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5637Y1 - 재떨이 - Google Patents

재떨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5637Y1
KR200205637Y1 KR2019980012864U KR19980012864U KR200205637Y1 KR 200205637 Y1 KR200205637 Y1 KR 200205637Y1 KR 2019980012864 U KR2019980012864 U KR 2019980012864U KR 19980012864 U KR19980012864 U KR 19980012864U KR 200205637 Y1 KR200205637 Y1 KR 20020563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garette
plate
cover
hole
cyli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1286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59408U (ko
Inventor
김정산
Original Assignee
김정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정산 filed Critical 김정산
Priority to KR201998001286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5637Y1/ko
Publication of KR1998005940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5940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563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5637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19/00Ash-trays
    • A24F19/10Ash-tray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 A24F19/14Ash-tray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with extinguisher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19/00Ash-trays
    • A24F19/02Ash-trays with removable insets

Landscapes

  • Passenger Equip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재떨이에 관한 것으로, 담배꽁초 및 담뱃재 등이 수납되도록 상측이 개구된 수납부을 갖는 통체와, 상기 통체에 개폐 가능하게 결합되는 덮개와, 상기 덮개에 체결되는 재분리요소와, 상기 재분리요소의 탄성 분리판 하측으로 삽입되는 담배의 연소부를 소화시키기 위한 소화판과, 상기 소화판의 하부로 떨어지는 담뱃재를 받아 완전 소화시키기 위한 받이판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본 고안은 담뱃불을 편리하고 신속하게 소화시킴은 물론 담뱃재나 담배꽁초를 보다 안전하고 위생적으로 수납하여 관리할 수 있고, 휴대가 간편하여 차량이나 레저를 즐기는 장소에서 간편하게 이용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재떨이 (AN ASH TRAY)
본 고안은 재떨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담뱃불을 편리하고 신속하게 소화시킴은 물론 담뱃재나 담배꽁초를 보다 안전하고 위생적으로 수납하여 관리할 수 있도록 구성한 재떨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재떨이는 담배꽁초나 담뱃재를 담아 보관하는 것으로 종래에 재떨이는 대부분 담배꽁초나 담뱃재가 수납되는 용기의 중앙 부위에 담뱃불을 비벼서 소화할 수 있도록 상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부가 형성되어 구성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재떨이는 담뱃불을 소화하기 위해 담뱃불을 돌출부에 비벼야 하기 때문에 번거롭고 불편하였으며, 상기와 같이 담뱃불을 소화하다 보면 담뱃불이 용기의 외부로 튀게 되고, 또 용기의 상부가 개방되어 있어 부주의로 인해 용기를 건드리게 되면 용기 내에 담겨 있던 담배꽁초나 담뱃재 등이 외부로 유출되어 주위환경을 더럽히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완전히 소화되지 않은 담뱃불이 외부로 유출됨에 따라 화재의 원인이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보완 및 개선하기 위하여 본 원인은 담배꽁초 및 담뱃재 등이 수납되도록 상측부가 개구된 수납부을 갖는 통체와, 상기 통체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담뱃불을 소화시키기 위해 담배의 하측부를 삽입시키기 위한 삽입공과 담배꽁초를 투입하여 수납시키기 위한 투입공이 형성된 덮개와, 상기 덮개에 삽입공 하부에 위치하도록 체결되고, 중간부에 통공을 갖는 고정판의 하부에 한쌍의 탄성 분리판이 하단부가 밀착 접촉되도록 경사지게 결합되며 하면 중간부에 통공이 형성된 케이스가 결합되어 이루어지는 재분리요소를 포함하여 구성한 재떨이를 안출한 바 있으며, 이 재떨이가 선등록되고 실용신안공보 제80-46호에 알려지고 있다
이와 같은 선출원 고안의 재떨이는 담뱃재를 간편하게 소화시킬 수 있고, 담배꽁초와 재를 위생적으로 보관하여 처리할 수 있는 이점이 있으나, 담배 몸체에서 분리된 하단의 연소부가 통체의 수납부에 바로 떨어져 다른 담배꽁초에 불이 붙게 되고, 이에 의해 연기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어 이를 방지하기 위한 보완이 요구되고, 담뱃불을 보다 더 신속하게 소화시킬 수 있도록 개선이 요구되는 것이 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에 착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담뱃불을 쉽고 신속하게 소화시킴은 물론 담뱃재나 담배꽁초를 보다 안전하고 위생적으로 수납하여 관리할 수 있으며 차량이나 레저를 즐기는 장소에서 간편하게 이용되도록 휴대가 간편하게 구성된 재떨이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특징에 따르면, 담배꽁초 및 담뱃재 등이 수납되도록 상측이 개구된 수납부을 갖는 통체와, 상기 통체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담뱃불을 소화시키기 위하여 담배를 삽입시키기 위한 삽입공과 담배꽁초를 투입하여 수납시키기 위한 투입공이 형성된 덮개와, 상기 덮개에 삽입공 하부에 위치하도록 체결되고, 중간부에 통공을 갖는 고정판의 하부에 한쌍의 탄성 분리판이 하단부가 밀착 접촉되도록 경사지게 결합되며 하면 중간부에 통공이 형성된 케이스가 결합되어 이루어지는 재분리요소와, 상기 탄성 분리판의 하측으로 삽입되는 담배의 연소부를 소화시키기 위하여 상기 덮개에 상기 재분리요소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체결되고 중간부에 소화공이 형성되는 소화판과, 상기 소화판의 하부로 떨어지는 담뱃재를 받아 완전 소화시키기 위한 받이판이 포함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떨이가 제공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고안 재떨이에 관한 것으로,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재떨이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2a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재떨이의 조립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b는 재분리요소의 사시도.
도 3a는 도 2a의 A-A선 단면도.
도 3b는 도 2a의 B-B선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통체 110 : 수납부
200 : 덮개 210 : 투입공
240 : 삽입공 250, 331, 345, 353 : 체결공
300 : 소화수단 301 : 재분리요소
310 : 케이스 311 : 통공
320 : 탄성 분리판 330 : 고정판
332, 344, 352 : 체결부 335 : 통공
340 : 소화판 341 : 중간부
342 : 소화공 343 : 양측부
350 : 받이판 351 : 만곡부
400 : 체결수단
이하 본 고안인 재떨이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재떨이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2a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재떨이의 조립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b는 재분리요소의 사시도를 각각 보인 것이며, 도 3a는 도 2a의 A-A선 단면도, 도 3b는 도 2a의 B-B선 단면도를 보인 것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재떨이는 담배꽁초 및 담뱃재 등이 수납되도록 상측이 개구된 수납부(110)을 갖는 통체(100)와, 상기 통체(10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담뱃불을 소화시키기 위하여 담배의 하측부를 삽입시키기 위한 삽입공(240)과 담배꽁초를 투입하여 수납시키기 위한 투입공(210)이 형성된 덮개(200)와, 담뱃불을 소화시키기 위하여 설치되는 소화수단(300)이 포함되어 구성된다.
상기 통체(100)와 덮개(200)와 소화수단(300)은 이 실시예에서는 철판이나 함석판 등과 같은 금속 재질로 성형되는 것이나, 재질은 이에 한정될 필요가 없으며, 필요에 따라 플라스틱 및 그외 다른 재질을 이용하여 성형할 수도 있다.
상기 소화수단(300)은 상기 덮개(200)에 체결되는 환형 고정판(330)과, 이 고정판(330)의 하면에 체결되는 한쌍의 탄성 분리판(320)과, 고정판(330)의 하부에 체결되는 케이스(310)로 이루어지는 재분리요소(301)와, 상기 탄성 분리판(320)의 하측으로 삽입되는 담배의 연소부를 소화시키기 위하여 상기 덮개(200)에 상기 재분리요소(301)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체결되고 중간부(341)에 소화공(342)이 형성되는 소화판(340)과, 상기 소화판(340)의 하부로 떨어지는 담뱃재를 받아 완전 소화시키기 위한 받이판(350)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통체(100)의 상부 외측면에는 둘레를 따라 걸림단턱(120)이 형성되고, 상기 걸림단턱(120)과 인접되는 상측에는 걸림돌기(130)가 형성되며, 상기 걸림돌기(130)와 대응되는 덮개(200)의 내측면에는 걸림턱(220)이 형성되어, 상기 통체(100)의 상단에 덮개(200)가 결합된 경우 상기 덮개(200)의 결합된 상태가 유지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덮개(200)의 투입공(210) 주연부에 위치되는 상면에는 내측으로 절곡되는 요홈(230)이 형성되어 피우던 담배를 올려놓을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통체(100)와 덮개(200)는 원형뿐만 아니라 삼각, 사각, 육각 등과 같은 다각의 통형상으로 형성 가능하다.
상기 재분리요소(301)는 중간부에 통공(335)을 갖는 고정판(330)이 덮개(200)에 삽입공(240) 하부에 위치하도록 체결되고, 고정판(330)의 하부에 한쌍의 탄성 분리판(320)이 결합되며, 하면 중간부에 통공(311)이 형성된 케이스(310)가 결합되어 구성된다. 상기 탄성 분리판(320)은 하단부가 탄성적으로 접촉되도록 고정판(330)의 하면에 경사지게 체결된다.
상기 환형 고정판(330)의 통공(335) 주위에는 수개의 고정핀(333)이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양쪽 탄성 분리판(320)은 상기 고정핀(333)에 의해 리벳팅되어 체결되고, 상기 케이스(310)는 주벽의 상단부에 수개의 고정편(312)이 형성되어 고정판(330)의 통공(335) 주위에 형성된 수개의 고정홈(334)에 절곡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양쪽 탄성 분리판(320)의 하측부는 케이스(310)의 통공(311)을 통하여 하측으로 돌출되며, 통공(311)의 내측 범위에서 펴지고 오무라지게 되며, 양쪽 탄성 분리판(320)의 하단부에는 절곡부(321)가 절곡형성되어 있다.
상기 덮개(200)에는 상기 재분리요소(301), 소화판(340) 및 받이판(350)이 체결수단(400)으로 함께 체결된다.
상기 재분리요소(301)의 고정판(330)은 양측에 체결부(332)가 돌출 형성되고, 양측 체결부(332)에 체결공(331)이 각각 형성된다. 상기 소화판(340)은 중간부(341)의 양측에 절곡 형성된 양측부(343)의 상단에 체결부(344)가 형성되고, 상기 받이판(350)은 만곡부(351)의 양측부에 체결부(352)가 절곡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덮개(200), 그리고 상기 고정판(330), 소화판(340) 및 받이판(350)의 체결부(332),(344),(352)에는 체결공(250),(331),(345),(353)이 연통되게 형성되어 예를들어, 체결수단(400)의 볼트(410)와 너트(342)에 의해 함께 체결된다.
상기 덮개(200), 재분리요소(301)의 고정판(330) 및 소화판(340)은 덮개(200)의 삽입공(240), 고정판(330)의 통공(335) 및 소화판(340)의 중앙 소화공(342)이 일직선 상에 놓이도록 결합되고, 상기 받이판(350)은 만곡부(351)가 도 3b와 같이 기울어지도록 결합된다.
한편, 상기 소화수단(300)의 결합되는 위치는 여러가지로 변형될 수 있으며, 상기 체결수단(400)에는 볼트(410)를 이용한 볼트 체결구조 뿐만 아니라 용접이나 리벳이음 등과 같이 다양한 방법이 이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 재떨이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피우고 있던 담배를 잠시 놓아 두고자 하는 경우에는 덮개(200)의 투입공(210) 주위에 형성된 요홈(230)에 담배를 걸쳐 담뱃불이 투입공(210)의 내측으로 위치하도록 놓아 두게 되며, 피우던 담배의 재를 털 경우에는 덮개(200)의 투입공(210)에 털어 통체(100)의 수납부(110)에 수납되도록 한다.
한편, 피우던 담배의 불을 끄고자 하는 경우에는 담배의 하단 연소부를 덮개(200)에 형성된 삽입공(240)과, 재분리요소(301)의 고정판(330)에 형성된 통공(335)을 통하여 재분리요소(301)의 양쪽 탄성 분리판(320) 사이로 밀어 넣으면 담배의 하측부가 양쪽 탄성 분리판(320)에 압착되면서 하측으로 돌출되고, 담배의 연소부가 양쪽 탄성 분리판(320)의 하부에 결합된 소화판(340)에 부딪쳐 부숴지면서 소화되며, 일부는 소화판(340)의 통공(335)을 통해 받이판(350)에 떨어져 소화된다.
이후, 담배를 위로 꺼내게 되면 담배의 하측부가 양쪽 탄성 분리판(320)에서 눌려지면서 빠지는 동시에 하단의 담뱃재가 양쪽 탄성 분리판(320)의 절곡부(321)에 걸려 분리되고, 이와 같이 분리된 담뱃재가 내부에 남아 있으면서 완전히 소화된다.
또, 재털이의 덮개(200) 외측으로 빼낸 담배꽁초는 덮개(200)에 형성된 투입공(210)을 통하여 통체(100)의 수납부(130)에 넣어 모아 둔다.
그리고, 상기한 바와 같이, 담뱃불을 여러차례 반복하여 소화시킴에 따라 받이판(350) 위에 쌓이게 되는 담뱃재는 받이판(350)이 일측으로 기울어져 있으므로 어느 정도 쌓이게 되면 밑으로 떨어져 통체(100)의 수납부(110)에 모이게 된다.
한편, 통체(100)의 수납부(110)에 담배꽁초와 담뱃재가 많이 쌓이게 되면 덮개(200)를 분리하고 털어 낸 후, 다시 결합하여 사용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담배꽁초 및 담뱃재 등이 수납되는 통체와, 상기 통체에 개폐 가능하게 결합되는 덮개와, 덮개에 체결되는 재분리요소와, 덮개에 상기 재분리요소와 함께 체결되는 소화판 및 받이판으로 구성된 본 고안의 재떨이는 담뱃불을 편리하고 신속하게 소화시킴은 물론 담뱃재나 담배꽁초를 보다 안전하고 위생적으로 수납하여 관리할 수 있고, 휴대가 간편하여 차량이나 레저를 즐기는 장소에서 간편하게 이용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담배꽁초 및 담뱃재 등이 수납되도록 상측이 개구된 수납부(110)을 갖는 통체(100)와; 상기 통체(10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담뱃불을 소화시키기 위하여 담배의 하측부를 삽입시키기 위한 삽입공(240)과 담배꽁초를 투입하여 수납시키기 위한 투입공(210)이 형성된 덮개(200)와; 상기 덮개(200)에 삽입공(240) 하부에 위치하도록 체결되고, 중간부에 통공(335)을 갖는 고정판(330)의 하부에 한쌍의 탄성 분리판(320)이 하단부가 밀착 접촉되도록 경사지게 결합되며 하면 중간부에 통공(311)이 형성된 케이스(310)가 결합되어 이루어지는 재분리요소(301)와; 상기 탄성 분리판(320)의 하측으로 삽입되는 담배의 연소부를 소화시키기 위하여 상기 덮개(200)에 상기 재분리요소(301)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체결되고 중간부(341)에 소화공(342)이 형성되는 소화판(340)과; 상기 소화판(340)의 하부로 떨어지는 담뱃재를 받아 완전 소화시키기 위한 받이판(350)이 포함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떨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200)에 상기 재분리요소(301), 소화판(340) 및 받이판(350)이 체결수단(400)으로 함께 체결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떨이.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소화판(340)은 중간부(341)의 양측에 절곡 형성된 양측부(343)의 상단에 체결부(344)가 형성되고, 상기 받이판(350)은 만곡부(351)의 양측부에 체결부(352)가 절곡 형성되며, 상기 덮개(200), 그리고 상기 재분리요소(301)의 고정판(330), 소화판(340) 및 받이판(350)의 체결부(332),(344),(352)에는 체결공(250),(331),(345),(353)이 연통되게 형성되어 체결수단(400)에 의해 함께 볼트 체결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떨이.
KR2019980012864U 1998-07-13 1998-07-13 재떨이 KR20020563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2864U KR200205637Y1 (ko) 1998-07-13 1998-07-13 재떨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2864U KR200205637Y1 (ko) 1998-07-13 1998-07-13 재떨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9408U KR19980059408U (ko) 1998-10-26
KR200205637Y1 true KR200205637Y1 (ko) 2000-12-01

Family

ID=195361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12864U KR200205637Y1 (ko) 1998-07-13 1998-07-13 재떨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5637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354227A (zh) * 2017-06-28 2018-08-03 安远明达汽车用品有限公司 一种具有灭火功能的烟灰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9408U (ko) 1998-10-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50236282A1 (en) Compartmentalized cigarette snuffer and receptacle
KR200205637Y1 (ko) 재떨이
KR960003540Y1 (ko) 담배갑 케이스
US6161549A (en) Ash tray
JPH0670740A (ja) 消火機能付吸殻入れ兼用タバコケース
US6138682A (en) Portable put out device for cigarettes
US4240449A (en) Cigarette and cigar extinguisher
US2973879A (en) Ash tray
KR19980055680U (ko) 재떨이
JP2001327276A (ja) エチケットタバコケース
KR910000700Y1 (ko) 소화장치가 부설된 재떨이용 뚜껑
KR200226429Y1 (ko) 휴대용 담배 케이스
JPH035475Y2 (ko)
KR200346459Y1 (ko) 휴대용 재떨이
US6435192B1 (en) Safety ashtray
KR890001744Y1 (ko) 담배갑과 라이타가 내장된 재떨이
KR200166085Y1 (ko) 재털이
KR200178086Y1 (ko) 재떨이
KR200200058Y1 (ko) 재떨이
KR200193968Y1 (ko) 재떨이
KR950002657A (ko) 휴대용 재떨이
US3500835A (en) Automotive ash tray and snuffer
US3013566A (en) Ashtray
KR19990034715U (ko) 소화기가구비된재떨이
KR200178526Y1 (ko) 재털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