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77014Y1 - 시티폰 결합형 휴대폰 - Google Patents

시티폰 결합형 휴대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77014Y1
KR200177014Y1 KR2019990021521U KR19990021521U KR200177014Y1 KR 200177014 Y1 KR200177014 Y1 KR 200177014Y1 KR 2019990021521 U KR2019990021521 U KR 2019990021521U KR 19990021521 U KR19990021521 U KR 19990021521U KR 200177014 Y1 KR200177014 Y1 KR 20017701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one
mobile phone
city
battery
battery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2152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용순
Original Assignee
장용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용순 filed Critical 장용순
Priority to KR201999002152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7701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7701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77014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1Combinations with auxiliary equipment, e.g. with clocks or memoranda pa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2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battery compart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30Batteries in portable systems, e.g. mobile phone, laptop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시티폰 결합형 휴대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일반적으로 사용되어지는 휴대폰 배터리의 전면(前面)에 발신전용 휴대폰(이하 '시티폰'이라 한다)과 휴대폰을 상기 배터리와 분리가능하게 설치하고, 시티폰과 휴대폰에 각각 독립적으로 전원을 공급하게 하므로서, 상기 시티폰 결합형 휴대폰의 전체적인 두께를 얇게 하여 사용을 용이하게 하고, 시티폰이나 휴대폰 중 어느 하나의 이동통신 수단은 항상 사용가능한 상태로 유지시키며, 상기의 시티폰이나 휴대폰 또는 배터리의 파손시에 파손된 것만을 구입하여 부착하게 하므로서 자원의 낭비를 방지함과 동시에 사용자의 이중부담을 줄일 수 있는 것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한 시티폰 결합형 휴대폰은, 휴대폰에 전원을 공급하는 휴대폰 배터리의 케이스 배면에 시티폰을 상기 배터리 케이스와 일체로 설치한 것에 있어서, 배터리 케이스(4)의 내측 중앙부에는 상기 배터리 케이스(4)의 내부에 구비된 충전용 배터리를 양분하는 부전도체 격막(9)을 설치하고, 상기 배터리 케이스(4)의 전면에는 상기 부전도체 격막(9)을 중심으로 상하로 대칭되는 2개의 전원 연결단자(5)와 고정버튼 삽입구(7)를 설치하고, 상기 배터리 케이스(4)의 배면측 상단면 및 하단면에는 상기 부전도체 격막(9)을 중심으로 대칭되는 2개의 전원 충전단자(6)를 설치하며, 상기의 전원 연결단자(5)와 고정버튼 삽입구(7)에는 소형 시티폰(1)과 폴더형 휴대폰(2)을 결합하여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시티폰 결합형 휴대폰 {The cellular phone combined with a city phone}
본 고안은 시티폰 결합형 휴대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일반적으로 사용되어지는 휴대폰 배터리의 전면(前面)에 소형 시티폰과 폴더형 휴대폰을 상기 배터리와 분리가능하게 설치하고, 시티폰과 휴대폰에 각각 독립적으로 전원을 공급하게 하므로서, 상기 시티폰 결합형 휴대폰의 전체적인 두께를 얇게 하여 사용을 용이하게 하고, 시티폰이나 휴대폰 중 어느 하나의 이동통신 수단은 항상 사용가능한 상태로 유지시키며, 상기의 시티폰이나 휴대폰 또는 배터리의 파손시에 파손된 것만을 구입하여 부착하게 하므로서 자원의 낭비를 방지함과 동시에 사용자의 이중부담을 줄일 수 있는 것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폰은 손에 들거나 호주머니 속에 넣고 다닐 수 있는 작고 가벼운 이동통신 전화로서 각 지역내에 설치된 기지국을 통하여 무선으로 교신하게 되며, 전화번호를 검색하는 스캐닝 기능을 비롯하여 총통화시간표시, 자체고장표시 , 통화중 기억장치, 부재중 수신표시, 수신거부, 통화중 경보음 발생, 자동반복다이얼, 자기전화표시, 비밀번호에 의한 잠금, 자동송신기능 등과 같은 각종 기능을 구사할 수 있고, 휴대가 간편하며 장소에 거의 구애를 받지 않으면서 원하는 곳에 통화할 수 있다는 장점으로 인하여 현재 가장 각광받는 이동통신수단중의 하나이며, 현재 우리나라에서도 가입자가 1천만명을 돌파하여 국민 5명당 2대의 꼴로 휴대폰을 소지하고 있고, 각 제조업체간의 소형화 및 경량화의 경쟁이 치열하게 진행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휴대폰의 편리성에 비하여 휴대폰 사용자가 지불하여야 하는 통화료가 일반유선전화나 공중전화보다 몇 십배이상으로 비싸고, 특히 사업상이나 영업상의 목적으로 휴대폰을 사용하는 사람의 경우에는 휴대폰의 한 달 통화료가 많게는 수십만원이상이 청구되어지는 등 사용자들에게 고액의 통화요금부담을 가중시키므로서 휴대폰의 폭 넓은 대중화에 걸림돌이 되고 있다.
또한, 시티폰의 경우는 공중전화 박스에 설치되는 안테나로부터 전달되는 전파를 이용한 발신전용 휴대폰으로서 통화료가 3분에 45원으로 휴대폰 통화료의 1/3에도 미치지 않는 저렴한 비용으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출범 당시에는 매우 큰 인기를 누렸으나. 수신이 되지 않는다는 치명적인 약점과 함께 공중전화 박스에 설치된 시티폰 안테나로부터 반경 몇 백 미터 범위를 벗어나게 되면 발신이 되지 않는다는 한계점으로 인하여 그 사용자수가 급격히 줄어들었으며, 초기에 상기 시티폰의 보급에 막대한 투자를 하였던 한국통신에서는 시티폰 사업으로 인하여 약 7천억원에 해당하는 손실을 보게 되었다.
그리고, 일부 사용자들은 휴대폰과 시티폰을 별도로 하나씩 휴대하고 다니면서 걸려오는 전화는 휴대폰을 사용하여 받고, 전화를 걸 때에는 시티폰을 사용하므로서 고액의 휴대폰 통화료의 부담을 줄이는 방법을 꾀하고 있으나. 시티폰과 휴대폰을 동시에 휴대하고 다니는 것이 매우 불편하고, 사용시 번거러운 문제점이 있었으며, 시티폰과 휴대폰의 분실우려 또한 높았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휴대폰 배터리의 배면에 시티폰을 일체로 장착하므로서 하나의 배터리로 휴대폰과 시티폰을 동시에 사용할 수 있게 한 것이 공개실용신안 공보, 공개번호 1999-0017677 호에 기재되어 알려져 있으나, 상기와 같이 휴대폰 배터리에 결합된 시티폰의 경우는 휴대폰과 시티폰이 휴대폰 배터리를 중심으로 서로 등지게 배치되므로서 사용자가 상기의 전화기를 손에 쥐고 사용하기가 힘들 정도로 그 두께가 두꺼워지게 되며, 휴대폰 배터리가 완전히 소모될 경우에는 상기 배터리의 충전시까지 휴대폰과 시티폰의 통화가 모두 불가능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휴대폰 배터리에 시티폰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전화기의 사용도중에 시티폰의 파손이나 취급부주의로 인한 고장이 발생할 경우에는 아직 수명이 다하지 않은 배터리를 시티폰과 함께 폐기처분하여야 할 뿐만아니라 새로운 시티폰을 구입할 시에 배터리까지 동시에 구입하여야 하므로서 자원의 낭비를 초래하고, 사용자들이 이중부담을 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상기 배터리의 수명이 다한 경우도 마찬가지로 원할하게 작동이 되는 시티폰을 배터리와 함께 폐기처분하여야 할 뿐만아니라 새로운 배터리의 구입시 시티폰까지 동시에 구입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에 의한 시티폰 결합형 휴대폰은, 배터리 케이스의 내측 중앙부에 배터리 케이스를 양분하는 부전도체 격막을 설치하고, 상기 배터리 케이스의 외측면에는 상기 부전도체 격막을 중심으로 상하로 대칭되는 2개의 전원 충전단자와 전원 연결단자 및 고정버튼 삽입구를 설치하며, 상기의 전원 연결단자와 고정버튼 삽입구에는 소형 시티폰과 폴더형 휴대폰을 결합하여 설치하므로서, 상기 시티폰 결합형 휴대폰의 전체적인 두께를 얇게 하여 사용을 용이하게 하고, 시티폰이나 휴대폰 중 어느 하나의 이동통신 수단은 항상 사용가능한 상태로 유지시키며, 상기의 시티폰이나 휴대폰 또는 배터리의 파손시에 파손된 것만을 구입하여 부착하게 하므로서 자원의 낭비를 방지함과 동시에 사용자의 이중부담을 줄일 수 있는 것을 본 고안의 기술적 과제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시티폰 결합형 휴대폰을 나타내는 정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시티폰 결합형 휴대폰의 시티폰과 휴대폰 폴더을 열어 놓은 상태를 타나내는 측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시티폰 결합형 휴대폰의 배터리 케이스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4는 도 3의 배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소형 시티폰 2 : 폴더형 휴대폰 3, 3' : 폴더
4 : 배터리 케이스 5 : 전원 연결단자 6 : 전원 충전단자
7: 고정버튼 삽입구 8, 8' : 안테나 9 : 부전도체 격막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시티폰 결합형 휴대폰을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시티폰 결합형 휴대폰의 시티폰과 휴대폰 폴더을 열어 놓은 상태를 타나내는 측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시티폰 결합형 휴대폰의 배터리 케이스를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배면도이다.
본 고안에 의한 시티폰 결합형 휴대폰의 전체적인 구성은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폰에 일반적으로 사용되어지는 배터리 케이스(4)의 내측 중앙부에는 상기 배터리 케이스(4)의 내부에 구비되며,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은 충전용 배터리를 상하로 양분하는 부전도체 격막(9)을 설치하고, 상기 배터리 케이스(4)의 전방외측면에는 상기 충전용 배터리와 연결되어 소형 시티폰(1)과 폴더형 휴대폰(2)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한쌍의 전원 연결단자(5)와 상기 시티폰(1)과 휴대폰(2)을 배터리 케이스(4)의 전방에 체결하기 위한 고정버튼 삽입구(7)를 상기 부전도체 격막(9)을 중심으로 상하로 대칭되도록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배터리 케이스(4)의 배면측 상단면 및 하단면에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은 충전기의 단자에 결합되어 상기의 충전용 배터리에 전원을 충전시키기 위한 한쌍의 전원 충전단자(6)를 설치하며, 상기 배터리 케이스(4)의 전원 연결단자(5)와 고정버튼 삽입구(7)에는 소형 시티폰(1)과 폴더형 휴대폰(2)을 체결하여 결합한 구성으로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시티폰 결합형 휴대폰의 작용관계를 도 2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의 시티폰 결합형 휴대폰을 가방이나 호주머니속에 휴대하고 다니다가 전화가 걸려오게 되면 휴대폰(2)의 폴더(3)을 열고 통화를 하게 되며, 소망하는 곳으로 전화를 걸고자 할 경우에 발신위치가 시티폰(1)의 통화영역 범위 이내일 경우에는 시티폰(1)을 사용하여 전화를 걸게 되고, 발신위치가 시티폰(1)의 통화영역 범위 외부일 경우에는 휴대폰(2)을 사용하여 전화를 걸게 되므로서, 기존의 휴대폰과 시티폰의 장점을 살려 보다 저렴한 가격으로 이동통신을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의 시티폰(1)과 휴대폰(2)이 모두 배터리 케이스(4)의 전면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일반 휴대폰과 그 두께가 거의 비슷하므로 사용하기에 편리하다.
상기와 같은 시티폰 결합형 휴대폰의 사용중에 시티폰(1)에 연결된 배터리나 휴대폰(2)에 연결된 배터리가 소모되어 충전이 필요한 경우에는 배터리의 충전이 필요한 부분에 설치된 전원 충전단자(6)를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충전기의 단자에 연결하여 부족한 배터리를 충전시키게 되며, 배터리 케이스(4)의 중앙에 설치된 부전도체 격막(9)에 의하여 상하로 이원화 된 배터리 상호간의 전류흐름이 차단되므로서 충전하고자 하는 부분에만 전원의 충전이 가능하게 된다.
뿐만아니라, 상기의 시티폰 결합형 휴대폰(2)의 사용중에라도 이원화된 배터리 상호간의 전류흐름이 발생하지 않게 되므로서 하나의 배터리에 충전된 전원이 모두 소비되더라도 다른 배터리에는 소정의 전원이 충전된 상태이므로 시티폰(1)이나 휴대폰(2)중 어느 하나의 이동통신 수단은 언제나 사용가능한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으며, 상기의 시티폰 결합형 휴대폰의 사용중에 배터리 케이스(4)에 결합된 시티폰(1)이나 휴대폰(2)의 파손 및 취급부주의로 인한 고장이 발생하거나 또는 배터리의 수명이 다하여 상기의 배터리를 교체하여야 할 경우에는 상기의 시티폰(1)과 휴대폰(2) 및 배터리중에서 교환하고자 하는 부분만을 분리하여 새것으로 갈아끼우면 되므로 불필요한 자원의 낭비를 방지하고, 소비자의 이중부담을 줄일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시티폰 결합형 휴대폰은 일반적으로 사용되어지는 휴대폰 베터리의 케이스 전면에 소형 시티폰과 폴더형 휴대폰을 분리가능하게 설치하고, 상기 휴대폰과 시티폰에 각각 독립적으로 전원을 공급하게 하므로서, 시티폰과 휴대폰의 장점을 살려 보다 저렴한 비용으로 이동통신을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시티폰 결합형 휴대폰의 전체적인 두께를 일반 휴대폰의 두께 정도로 얇게 하고, 시티폰이나 휴대폰 중 어느 하나의 이동통신 수단은 항상 사용가능한 상태로 유지시키므로서 사용자로 하여금 상기 시티폰 결합형 휴대폰의 사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시티폰이나 휴대폰 또는 배터리의 파손시에 파손된 것만을 구입하여 부착하게 하므로서 자원의 낭비를 방지함과 동시에 사용자의 이중부담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현재 실용화 단계까지 올라서 있는 무선화상통신 전화기(이하 'IMT 2000'이라 한다)에도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을 적용하여 시티폰 결합형 휴대폰뿐만 아니라, 시티폰 결합형 IMT 2000 또는 휴대폰 결합형 IMT 2000등을 소비자들에게 제공하므로서 현재의 휴대폰 통화요금보다 고가의 요금이 적용되어지는 IMT 2000과 같은 최첨단 이동통신수단을 매우 저렴한 비용을 사용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휴대폰에 전원을 공급하는 휴대폰 배터리의 케이스 배면에 시티폰을 상기 배터리 케이스와 일체로 설치한 것에 있어서,
    배터리 케이스(4)의 내측 중앙부에는 상기 배터리 케이스(4)의 내부에 구비되는 충전용 배터리를 양분하는 부전도체 격막(9)을 설치하고,
    상기 배터리 케이스(4)의 전면에는 상기 부전도체 격막(9)을 중심으로 상하로 대칭되는 한 쌍의 전원 연결단자(5)와 고정버튼 삽입구(7)를 설치하고,
    상기 배터리 케이스(4)의 배면측 상단면 및 하단면에는 상기 부전도체 격막(9)을 중심으로 대칭되는 한 쌍의 전원 충전단자(6)를 설치하며,
    상기의 전원 연결단자(5)와 고정버튼 삽입구(7)에는 시티폰(1)과 휴대폰(2)을 결합하여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티폰 결합형 휴대폰.
KR2019990021521U 1999-10-07 1999-10-07 시티폰 결합형 휴대폰 KR20017701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1521U KR200177014Y1 (ko) 1999-10-07 1999-10-07 시티폰 결합형 휴대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1521U KR200177014Y1 (ko) 1999-10-07 1999-10-07 시티폰 결합형 휴대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77014Y1 true KR200177014Y1 (ko) 2000-04-15

Family

ID=195913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21521U KR200177014Y1 (ko) 1999-10-07 1999-10-07 시티폰 결합형 휴대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77014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50674B2 (en) Multi-purpose mobile cordless phone system
KR100617737B1 (ko) 위성 통신용 휴대 단말기
US20070135174A1 (en) Mobile telephone and an accessory
JPH089002A (ja) 携帯用通信機器
GB2322504A (en) Tri-fold cellular telephone
US6308074B1 (en) Hands-free personal communication device and pocket sized phone
EP1158754A2 (en) Multi-purpose mobile cordless phone system
KR20170002571U (ko) 보조배터리 및 유에스비 케이블을 포함하는 휴대폰 케이스
CN202261489U (zh) 一种无线固定电话
KR101794164B1 (ko) 휴대단말기용 보조 배터리
KR200177014Y1 (ko) 시티폰 결합형 휴대폰
KR200184934Y1 (ko) 다이얼기능을 가지는 휴대폰용 이어폰
KR100303863B1 (ko) 밧데리에장착되는휴대가가능한핸드폰
KR100446736B1 (ko) 휴대단말기의 듀얼모드 전원공급장치
KR200433139Y1 (ko) 휴대폰 충전기로 충전 가능한 휴대용 소형무전기
KR200307358Y1 (ko) 충전기능을 갖춘 휴대용 핸드폰 케이스
KR20080020160A (ko) 배터리 팩에 이어폰을 보관하는 구조를 가진 모든 종류의휴대폰이나 음성 통신 단말기
KR100308487B1 (ko) 휴대폰 배터리에 결합된 시티폰
CN218958629U (zh) 三合一无线充
CN202513960U (zh) 带充电功能的微型备用手机
KR200165277Y1 (ko) 안테나가 분리된 휴대폰
KR200342707Y1 (ko) 휴대전화 충전용 커넥터
US20030119567A1 (en) Battery cap and wireless transmitter-receiver circuit assembly for mobile telephone
KR100617738B1 (ko) 거치용 충전기를 구비한 무선 단말 장치
KR200312393Y1 (ko) 휴대용 핸드폰 충전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