 전자 산업의 발달로 인해 보안체계가 조밀해지는 부분도 있으나 악의적인 제 3자에 의해 도청이나 해킹등을 당하는 경우도 증가하고 있는데, 특히 도청은 연일 방송이나 신문지상에 보도되고 있어 이에 대한 대비책이 시급한 시점에 이르렀다.
현재까지 알려져 있는 도청 시스템중 공중통신망과 연결되어 있는 국선을 통해 상대방의 전화내용 혹은 FAX 문서의 도청이 이루어지는 대표적인 방식은 첨부한 도 1내지 도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직렬 혹은 병렬방식이라 할 수 있다.
통상적으로, 공중통신망을 형성하고 있는 전화국과 전화기사이를 연결하는 국선에는 전화기로부터의 호접속 요청 혹은 전화국에서 발생시키는 착신 링신호등의 동작시 'Ring'과 'Tip'신호선 사이에 걸리는 전압은 약 48V정도이다.
따라서, 기존에 나와있는 도청기들은 자체내 전원(배터리)을 구비하고 있는 경우 자체 전원의 부재시 도청의 역할을 수행할 수 없어, 통상적으로 국선('Ring'과 'Tip')에 걸리는 전압 약 48V를 구동전원으로 사용하고 있으므로, 도청기가 장착된 경우 해당 국선으로 통화시 전압의 불안정상태가 발생되어지는데, 청각이 예민한 사람은 이러한 변화를 느낄 수 있을 정도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도청기의 구동시 도청기에서의 구동전압 소모에 의한 전압의 불안정 상태를 감지하는 것이 도청방지기의 기본적인 구동원리이다.
따라서, 도청 방지기술의 원리를 보다 기술적으로 살펴보면, 현재 전화국에서 제공하는 전압은 전화기의 후크 오프(HOOK OFF) 상태에서 18V가 인가되며, 후크온(HOOK ON) 상태는 28V이하이다.
이 전압과 변동을 확인함으로써 도청의 여부를 판단하는 것으로, 전화기가 항상 가지고 있는 소비전력을 제외하고 전압의 드롭(Drop)의 범위를 계산하여 그 임계전압 이하로 떨어지면 도청이 된다고 판단한다.
예를 들자면 도청기를 달지 않았을 때 전화기 후크 온(HOOK ON)을 시키면 9V로 전압이 드롭된다고 가정하면 이러한 전압을 일정하게 유지해야 한다. 그러므로 도청기가 설치되어있다면, 전술한 바와 같이 전화선의 전압을 사용하므로 그 보다는 이하(예7.3V)의 전압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도청이 되어진다고 봐야한다.
그러나, 기존의 도청기가 후크 온상태와 동시에 작동하므로 전압 드롭 전화기에서만 소모되어지는 것인지 아니면 도청기까지 전압이 소요되어 전압 강하가 발생되는 것인지를 명확하게 인식할 수 없으며, 더욱이 전화기의 제조사, 모델마다 전화기의 전류가 달라서 후크온 상태에서의 전압은 여러 가지이다. 즉, 28V이하에서 전화국단자에서 후크온 상태를 인식하므로 전화기마다 23V에서 4.5V까지 변화를 한다.
예를 들어 A사의 A모델은 후크온 전압이 8.5V이고, A사의 B모델은 9.7V이고, B사의 A모델은 6.5V 혹은 C사의 A모델은 13V일수도 있다는 것이다.
또한, A사의 A모델에서도 전압의 차이는 있다. 즉, 같은 생산라인에서 동일한 부품을 사용하여 조립밀 생산된다 하더라도 전화기를 구성하는 각각의 부품마다 임계범위 이내의 편차가 존재하고, 그러한 부품의 편차특성에 의해 일정한 전압특성을 유지하지 못하는 실정이다.
또한, 전화국에서의 48V 전압도 항상 일정하지가 않은데, 그 이유는 기후에 따라 혹은 전화국과 가입자까지의 거리등으로 인해 일정범위 이내의 오차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A사의 A모델 한 대를 가지고 각기 다른 장소에서 후크온 전압을 측정하면 그 각각의 장소마다 후크온 전압의 차이가 발생되어지므로, 도청방지 원리가 미세한 전압의 변동을 탐지하는 것이라는 관점에서 판단할 때 가입자의 각기 다른 전화기 혹은 전화국의 전압 변동율로 인해 도청방지 방식이 매우 복잡하고 탐색비용이 고가이며, 고가의 장비가 동원되어야 하며 완벽하다고 볼 수 없다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또한, 상술한 종래의 도청방지 기술은 도청 방지기 설치 이전에 이미 설치된 도청 장치는 발견 할 수 없다는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본 고안의 목적은 관공서나 기업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는 유선 전화기에서의 도청방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특별한 부가장치 없이 국선과 전화기 사이에 병렬로 연결하면 전화기 사용이 없는 상태에서의 국선전압의 상태를 감지함과 동시에 연결되어 있는 전화기의 소비전력을 감지하여 이를 기준으로 정상통화시 발생되는 국선 전압의 강하정도가 정상적인지 혹은 비정상적인지를 판단하여 비정상적인 경우 도청되고 있음을 경고하도록 하는 전화도청 방지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기존의 도청 방식 중 직렬 방식의 예시도
도 2는 기존의 도청 방식 중 병렬 방식의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화도청 방지기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 예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블록 구성의 상세 구현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화도청 방지기의 동작 순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정류부 11 : 전압 분배부
12 : 전압 평활부 13 : A/D 변환부
14 : 전류 소비부 15 : D/A 변환부
16 : 구동부 17 : 경고 및 동작 표시부
18 : 출력부 19 : 입력부
20 : 마이크로 프로세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은, 전화도청 방지 장치에 있어서, 공중통신망과 국선으로 연결되어 있는 전화기와 병렬로 연결되며, 상기 국선에 걸리는 전압을 정류하여 출력하는 정류수단과; 입력되는 제어 구동신호에 의해 내부 임피던스의 변경을 통해 상기 정류수단을 통해 정류되어진 국선 전압을 소비하여 임피던스 변경에 따른 전압변동을 유도하는 전류 소비 수단과; 상기 전류 소비 수단의 동작이전에는 상기 정류수단을 통해 정류되어진 국선 전압을 검출하며, 상기 전류 소비 수단의 동작시 변동되는 전압을 검출하는 전압 검출 수단; 및 상기 전압 검출수단에서 검출되어지는 신호를 일정시간 간격으로 저장하여 데이터 테이블을 형성하며, 기 설정되어 있는 운영 체계에 의해 상기 전류 소비 수단의 제어를 통해 임피던스 변동을 유도하여 병렬 연결되어 있는 전화기의 전체 임피던스를 검출한 후 실제 전화기 동작시 국선전압의 변동 임계범위를 설정하고, 실제 전화기 동작시 변동되어진 국선전압이 설정된 변동 임계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이를 도청됨으로 판단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부가적인 특징으로는 상기 정류수단 통해 정류되어진 국선 전압을 구동전압으로 사용하며 상기 제어수단에서 출력되어 입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내부에 구비되어 있는 램프 혹은 부저를 구동시키는 경고 및 동작 표시를 더 포함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부가적인 다른 특징으로는 사용자가 운영체계에 대한 동작 옵션을 선택하는 경우 이를 상기 제어수단으로 전달하는 옵션 입력부를 더 포함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부가적인 또 다른 특징으로 상기 전압 검출 수단은 상기 정류수단을 통해 정류되어진 국선 전압을 일정 비율로 분압하는 전압 분배부와; 상기 전압 분배 수단에서 분압되어진 국선전압을 안정된 DC전압으로 평활하기 위한 전압평활부; 및 상기 전압평활부에서 평활되어진 전압을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A/D 변환부로 구성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부가적인 또 다른 특징으로 상기 전류 소비 수단은 입력되는 제어 구동신호에 의해 내부 임피던스의 변경을 통해 상기 정류수단을 통해 정류되어진 국선 전압을 소비하여 임피던스 변경에 따른 전압변동을 유도하는 임피던스 변경 수단과; 입력되는 전압의 크기에 의해 상기 임피던스 변경 수단에서의 임피던스 변경을 주도하는 구동부; 및 상기 제어수단에서 출력되는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아날로그 전압신호의 형태로 변경한 후 상기 구동부에 인가하는 D/A 변환부로 구성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상술한 목적과 여러 가지 장점은 이 기술 분야에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후술되는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우선, 본 고안에서 적용되는 기술적 사상에 대하여 간략히 살펴보면, 본 고안은 기본적으로 도청 시스템이 전화기의 후크 오프상태에서는 동작하지 않는다는 점과, 각각의 전화기의 소비 전력도 다르며 전화 국선에 가해지는 전압도 지역, 환경에 따라 다르지만 각 전화기의 전체 임피던스는 한번 정해지면 변화하지 않는다는 점에 착안한 것이다.
즉, 전화기의 후크 오프상태에서 도청시스템이 구동하지 않기 때문에 국선에 걸리는 전압의 크기를 우선적으로 정확하게 인식할 수 있으며, 이 상태에서 전화기의 임피던스를 인식할 수 있다면 추후 전화기의 후크온 동작시에 국선에 걸리는 전압의 임계범위를 예상할 수 있으며 이렇게 예상되어진 임계범위를 벗어나는 국선전압이 검출되면 이를 도청시스템의 작동중인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는 점에 착안한 것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전화도청 방지기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 예시도로서, 공중통신망과 국선으로 연결되어 있는 전화기와 병렬로 연결되어 상기 국선에 걸리는 전압을 정류하여 출력하는 정류부(10)와, 상기 정류부(10)를 통해 정류되어진 국선 전압을 일정 비율로 분압하는 전압 분배부(11)와, 상기 전압 분배부(11)에서 분압되어진 국선전압을 안정된 DC전압으로 평활하기 위한 전압평활부(12)와, 상기 전압평활부(12)에서 평활되어진 전압을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A/D 변환부(13)와, 입력되는 제어 구동신호에 의해 내부 임피던스의 변경을 통해 상기 정류부(10)를 통해 정류되어진 국선 전압을 소비(임피던스 변경에 따른 전압변동을 유도)하는 전류 소비부(14)와, 입력되는 전압의 크기에 의해 상기 전류 소비부(14)에서의 임피던스 변경을 주도하는 구동부(16)와, 상기 정류부(10)를 통해 정류되어진 국선 전압을 구동전압으로 사용하며 입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내부에 구비되어 있는 램프 혹은 부저를 구동시키는 경고 및 동작 표시부(17)와, 상기 A/D 변환부(13)에서 출력되는 디지털 데이터를 저장하며 내부에 저장되어 있는 운영체계에 따라 상기 전류 소비부(14)의 구동을 위한 제어데이터를 출력하며 현재 운영상태 및 도청여부를 판단하여 그에 대응하는 경고데이터를 출력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20)와,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20)에서 출력되는 제어데이터를 입력받아 아날로그 전압신호의 형태로 변경한 후 상기 구동부(16)에 인가하는 D/A 변환부(15)와,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20)에서 출력되는 경고데이터를 입력받아 상기 경고 및 동작 표시부(17)측으로 전달하는 출력부(18), 및 사용자가 운영체계에 대한 동작 옵션을 선택하는 경우 이를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20)에 전달하는 옵션 입력부(19)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에 따른 전화도청 방지기의 구체적인 구현은 첨부한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으나, 본 고안에 따른 전화도청 방지기의 바람직한 동작예는 첨부한 도 3을 기준으로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동작 순서도에 따라 이하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사용자는 본 장치를 전화기에 병렬로 연결한다. 이후 초기화한 후 통상 스위치로 구성되는 옵션입력부(19)를 통해 사용자로 하여금 다양한 범위로 확인하도록한다.
이러한 동작이 종료되면 본 시스템은 전화기의 후크 오프상태에서, 공중통신망에 연결되어 있는 국선에 흐르는 전원을 브릿지 다이오드로 구성된 정류부(10)에서 정류한 후 전압 분배부(11)를 통해 국선에 흐르는 전원의 전압상태를 검출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전압 분배부(11)에는 캐패시터로 이루어진 전압 평활부(12)가 같이 구비되어 있는데, 이는 전류된 전원의 평활 및 고주파 노이즈의 차단용으로 사용된다.
상기 전압 분배부(11)를 통해 분배된 전압은 A/D 변환부(13)를 통해 마이크로 프로세서(20)로 전달되고,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20)는 검출된 데이터를 저장하며, 이에 따라 전화기의 후크 오프 상태에서 국선에 걸리는 전압의 크기를 인식하게 되는 것이다.
이후,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20)는 전류 소비부(14)을 제어하여 소비전류의 량을 변화시키게 되는데, 상기 전류 소비부(14)은 입력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20)의 제어 구동신호에 의해 내부 임피던스의 변경을 통해 상기 정류부(10)을 통해 정류되어진 국선 전압을 소비하여 임피던스 변경에 따른 전압변동을 유도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전류 소비부(14)의 임피던스가 변화함에 따라 병렬연결되어 있는 전화기로 흐르는 전류의 량과 상기 전류 소비부(14)에 흐르는 전류의 량이 변화(전압은 동일)하게되는 데, 이에 의해 전화기 내부의 즉 개개인의 전화기 임피던스를 측정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20)는 초기 동작시 상기 전압 분배부(11)를 통해 검출되어지는 신호를 일정시간 간격으로 저장하여 데이터 테이블을 형성하며, 기 설정되어 있는 운영 체계에 의해 상기 전류 소비부(14)의 제어를 통해 임피던스 변동을 유도하여 병렬 연결되어 있는 전화기의 전체 임피던스를 검출한 후 실제 전화기 동작시 국선전압의 변동 임계범위를 설정하고, 실제 전화기 동작시 변동되어진 국선전압이 설정된 변동 임계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이를 도청됨으로 판단하게 된다.
위 모든 회로가 동작이 상관없이 기존의 전화기의 성능 및 기능에는 전혀 영향을 주지 않으며 후크 오프상태에서만 실시간적으로 동작하여 그 모든 측정범위를 마이크로 프로세서(20) 내부에 구비되어 있는 메모리에 저장하며 그 측정 주기는 1초 내에서 계속 반복하여 측정하므로 국선의 변동 또한 영향을 주지않으며 가변되어지는 국선의 상태도 감시 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 본 고안은 특정의 실시 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하였지만, 실용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고안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개조 및 변화가 가능하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동작하는 본 고안에 따른 전화도청 방지기를 적용하면 기업, 개인의 정보의 보호와 개인의 사생활의 침해를 철저히 차단함으로서 기업의 정보유출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하며 개개인의 안전한 생활을 영위해 갈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이 적용된 제품은 설치 시 이미 설치된 도청장치를 바로 찾아내어 줄뿐만 아니라 바로 도청 방지가 가능하기 때문에 이 장치가 장착된 전화기를 설치함과 동시에 도청의 두려움 속에서 바로 벗어날 수 있다.
따라서, 본 제품은 개인, 기업, 관공서 등 어느 곳에서나, 누구나 도청에 의해 유출되는 각종 정보를 차단시키므로 보다 편안하게 그리고 안락하게 살아갈 수 있다.

Claims (5)

  1. 전화도청 방지 장치에 있어서,
    공중통신망과 국선으로 연결되어 있는 전화기와 병렬로 연결되며, 상기 국선에 걸리는 전압을 정류하여 출력하는 정류수단과;
    입력되는 제어 구동신호에 의해 내부 임피던스의 변경을 통해 상기 정류수단을 통해 정류되어진 국선 전압을 소비하여 임피던스 변경에 따른 전압변동을 유도하는 전류 소비 수단과;
    상기 전류 소비 수단의 동작이전에는 상기 정류수단을 통해 정류되어진 국선 전압을 검출하며, 상기 전류 소비 수단의 동작시 변동되는 전압을 검출하는 전압 검출 수단; 및
    상기 전압 검출수단에서 검출되어지는 신호를 일정시간 간격으로 저장하여 데이터 테이블을 형성하며, 기 설정되어 있는 운영 체계에 의해 상기 전류 소비 수단의 제어를 통해 임피던스 변동을 유도하여 병렬 연결되어 있는 전화기의 전체 임피던스를 검출한 후 실제 전화기 동작시 국선전압의 변동 임계범위를 설정하고, 실제 전화기 동작시 변동되어진 국선전압이 설정된 변동 임계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이를 도청됨으로 판단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도청 방지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정류수단 통해 정류되어진 국선 전압을 구동전압으로 사용하며 상기 제어수단에서 출력되어 입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내부에 구비되어 있는 램프 혹은 부저를 구동시키는 경고 및 동작 표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도청 방지기.
  3. 제 1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운영체계에 대한 동작 옵션을 선택하는 경우 이를 상기 제어수단으로 전달하는 옵션 입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도청 방지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 검출 수단은 상기 정류수단을 통해 정류되어진 국선 전압을 일정 비율로 분압하는 전압 분배부와;
    상기 전압 분배 수단에서 분압되어진 국선전압을 안정된 DC전압으로 평활하기 위한 전압평활부; 및
    상기 전압평활부에서 평활되어진 전압을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A/D 변환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도청 방지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 소비 수단은 입력되는 제어 구동신호에 의해 내부 임피던스의 변경을 통해 상기 정류수단을 통해 정류되어진 국선 전압을 소비하여 임피던스 변경에 따른 전압변동을 유도하는 임피던스 변경 수단과;
    입력되는 전압의 크기에 의해 상기 임피던스 변경 수단에서의 임피던스 변경을 주도하는 구동부; 및
    상기 제어수단에서 출력되는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아날로그 전압신호의 형태로 변경한 후 상기 구동부에 인가하는 D/A 변환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도청 방지기.
KR2020000019296U 2000-07-06 2000-07-06 전화도청방지기 KR20020591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9296U KR200205918Y1 (ko) 2000-07-06 2000-07-06 전화도청방지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9296U KR200205918Y1 (ko) 2000-07-06 2000-07-06 전화도청방지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38464A Division KR20020004509A (ko) 2000-07-06 2000-07-06 전화도청 방지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5918Y1 true KR200205918Y1 (ko) 2000-12-01

Family

ID=196638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9296U KR200205918Y1 (ko) 2000-07-06 2000-07-06 전화도청방지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5918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50004749B1 (ko) 무선 전화기의 무접점 디지탈 파워 송수신 시스템
US8243917B2 (en) Method for indicating charge status of backup power supply and communication device employing the same
US5218635A (en) Low-frequency alternating current signal detector, in particular for central office line interface circuits
US5093856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rmining incoming call destination with improved security
CA2139538C (en)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function for displaying originator identification data
KR200205918Y1 (ko) 전화도청방지기
KR200190077Y1 (ko) 전화도청 방지기
JP4486231B2 (ja) ガス漏れ通報システム
US8180033B2 (en) Telephone device, telephone line monitoring device and method
KR20020004509A (ko) 전화도청 방지기
US20040190685A1 (en) High availability telephone set
KR20000036697A (ko) 전화도청 방지기
JP2008054157A (ja) 携帯端末装置
TW319937B (en) Multifunction adaptive telephone line measurement method and system
US5838778A (en) Reserved speech path forming method in a parallel-connected telephone system
US5764758A (en) Interrupted tone converter
KR20020055238A (ko) 단말기에서의 발신자 식별 방법
KR100233097B1 (ko) 전화라인 인터페이스 회로의 링신호 및 훅크스위치의 상태 검출회로
KR200225539Y1 (ko) 전화기용 어댑터
KR19980078177A (ko) 도난 핸드폰의 사용 억제 방법
US5872838A (en) Trim phone circuit device having a calling line identification
JPS59178851A (ja) 電話機回路
KR20020066109A (ko) 전화라인의 점유 경보 장치
KR100385705B1 (ko) 인터넷 전화기용 어댑터장치
KR100428801B1 (ko) 전화기의 발신자번호 수신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601 Decision to invalidate utility model after technical evalu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