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2410Y1 - 경품 전자오락기 - Google Patents

경품 전자오락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2410Y1
KR200202410Y1 KR2020000016558U KR20000016558U KR200202410Y1 KR 200202410 Y1 KR200202410 Y1 KR 200202410Y1 KR 2020000016558 U KR2020000016558 U KR 2020000016558U KR 20000016558 U KR20000016558 U KR 20000016558U KR 200202410 Y1 KR200202410 Y1 KR 20020241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or
game
display unit
plate
design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1655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순화
Original Assignee
박순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순화 filed Critical 박순화
Priority to KR202000001655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241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241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2410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34Betting or bookmaking, e.g. Internet bett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in-Freed Apparatuses For Hiring Articles (AREA)
  • Control Of Vending Devices And Auxiliary Devices For Vending Devices (AREA)

Abstract

이 고안은 경품 전자오락기에 관한 것으로, 각자의 버튼 조작부를 갖는 다수인이 하나의 공통된 게임 표시부를 통해 경품 당첨 게임을 할 수 있도록, 대략 화살표 모양을 하며 일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지시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지시부의 하부에는 대략 원판형 모양을 하며 내주연을 따라 다수의 색채영역을 갖는 색채 지정판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색채 지정판의 외주연에는 상기 지시부와는 반대로 회전 가능하며 상기 색채 지정판의 색채영역과 대응되는 색채를 갖는 다수의 인형이 배열되어 있는 색채 선택판으로 이루어진 게임 표시부와; 상기 게임 표시부의 외주연에는 상기 색채 선택판에 형성된 인형의 색채와 대응되는 색채를 가지며, 일정한 배율 및 배팅을 선택하는 다수의 버튼이 형성되고, 상기 버튼의 측부에는 동전을 삽입할 수 있도록 동전 삽입구가 형성되어 있으며, 하부에는 경품을 지급할 수 있도록 호퍼가 설치된 다수의 게임 조작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경품 전자오락기{Game machine}
본 고안은 경품 전자오락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각자의 버튼 조작부를 갖는 다수인이 하나의 공통된 게임 표시부를 통해 경품 당첨게임을 할 수 있는 경품 전자오락기에 관한 것이다.
통상 종래의 경품 전자오락기(1')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2')의 일측에 일정량의 동전을 삽입하여 게임을 시작할 수 있도록 동전 투입구(3')가 형성되어 있고, 또한 게임자가 각종 게임 조작을 할 수 있도록 다수의 버튼(4')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버튼(4') 조작에 의한 게임 진행 상황 및 결과를 확인할 수 있도록 본체(2')의 중앙 상면에 표시부(5')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표시부(5')의 측부에는 상기 게임 결과에 따라 일정한 경품 지급 상황을 확인할 수 있도록 경품 지급부(6')가 형성되어 있으며, 본체(1')의 일면에는 상기 경품이 배출되는 호퍼(7')가 형성되어 있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8'는 사용자가 일정한 점수에 이르면 강제로 경품을 지급하도록 하는 경품 지급 버튼이다.
이러한 경품 전자오락기는 동전 투입구(3')에 일정량의 동전을 투입한 후 게임을 시작하게 되며, 통상 게임 진행 전에 배당률이나 배팅 개수를 게임 진행버튼(4')을 조작하여 설정하게 된다. 그러면, 게임 표시부(5')에서는 상기 게임 진행 버튼(4')에 의해 조작된 소정의 조건에 합치되는지 안되는지가 표시된다.
상기 표시결과 사용자가 조작한 조건과 일치되면, 표시부(5')의 측부에 설치된 경품 지급부(6')에서 선택된 소정 경품을 경품 지급 버튼(8')을 조작함으로서 호퍼(7')에서 얻을 수 있게 되며, 경우에 따라서는 경품의 지급 대신 그 경품에 해당하는 동전의 개수로 계속 게임을 진행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이러한 경품 전자오락기는 오직 1명이 즐길 수 있을 뿐이어서 다수인이 동시에 게임을 진행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즉, 현재는 다수인 예를 들면 4∼6명이 동시에 각종 게임을 즐길 수 있는 장치가 선호되고 있으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경품 전자오락기는 이러한 욕구를 충족시키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한 것으로, 각자의 버튼 조작부를 갖는 다수인이 하나의 공통된 게임 표시부를 통해 경품 당첨 게임을 할 수 있는 경품 전자오락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1은 종래의 경품 전자오락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2는 본 고안에 의한 경품 전자오락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3a는 본 고안에 의한 경품 전자오락기에서 게임 표시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3b는 그 정면도이며, 도3c는 작동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4는 본 고안에 의한 경품 전자오락기의 전기회로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5는 본 고안에 의한 경품 전자오락기의 작동 순서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 도면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본 고안에 의한 경품 전자오락기
10; 게임 표시부 12; 지시부
14; 색채 지정판 16; 색채 영역
18; 색채 선택판 20; 인형
21; 모터1 22; 모터2
24; 투명유리구 30; 게임 조작부
32; 게임 조작 버튼 34; 배율 표시부
36; 배팅 표시부 38; 동전 투입구
40; 크레디트 표시부 42; 점수계산 버튼
44; 당첨점수 표시부 46; 잔여시간 표시부
48; 호퍼 50; 당첨표시 램프
61; 중앙처리장치 62; 메모리부
63; 버튼 입력부 64; 입력 제어부
65; 출력 제어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대략 화살표 모양을 하며 일 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지시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지시부의 하부에는 대략 원판형 모양을 하며 내주연을 따라 다수의 색채영역을 갖는 색채 지정판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색채 지정판의 외주연에는 상기 지시부와는 반대로 회전 가능하며 상기 색채 지정판의 색채영역과 대응되는 색채를 갖는 다수의 인형이 배열되어 있는 색채 선택판으로 이루어진 게임 표시부와; 상기 게임 표시부의 외주연에는 상기 색채 선택판에 형성된 인형의 색채와 대응되는 색채를 가지며, 일정한 배율 및 배팅을 선택하는 다수의 버튼이 형성되고, 상기 버튼의 측부에는 동전을 삽입할 수 있도록 동전 삽입구가 형성되어 있으며, 하부에는 경품을 지급할 수 있도록 호퍼가 설치된 다수의 게임 조작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게임 조작부는 게임 표시부를 중심으로 대략 6개가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색채 지정판의 색채영역 및 다수의 색채를 갖는 인형은 3가지 색채중 어느 하나의 색채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하여 본 고안에 의한 경품 전자오락기에 의하면, 하나의 게임 표시부를 통해 다수인이 게임을 동시에 즐길 수 있고, 또한 게임의 재미를 다수인이 동시에 느낄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고안에 의한 경품 전자오락기를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2는 본 고안에 의한 경품 전자오락기(100)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3a는 본 고안에 의한 경품 전자오락기(100)에서 게임 표시부(10)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3b는 그 정면도이고, 도3c는 그 게임 표시부(10)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크게 하나의 게임 표시부(10)와 다수(대략 6개)의 게임 조작부(30)로 이루어져 있다.
먼저 게임 표시부(10)는 중앙에 코끼리 모양의 인형(20)이 부착되고, 그 하부에는 대략 화살표 모양을 하며 일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지시부(1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지시부(12)는 도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에 모터1(21) 및 기어 박스가 결합되어 있음으로서 일방향(예를 들면, 시계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지시부(12)의 하부에는 대략 원판형 모양을 하는 색채 지정판(1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색채 지정판(14)은 그 내주연 둘레를 따라 소정 색채를 갖는 색채 영역(16)이 띠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색채 지정판(14)의 외주연에는 상기 지시부(12)와는 반대로 회전하는 색채 선택판(18)이 대략 상기 색채 지정판(14)을 원형으로 감싸며 형성되어 있다. 상기 색채 선택판(18)의 일측에는 도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2(22) 및 기어박스가 결합되어 있음으로써 일정 방향(예를 들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또한, 상기 색채 선택판(18)에는 소정의 색채를 갖는 다수의 인형(20)이 배열 고정되어 있다. 상기 인형(20)의 색채는 상기 색채 지정판(14)에 형성된 색채 영역(16)의 색중 어느 하나와 같은 색으로 채색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색채 지정판(14)의 색채 영역(16) 및 다수의 색채를 갖는 인형(20)은 3가지 색채중 어느 하나의 색채를 갖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상기 색채 영역(16)은 황색 영역, 녹색 영역, 적색 영역이 임의의 순서를 가지며 배열되도록 하고, 또한 상기 인형(20)은 다수의 종류(예를 들면, 곰, 토끼, 돼지 등등)를 가지며, 더불어 각 동물 인형(20)의 색채가 황색, 녹색 또는 적색중 어느 하나를 갖도록 한다.
한편, 상기와 같은 게임 표시부(10)는 외부의 충격이나 먼지 등으로부터 보호되도록 반구형의 투명유리구(24)로 덮혀 있다.
다음으로 상기 게임 조작부(30)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게임 표시부(10)를 중심으로 대략 6개가 육각형 모양으로 배열되어 있으며, 각각의 게임 조작부(30)는 하기와 같이 구성되어 있다.
먼저, 상면에는 다수의 게임 조작 버튼(32)이 행과 열을 가지며 배열되어 있다. 상기 게임 조작 버튼(32)은 바람직하기로 상기 게임 표시부(10)의 색채 지정판(14)에 형성된 인형(20) 및 색채 지정판(14)의 색채 영역(16)에 형성된 색과 동일한 모양 및 색채를 갖도록 형성되어 있다.
예를 들면, 1열에 위치된 게임 조작 버튼(32)은 황색으로, 2열은 녹색으로, 3열은 적색으로 표시될 수 있고, 또한 각 게임 조작 버튼(32)에는 상기 색채 선택판(18)에 형성된 각 인형(20)의 모양이 도안되어 있다.
따라서, 게임자는 상기 게임 조작 버튼(32)의 색채 및 인형(20)의 모양을 보고 소정의 배팅 및 배율을 결정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각 게임 조작 버튼(32)의 양측에는 배율 표시부(34)(2∼999) 및 배팅 표시부(36)(1∼99)가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게임 조작 버튼(32)을 누름에 따라 상기 배율 표시부(34) 및 배팅 표시부(36)의 숫자가 바꿔지며 그 배팅 및 배율을 결정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게임 조작 버튼(32)의 일측에는 일정량의 동전을 삽입할 수 있도록 동전 투입구(38)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동전 투입구(38)의 상부에는 투입된 동전의 크레디트(Credit)를 나타내는 크레디트 표시부(40)가 형성되어 있다.
더불어, 상기 게임 조작 버튼(32)들과 상기 동전 투입구(38) 사이에는 남은 시간을 표시해주는 잔여시간 표시부(46), 게임 결과 당첨 점수를 표시해주는 당첨 점수 표시부(44) 및 게임 결과 당첨 점수를 컴퓨터가 합산하도록 하는 점수 계산 버튼(42)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게임 조작 버튼(32)의 상부에는 게임 도중 또는 게임 완료후 소정의 게임자가 당첨되었음을 알리는 당첨 표시 램프(50)가 설치되어 있다.
마지막으로 상기 게임 조작부(30)의 전방에는 소정의 당첨자에게 경품을 지급할 수 있도록 호퍼(48)가 설치되어 있다.
계속해서, 도4는 본 고안에 의한 경품 전자오락기(100)의 전기회로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경품 전자오락기(100)는 모두 중앙처리 장치(61)에 의해 제어된다.
상기 중앙처리장치(61)에는 본 고안에 의한 경품 전자오락기(100)를 운용할 수 있는 프로그램 및 각종 데이터 등이 기억되어 있고, 또한 각종 데이터 등을 임시 저장하는 메모리부(62)가 연결되어 있다.
또한, 상기 중앙처리장치(61)에는 상기 게임 조작부(30)에 형성된 각종 버튼이나 동전의 투입 상태를 등을 센싱하는 버튼 입력부(63)가 입력 제어부(64)를 경유하여 상기 중앙처리장치(61)에 연결되어 있다.
더불어 상기 중앙처리장치(61)에는 상기 게임 표시부(10)의 지시부(12)및 색채 선택판(18)을 일정 방향으로 일정 시간동안 회전시킬 수 있도록 모터1(21) 및 모터2(22)를 제어하는 출력 제어부(65)가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장치 구성 및 전기적 구성에 의해 본 고안에 의한 경품 전자오락기(100)의 작동 순서를 첨부된 도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1. 시작 단계로서, 전원을 인가하면, 모든 메모리 변수를 초기화하고 메모리부(62)로부터 소정의 프로그램 및 각종 데이터를 로딩한다.
2. 동전 투입 단계로서, 게임자가 게임 조작부(30)에 설치된 동전 투입구(38)에 일정량의 동전을 투입하면 중앙처리장치(61)는 이를 센싱하여 게임 준비를 한다.
3. 입력대기 카운터 단계로서, 게임자가 게임 조작 버튼(32)을 눌러 소정의 모양 및 색채를 갖는 인형(20)에 소정 배팅 및 배율을 결정하도록 대기한다. 상기 대기 시간을 대략 30초 정도이다.
4. 모터1(21), 모터2(22) 회전 단계로서, 중앙처리장치(61)는 출력 제어부(65)로 소정의 제어 신호를 보내 모터1(21) 및 모터2(22)를 회전시킴으로써 결국 지시부(12) 및 색채 선택판(18)이 시계방향과 반시계 방향으로 각각 회전하도록 한다.
5. 배팅배당 표시 단계로서, 상기와 같이 모터1(21) 및 모터2(22)의 작동이 완료되고, 게임자가 선택한 인형(20)의 종류, 색채와 상기 게임 표시부(10)의 지시부(12)가 가리키는 색채 영역(16), 인형(20)의 종류 및 색채가 일치했을 경우 중앙처리장치(61)는 이를 감지하여 당첨 점수 표시부를 이용하여 배팅배당을 표시하고 또한 당첨표시 램프(50)를 작동시킨다.
6. 점수 가산 단계로서, 중앙처리장치(61)는 상기 당첨 점수 표시부를 통해 상기 배팅배당에 대한 점수를 가산하여 표시한다.
7. 크레디트 확인 단계로서, 중앙처리장치(61)는 남은 크레디트가 있으면 입력대기 카운터 단계로 회귀하여 다시 게임을 진행하고, 남은 크레디트가 없으면 동전투입 단계로 회귀하여 동전투입을 대기한다.
여기서, 상기 게임자는 당첨 점수가 일정 점수 이상일 경우 점수계산 버튼(42)을 누르고, 이것에 의해 소정의 경품이 호퍼(48)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본 고안은 비록 이상에서와 같은 실시예들에 한하여만 설명하였지만, 여기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의 범주와 사상에서 벗어남 없이 여러 가지의 변형과 수정이 이루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한 경품 전자오락기에 의하면, 하나의 게임 표시부를 통해 동시에 다수인이 게임을 즐길 수 있고, 또한 게임의 재미를 다수인이 동시에 느낄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2)

  1. 일반적으로 게임을 할 수 있도록 지시부를 갖는 게임기에 있어서,
    상기 지시부는 대략 화살표 모양을 하며 일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지시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지시부의 하부에는 대략 원판형 모양을 하며 내주연을 따라 다수의 색채영역을 갖는 색채 지정판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색채 지정판의 외주연에는 상기 지시부와는 반대로 회전 가능하며 상기 색채 지정판의 색채영역과 대응되는 색채를 갖는 다수의 인형이 배열되어 있는 색채 선택판으로 이루어진 게임 표시부와;
    상기 게임 표시부의 외주연에는 상기 색채 선택판에 형성된 인형의 색채와 대응되는 색채를 가지며, 일정한 배율 및 배팅을 선택하는 다수의 버튼이 형성되고, 상기 버튼의 측부에는 동전을 삽입할 수 있도록 동전 삽입구가 형성되어 있으며, 하부에는 경품을 지급할 수 있도록 호퍼가 설치된 다수의 게임 조작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품 전자오락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게임 조작부는 게임 표시부를 중심으로 대략 6개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품 전자오락기.
KR2020000016558U 2000-06-10 2000-06-10 경품 전자오락기 KR20020241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6558U KR200202410Y1 (ko) 2000-06-10 2000-06-10 경품 전자오락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6558U KR200202410Y1 (ko) 2000-06-10 2000-06-10 경품 전자오락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2410Y1 true KR200202410Y1 (ko) 2000-11-15

Family

ID=196602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6558U KR200202410Y1 (ko) 2000-06-10 2000-06-10 경품 전자오락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241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5119B1 (ko) 2011-12-30 2014-04-24 (주)코뮤즈 게임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5119B1 (ko) 2011-12-30 2014-04-24 (주)코뮤즈 게임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50883B1 (en) Operation of gaming machines
US5890962A (en) Gaming machine with multiple independent display gaming areas
US6921072B2 (en) Betting on a plurality of roulette wheels
CA2212305C (en) Gaming apparatus including slot machine
US5857909A (en) Computerized roulette game table
US5927714A (en) Interactive tic-tac-toe slot machine
US5540442A (en) Roulette game apparatus and method with additional betting opportunity
US20080214274A1 (en) Apparatus for Playing a Game
US20060287060A1 (en) Gaming machine with multiple reel matrix
US20050212210A1 (en) Betting apparatus
EP0949945A1 (en) Gaming machine
US20080214294A1 (en) Gaming Machine Capable Of Operating To Indicate The Number Of Bets, And Game Playing Method
US8944906B2 (en) Interactive slot machine
WO1995031262A2 (en) Blackjack game system and methods
US20080139293A1 (en) Gaming machine
US20080076524A1 (en) Interactive slot machine method and apparatus
JP2003053009A (ja) 弾球遊技機
US20020173353A1 (en) Gaming Machines
KR200202410Y1 (ko) 경품 전자오락기
US20050208998A1 (en) Medal acceptance device
ZA200800607B (en) Gaming apparatus
EP0862152B1 (en) Entertainment machines
JP2823535B2 (ja) コイン式弾球遊技機及び遊技システム
AU2005207105B2 (en) Apparatus for playing a game
AU2013205634A1 (en) Game with Border Trigger Fea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