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3842Y1 - 흄흡입관내의 이물낙하방지장치 - Google Patents

흄흡입관내의 이물낙하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3842Y1
KR200203842Y1 KR2020000017973U KR20000017973U KR200203842Y1 KR 200203842 Y1 KR200203842 Y1 KR 200203842Y1 KR 2020000017973 U KR2020000017973 U KR 2020000017973U KR 20000017973 U KR20000017973 U KR 20000017973U KR 200203842 Y1 KR200203842 Y1 KR 20020384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me
suction pipe
foreign
fume suction
foreign mat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1797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선창수
김정수
Original Assignee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filed Critical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0001797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384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384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3842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9/00Measures for carrying out rolling operations under special conditions, e.g. in vacuum or inert atmosphere to prevent oxidation of work; Special measures for removing fumes from rolling mills

Abstract

본 고안은 흄(Fume)흡입관내의 이물낙하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흡입팬의 정지시 흄흡입관의 내벽에 부착되어 있는 웨트유흄의 이물을 이물배출라인을 통해 외부로 배출함으로써 이물에 의한 백업롤, 워크롤, 스트립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흄(Fume)흡입관내의 이물낙하방지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흄흡입관(2-1)의 하부에 설치되어 그 흄흡입구(2-3)를 통해 흄(3)을 상기 흄흡입관(2-1)측으로 유도하고, 낙하하는 흄이물(8)을 그 이물배출로(17-1)로 수거한 후 체크도어(16)에 의해 개폐되는 그 이물배출라인(17)으로 배출하도록 설치되는 흄유도판(2-2)과; 상기 흄흡입관(2-1)에 내장 설치되어 그 유도상판(30)과 다수의 이물유도판(31)이 상하적층된 상태에서 실린더(13)와 연결된 와이어로프(18)에 의해 안내바(32,31-2)를 따라 상하강되는 이물유도부(2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흄흡입관내의 이물낙하방지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흄흡입관내의 이물낙하방지장치{Device for preventing fall of fume mass}
본 고안은 흄(Fume)흡입관내의 이물낙하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흡입팬의 정지로 흄흡입관내의 부압이 제거되면서 흄흡입관의 내벽에 부착되어 있는 웨트유흄의 이물이 백업롤, 워크롤, 스트립 등으로 낙하되는 현상을 방지하는 흄(Fume)흡입관내의 이물낙하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질압연시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압연성 향상을 위해 백업롤(4), 워크롤(5), 스트립(1)에 분사노즐(6)로부터 웨트유(7)가 분사된다.
이때, 분사되는 웨트유(7)는 열간상태의 백업롤(4), 워크롤(5), 스트립(1)과 접촉되면서 웨트유흄(3)을 발생시키게 되고, 이 흄(3)을 방치할 경우 환경오염을 물론 백업롤(4), 워크롤(5), 스트립(1)에 각각 흡착되어 스트립의 품질을 악화시키게 된다.
따라서, 조질압연중에는 흡입팬(30)을 가동시켜 압연기의 상부에 설치되는 흄흡입관(2)을 통해 유해한 웨트유흄(3)을 흡수 포집하게 된다.
한편, 웨트유흄(3)은 흄흡입관(2)으로 흡입 배출되는 과정에서 냉각이 이루어져 일부가 겔(Gel)형태의 이물(8)로 흄흡입관(2)의 내벽에 흡착되어 있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이물(8)은 조질압연중에는 흡입팬(30)의 흡입력에 의해 낙하하지 못하고 그대로 흄흡입관(2)의 내벽에 흡착된 상태로 잔존하게 되지만 압연작업이 종료되면서 일단 흡입팬(30)의 가동이 멈추게 되면 그 자중에 의해 낙하되어 압연기의 백업롤(4)과 워크롤(5), 그리고 스트립(1)으로 떨어지게 된다.
이때, 낙하된 이물(8)은 정상적인 스트립(1)을 스크랩(Scrap)화하여 폐기시키는 등의 심각한 문제를 야기시키게 되고,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압연완료 후에도 계속해서 흡입팬(30)을 가동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방법은 흡입팬(30)의 계속적인 가동으로 전력소모가 많을 뿐만아니라 그 수명을 단축시키게 되고, 흡입팬(30)의 잦은 고장으로 작업휴지 등의 생산성저하를 유발하는 동시에 여전히 이물(8)의 낙하라는 문제를 발생시켰다.
본 고안은 흡입팬의 정지시 흄흡입관의 내벽에 부착되어 있는 웨트유흄의 이물을 이물배출라인을 통해 외부로 배출함으로써 이물에 의한 백업롤, 워크롤, 스트립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흄(Fume)흡입관내의 이물낙하방지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1은 종래의 흄흡입관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흄흡입관내의 이물낙하방지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흄흡입관내의 이물낙하방지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4는 본 고안에 따른 흄흡입관내의 이물낙하방지장치중 이물유도부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5는 도2의 A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6은 도2의 B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7은 도2의 C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8은 본 고안에 따른 흄흡입관내의 이물낙하방지장치의 흄흡입작용을 나타내는 상태도,
도9는 본 고안에 따른 흄흡입관내의 이물낙하방지장치의 이물배출작용을 나타내는 상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스트립 2,2-1: 흄흡입관
2-2: 흄유도판 2-3: 흄흡입구
3: 흄 4: 백업롤
5: 워크롤 6: 웨트유노즐
7: 웨트유 8: 이물
20: 이물유도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흄흡입관의 하부에 설치되어 그 흄흡입구를 통해 흄을 상기 흄흡입관측으로 유도하고, 낙하하는 흄이물을 그 이물배출로로 수거한 후 체크도어에 의해 개폐되는 그 이물배출라인으로 배출하도록 설치되는 흄유도판과; 상기 흄흡입관에 내장 설치되어 그 유도상판과 다수의 이물유도판이 상하적층된 상태에서 실린더와 연결된 와이어로프에 의해 안내바를 따라 상하강되는 이물유도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흄흡입관내의 이물낙하방지장치를 제공한다.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흄흡입관내의 이물낙하방지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흄흡입관내의 이물낙하방지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4는 본 고안에 따른 흄흡입관내의 이물낙하방지장치중 이물유도부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고, 도5는 도2의 A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6은 도2의 B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7은 도2의 C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8은 본 고안에 따른 흄흡입관내의 이물낙하방지장치의 흄흡입작용을 나타내는 상태도이고, 도9는 본 고안에 따른 흄흡입관내의 이물낙하방지장치의 이물배출작용을 나타내는 상태도이다.
본 고안에서는 백업롤(4)의 상부측에 흄유도판(2-2)이 설치되어 있고, 다시 흄유도판의 상부에는 흄유도판의 흄흡입구(2-3)를 통해 흄을 흡입하는 흡흡입관(2-1)이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흄흡입관(2-1)의 하부측에는 흄흡입구(2-3)의 주위를 따라 이물배출로(17-1)가 형성되어 있고, 이물배출로(17-1)에 수집된 이물(8)은 이물배출라인(17)을 통해 외부로 자연스럽게 배출된다.
이때, 이물배출라인(17)을 개폐하는 체크도어(16)는 이물배출라인의 상벽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지만 지지판(15)에 의해 역회전이 제한되도록 설치되어 있고, 평상시 그 자중에 의해 중력방향으로 처질 경우 이물배출라인을 개방하게 되지만 흄흡입관(2-1)내에 부압이 발생되면 지지판(15)측으로 밀착되어 이물배출라인을 폐쇄하게 된다.
그리고, 흄흡입관(2-1)의 외벽에 고정 부착되는 실린더(13)에는 그 로드의 상단에 와이어(18)의 외측단이 연결되어 있고, 이 와이어(18)는 안내시브(27,26)에 감기면서 방향전환되어 그 내측단에 유도상판(30)의 꼭지점이 연결되어 있다.
여기서, 안내시브(27)는 실린더(13)의 직상부에 위치하도록 흄흡입관(2-1)의 외벽에 브래킷(25)에 의해 설치되어 있고, 또 다른 안내시브(26)는 안내시브(27)와 수평을 이루면서 흄흡입관의 내측 중앙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는데, 흄흡입관(2-1)의 내측에 지름방향으로 고정된 지지바(10)의 중앙에 브래킷(28)이 부착되고, 다시 이 브래킷에 안내시브(26)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흄흡입관(2-1)에 내장 설치되는 이물유도부(20)는 유도상판(30)과 다수의 유도판(31)이 상하 적층되도록 이루어져 있는데, 상세히 설명하면 흄흡입구(2-3)의 주위에 3개의 안내바(32)가 수직으로 고정 설치되어 있고, 이 안내바(32)에는 최하층의 유도판(31)이 안내홀(31-1)을 통해 끼워지게 된다.
이때, 안내바(32)의 상하단에 각각 스토퍼가 형성되어 있어 유도판(31)은 상승시 안내바(32)로부터 이탈되지 않으면서 하강 안착시 흄흡입구(2-3)로부터 약 1㎝정도 이격된다.
그리고, 위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면서 상하 적층시 원추형을 형성하게 되는 4개의 유도판(31)에는 그 중앙에 각각 흄흡입홀(31-3)이 형성되어 있고, 각 상면에 안내바(32)와 같은 안내바(31-2)가 고정 설치되면서 안내바(31-2)를 끼우는 안내홀(31-1)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최상부의 유도판(31)에 안착되는 유도상판(30)은 안내바(31-2)에 끼워지는 안내홀(31-1)이 형성되어 있고, 그 꼭지점에 와이어(18)의 내측단이 연결되어 있다.
이하,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한다.
조질압연이 시작되면 흡입팬(30)이 작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 실린더(13)가 하강되면서 와이어로프(18)를 밑으로 잡아당기게 되며, 유도상판(30)이 안내홀(30-1)에 끼워진 안내바(31-2)를 따라 상승되면서 바로 하부측에 위치한 유도판(31)을 상승시키게 된다.
또한, 유도상판(30)의 바로 밑에 위치한 유도판(31)이 다시 바로 밑에 위치한 유도판을 상승시키는 순차적인 작업이 완료되면 최하부의 유도판이 들리면서 흄흡입구(2-3)로부터 분리된다.
이때, 유도상판(30)과 유도판(31)이 완전히 상승되면 실린더(13)의 작동은 자동 정지하게 된다.
그리고, 흡입팬(30)의 작동으로 흄흡입관(2-1)내에 부압이 발생되면 압연중 발생되는 웨트유흄(3)이 흄유도판(2-2)의 흄흡입구(2-3)를 통해 흄흡입관(2-1)내로 유입된다.
여기서, 흄흡입관(2-1)내에 부압이 발생되면 이물배출라인(17)내의 체크도어(16)가 흄흡입관(2-1)측으로 당겨지면서 이물배출라인을 차단하게 되어 흄흡입관내의 부압누출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조질압연작업이 종료되거나 고장으로 흡입팬(30)이 정지되면 실린더(13)가 자동으로 상승되고, 팽팽하게 당겨지던 와이어로프(18)가 느슨해지게 된다.
이때, 최하부의 유도판(31)이 안내바(32)를 따라 흄흡입구(2-3)의 상부에 안착이 되면 순차적으로 유도판이 그 자중에 의해 적층되고, 최종적으로 유도상판(30)이 안내바(31-2)를 따라 하강되어 적층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흄흡입관(2-1)의 내벽에 부착되어 있던 이물(8)은 그 자중에 의해 떨어지면서 유도상판(30)과 각 유도판(31)의 상면을 따라 이물배출로(17-1)로 수집되어진다.
또한, 유도상판(30)과 각 유도판(31)의 하면에 부착된 이물(8)도 각 하면을 따라 이물배출로(17-1)로 수집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처럼 이물배출로(17-1)에 수집된 이물(8)은 이물배출라인(17)으로 배출되는데, 체크도어(16)는 흄흡입관(2-1)내의 부압이 제거되면 그 자중에 의해 중력방향으로 처지면서 이물배출라인(17)을 개방하게 된다.
본 고안은 흄이물에 의한 백업롤, 워크롤, 스트립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어 설비사고 및 스트립의 품질저하를 예방할 수 있고, 불필요한 흡입팬의 가동을 제거함으로써 전력소비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Claims (1)

  1. 흄흡입관(2-1)의 하부에 설치되어 그 흄흡입구(2-3)를 통해 흄(3)을 상기 흄흡입관(2-1)측으로 유도하고, 낙하하는 흄이물(8)을 그 이물배출로(17-1)로 수거한 후 체크도어(16)에 의해 개폐되는 그 이물배출라인(17)으로 배출하도록 설치되는 흄유도판(2-2)과;
    상기 흄흡입관(2-1)에 내장 설치되어 그 유도상판(30)과 다수의 이물유도판(31)이 상하적층된 상태에서 실린더(13)와 연결된 와이어로프(18)에 의해 안내바(32,31-2)를 따라 상하강되는 이물유도부(2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흄흡입관내의 이물낙하방지장치.
KR2020000017973U 2000-06-23 2000-06-23 흄흡입관내의 이물낙하방지장치 KR20020384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7973U KR200203842Y1 (ko) 2000-06-23 2000-06-23 흄흡입관내의 이물낙하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7973U KR200203842Y1 (ko) 2000-06-23 2000-06-23 흄흡입관내의 이물낙하방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3842Y1 true KR200203842Y1 (ko) 2000-11-15

Family

ID=196622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7973U KR200203842Y1 (ko) 2000-06-23 2000-06-23 흄흡입관내의 이물낙하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384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8720B1 (ko) * 2015-02-27 2016-04-04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배기가스 정화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8720B1 (ko) * 2015-02-27 2016-04-04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배기가스 정화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44800B1 (ko) 조, 세목 협잡물의 동시제거가 가능한 일체형 로터리제진기
CN101829693A (zh) 无吹扫乳化液残留清除方法
CN210238716U (zh) 一种具有过滤功能的检查井
KR20110120580A (ko) 롤 필터장치
KR200203842Y1 (ko) 흄흡입관내의 이물낙하방지장치
CN109279525B (zh) 海洋工程垃圾打捞用起重装置
CN216739112U (zh) 一种水利勘察设计用道路防积水排水结构
CN110127879A (zh) 一种印刷废弃物的无污染处理系统
WO2019114671A1 (zh) 一种卷曲式气体截流阀
CN2385802Y (zh) 离心式自卸过滤机
CN215857541U (zh) 一种用于水利工程的水闸分段取水装置
CN210013321U (zh) 一种渗滤液调节池浮盖膜检修辅助装置
KR100797814B1 (ko) 압연기의 화재 예방 기능을 가지는 흄제거장치
JP3864787B2 (ja) スライド引上げ式スクリーン
CN214935861U (zh) 一种清除镀锌设备沉没辊空腔积水的装夹装置
CN207109776U (zh) 沿江/海发电厂开式循环水系统用旋转滤网
CN113375164B (zh) 一种易于布置的焚烧系统
KR102569317B1 (ko) 버클 개폐식 보조게이트를 구비한 사통 수문
CN217325264U (zh) 一种用于水利工程的闸门装置
KR200238855Y1 (ko) 보호지의이물질제거장치
CN218833720U (zh) 一种便于杂质过滤的生产废水排液系统
CN219308177U (zh) 一种可综合过滤的污水处理设备
CN111911059A (zh) 一种带收放装置的防火卷帘
CN108222147A (zh) 使用便捷的下水器
CN220426064U (zh) 一种闸门清理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904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