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2211Y1 - 개선된 배터리 구조를 갖는 휴대용 전화기 - Google Patents

개선된 배터리 구조를 갖는 휴대용 전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2211Y1
KR200202211Y1 KR2020000014956U KR20000014956U KR200202211Y1 KR 200202211 Y1 KR200202211 Y1 KR 200202211Y1 KR 2020000014956 U KR2020000014956 U KR 2020000014956U KR 20000014956 U KR20000014956 U KR 20000014956U KR 200202211 Y1 KR200202211 Y1 KR 20020221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portable telephone
handset
main body
port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1495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보림
Original Assignee
한보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보림 filed Critical 한보림
Priority to KR202000001495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221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221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2211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2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battery compart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얇은 두께의 구조를 갖도록 개선된 휴대용 전화기를 개시한다.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전화기는 휴대용 전화기의 배터리 몸체를 휴대용 전화기 본체의 측면에 피봇식으로 장착하거나 또는 본체의 하부에 고정식으로 장착함으로써 휴대용 전화기의 두께가 감소되어서 휴대가 편리하고, 송화용 마이크가 휴대용 전화기의 배터리 몸체 내에 직접 내장되어 있어 통화 모드에서 배터리 몸체를 전화기 본체로부터 개방시킴으로써 송수화기 간의 최소 거리가 확보되어 전화 통화시 정확한 송화가 가능하도록 해준다.

Description

개선된 배터리 구조를 갖는 휴대용 전화기 {CELLULAR TELEPHONE WITH IMPROVED BATTERY STRUCTURE}
본 고안은 개선된 휴대용 전화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배터리 몸체가 전화기 본체의 측면 또는 동일 평면에 부착되도록 개선함으로써 휴대용 전화기의 두께를 대폭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어 휴대가 편리하고, 특히 통화모드에서 배터리 몸체 내에 송화기가 내장된 송화기 내장형 배터리를 개방함으로써 인체공학적으로 송수화기 간의 최소거리가 확보되어 통화의 품질이 향상될 수 있는 휴대용 전화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휴대용 전화기에 있어서 가장 큰 문제점은 무게가 무겁고, 두께가 두껍다는 것이다. 기술의 발전에 따라서 휴대용 전화기의 크기가 점점 소형화되어 중량과 외형 치수는 점차로 감소되고 있으나 여전히 보다 가벼운 중량과 보다 작은 외형 치수를 달성하는 것이 당업자들의 가장 큰 과제로 남아 있다. 이러한 과제 중에서 전화기 본체 뿐만 아니라 배터리 몸체의 체적과 중량을 감소시키는 것이 또한 중요 과제이다.
휴대용 전화기의 배터리 몸체는 일반적으로 배터리 팩(battery pack)으로 불리우며 대체로 휴대용 전화기의 배면에 분리가능하게 부착된다. 통상적으로 배터리 몸체는 휴대용 전화기 본체의 배면에 체결된 상태로 충전기에 끼워 충전되거나, 본체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 별도로 충전기에 끼워 충전될 수 있다. 배터리의 소재는 종래에는 니켈-카드뮴 2차 전지가 많이 사용되었으나, 충전 메모리 효과로 인한 단점과 비효율성으로 인하여, 최근에는 충전 메모리 효과가 탁월하고 효율이 높은 리튬-이온 2차 전지가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배터리 몸체의 형상은 통상적으로 사각 평판형이 대부분이나, 필요에 따라 그 외형에 부드러운 곡선이 부여된 특수 형상으로 제조되고 있으며, 근래에는 박판형 배터리도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으나, 용량과 효율이 낮아서 널리 실용화되지는 못하고 있다.
현재 유통되고 있는 휴대용 전화기의 경우, 배터리의 두께는 일반적으로 전화기 본체의 두께보다 두꺼운 것부터, 전화기 본체 두께의 수분의 일 정도까지 다양한 치수가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휴대용 전화기는 거의 모두 배터리가 휴대용 전화기의 배면에 부착되어 있어 휴대용 전화기의 전체 두께가 상당히 두꺼워지는 경향이 있다. 이로 인해 의복 주머니나 와이셔츠 주머니, 바지 주머니 등과 같이 휴대용 전화기를 넣은 부분이 심하게 외부로 돌출되어 보이거나 늘어지고, 허리에 찰 때에는 외부로 상당히 두드러져서 휴대하기가 매우 불편하다. 실제 배터리가 차지하는 두께뿐만 아니라 배터리를 에워싸는 플라스틱 케이스의 두께까지 더해짐으로 인해 휴대용 전화기의 두께는 더욱 두꺼워진다.
또한, 각 제조업체가 경쟁적으로 휴대용 전화기를 소형화시킨 결과, 본체의 길이 및 전체 길이가 대폭 줄어듦에 따라 송화기와 수화기 사이의 거리가 더욱 가까워져서 송화기와 수화기 간에 필요한 최소 거리인 대략 14cm 내지 15cm가 확보되지 못하므로, 전화기의 수화기 부분을 사용자의 귀에 부착시키는 경우 송화기까지도 귀를 향하는 방향으로 치우치므로, 송화기 부분과 입 사이의 거리가 멀어져 사용자의 대화 내용이 송화기에 제대로 전달되지 않아 통화에 상당히 불편을 주거나 통화에 상당히 지장을 초래하는 단점이 있다. 이하 현재 시판되고 있는 휴대용 전화기의 문제점은 통상 다음과 같다.
1. 플립형 휴대용 전화기
플립형 휴대용 전화기의 경우, 다이얼 및 제어 버튼의 원치 않는 작동을 방지하기 위해, 통상적으로 플립(flip) 또는 페이스 플레이트(face plate)라고 불리우는 보호 커버(마이크를 내장하기도 함)를 부착하고, 마이크가 보호 커버 내에 내장되는 경우에는, 송화기와 수화기 사이의 거리를 어느 정도 확보해 주기는 하지만, 이들 사이의 거리가 정확한 통화를 제공하기에는 충분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마이크가 보호 커버 내에 내장되므로 보호 커버의 부피가 증가하여 궁극적으로 휴대용 전화기의 두께를 증가시키는 또 다른 요인이 되고 있다. 또한 단순한 보호 커버의 경우에는, 마이크는 전화기 본체에 부착되어 있기 때문에 송화기와 수화기 사이의 최소 거리가 제공되지 못할 뿐만 아니라 보호 커버로 인해 휴대용 전화기의 본체 두께를 증가시키게 된다.
2. 폴더형 휴대용 전화기
폴더형 휴대용 전화기의 경우, 전화기 본체가 대체로 절반으로 접히므로 전체 길이는 줄어들지만 여전히 두께가 두꺼워지는 단점을 갖고 있다. 즉, 폴더형 휴대용 전화기의 경우 접으면 전체 길이는 대략 절반으로 줄어 들지만, 배터리의 두께 외에 본체를 에워싸는 플라스틱 케이스가 이중으로 겹쳐지게 되어 여전히 휴대용 전화기의 전체 두께가 상당히 두꺼워지는 경향이 있다. 이로 인해 폴더형 휴대용 전화기의 본체와 배터리 몸체가 상당히 경박단소(輕薄短小)형으로 개선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상기와 같이 전체 두께를 감소시키지 못하는 문제를 안고 있다.
3. 소형 휴대용 전화기
휴대용 전화기가 점점 소형화되면서 휴대용 전화기의 전체 길이가 짧아져 수화기와 송화기 간의 최소 거리가 확보되지 못하고 있다. 이러한 소형 휴대용 전화기의 경우 통화 모드에서 휴대용 전화기의 수화기를 귀에 우선적으로 부착시키기 때문에 자연히 송화기는 귀를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되므로 사용자의 입으로부터 멀어지게 된다. 이로 인해 주변의 잡음이 섞여 들어가기 쉽고 결국 사용자의 송화 내용이 통화 상대방에게 정확하게 전달되기 어렵다. 또한, 배터리 몸체가 휴대용 전화기의 전체 두께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역시 크므로, 본체와 배터리 몸체가 상당히 경박단소형으로 개선된다 하더라도, 상기와 같이 전체 두께를 감소시키지 못하는 문제를 여전히 안고 있다.
4. 마이크(송화기)와 이어폰(수화기)이 분리된 휴대용 전화기
상기 기술된 세가지 휴대용 전화기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체와 연결되는 송화기(마이크)와 수화기(이어폰) 또는 이들이 부착된 헤드셋(headset)이 제공되는 휴대용 전화기도 보급되고 있으나, 이 경우 연결용 와이어로 인한 불편으로 사용상의 제약이 있으며, 이어폰용 잭을 삽입해야 하는 등의 번잡함으로 인하여 휴대가 불편하기 때문에 특별한 경우 이외에는 널리 사용되지 못하고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휴대용 전화기의 두께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배터리 부착 방법을 개선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상기 배터리 몸체에 송화기가 내장된 휴대용 전화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휴대용 전화기의 구조를 인체공학적으로 개선하여 휴대용 전화기의 휴대 편리성을 제공하고 통화의 정확성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a 내지 도 1c는 종래의 휴대용 전화기에 대한 통상적인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
도 2a 내지 도 2b는 본 고안에 따라서 개선된 휴대용 전화기의 한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3a 내지 도 3f는 본 고안에 따라서 개선된 휴대용 전화기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3g 내지 도 3i는 도 3의 실시예에 의한 휴대용 전화기의 배터리를 개방하는 경우, 배터리가 본체와 이루는 각도를 각각 예시하는 도면.
도 3j 및 도 3k는 도 3의 실시예에 따라서 개선된 휴대용 전화기의 다른 실시예를 각각 도시하는 도면.
도 4a 내지 도 4b는 본 고안에 따라서 개선된 휴대용 전화기에 대한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5a 내지 도 5b는 본 고안에 따라서 개선된 휴대용 전화기의 배터리 구조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6a 내지 도 6d는 본 고안에 따라서 개선된 휴대용 전화기에 대한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
종래의 휴대용 전화기의 경우 통상적으로 배터리가 휴대용 전화기의 배면에 체결되지만, 본 고안의 휴대용 전화기에서 휴대용 전화기 본체의 배면이 아닌 소정의 측면이나 대체로 동일 평면 내에 배터리를 체결함으로써 배터리의 두께로 인하여 휴대용 전화기의 두께가 증가하는 단점이 상당히 해소된다. 또한 본 고안의 휴대용 전화기는 송화기 또는 송화용 마이크(이하 양자를 송화기라 통칭함)가 상기 배터리의 원단부(distal end)에 인접한 부분에 직접 내장되도록 구성된다. 이후 상기 휴대용 전화기 본체의 소정 측면에 상기 송화기 내장형 배터리를 나란히 위치시키고, 상기 송화기 내장형 배터리가 상기 본체의 소정 측방 부분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피봇 방식으로 체결되도록 하면 통화시 이를 개방시킴으로써 송수화기 간의 거리를 연장시킬 수 있기 때문에 정확한 송화를 제공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본 고안의 휴대용 전화기에서는 송화기가 내장된 배터리를 본체의 하부에 고정 방식으로 체결시킴으로써 송수화기 간의 거리를 연장시키는 것이 가능하여 정확한 송화를 제공할 수 있다. 배터리는 휴대용 전화기에 체결된 상태와 분리된 상태 양자 모두에서 충전될 수 있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예로서, 상기 피봇 방식의 경우 휴대용 전화기의 구조는 배터리 몸체가 전화기 본체의 측방 하부에 위치되는 소정의 힌지에 의해 부착된 상태에서 상기 본체의 전방 방향으로 개방되거나 측방 방향으로 개방될 수 있도록 구성되고, 개방시 배터리 몸체가 본체의 길이 방향과 소정의 각도로 경사를 이루어 인체공학적으로 송화기가 사용자의 입부분에 보다 근접하도록 편리하게 구성될 수 있다. 송화기가 내장되는 길다란 형태의 배터리와 본체 간의 전기적 접속은 종래의 공지된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는데 있어서, 본 명세서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야 하며, 동일 유사한 도면 부호는 동일 유사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도면에 도시된 본 고안의 실시예들은 스케일에 맞추어 도시된 것이 아니라는 점에 유의하여야 하며 도면을 간단하게 도시하기 위해 직선이나 직각으로 도시된 실시예의 구성은 모두 외관상이나 기능상의 목적을 위해 부드러운 곡선 형상으로 이루어 질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따라서 도면으로 예시된 실시예의 형상은 단지 설명을 위한 것이며 본 고안의 권리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도 1a 내지 도 1c에는, 여러 가지 유형의 종래 휴대용 전화기에 대한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도 1a에 도시되는 단순한 일자형 구조의 경우, 통상적인 휴대용 전화기(1)는 송화기(14)와 수화기(15)를 가지는 휴대용 전화기 본체(10), 및 배터리(13)로 구성되어 있고, 도 1b에 도시되는 플립형의 경우 상기 도 1a에 도시된 구조와 유사한 구조에 플립(16)이 제공되어 키보드(17)를 덮어 보호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도 1b에는 송화기가 내장된 플립이 도시되어 있음), 도 1c에 도시되는 폴더형의 경우, 대체로 절반으로 접을 수 있는 본체(10)의 구조에 배터리(13)는 통상적으로 수화기(15)가 내장된 상부 본체(10') 또는 송화기(14)가 내장된 하부 본체(10)의 외부에 부착되어 있다. 상기 종래의 휴대용 전화기들은 공통적으로 송수신용 안테나(18)를 구비하고 있다.
도 2 내지 도 6으로 예시되는 모든 도면에서, 각 도면은 공통적으로 전화기 본체 전면의 상부로부터 수화기, 제어 모드 및 메시지를 표시하는 화면(통상적으로 액정소자로 이루어짐), 다이얼 버튼 및 각종 기능 버튼으로 구성된 제어부의 순서대로 간략하게 도시되어 있다. 상기 구성 요소들에 대해 각 도면에 예시되어 있는 동일 유사한 도형과 도면 부호는 동일 유사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도 2a 및 2b에 예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휴대용 전화기에 대한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예에 있어서, 기본적으로 휴대용 전화기 본체(20)와 송화기(24)가 내장된 배터리 몸체(23)(이하 송화기 내장형 배터리라고 함)로 구성되며, 이 송화기 내장형 배터리(23)가 본체(20)의 저부(低部) 내로 삽입된 후 록킹되어 본체(20)와 일직선으로 체결된다. 종래의 휴대용 전화기에서는 모두 본체(20)의 배면에 배터리가 체결되는 것에 비해, 도 2a 및 도 2b에 예시되는 본 고안의 휴대용 전화기는 가장 단순한 일직선 방식의 배터리 체결구조이고 송화기 내장형 배터리(23)를 본체의 저부에 체결함으로써 휴대용 전화기의 두께를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다. 배터리(23)에 내장된 송화기(24)는 본체(20)의 저면으로부터 소정거리만큼 연장되는 효과를 주기 때문에 도 2a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송수화기 간의 최소거리 A가 확보될 수 있다. 본체(20)와 배터리(23) 간의 전원 접속과, 본체(20)와 마이크(24) 간의 전기적인 접속은 종래의 탄력성에 의한 접점 접촉 방식 또는 다중핀(multi-pin) 암수 커넥터(male and female connector) 장치 등과 같은 공지된 방법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도 3a를 참조하면 본체(30)의 측면에 피봇식으로 결합되어 있는 배터리(33)(가는 실선으로 도시되어 있음)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예시되어 있다. 상기 배터리(33)에도 역시 송화기(34)가 내장되어 있어, 배터리(33)가 전화기 본체의 전방 하부 방향으로 소정의 각도만큼 개방되는 경우(점선으로 도시됨) 송화기(34)는 통화시 사용자의 입 부근에 위치하도록 배터리(33)의 원단부에 인접하는 소정의 위치에 내장된다. 여기서 배터리(33)는 전화기 본체(30)의 두께와 길이가 대체로 동일할 수 있으며, 도면에는 사각주형으로 예시되어 있으나 전화기 본체와 관련되는 용도와 외장의 필요에 따라 다각주형(예를 들어 삼각주형, 육각주형 등), 원주형, 타원형, 부분 곡선형 등 임의의 구조로 설계될 수 있으며, 배터리(33)의 폭도 또한 유사하게 결정될 수 있다.
도 3c 및 도 3d에는 피봇식 체결방식의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화기가 예시되어 있으며, 이 방식에서는 배터리(33)를 자신의 내부에 수용하여 전화기 본체(30)와 상대적으로 회전될 수 있으며, 접점용 힌지(312) 및 배터리 수용부(310)가 조합된 결합 피봇 부재(314)를 사용하여, 바람직하게는 삽입시 본체의 길이보다 다소 길이가 짧은 배터리(33)를 배터리 수용부(310) 내에 삽입하여 체결시키는 구조로 설계될 수 있다. 또한 본체(30)와 배터리(33)의 전원 접속과 송화기(34) 간의 전기적인 접속은 종래의 공지된 방법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도 3e와 같이 배터리와 일체로 형성된 접점용 플러그(plug; 318)를 본체의 측면에 제공된 잭(jack; 도시되지 않음) 내에 삽입하여 체결할 수도 있다. 플러그(318)는 삽입시 용이하게 본체에 들어갈 수 있고 분리시에는 본체에 부착된 분리조작용 푸시버튼을 작동시켜서 본체와의 체결을 해제할 수 있다. 플러그(318)에는 또한 본체(30)와 배터리(33)의 전원 접속과 송화기(34) 간의 전기적인 접속을 위한 전기적 회로가 공지된 방법에 의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3f는 종래의 PS2 포트형 암수 커넥터 또는 다중핀 암수 커넥터 장치 등과 같은 접속 체결방식에 의한 또 다른 체결 방법을 사용하는 본 고안의 배터리(33) 구조를 도시하며, 이 경우 암커넥터(도시되지 않음)와 수커넥터(319) 중 어느 하나는 회전형일 수 있고, 체결되는 경우 상기 잭 플러그 방식과 동일한 동작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상기 기술된 바와 같은 피봇식 체결 방식 구조의 배터리(33)를 사용하는 경우 배터리를 개방하면 송수화기 간의 최소 통화거리인 대략 14cm 내지 15cm의 거리가 확보되도록 설계될 수 있다.
도 3b를 참조하면, 도 3a의 체결 방법과 유사하나, 도 3a에 예시된 방법은 배터리(33)가 본체(30)의 전방으로 개방되는 것에 비하여, 도 3b의 실시예에서는 배터리(33)가 본체(30)의 측방향으로 똑바로 개방되거나 경사를 이루면서 개방된다. 이 실시예에서, 힌지부와 본체의 체결 방법 및 배터리와 수용부 간의 체결 방법은 도 3d 내지 도 3f에 예시된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한 방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3g는 도 3a에 의해 예시되는 실시예에서 배터리(33)가 본체(30)의 전방 방향으로 개방되는 경우 송수화기 간의 최소거리 A가 확보되는 것을 도시한다. 도 3h는 도 3b에 의해 예시되는 실시예에서 배터리(33)가 본체(30)의 측방 방향으로 똑바로 개방되는 경우 송수화기 간의 최소거리 A가 확보되는 것을 도시한다. 또한 도 3i는 도 3b의 실시예와 유사하나 배터리(33)가 본체(30)와 경사를 이루면서 개방되는 경우 배터리(33)가 본체의 연장선과 소정의 경사각 α를 갖고, 본체(30)와 배터리(33)가 닫혀 있는 경우 본체의 상부 및 저부에서 볼 때 본체와 배터리 간의 경계면이 각각의 외부 기준측면과 소정의 각도 β를 이루는 구조로 도시되어 있다.
도 3j 및 도 3k에 추가적으로 예시되는 실시예에서, 통화 대기 모드 시에는 본체(30)와 일체형으로 이루어진 수용부(330) 내에 배터리(33)가 안정적으로 수용되고, 통화 모드 시에는 송화기 내장형 배터리(33)가 수용부(330)로부터 개방되는 구조로 설계될 수 있다. 수용부(330)의 폭과 길이는 배터리(33)의 치수를 기준으로 정해지지만 본체의 측면을 따라 배터리(33)를 견고하게 고정시키기에 충분한 정도로 하나 이상의 부분으로 나누어 형성하거나 또는 일 부분만 형성시킬 수도 있다.
또한 도 4a 및 도 4b와 같이 배터리의 원단부(distal end)에 통화 대기모드에서 전화기 본체와 록킹되기 용이한 구조로 되어 있는 다른 실시예의 경우, 'ㄱ'자 형상인 배터리(43) 상의 적절한 위치에 송화기(44)를 내장시킬 수도 있다.
본 고안의 다른 하나의 실시예로써 도 5a 및 도 5b에 예시되는 바와 같이, 플립(520) 및 배터리(53)가 조합된 구조를 본체(50)와 결합시킨 구조의 휴대용 전화기가 제공될 수 있다. 배터리(53)는 플립(520)의 일측면 또는 양측면에 부착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서는 송화기가 배터리(53) 중의 하나, 또는 플립 단부에 인접한 부분에 내장될 수 있다. 상기 배터리(53)와 조합된 플립(520)은 배터리와 거의 길이가 같아서 전화기 본체(2)의 전면 전부를 보호하는 구조, 또는 도 5a에 예시된 바와 같이 일부가 개구부를 갖는 부분적인 보호 구조, 또는 배터리(33) 및 플립(520)의 조합구조가 본체(50)의 길이보다 짧은 개방 형태로 설계될 수 있다.
도 6a 및 도 6b와 같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제어판(622)을 보호하는 플립(620)의 연장부 상에 송화기 내장형 배터리(63)를 결합하여, 닫혀 있을 때는 플립에 의해 제어부(622)를 보호하는 효과를 갖고, 개방시에는 상기 기술된 바와 같이 송수화기 간의 거리가 연장되어 최소 거리 A를 확보할 수 있는 휴대용 전화기가 도시되어 있다. 전술된 다수의 실시예의 원리와 유사하지만, 본 고안의 상기 실시예에서는 배터리가 본체와 대체로 동일한 평면 내에 있으므로 두께가 훨씬 얇아질 수 있다. 송화기 내장형 배터리(63)는 수화기 부분과 제어부 사이의 리세스부(624) 내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터리(63)는 수화기 부분의 최외측면을 넘어서 외측 방향으로 안테나(68)와 간섭을 일으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배열되도록 설계될 수 있다.
도 3의 실시예와 도 6의 실시예를 조합한 방식으로, 송화기 내장형 배터리(63)가 수화기 부분과 제어부 사이의 리세스부(624) 내에 위치하지 않고 본체(60)의 측면에 위치하면서 플립과 결합되는 구조 또한 가능하다. 이 경우에는 본체(60)와 배터리(63) 사이에 리세스부(624)가 필요없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도 2 내지 도 6에 예시되는 본 고안의 모든 실시예는 충전기에 별도로 삽입되어 충전될 수 있는 보조 배터리의 개념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일회용 소형 건전지나 충전식 소형 건전지를 케이스에 삽입하여 사용하는 수용부 구조로 이루어 질수 있다.
상기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서 사용자가 왼손잡이나 오른손잡이인 경우에 따라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상기 도 2 내지 도 6의 경우와 대향되는 측면에 동일한 방식으로 부착될 수 있다.
또한 휴대용 전화기의 안테나는 도 3 내지 도 4에 예시된 바와 같이, 두께에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배터리가 체결된 본체의 반대쪽에 장착되도록 설계될 수 있다.
본 고안의 휴대용 전화기 구조의 경우, 공지된 방식과 같이 통화 대기 모드 즉 배터리(3)가 닫힌 위치에서는 후크 스위치(hook switch)나 다른 제어 스위치와 같은 온-오프(on-off) 스위치가 원하지 않는 방식으로 작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배터리(33, 43, 53, 63)가 도 3 내지 도 6에 예시된 모든 실시예에서 통화 대기 모드, 즉 배터리(33, 43, 53, 63)가 닫힌 위치에서 본체(30, 40, 50, 60)에 배터리(33, 43, 53, 63)를 견고하게 로킹시키기 위하여 부착용 클램핑 장치와 상기 후크 스위치가 서로 연동되는 구조로 설계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기술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예시된 본 고안의 모든 휴대용 전화기들이 차량용 거치대(vehicle mounting holder)에 장착되는 경우에 착탈 분리가 가능하게 설계될 수 있고, 배터리를 휴대용 전화기 본체로부터 개방하지 않고도 직접 통화 모드로 전환될 수 있도록 설계될 수 있다.
본 고안이 바람직한 특정 실시예와 함께 기술되었지만 많은 대안과 변경 및 변형이 있을 수 있다는 것을 당업자들은 명백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첨부되는 청구범위는 본 고안의 범위와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어떠한 대안, 변경 및 변형도 포함한다는 것을 당업자들은 명백하게 이해하여야 한다.
본 고안의 휴대용 전화기는 배터리가 전화기 본체의 측면이나 저면과 같이 본체와 동일 평면 내에 배열됨으로서 전체 두께가 현저하게 얇아져서 휴대 편리성이 대폭 향상되고, 마이크 내장형 배터리를 사용함으로써 수화기와 송화기 간에 인체공학적으로 필요한 최소거리를 확보할 수 있어 통화의 품질을 개선한다.

Claims (4)

  1. 본체, 배터리, 송화기 및 수화기를 구비하는 휴대용 전화기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전화기 본체의 하부에 체결되는 배터리를 포함하되, 상기 배터리는 자신의 일단에 인접하는 부분에 내장형 송화기를 포함하는
    휴대용 전화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가 상기 휴대용 전화기의 본체와 분리되어 별도로 충전이 가능한 휴대용 전화기.
  3. 제1항의 휴대용 전화기에 사용되는 송화기를 자체 내장하는 송화기 내장형 배터리.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전화기가 차량용 거치대에 착탈 분리 방식으로 사용될 수 있는 휴대용 전화기.
KR2020000014956U 2000-01-31 2000-05-26 개선된 배터리 구조를 갖는 휴대용 전화기 KR20020221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4956U KR200202211Y1 (ko) 2000-01-31 2000-05-26 개선된 배터리 구조를 갖는 휴대용 전화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2635U KR200194599Y1 (ko) 2000-01-31 2000-01-31 개선된 배터리 구조를 갖는 휴대용 전화기
KR2020000014956U KR200202211Y1 (ko) 2000-01-31 2000-05-26 개선된 배터리 구조를 갖는 휴대용 전화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02635U Division KR200194599Y1 (ko) 2000-01-31 2000-01-31 개선된 배터리 구조를 갖는 휴대용 전화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2211Y1 true KR200202211Y1 (ko) 2000-11-15

Family

ID=19639989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02635U KR200194599Y1 (ko) 2000-01-31 2000-01-31 개선된 배터리 구조를 갖는 휴대용 전화기
KR2020000014955U KR200202210Y1 (ko) 2000-01-31 2000-05-26 개선된 배터리 구조를 갖는 휴대용 전화기
KR2020000014956U KR200202211Y1 (ko) 2000-01-31 2000-05-26 개선된 배터리 구조를 갖는 휴대용 전화기

Family Applications Before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02635U KR200194599Y1 (ko) 2000-01-31 2000-01-31 개선된 배터리 구조를 갖는 휴대용 전화기
KR2020000014955U KR200202210Y1 (ko) 2000-01-31 2000-05-26 개선된 배터리 구조를 갖는 휴대용 전화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3) KR200194599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2210Y1 (ko) 2000-11-15
KR200194599Y1 (ko) 2000-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34568B2 (en) Extending hinged flip apparatus for a communication device
KR100642310B1 (ko) 와치 타입 블루투스 헤드셋 어셈블리
US5721775A (en) Cordless headset telephone
KR20060045506A (ko) 자기 거치 기능을 구비한 슬라이딩/스윙 타입 휴대 장치
KR20060097686A (ko) 휴대용 무선 헤드셋
US6308074B1 (en) Hands-free personal communication device and pocket sized phone
KR19980070257A (ko) 3단 절첩식 셀룰러 전화기
US6219257B1 (en) Integrated battery compartment and hinge
US6665550B1 (en) Compact portable mobile telephone having a battery that constitutes virtual all of a flap
KR200202211Y1 (ko) 개선된 배터리 구조를 갖는 휴대용 전화기
KR20100026293A (ko) 근거리 무선통신용 헤드셋
EP1228624B1 (en) Radiotelephone with a battery pack including an acoustic passageway
CN209170604U (zh) 一种新型便携式蓝牙耳机对讲机
KR20000012247A (ko) 휴대폰
KR200165277Y1 (ko) 안테나가 분리된 휴대폰
KR100316160B1 (ko) 바-타입변환휴대폰
KR200198699Y1 (ko) 디스플레이부와 신호입력버튼이 외부로 노출된 폴더형휴대폰
KR200258174Y1 (ko) 거울을 구비하는 핸드폰
KR20070040950A (ko) 귀걸이형 휴대전화용 무선 송수신기
KR200326412Y1 (ko) 장갑을 이용한 통신용 단말기
KR200257663Y1 (ko) 거울이 부착된 핸드폰
KR200177014Y1 (ko) 시티폰 결합형 휴대폰
KR20000024304A (ko) 오토 폴더형 휴대 전화기, 오토 플립형 휴대 전화기, 오토모니터 내장 노트북 p.c
KR200170850Y1 (ko) 핸드폰용 이어프리 스피커 마이크
JP2003143277A (ja) 折り畳み式携帯電話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6 Division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928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