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4122Y1 - 손잡이가 부착된 분필 - Google Patents

손잡이가 부착된 분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4122Y1
KR200204122Y1 KR2020000017224U KR20000017224U KR200204122Y1 KR 200204122 Y1 KR200204122 Y1 KR 200204122Y1 KR 2020000017224 U KR2020000017224 U KR 2020000017224U KR 20000017224 U KR20000017224 U KR 20000017224U KR 200204122 Y1 KR200204122 Y1 KR 20020412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lk
handle
attached
frame
cover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1722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욱
Original Assignee
김재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재욱 filed Critical 김재욱
Priority to KR202000001722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412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412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4122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19/00Non-propelling pencils; Styles; Crayons; Chalks
    • B43K19/14Sheath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3/00Holders or connectors for writing implements; Means for protecting the writing-points
    • B43K23/016Holders for crayons or chal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19/00Non-propelling pencils; Styles; Crayons; Chalks
    • B43K19/003Chalks

Landscapes

  • Drawing Aids And Blackboard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손잡이가 부착된 분필에 관한 것으로, 칠판(미도시) 등에 필기되는 용도로 사용되는 손잡이가 부착된 분필에 있어서, 상기 칠판에 필기되는 필기재로 쓰이는 몸체(1)와, 상기 몸체(1)의 일단면에 설치되어 손잡이로 사용되는 손잡이부(2) 및 상기 몸체(1) 외주의 일부와 상기 손잡이부(2) 외주를 더불어 감싸면서 설치되는 덮개부재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손잡이가 부착된 분필은 손으로 덮개부재를 잡기 때문에 분필을 잡고 사용하는 사람의 손에 상기 분필의 가루가 뭍지 않고, 상기 분필을 사용 후에는 폐기되는 몸체의 잔여부분이 최소화되고 동시에 잔여 손잡이부가 재활용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자원을 절감할 수 있다.

Description

손잡이가 부착된 분필{.}
본 고안은 손잡이가 부착된 분필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버리게 되는 손잡이 부분의 낭비를 절약하고 분필을 잡을 때 분필 가루가 손에 묻지 않는 손잡이가 부착된 분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강의 또는 메모를 위하여 칠판에 필기를 하고, 이때 주로 황산칼슘 또는 탄산칼슘 등이 원기둥형태로 결합되어 제조된 분필이 사용된다.
도 1은 종래 분필의 사시도로서, 원기둥형태로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분필이 사용되는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손(미도시)으로 분필의 일부를 잡고 칠판(미도시)에 필기를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 분필은 분필을 손으로 잡고 필기하는 중, 상기 손에 상기 분필의 가루가 뭍어서 사용자의 손과 옷 등이 하얗게 되는 일이 빈번하다. 또한, 상기 분필을 손에 잡고 필기를 한 후, 손으로 잡고 사용하던 잔여 부분은 폐기되어 자원이 낭비되는 문제점을 갖는다.
본 고안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서, 분필을 잡고 사용하는 사람의 손에 상기 분필의 가루가 뭍지 않고, 상기 분필을 사용 후 손으로 잡았던 잔여부분이 폐기되지 않는 손잡이가 부착된 분필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분필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손잡이가 부착된 분필의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손잡이가 부착된 분필의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손잡이가 부착된 분필의 분리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손잡이가 부착된 분필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몸체 2...손잡이부
3...제 1 접착부재 4,7...덮개부재
5...제 1 프레임 6...제 2 접착부재
8...제 2 프레임 9...분리부
10...제 3 접착부재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손잡이가 부착된 분필은, 칠판(미도시) 등에 필기되는 용도로 사용되는 손잡이가 부착된 분필에 있어서, 상기 칠판에 필기되는 필기재로 쓰이는 몸체(1)와, 상기 몸체(1)의 일단면에 설치되어 손잡이로 사용되는 손잡이부(2) 및 상기 몸체(1) 외주의 일부와 상기 손잡이부(2) 외주를 더불어 감싸면서 설치되는 덮개부재를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손잡이가 부착된 분필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2 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손잡이가 부착된 분필은 칠판에 필기되는 필기재로 쓰이는 몸체(1)의 일단면에, 제 1 접착부재(3)에 의하여 손잡이부(2)가 부착 설치된다. 상기 손잡이부(2)는 프라스틱 재질의 중공 기둥형태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몸체(1) 외주의 일부와 상기 손잡이부(2) 외주를, 덮개부재(4)가 감싸며 설치된다. 상기 덮개부재(4)는 제 1 프레임(5)의 일단부에 제 2 접착부재(5)에 의하여 부착된다. 상기 제 1 프레임(5)은 표면이 거칠어서 손으로 잡기에 용이한 종이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손잡이가 부착된 분필이 사용되는 방법을 도 3을 참조하면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손(미도시)으로 덮개부재(4)를 잡고, 몸체(1)로 칠판 등에 필기를 한다.
도 4는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손잡이가 부착된 분필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4 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손잡이가 부착된 분필은 칠판에 필기되는 필기재로 쓰이는 몸체(1)의 일단면에, 제 1 접착부재(3)에 의하여손잡이부(2)가 부착 설치된다. 상기 손잡이부(2)는 프라스틱 재질의 중공 기둥형태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몸체(1) 외주의 일부와 상기 손잡이부(2) 외주를,덮개부재(7)가 감싸며 설치된다. 상기 덮개부재(7)는 제 1 프레임(5)과 제 2 프레임(8)의 사이에 분리를 용이하게 하는 분리부(9)가 설치된다. 상기 제 1 프레임(5), 제 2 프레임(8)과 분리부(9)의 일단부에 제 3 접착부(10)가 부착 설치된다. 상기 제 1,2 프레임(5,8) 은 표면이 거칠어서 손으로 잡기에 용이한 종이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본 고안에 따른 손잡이가 부착된 분필이 사용되는 방법을 도 3을 참조하면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손(미도시)으로 제 2 덮개부재(7)를 잡고, 몸체(1)로 칠판 등에 필기를 한다. 상기 몸체(1)의 소정량이 마모되면, 제 2 프레임(8)이 제거되어 새롭게 노출된 몸체(1)의 잔여부분으로 필기를 한다.
이상 설명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손잡이가 부착된 분필은 손으로 덮개부재를 잡기 때문에 분필을 잡고 사용하는 사람의 손에 상기 분필의 가루가 뭍지않고, 상기 분필을 사용 후에는 폐기되는 몸체의 잔여부분이 최소화되고 동시에 잔여 손잡이부가 재활용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자원을 절감할 수 있다.

Claims (6)

  1. 칠판(미도시) 등에 필기되는 용도로 사용되는 손잡이가 부착된 분필에 있어서,
    상기 칠판에 필기되는 필기재로 쓰이는 몸체(1);
    상기 몸체(1)의 일단면에 설치되어 손잡이로 사용되는 손잡이부(2); 및
    상기 몸체(1) 외주의 일부와 상기 손잡이부(2) 외주를 더불어 감싸면서 설치되는 덮개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잡이가 부착된 분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2)는 중공 기둥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잡이가 부착된 분필.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2)는 프라스틱 재질인 것을특징으로 하는 손잡이가 부착된 분필.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재(4)는 제 1 프레임(5)의 일단부에 제 2 접착부재(6)가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잡이가 부착된 분필.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재(7)는
    제 1 프레임(5);
    상기 제 1 프레임(5)의 일단에 형성된 분리부(9);
    상기 분리부(9)의 일단에 설치된 제 2 프레임(8); 및
    상기 제 1 프레임(5), 분리부(9)와 제 2 프레임(8)의 일단부에 제 2 접착부재(6)가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잡이가 부착된 분필.
  6.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프레임(5) 또는 제 2 프레임(8)는 종이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잡이가 부착된 분필.
KR2020000017224U 2000-06-16 2000-06-16 손잡이가 부착된 분필 KR20020412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7224U KR200204122Y1 (ko) 2000-06-16 2000-06-16 손잡이가 부착된 분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7224U KR200204122Y1 (ko) 2000-06-16 2000-06-16 손잡이가 부착된 분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4122Y1 true KR200204122Y1 (ko) 2000-11-15

Family

ID=196611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7224U KR200204122Y1 (ko) 2000-06-16 2000-06-16 손잡이가 부착된 분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4122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521755A1 (en) Writing assembly in combination with eraser assembly
CA100523S (en) Capless retractable marking instrument
KR200204122Y1 (ko) 손잡이가 부착된 분필
JP3070377U (ja) 筆記用こすれ防止具
KR200266528Y1 (ko) 다기능 지우개
CN215041655U (zh) 一种性能稳定的钢笔
KR200171233Y1 (ko) 지우개가부착된수정액
JP3004985U (ja) 筆記具の指当材
KR910009070Y1 (ko) 연필에 결합되는 지우개
KR200371441Y1 (ko) 2종류의 필기구용심이 장착된 나무연필.
KR200223813Y1 (ko) 눈썹화장용구
KR100250398B1 (ko) 이름표시판구조체
CN204726085U (zh) 粉笔套
KR200289205Y1 (ko) 화이트보드 지우개
JPH0286779U (ko)
JP3085196U (ja) 印 鑑
KR950000492Y1 (ko) 필기구
JP3016175U (ja) 粘着材利用剥離具
KR200359328Y1 (ko) 기념도장
JPH07290888A (ja) 多用途のシャープペンシル
KR200249391Y1 (ko) 칠판 셋트
KR200305183Y1 (ko) 스치로폴 연필
KR880000966Y1 (ko) 기념품용 볼펜
KR200305184Y1 (ko) 플라스틱 연필
KR200283700Y1 (ko) 캔용기를 이용한 연필꽂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