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1939Y1 - 모래 분리기 - Google Patents

모래 분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1939Y1
KR200201939Y1 KR2020000014388U KR20000014388U KR200201939Y1 KR 200201939 Y1 KR200201939 Y1 KR 200201939Y1 KR 2020000014388 U KR2020000014388 U KR 2020000014388U KR 20000014388 U KR20000014388 U KR 20000014388U KR 200201939 Y1 KR200201939 Y1 KR 20020193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nd
raw water
screw conveyor
sedimentation tank
dis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1438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양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청우이엔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청우이엔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청우이엔이
Priority to KR202000001438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193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193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1939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02Settling tanks with single outlets for the separated liq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24Feed or discharge mechanisms for settling tanks
    • B01D21/245Discharge mechanisms for the sediments
    • B01D21/2461Positive-displacement pumps; Screw feeders; Trough conveyo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Separation Of Solids By Using Liquids Or Pneumatic Powe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원수에 포함된 모래를 분리시키는 모래 분리기에 관한 것으로, 원수를 침전 탱크 내부로 유입하는 유입부와, 유입된 원수에 포함된 모래를 침전시키는 침전 탱크와, 스크류 컨베이어와 배출구로 구성되며 상기 침전 탱크의 바닥에 침전된 모래를 이송하여 배출하는 모래 이송부와, 상기 모래 이송부의 스크류 컨베이어를 구동하는 구동부와, 토출구가 형성되며 모래가 분리된 정수를 외부로 토출하는 토출부와, 탱크 내부에 유입된 원수의 와류를 방지하는 와류 방지판으로 구성되며 원수에 포함된 모래를 침전 탱크에서 침전시키고 스크류 컨베이어를 적용하여 이송하여 배출구에서 배출. 분리하는 모래 분리기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모래 분리기{Grit treatment system}
본 고안에서는 어느 장소에도 설치 가능한 크기의 침전 탱크와 스크류 컨베이어로 구성되며, 원수에 포함된 모래를 침전 탱크에서 침전시키고 스크류 컨베이어를 적용하여 이송. 배출함으로써 연속식으로 원수에 포함된 모래를 분리하는 모래 분리기가 제공된다.
오. 폐수 처리장이나 정수 처리장 등에서 처리되는 원수는 상당량의 모래를 포함되기 때문에 모래를 분리해야 수처리가 가능하다. 또한, 강. 호수 등의 준설시에도 모래가 포함된 하천수가 다량 발생하는데, 모래를 활용하려면 하천수로부터 분리해야 하므로 경제적이고 작업 효율이 우수한 모래 분리기에 대한 수요가 높다.
원수로부터 모래를 분리하는 종래의 방법은 대규모 침사지를 조성하여 원수에 포함된 모래를 침전시켜 상층부의 정수를 제거하고 바닥에 남은 모래를 수거하여 분리하는 것인데, 침사지의 조성에 따른 부지와 비용이 많이 소요되고 운영 비용도 높기 때문에 경제성이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모래의 분리작업이 뱃치식으로 진행되기 때문에 작업 효율이 저하되며 침사지의 정수를 제거할 때 모래가 함께 흘러나가기 때문에 모래의 완전한 분리가 곤란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침사지에서 모래의 분리 작업을 수행하기 때문에 오. 폐수로부터 모래를 분리하는 경우 악취가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원수에 포함된 모래가 침전되는 침전 탱크와 침전된 모래를 이송하여 배출하는 스크류 컨베이어로 구성된 콤팩트한 구조로서 가격과 운영 경비가 저렴하여 경제성이 우수하며, 모래의 분리 작업의 효율성이 우수하고 원수에 포함된 모래가 완전히 분리되는 모래 분리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원수에 포함된 모래의 분리작업은 연속식으로 진행되어야 하며, 침전 탱크는 내부에서 원수의 와류가 발생하지 않는 구조를 형성하여 모래가 침전 탱크에 완벽하게 침전되고 외부로 배출되어 분리되어야 하며, 침전 탱크는 밀폐 구조로서 악취가 발생하지 않아야 한다.
도 1은 모래 분리기의 작동도이고,
도 2는 모래 분리기의 측면도이고,
도 3은 모래 분리기의 평면도이고,
도 4는 모래 분리기의 정면도이다.
*** 도면의 상세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유입부 2 : 원수 이송 배관
3 : 침전 탱크 4 : 스크류
5 : 배출구 6 : 이송관
7 : 구동부 8 : 토출부
9 : 토출관 10 : 와류 방지판
11 : 유입 원수 12 : 원수의 이동경로
13 : 토출 정수 14 : 배출 모래
15 : 커버
원수 이송 배관과 연결된 유입부와, 침전된 모래가 하단부에 수집되는 깔대기 형상인 침전 탱크와, 스크류와 상기 스크류를 둘러싼 이송관으로 구성된 스크류 컨베이어와 배출구로 구성되는 모래 이송부와, 모터와 감속기와 제어 장치로 구성되는 구동부와, 침전 탱크의 외부로 통하는 토출관을 포함하는 토출부와, 탱크 내부에 유입된 원수의 와류를 방지하는 와류 방지판으로 구성되는 모래 분리기가 제공된다.
도면과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고안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유입부(1)는 침전 탱크(3)의 상부 표면에 형성되며 원수 이송 배관(2)과 연결되어 원수를 침전 탱크(3)의 침전부로 유입하며, 수동 밸브가 형성되어 모래 분리기의 유지 보수 및 비상시에 원수 유입이 차단되는 구조이다.
침전 탱크(3)는 원수의 와류 발생을 최소화하고 모래를 침전시키기 위한 충분한 체류 시간을 갖는 용량으로 탱크 내부에서 침전된 모래가 하단부로 수집되는 깔대기 형상이고, 상기 하단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침전된 모래를 이송하는 스크류 컨베이어(4)가 형성되며, 상부 표면에는 개. 폐되는 점검용 커버(15)가 형성되고 상기 커버(15)가 폐쇄되면 밀폐되어 악취 발생을 방지하는 구조이다.
모래 이송부는 스크류와 상기 스크류를 둘러싼 이송관(6)으로 구성된 스크류 컨베이어(4)와, 상기 스크류 컨베이어(4)의 상단부에 형성된 배출구(5)로 구성되며, 스크류 컨베이어(4)는 침전 탱크(3)의 하단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침전 탱크(3) 내부에 형성된 스크류 컨베이어(4)의 이송관(6)은 모래를 유입하고 모래가 분리된 정수를 배출하는 일정한 크기의 다수의 구멍이 형성된다. 스크류 컨베이어(4)는 구동부(7)에 의해 회전되며 침전 탱크(3)의 하단부에 침전되고 이송관(6)에 형성된 구멍으로 유입된 모래를 스크류를 회전하여 배출구(5)로 이송하고, 상기 배출구(5)에서 외부로 배출한다. 스크류 컨베이어(4)의 이송관(6)의 외경과 침전 탱크(3)의 내벽과의 직접 마찰을 방지하기 위해 이송관(6)의 외경에 길이 방향으로 다수개의 레일 바를 형성하며 바람직하게, 스크류 컨베이어(4)는 기계적 부하를 최소화하고 부드러운 회전을 위하여 회전축이 형성되지 않는 무축 스크류를 적용한다.
구동부(7)는 모래 이송부의 상단에 형성되며 모터와 감속기로 구성되고 상기 모터와 감속기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를 포함하며, 감속기와 스크류 컨베이어(4)의 이송관(6)은 플렌지로 고정. 연결된 구조이며 제어 장치에 의해 모터를 구동하여 모래 이송부의 스크류 컨베이어(4)를 구동시켜 모래를 이송한다.
토출부(8)는 침전 탱크(3)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침전 탱크(3) 외부로 통하는 토출관(9)이 형성되고, 모래가 분리된 정수가 침전 탱크(3) 내부에서 일정한 수위에 달하면 토출부(8)로 흘러들어 토출관(9)을 통하여 침전 탱크(3)의 외부로 토출되는 구성이다.
토출부(8) 또는 침전 탱크(3)의 벽면에 형성된 와류 방지판(10)은 침전 탱크(3) 내부로 유입된 원수의 와류를 방지함으로써 원수에 포함된 모래가 침전 탱크(3)의 하단부에 완전히 침전되도록 한다.
본 고안의 작용을 실시예로 설명하면, 모래가 포함된 원수는 유입부(1)를 통하여 침전 탱크(3)로 유입되며, 와류 방지판(10)의 작용으로 유입된 원수에서 와류가 거의 발생하지 않으므로 원수에 포함된 모래는 침전 탱크(3)의 하단부로 완전하게 침전된다. 침전 탱크(3)의 하단부에 침전된 모래는 이송관(6)에 형성된 구멍을 통해 스크류 컨베이어(4) 내부로 유입되고 스크류의 회전에 의해 배출구(5)로 이송되며 상기 배출구(5)에서 분리기 외부로 배출되고, 스크류 컨베이어(4) 내부의 모래가 분리된 정수는 이송관(6)에 형성된 구멍을 통하여 침전 탱크(3) 내부로 배출된다. 침전 탱크(3)에서 모래가 분리된 정수는 토출부(8)의 수위에 달하면 토출부(8)로 흘러들어 가서 토출관(9)을 통하여 침전 탱크(3) 외부로 토출된다. 침전 탱크(3)의 상부에 형성된 커버(15)는 필요시에만 개방되며 상기 커버(15)가 폐쇄되면 침전 탱크(3)가 밀폐되기 때문에 침전 탱크(3)에서 악취가 발생하지 않는다.
상기 실시예에서 설명한 모래 분리기는 원수에 포함된 모래를 침전 탱크에서 침전시키고 스크류 컨베이어를 적용하여 이송. 배출되므로 모래 분리 작업이 연속식으로 진행된다. 침전 탱크의 내부는 와류 방지판에 의하여 원수의 와류가 거의 발생하지 않는 구조로서 모래가 침전 탱크의 바닥에 완벽하게 침전되고, 침전된 모래는 스크류 컨베이어에 의해 즉시 배출된다.
본 고안에 의한 모래 분리기는 침전 탱크와 스크류 컨베이어로 구성된 콤팩트한 구조로서 설치 공간이 적게 소요되어 어느 장소에나 설치 가능하며 설치 비용과 운영 비용이 저렴하기 때문에 경제성이 우수하다. 또한, 모래의 분리 작업이 연속식으로 진행되어 분리 작업의 효율성이 우수하고, 침전 탱크 내부에서 원수의 와류가 발생하지 않으므로 원수에 포함된 모래가 원수로부터 완벽하게 침전되어 이송부를 통하여 분리. 배출된다. 또한, 침전 탱크는 상부의 커버를 폐쇄하면 밀폐되는 구조이므로 오. 폐수로부터 모래를 분리하는 경우에도 악취가 발생하지 않는다.

Claims (2)

  1. 원수에 포함된 모래를 분리하는 분리기에 있어서,
    원수 이송 배관(2)과 연결된 유입부(1)와, 침전된 모래가 그 하단부에 수집되는 깔대기 형상이며 상기 하단부에 스크류 컨베이어(4)가 형성된 침전 탱크(3)와, 스크류와 상기 스크류가 내재된 이송관(6)으로 구성된 스크류 컨베이어(4)와 배출구(5)로 구성되어 침전된 모래를 이송하여 배출하는 모래 이송부와, 모터와 감속기와 제어 장치로 구성되며 모터를 구동하여 스크류 컨베이어(4)를 구동하는 구동부(7)와, 침전 탱크(3)의 외부로 통하는 토출관(9)이 형성된 토출부(8)와, 탱크 내부에 유입된 원수의 와류를 방지하는 와류 방지판(1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래 분리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침전 탱크(3)는 커버(15)가 형성되고 상기 커버가 폐쇄되면 밀폐되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래 분리기.
KR2020000014388U 2000-05-22 2000-05-22 모래 분리기 KR20020193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4388U KR200201939Y1 (ko) 2000-05-22 2000-05-22 모래 분리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4388U KR200201939Y1 (ko) 2000-05-22 2000-05-22 모래 분리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1939Y1 true KR200201939Y1 (ko) 2000-11-01

Family

ID=196572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4388U KR200201939Y1 (ko) 2000-05-22 2000-05-22 모래 분리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193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2108B1 (ko) 2006-09-28 2007-08-27 이병욱 건축폐기물 분리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2108B1 (ko) 2006-09-28 2007-08-27 이병욱 건축폐기물 분리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70091A (en) Method of plain sedimentation and physical-chemical sedimentation of domestic or industrial waste water
US7824549B2 (en) High efficiency grit removal system
WO1998014258A1 (en) Water and wastewater treatment system with internal recirculation
WO2011087936A2 (en) Self-cleaning influent feed system for a wastewater treatment plant
JP2008246282A (ja) 泥水浄化分離装置
KR200220590Y1 (ko) 부유물질 분리기능을 갖는 하수처리용 원심분리장치
US6921489B2 (en) Aerated grit chamber and method
KR100777132B1 (ko) 비중 분리 고속 침전조
KR200406764Y1 (ko) 일체형 스크린 및 원통형 모래제거기
JP7154925B2 (ja) スクリュー型分離装置及び排水処理システム
KR200201939Y1 (ko) 모래 분리기
KR20030059010A (ko) 침사분리기
US2846072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grit removal from
KR100988641B1 (ko) 상,하수 및 폐수의 종합 전처리장치
KR101352690B1 (ko) 협잡물종합처리기
WO1990011813A1 (en) Liquid processing apparatus, its continuous liquid processing apparatus and its continuous liquid processing method
KR100326914B1 (ko) 정수 및 하·폐수 처리용 고속침전지
KR0156867B1 (ko) 협잡물 자동처리장치
KR200346465Y1 (ko) 하수내 침사및 협잡물 처리를 위한 일체형 스크린 장치
KR200257369Y1 (ko) 수처리장의 침사물 분리장치
KR100762491B1 (ko) 오 폐수 및 슬러지 정화 처리 장치
JP3759811B2 (ja) 屎尿・浄化槽汚泥からの除砂装置と同装置を備えた屎尿・浄化槽汚泥処理設備
JP2019126760A (ja) 汚水処理システム、及び撹拌装置
KR0155031B1 (ko) 토사 및 협잡물 종합처리장치
KR200315761Y1 (ko) 순환여과식 양식시스템용 침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120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