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5079Y1 - 홍채촬영장치 - Google Patents

홍채촬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5079Y1
KR200205079Y1 KR2020000011085U KR20000011085U KR200205079Y1 KR 200205079 Y1 KR200205079 Y1 KR 200205079Y1 KR 2020000011085 U KR2020000011085 U KR 2020000011085U KR 20000011085 U KR20000011085 U KR 20000011085U KR 200205079 Y1 KR200205079 Y1 KR 20020507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ris
storage unit
unit
camera
foreh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1108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상균
최준남
Original Assignee
김상균
최준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00-0020460A external-priority patent/KR100368522B1/ko
Application filed by 김상균, 최준남 filed Critical 김상균
Priority to KR202000001108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507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507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5079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00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 A61B3/10Objective types, i.e.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independent of the patients' perceptions or reactions
    • A61B3/14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eye photograph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00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 A61B3/10Objective types, i.e.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independent of the patients' perceptions or reactions
    • A61B3/12Objective types, i.e.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independent of the patients' perceptions or reactions for looking at the eye fundus, e.g. ophthalmoscopes
    • A61B3/1216Objective types, i.e.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independent of the patients' perceptions or reactions for looking at the eye fundus, e.g. ophthalmoscopes for diagnostics of the ir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8Other medical applications
    • A61B5/4854Diagnosis based on concepts of traditional oriental medicine

Abstract

본 고안은 홍채에 기록된 신체부위의 질병상태 및 유전질환을 관찰하여 질병을 진단 및 예방할 수 있는 홍채촬영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의자(1)와, 상기 의자(1)에 연결된 피검안자안면접속부(2)와, 상기 피검안자안면접속부(2)의 측면에 의사 등이 직접검안 할 수 있는 검안부(3)와, 상기 검안부(3)측면에 설치된 컴퓨터부(5)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피검안자 안면접속부(2)는 전체적으로 얼굴이 밀착될 수 있도록 반 타원형으로 파여져 있으며, 상부에 형성된 이마조절기(21)와, 상기 이마조절기 하부에 설치된 홍채촬영기(22)와, 상기 홍채촬영기(22) 하부에 설치된 턱조절기(23)와, 그 내부에는 광원(61,64)등으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검안부(3)는 조리개(32) 및 현미경검안렌즈(33)로 구성된 상기 컴퓨터부(5)는 상부에 설치된 모니터(4)와 그 하부에 설치된 자판(51)과, 상기 자판(51)하부에 설치된 디스켓저장부(52)와, 상기 디스켓저장부(52)하부에 형성된 CD저장부(53)와, 상기 CD저장부부(53)하부에 장착된 출력부(54)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홍채촬영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홍채촬영장치{Camera for iris}
본 고안은 홍채촬영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홍채에 기록된 신체부위의 질병상태 및 유전질환을 관찰하여 질병을 진단 및 예방할 수 있는 홍채촬영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한의학에서는 안구의 홍채를 육안으로 검사하여 인체의 아픈 부위와 허약한 부위 또는 각종질병을 진단하는 방법이 널리 알려져 있으나, 그 진단방법이 의사나 검사자의 개인적인 경험에 의하여 진단하는 것으로 의사나 검사자의 숙련도에 따라 정확도가 좌우되는 비과학적인 것으로 오진율이 높기 때문에 잘 사용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었다. 그리하여 홍채를 잘 볼 수 있는 홍채검사기나, 홍채촬영장치 등이 개발되어 왔다.
국내등록특허공보 제199278호에는 홍채의 영상을 촬영하는 홍채촬영 장치에 관한 기술이 공개되어 있으며,
국내공개실용신안공보 공개번호 제99-25963호에는 렌즈와 조명등을 이용하여 안구를 확장함과 동시에 홍채를 선명하게 조명하여 홍채를 보다 정확하게 관찰 및 검사하는 홍채검사기에 관한 기술이 기재되어 있고,
국내공개실용신안공보 공개번호 제99-16203호 및 제99-38500호에는 홍채를 컴퓨터로 촬영함에 있어 홍채를 2등분한 다음 홍채의 상, 하측을 따로따로 조명하면서 연거푸 두 번 촬영한 다음 그 두 번 촬영된 것을 컴퓨터로 합성하되 광섬유케이블에 빛을 공급하는 할로겐 램프를 릴레이스위치로서 선택적으로 점등 제어함으로서, 순간적으로 촬영되는 홍채촬영의 신뢰도를 한층 더 향상시킬 수 있고, 촬영시 소음이 발생되지 안도록 하였으며, 별도의 렌즈틀체를 구비하여 상기 렌지틀체의 좌 우측에 한 쌍의 램프를 설치하여 릴레이 스위치의 스위칭동작에 연동되어 교번 점등되도록 함으로서, 할로겐램프가 불량일 경우에도 정상적으로 홍채촬영을 실시할 수 있도록 한 홍채촬영장치가 기재되어 있으나,
상기 종래의 기술들은 근본적으로 홍채를 이용한 진단방법은 전근대적인 방법으로 의사나 검사자의 숙련도에 좌우되는 문제점이 있어 왔다.
상기 종래의 기술에 대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고안은 의자와, 상기 의자에 연결된 피검안자안면접속부와, 상기 피검안자안면접속부의 측면에 의사 등이 직접검안 할 수 있는 검안부와, 상기 검안부 측면에 설치된 컴퓨터부로 구성되어 있는 홍채촬영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본 고안이 이루고자하는 과제인 것이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홍채를 통한 유전인자 진단시스템의 흐름도
도2는 홍채 및 동공의 원 그리는 방법
도3a, 도3b는 표준 자율 신경환 표준 예들
도4는 위치에 대응되는 환부
도5는 동공의 변형유형
도6은 본 고안의 홍채를 통한 유전인자진단시스템
의사참여시 계통도
도7은 본 고안의 홍채를 통한 유전인자진단시스템
(멀리 떨어진 곳에서의) 계통도
도8은 홍채촬영장치 상세도, (A)상세도, (B)평면도,
도9는 홍채촬영장치 피검안자 안면접속부 상세도
도10은 홍채촬영장치 피검안자 안면접속부 홍채촬영기 이동 상세도
(C)좌우이동, (D)전후이동, (E)상하이동
도11은 홍채촬영장치 피검안자 안면접속부 턱 조절기 부품의
이동 상세도, (F)상하이동,
도12는 홍채촬영장치의 광원 상세도
도13은 홍채촬영장치의 검안용 의사의 현미경 상세도
도14는 홍채촬영장치의 검안기 상세도, (G)평면도, (H)측면도
가: 피검자 홍채, 나: CCD카메라 입력부, 다: 의사의 검안부
도15는 또다른 간이 홍채촬영장치 상태도
도16은 또다른 간이 홍채촬영장치 부속품상세도
<도면의 부호설명>
의자(1), 피검안자 안면접속부(2), 이마조절기(21), 홍채촬영기(22), 모터(221), 리드스크류(볼트)(222), 스크류너트(223), 브라켓(224), 스냅링(225), 턱조절기(23), 검안부(3), 조리개(32), 현미경검안렌즈(33), 모니터(4), 컴퓨터부(5), 자판(51), 디스켓저장부(52), CD저장부(53), 출력부(54), 할로겐팸프(61), 광섬유(62), 렌즈(63), 램프(64)
만능회전조절기(101), 가로이송대잠금나사(102), 레일덮개(103), 가로이송대받침대(104), 판 표면(105), 부속품서랍(106), 광조절스위치(107), 주전원스위치(108), 현미경암과 광암의 중심조절기(110), 조명조절기(111), 조명전조등본체(112), 조명전조등발사구(113), 12배율접안렌즈(118), 20배율접안기(118`), 쌍안경튜브(119), 쌍안경고정나사(120), 마그네틱조절기(121), 현미경암잠금나사(122), 조명암조절나사(123), 각도표시눈금(124), 턱받침대높이조절기(125), 턱받침대(126), 레바표시기(127), 전면가로대(128), 안압계(130`), 광선분산기(131), TV연결렌즈(132), 검안튜브(133), 탑재아답타(134), 사진기아답타(135),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의자와, 상기 의자에 연결된 피검안자안면접속부와, 상기 피검안자안면접속부의 측면에 의사 등이 직접검안 할 수 있는 검안부와, 상기 검안부 측면에 설치된 컴퓨터부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피검안자안면접속부는 전체적으로 얼굴이 밀착될 수 있도록 반 타원형으로 파여져 있으며, 상부에 형성된 이마조절기와, 상기 이마조절기 하부에 설치된 홍채촬영기와, 상기 홍채촬영기 하부에 설치된 턱조절기와, 그 내부에는 광원으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검안부는 조리개 및 현미경검안렌즈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컴퓨터부는 상부에 설치된 모니터와, 상기 모니터 하부에 설치된 자판과, 상기 자판 하부에 설치된 디스켓저장부와, 상기 디스켓저장부 하부에 형성된 CD저장부와, 상기 CD저장부부 하부에 장착된 출력부로 구성된 홍채촬영장치에 관한 것이다.
사용자가 검사신청서를 제출하면 신상자료를 적은 다음 홍채촬영장치 및 간이 홍채촬영장치에 부착하여 CCD카메라 및 디지탈카메라로 촬영한 결과를 컴퓨터에 입력시켜 홍채에 관한 자료들이 보관된 DB를 이용하여, 홍채를 분석하는 프로그램을 통하여 영상을 분석하여 입력된 홍채사진과 가장 유사한 자료를 찾아서 이미 분석된 자료의 내용을 참고하여 분석하여 건강을 진단하고, 그 진단결과를 프린트하거나, 저장하여 사용자에게 건강상태에 관한 정보를 통지하는 시스템에 사용되는 홍채촬영장치인 것이다.
본 고안에서 사용되는 홍채촬영장치는 CCD카메라 및 디지탈카메라를 주로 사용하는 것으로서, 컴퓨터와 연결하여 컴퓨터의 자판이나, 리모트 콘트롤에 의해 렌즈의 배율을 조정할 수 있으며, 촬영과 동시에 의사가 동반할 경우 의사가 주시할 수 있으며, 마이크로렌즈, 확대경, 현미경 및 홍채경이 포함된 홍채렌즈가 부착되어 진단을 할 수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의 구체적인 이용방법은 인터넷 즉 웹사이트를 이용할 경우와, e-mail 또는 전용선을 이용하거나, 입력된 디스켓을 보내어 사용하는 등의 모든 방법을 이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하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홍채를 통한 유전인자 진단시스템의 흐름도, 도2는 홍채 및 동공의 원 그리는 방법, 도3a, 도3b는 표준 자율신경환 표준 예들, 도4는 위치에 대응되는 환부 및 도5는 동공의 변형유형, 도6은 본 고안의 홍채를 통한 유전인자진단시스템 의사참여시 계통도, 도7은 본 고안의 홍채를 통한 유전인자진단시스템(멀리 떨어진 곳에서의)계통도, 도8은 홍채촬영장치 상세도(A)상세도, (B)평면도, 도9은 홍채촬영장치 피검안부 상세도, 도10은 홍채촬영장치 피검안부 홍채촬영기 이동 상세도, (C)좌우이동, (D)전후이동, (E)상하이동, 도11은 홍채촬영장치 피검안부 턱조절기 부품의 이동상세도,(F)상하이동, 도12는 홍채촬영장치의 광원 상세도, 도13은 홍채촬영장치의 검안용 의사의 현미경 상세도, 도14는 홍채촬영장치의 검안기 상세도, (G)평면도, (H)측면도, 가: 피검자홍채, 나: CCD카메라입력부, 다: 의사의 검안부, 도15는 또다른 간이 홍채촬영장치 상태도 및 도16은 또다른 간이 홍채촬영장치 부속품상세도 를 도시한 것이며, 의자(1), 피검안자 안면접속부(2), 이마조절기(21), 홍채촬영기(22), 모터(221), 리드스크류(볼트) (222), 스크류너트(223), 브라켓(224), 스냅링(225), 턱조절기(23), 검안부(3), 조리개(32), 현미경검안렌즈(33), 모니터(4), 컴퓨터부(5), 자판(51), 디스켓저장부 (52), CD저장부(53), 출력부(54), 할로겐팸프(61), 광섬유(62), 렌즈(63), 램프(64), 만능회전조절기(101), 가로이송대잠금나사(102), 레일덮개(103), 가로이송대받침대(104), 판 표면(105), 부속품서랍(106), 광조절스위치(107), 주전원스위치(108), 현미경암과 광암의 중심조절기(110), 조명조절기(111), 조명전조등본체 (112), 조명전조등발사구(113), 12배율접안렌즈(118), 20배율접안기(118`), 쌍안경튜브(119), 쌍안경고정나사(120), 마그네틱조절기(121), 현미경암잠금나사(122), 조명암조절나사(123), 각도표시눈금(124), 턱받침대높이조절기(125), 턱받침대 (126), 레바표시기(127), 전면가로대(128), 안압계(130`), 광선분산기(131), TV연결렌즈(132), 검안튜브(133), 탑재아답타(134), 사진기아답타(135)를 나타낸 것임을 알 수 있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홍채를 통한 유전인자 진단시스템의 흐름도를 간략히 나타낸 것으로서 사용자가 접속하면 회원정보 관리데이터에서 회원등록여부를 확인 한 다음에 입력된 회원의 홍채영상을 홍채프로그램을 통하여 분석하기 시작하고, 만약 등록이 되어 있지 않으면 등록한 후에 상기와 같이 CCD카메라 및 디지탈카메라로 입력한 홍채영상을 보내어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홍채를 통한 건강상태를 분석하기 시작한다.
분석이 끝나면 분석결과를 사용자에게 출력해주고, 저장하여 필요시 재 사용할 수 있는 시스템인 것이다.
도2는 홍채 데이타베이스의 구축방법 중 홍채 및 동공의 원 그리는 방법을 통해 상기 홍채 및 동공과 그 표준 자율신경환 표준 예들(도3a, 도3b)과 그 위치에 대응되는 환부(도4) 및 동공의 변형유형별(도5)로 입력하고 분석한 자료들로 저장된 홍채 데이타베이스의 구축예를 나타낸 것이고,
도6은 본 고안의 홍채를 통한 유전인자진단시스템 의사참여시 계통도를 도시하였고, 도7은 멀리 떨어진 곳에서, 사용자 등이 본 고안의 홍채를 통한 유전인자진단시스템의 이용하는 계통도를 도시하였고,
도8은 홍채촬영장치 상세도(A) 및 평면도(B)로서, 의자(1)와, 상기 의자에 연결된 피검안자 안면접속부(2)와, 상기 피검안자 안면접속부(2)의 측면에 의사 등이 직접검안 할 수 있는 검안부(3)와, 상기 검안부(3)측면에 설치된 컴퓨터부(5)로 구성된 장치로서,
상기 컴퓨터부(5)는 상부에 설치된 모니터(4)와, 상기 모니터(4)의 하부에 설치된 자판(51)과, 상기 자판(51) 하부에 설치된 디스켓저장부(52)와, 상기 디스켓저장부(52)하부에 형성된 CD저장부(53)와, 상기 CD저장부부(53)하부에 장착된 출력부(54)로 구성되어 있으며,
도9와 같이 피검안자 안면접속부(2)는 전체적으로 얼굴이 밀착될 수 있도록 반 타원형으로 파여져 있으며, 상부에 형성된 이마조절기(21)와, 상기 이마조절기 하부에 설치된 홍채촬영기(22)와, 상기 홍채촬영기(22) 하부에 설치된 턱조절기(23)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피검안자 안면접속부(2)의 내부는 상하, 전후, 좌우로 작동되어 피검안자의 홍채를 쉽게 촬영할 수 있는 자동 홍채촬영기(22)를 작동하는 장치로서, 도10과 같이 (C)좌우이동, (D)전후이동, (E)상하이동의 3가지 장치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이동장치를 상세히 설명하면, 모터(221)에 연결되어 작동되는 리드스크류(볼트)(222)가 회전되면, 스크류너트(223)가 상기 리드스크류(볼트)(222)를 따라 이동되는 것이며, 상기 장치를 고정하는 여러 개의 브라켓(55) 및 스냅링(225)으로 구성된 장치를 3조 설치하였으며, 상기 이동장치를 가로로 설치한 것이 좌우이동장치(C), 세로로 설치한 것이 상하이동장치(E), 수직으로 세워 설치한 것이 전후이동장치(D)인 것이다.
상기 이동장치는 왼쪽 눈과 오른쪽 눈을 동시에 촬영하는 것이 아니라, 하나의 촬영기로 한쪽 눈만 촬영하여야 하기 때문에 환자가 움직이는 것이 아니라, 환자를 고정시키고, 홍채촬영기가 좌우로 움직이기 때문에 필요하며, 사람마다 눈과 눈 사이가 다르며, 튀어나온 눈, 옴팍 눈 등의 여러 형태가 있기 때문에 상기 장치가 필요한 것이다.
턱조절기(23)의 이동장치는 상하로 이동하는 도11의(F) 상하이동장치이며, 상하이동장치는 모터(221)에 연결되어 작동되어 회전하는 리드스크류(볼트)(222)와, 상기 리드스크류(볼트)(222)의 회전에 따라 이동되는 스크류너트(223)와, 상기 장치를 고정하는 여러개의 브라켓(55) 및 스냅링(225)으로 구성된 상기 기재된 홍채촬영기(22)의 이동장치와 동일하게 설치하였고, 단지 상하이동장치만 설치한 것으로서, 피검자의 턱이 함께 움직이도록 장치한 것이며,
홍채 촬영시 필요로 하는 광원은 도12와 같이 할로겐팸프(61)를 광원으로 하여, 광섬유(62)에서 빛이 홍채에 발사되어 촬영하며, 촬영 시에는 상기 광섬유(62)의 발광구 4개가 동공과 가까운 곳에서 동공의 상하좌우에서 광을 발사함 과 동시에 다른 광섬유(62)두개를 홍채와 멀리 떨어진 곳에서 홍채를 향하여 발광시켜 눈의 특유한 구조를 갖는 즉, 홍채와 동공이 약간 돌출되어 반대편에 그림자가 생기지 않도록 하여 선명하게 홍채와 동공을 촬영할 수 있게 하여 정확한 진단을 할 수 있게 하였고, 다른 방법으로는 상기 홍채 촬영기 내에서 광원으로 통상의 램프(64)에서 빛을 발사하여 직접 홍채를 촬영하는 것으로 이때는 눈에 자극이 약간 느낄 수 있는 것이며, 컴퓨터에 입력을 위하여 한번 더 촬영하는 것이다.
또 다른 방법에서는 멀리 떨어진 양쪽에서 홍채를 한 번씩 촬영한 것을 합성하여 촬영할 수도 있는 것이며,
의사가 참여해서 홍채를 촬영함과 동시에 검안할 경우에는 도13의 조리개(32) 및 현미경검안렌즈(33)로 구성된 검안용 의사의 현미경을 이용하며,
홍채촬영장치의 검안기는 도14와 같이 (가)부분에서 검안되는 피검자 홍채를 (다)부분에서 의사가 직접검안 하고, 동시에 (나)부분에서 CCD카메라입력부로 촬영하여 모니터로 검안 할 수 있으며, 도14의 (G)는 평면도, (H)는 측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또다른 간이 홍채촬영장치는 도15와 같으며, 판(105)위에 만능회전조절기 (101)가 설치되어 있고 그 위에 접안렌즈암과 조명암이 설치되어 있으며 접안렌즈 암의 상부에는 12배율접안렌즈(118)가 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12배율접안렌즈(118)는 탈부착이 가능하여, 배율을 조정하여 20배율 접안렌즈(118`)등으로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고, 상기 접안렌즈(118) 외부에 설치된 쌍안경튜브(119)와, 쌍안경고정나사(120)가 형성되어 있으며, 조명암에는 조명조절기(111), 조명전조등본체(112), 조명전조등발사구(113) 이 형성되어 있고, 내부는 상기에서 설명한 도12와 동일한 구조를 갖는 홍채촬영장치의 광원인 것이다.
상기 판(105)의 후방에는 턱받침대(126)와, 높이표시기(127), 전면가로대 (128)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간이 홍채촬영장치를 도16과 같이 상기 접안렌즈암의 쌍안경고정나사 (120)에 광선분산기(131)를 부착시킨 다음 상기 광선분산기(131)의 상부에는 안압계(130`)를 부착시켜 안압을 검사할 수 있으며, 우측에는 TV연결렌즈(132)를 연결하여 비디오카메라와 연결하여 TV모니터로 검안할 수 있거나, 상기 TV연결렌즈(132)대신 검안튜브(133)를 연결하여 직접 상기 검안튜브(133)을 통하여 검안하거나, 또는 상기 TV연결렌즈(132)대신 디지탈카메라로 촬영할 수 있도록 연결되는 탑재아답타(134)와, 상기 탑재아답타(134)에 부착되고 디지탈카메라에 연결되는 사진기아답타(135)로 구성된 간이 홍채촬영장치인 것이다
홍채촬영기의 촬영방법은 피검자가 의자(1)에 앉으며 피검자 안면접속부(2)에 얼굴을 내밀어 턱조절기(23)에 턱을 올려놓으면, 이마조절기(21)가 이마를 조절함과 동시에 턱조절기(23)가 자동으로 상하좌우를 조절한 후, 홍채촬영기(22)가 자동으로 눈의 간격에 따라 상하좌우전후로 조절되어 시선의 초점을 맞추면, 촬영이 시작되어 모니터(4)에 영상으로 나타나며, 이때 의사가 직접 진단할 경우에는 측면의 검안부(3)를 이용하여 직접 검안할 수 있으며, 상기 촬영을 컴퓨터부(5)의 자판(51)을 이용하거나, 리모트콘트롤(미도시)을 이용하여 컴퓨터, 디스켓 등에 저장 할 수 있으며, 필요시 저장할 수 있으며, 상기 컴퓨터의 홍채 데이타베이스 및 홍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진단한 후에 진단한 자료를 출력하여 활용할 수 있는 것이다.
간이 홍채촬영기의 작동방법은 피검안자가 턱을 턱받침대(126)에 놓으면 턱받침대 높이조절기(125)로 조절하여 턱을 고정시켜 피검안자의 눈을 고정시킨 후, 조명암조절나사(23)와 각도표시눈금(24)로 조명을 조절하고 한 후에, 마그네틱조절기(121)로 접안렌즈(118)를 조절하고 최종 현미경암과 광암의 중심조절기(110)로 광도와 거리를 조정한 후에, 상기 접안렌즈암의 쌍안경고정나사(120)에 광선분산기(131)를 부착시킨 다음, 우측에는 TV연결렌즈(132)를 연결하여 비디오카메라와 연결하여 TV모니터로 검안하여, 홍채데이터베이스를 통하여 분석한 후에 진단하는 방법인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홍체촬영장치에서 촬영한 사진만으로 전문가뿐만 아니라 간단히 분석하여 본인의 건강상태를 알아내어 사전에 질병을 예방 치료하는 국민건강분야에 널리 간편히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4)

  1. 홍채촬영장치에 있어서, 의자(1)와, 상기 의자(1)에 연결된 피검안자안면접속부(2)와, 상기 피검안자안면접속부(2)의 측면에 의사 등이 직접검안 할 수 있는 검안부(3)와, 상기 검안부(3)측면에 설치된 컴퓨터부(5)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피검안자 안면접속부(2)는 전체적으로 얼굴이 밀착될 수 있도록 반 타원형으로 파여져 있으며, 상부에 형성된 이마조절기(21)와, 상기 이마조절기 하부에 설치된 홍채촬영기(22)와, 상기 홍채촬영기(22) 내부에 설치된 홍채촬영기(22) 이동장치와, 상기 홍채촬영기(22)의 하부에 설치된 턱조절기(23)와, 상기 홍채촬영기(22) 내부에 설치된 렌즈(63) 및 광원(61,64)으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검안부(3)는 조리개(32) 및 현미경검안렌즈(33)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컴퓨터부(5)는 상부에 설치된 모니터(4)와, 상기 모니터(4)의 하부에 설치된 자판(51)과, 상기 자판(51) 하부에 설치된 디스켓저장부(52)와, 상기 디스켓저장부(52) 하부에 형성된 CD저장부(53)와, 상기 CD저장부부(53)하부에 장착된 출력부(54)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홍채촬영장치.
  2. 상기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홍채촬영기(22)를 상하, 전후, 좌우로 이동시키는 이동장치는 모터(221)에 연결되어 작동되어 회전하는 리드스크류(볼트)(222)와, 상기 리드스크류(볼트)(222)를 따라 이동되는 스크류너트(223)와, 상기 장치들을 고정하는 브라켓(55) 및 스냅링(225)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홍채촬영장치.
  3. 상기 제1항에 있어서, 턱조절기(23)의 상하 이동장치는 모터(221)에 연결되어 작동되어 회전하는 리드스크류(볼트)(222)와, 상기 리드스크류(볼트)(222)의 회전에 따라 이동되는 스크류너트(223)와, 상기 장치를 고정하는 여러개의 브라켓(55) 및 스냅링(225)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홍채촬영장치.
  4. 상기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홍채촬영기(22)의 광원은 할로겐램프(61)에 연결되어 발광되는 광섬유(62)이거나, 또는 램프(64)에서 선택된 어느하나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홍채촬영장치.
KR2020000011085U 2000-04-18 2000-04-19 홍채촬영장치 KR20020507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1085U KR200205079Y1 (ko) 2000-04-18 2000-04-19 홍채촬영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0460A KR100368522B1 (ko) 2000-04-18 2000-04-18 홍채촬영장치와 그를 이용한 홍채촬영방법 및 유전인자 진단시스템
KR2020000011085U KR200205079Y1 (ko) 2000-04-18 2000-04-19 홍채촬영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20460A Division KR100368522B1 (ko) 2000-04-18 2000-04-18 홍채촬영장치와 그를 이용한 홍채촬영방법 및 유전인자 진단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5079Y1 true KR200205079Y1 (ko) 2000-12-01

Family

ID=266373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1085U KR200205079Y1 (ko) 2000-04-18 2000-04-19 홍채촬영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5079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292212B1 (en) Digital eye camera
US7121665B2 (en) Digital eye camera
CA2730720C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maging the eye
CN201379552Y (zh) 免散瞳眼底照相装置
US6086205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imultaneous bilateral retinal digital angiography
JP2003047595A (ja) 眼科撮影装置
CN210383874U (zh) 一种自动对准定位眼底相机
KR100368522B1 (ko) 홍채촬영장치와 그를 이용한 홍채촬영방법 및 유전인자 진단시스템
CN112472023A (zh) 一种智能自动化眼病筛查机器人
KR200205079Y1 (ko) 홍채촬영장치
WO2000021432A9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digital ocular imaging
US20230337912A1 (en) System, device and method for portable, connected and intelligent eye imaging
CN112057037A (zh) 一种自动化眼科检查机器人
CN215340529U (zh) 一种低照度可调焦间接检眼镜
CN212939671U (zh) 一种模块化全兼容眼科检查仪器的全自动系统
US11344197B2 (en) Digital 3D infrared slit lamp with pupil and retina intensity measurement
CN210871523U (zh) 一种双目立体和激光共焦扫描眼底相机
RU75559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исследования переднего отдела глаза
KR20070113539A (ko) 근적외선을 이용한 세극등 검사장치
CN111227786A (zh) 一种眼底相机
CN113703151A (zh) 一种低照度可调焦间接检眼镜
MXPA99008987A (en) A system for imaging an ocular fundus semi-automatically at high resolution and wide field
JPH0368333A (ja) 瞳孔対光反応検診器械装置
CN2066716U (zh) 眼病早期诊断仪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