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4830Y1 - 워터젯트 직기의 절수 장치 - Google Patents

워터젯트 직기의 절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4830Y1
KR200204830Y1 KR2020000019111U KR20000019111U KR200204830Y1 KR 200204830 Y1 KR200204830 Y1 KR 200204830Y1 KR 2020000019111 U KR2020000019111 U KR 2020000019111U KR 20000019111 U KR20000019111 U KR 20000019111U KR 200204830 Y1 KR200204830 Y1 KR 20020483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jet loom
loom
water jet
drip tr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1911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준석
Original Assignee
양준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준석 filed Critical 양준석
Priority to KR202000001911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483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483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4830Y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47/00Looms in which bulk supply of weft does not pass through shed, e.g. shuttleless looms, gripper shuttle looms, dummy shuttle looms
    • D03D47/28Looms in which bulk supply of weft does not pass through shed, e.g. shuttleless looms, gripper shuttle looms, dummy shuttle looms wherein the weft itself is projected into the shed
    • D03D47/32Looms in which bulk supply of weft does not pass through shed, e.g. shuttleless looms, gripper shuttle looms, dummy shuttle looms wherein the weft itself is projected into the shed by liquid j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49/00Details or constructional features not specially adapted for looms of a particular type
    • D03D49/24Mechanisms for inserting shuttle in shed
    • D03D49/50Miscellaneous devices or arrangements concerning insertion of weft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JAUXILIARY WEAVING APPARATUS; WEAVERS' TOOLS; SHUTTLES
    • D03J1/00Auxiliary apparatus combined with or associated with looms
    • D03J1/04Auxiliary apparatus combined with or associated with looms for treating wef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uxiliary Weaving Apparatuses, Weavers' Tools, And Shuttles (AREA)
  • Loom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워터젯트 직기의 절수 장치에 관한 것으로, 종래의 워터 젯트 직기의 절수장치는 노즐에 의해 물의 분사 압력으로 위사를 공급하는 과정에서, 분사된 물이 워터젯트 직기 룸 내부에서 비산(飛散)하게 되어, 물받이에 물이 모두 받아지지 않을 뿐 아니라, 통상 위사 공급과정에서도 직조중인 원단으로 물이 떨어지게 되어, 물받이를 통하여 수거되는 물은, 전체 사용량 중 30 ∼ 40% 만이 수거되고, 60 ∼ 70%의 물은 버려지게 되는 폐단이 따랐다.
이에 본 고안은, 워터젯트 직기룸의 하부에 부직포를 안착시킨 수거판을 형성하여, 분사노즐의 펌핑분사 시에 발생하는 비산(飛散)하는 물을 수거할 수 있도록 구성하므로서, 많은 양의 물을 수거하여 재활용할 수 있도록 하여, 원단 직조 시의 물을 절약하여, 원가 절감과 물의 재활용으로 수질오염을 막을 수 있는 워터젯트 직기의 절수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워터젯트 직기의 절수 장치{ saving water system of water jet room }
본 고안은 워터젯트 직기의 절수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위사공급 시 펌핑 분사되는 물을 다단계 여과를 거쳐 펌프로 다시 공급하는 과정에서, 분사노즐의 펌핑분사 시에 발생하는 비산(飛散)하는 물을 수거하여 재활용 할 수 있도록 하는 워터젯트 직기의 절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물의 분사압력으로 위사공급이 이루어지는 워터젯트 직기는 위사 의 공급이 신속하여, 생산량을 증대 시킬 수는 있으나, 물을 사용하여 직조하므로 물의 사용량이 엄청나게 소모되어, 물을 재활용하기 위한 노력으로 워터젯트 직기의 절수장치를 필요로 하게 되었다.
워터젯트 직기의 절수장치는 위사공급 시 분사된 물을 수거하여, 다단계의 여과 장치를 거치게 되는 데 그 이유는, 위사 공급과 동시에 분사되는 물은 공급되는 위사의 표면에 붙어 있는 실의 잔털과 각종 먼지나 미세한 이물질과 섞이기 때문에 이를 그대로 재사용할 경우는 노즐의 구멍을 막히게 하는 원인으로 작용될뿐 아니라, 직조된 원단의 품질을 저하시키기게 되므로, 여과과정을 거치게 되었다.
이러한 종래의 워터 젯트 직기의 절수장치는 도 2에서와 같이, 워터젯트 직기룸(30)의 일측의 노즐(31)에서 물(100)을 분사하면, 노즐(31) 반대편의 반구형의 물받이(40)로 물(100)이 부딪히면서 떨어지게 되고, 높은 압력으로 튕겨 나가는 물(100)을 방지편(42)으로 막아, 반구형의 물받이(40)의 하부에 여과망(41)을 통과한 물(100)은 연결호스(43)를 통과하여, 여과장치(50)로 유입되고, 여과장치(50) 내부의 다수 개의 다단식 정수휠터(51)를 통과하면서 여과 과정을 거쳐 집수탱크 (60)로 유입된 물(100)은 위사의 공급시에는 다시, 펌프(70)를 통하여워터젯트직기룸(30)의 분사노즐(31)로 유입 분사되어, 물을 재활용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워터 젯트 직기의 절수장치는 노즐에 의해 물의 분사 압력으로 위사를 공급하는 과정에서, 분사된 물이 반드시 분사노즐 반대편에 위치한 반구형 물받이로만 분사되는 것은 아니라, 워터젯트직기 룸 내부에서 물이 비 산(飛散)하여 물받이에 물이 모두 받아지지 않을 뿐 아니라, 통상 위사 공급과정에서도 직조중인 원단으로 물이 떨어지게 되며, 노즐에서 물과 함께 분사되는 위사도 물에 젖어 물을 흡수하게 되므로, 물받이를 통하여 수거되는 물은, 전체 사용량 중 30 ∼ 40% 만이 수거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따라서, 한번의 위사 공급후, 다시 재활용할 수 있는 물의 양은 사용량 중 30 ∼ 40%로, 다시 위사를 공급할 때에는 새로운 물을 60 ∼ 70% 만큼 투입 하여야 하므로, 한번의 위사 공급에서 60 ∼ 70%의 물은 버려지게 되는 폐단이 따랐 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특히, 분사노즐의 펌핑분사 시에 발생하는 비산(飛散)하는 물을 수거할 수 있도록, 워터젯트 직기룸의 하부에 부직포를 안착시킨 수거판을 형성하여, 아래로 떨어지는 물을 부직포가 흡수하여, 수거판을 통하여 반원형의 물받이로 투입될 수 있도록 하므로서, 많은 양의 물을 수거하여 재활용할 수 있도록 하여, 원단 직조 시의 물을 절약하여, 원가 절감이 가능하고, 물의 재활용으로 수질오염을 막을 수 있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로서 워터젯트 직기의 절수장치를 나타낸 예시도.
도 2는 종래의 워터젯트 직기의 절수장치를 나타낸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로서 워터젯트 직기의 절수장치를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2는 종래의 워터젯트 직기의 절수장치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워터젯트 직기룸(30)의 일측에 분사노즐(31)과, 분사노즐(31)의 다른 일측 에 여과망(41)과 방지편(42)을 가진 반구형의 물받이(40)와, 연결호스(43)로 연결된, 내부에 다수개의 다단식 정수휠터(51)를 가진 여과장치(50)와, 집수탱크(60) 와 펌프(70)를 가진 통상의 워터젯트 직기의 절수장치에 있어서,
워터젯트 직기룸(30)의 하부에 반구형의 물받이(40)의 내부로 연결되는 경사진 수거판(10)을 형성하여,
상기, 수거판(10)의 상부에 부직포(11)를 안착시켜 물을 수거할 수 있도록한 구조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대한 작용을 첨부된 도 1내지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통상의 워터젯트 직기 절수장치의 워터젯트 직기룸(30)의 하부에 워터젯트 수거판을 반구형 물받이(40)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도록 형성하여, 반구형의 물받이(40) 내부로 연결되도록 하고,
상기, 수거판(10)의 상부에 부직포(11)를 안착시켜 물을 흡수할 수 있도록하여, 상기 부직포(11)에 흡수된 물(100)이 반구형 물받이(40)로 흘러들어 가도록, 경사진 수거판(10)을 형성한 것이다.
따라서, 워터젯트 직기룸(30)의 일측에 형성된 즐(31)에서 물(100)을 분사하게 되면, 노즐(31)의 다른 일측에 형성된 반구형의 물받이(40)로 물(100)이 부딪히면서 여과망으로 떨어지고, 높은 압력으로 튕겨 나가는 물(100)을 반구형 물받이(40)의 일측에 형성된 방지편(42)이 막아줌으로, 여과망(41)으로 유입되어, 1차 여과과정을 거쳐, 연결호스(43)로 유입되는 것이다.
한편, 노즐의 위사분사 과정에서 비산(飛散)하여 떨어지는 물(100)은 워터젯트 직기 룸(30)의 하부에 형성된 수거판(10)에 안착된 부직포(11)가 물을 흡수하여, 반원형 물받이(40)로 흘러들어가게 되므로, 여과망(41)을 통과하여 연결 호스(43)로 유입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연결호스(43)로 유입된 물(100)은 연결호스(43)를 통과하여, 여과장치 (50)로 유입되어, 여과장치(50) 내부에 설치된 다수 개의 다단식 정수휠터(51)를 통과하게 되면서 2차 여과과정을 거쳐 정수된 물(100)은 집수탱크(60)로 유입되는 것이다.
상기 집수탱크(60)로 유입된 물(100)은 위사의 공급시에는 다시, 펌프(70)를 통하여 워터젯트직기룸(30)의 분사노즐(31)로 유입 분사되어, 사용한 많은 물(100)을 수거하여 재활용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통상의 워터젯트 직기의 절수장의 워터젯트직기룸에 부착포를 안착시킨 수거판을 반원형의 물받이와 연결되도록 형성하므로서, 분사노즐의 펌핑분사 시에 발생하는 비산(飛散)하는 물을 수거할 수 있어, 많은 양의 물을 수거하여 재활용할 수 있도록 하여, 원단 직조 시의 물을 절약하여, 원가절감과, 물의 재활용으로 수질오염을 막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워터젯트 직기룸(30)의 일측에 분사노즐(31)과, 분사노즐(31)의 다른 일측 에 여과망(41)과 방지편(42)을 가진 반구형의 물받이(40)와, 연결호스(43)로 연결된, 내부에 다수개의 다단식 정수휠터(51)를 가진 여과장치(50)와, 집수탱크(60) 와 펌프(70)를 가진 통상의 워터젯트 직기의 절수장치에 있어서,
    워터젯트 직기룸(30)의 하부에 반구형의 물받이(40) 내부로 연결되는 경사진 수거판(10)을 형성하여,
    상기, 수거판(10)의 상부에 부직포(11)를 안착시켜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워터젯트 직기의 절수장치.
KR2020000019111U 2000-07-04 2000-07-04 워터젯트 직기의 절수 장치 KR20020483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9111U KR200204830Y1 (ko) 2000-07-04 2000-07-04 워터젯트 직기의 절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9111U KR200204830Y1 (ko) 2000-07-04 2000-07-04 워터젯트 직기의 절수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4830Y1 true KR200204830Y1 (ko) 2000-12-01

Family

ID=196636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9111U KR200204830Y1 (ko) 2000-07-04 2000-07-04 워터젯트 직기의 절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4830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6422B1 (ko) * 2020-10-07 2021-06-18 (주)옥련건설 맨홀보수용 워터젯 절단장치
CN114703589A (zh) * 2022-04-19 2022-07-05 吴玉准 一种化纤纺织机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6422B1 (ko) * 2020-10-07 2021-06-18 (주)옥련건설 맨홀보수용 워터젯 절단장치
CN114703589A (zh) * 2022-04-19 2022-07-05 吴玉准 一种化纤纺织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750416B2 (en) Rotary washer with obliquely positioned demister
KR200204830Y1 (ko) 워터젯트 직기의 절수 장치
JPH0364779B2 (ko)
CN210596507U (zh) 一种用于无纺布料的水刺机
US2948233A (en) Evaporative cooler
US6814788B2 (en) Vacuum cleaner with water filter
CN207668077U (zh) 一种纺织机械零部件清洗机
CN111254557A (zh) 一种宽幅喷水织机的集水辅助装置
KR101307938B1 (ko) 워터제트직기용 분사노즐
CN113229758A (zh) 清洗结构
CN208437309U (zh) 一种纤维成网机网帘在线清洗装置
KR100275928B1 (ko) 여과장치의 여과막 세척방법
CN218596623U (zh) 一种便于收集的喷气纺织机
CN212834316U (zh) 一种具有液体回收功能的喷水织机
CN110258006A (zh) 喷水织机防溅收水装置
JP2588286Y2 (ja) ウォータージェットルームの使用水処理装置
CN213433251U (zh) 一种可避免喷头堵塞的喷水织机
TW528617B (en) Water-washing type coating room
CN216891429U (zh) 一种玻璃纤维布生产用喷水织机
CN217473897U (zh) 一种湿巾生产的湿巾液喷淋装置
CN213699031U (zh) 一种喷水织机的废水过滤装置
KR20010090683A (ko) 워터제트직기의 분사수 재활용장치
CN215196025U (zh) 一种便于收集灰尘电厂除尘设备
CN212051800U (zh) 一种纺织机的喷水机构
CN210079107U (zh) 一种用于柔软机的出风口过滤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919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