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97326A - 이동형 에어컨 - Google Patents

이동형 에어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97326A
KR20020097326A KR1020010034984A KR20010034984A KR20020097326A KR 20020097326 A KR20020097326 A KR 20020097326A KR 1020010034984 A KR1020010034984 A KR 1020010034984A KR 20010034984 A KR20010034984 A KR 20010034984A KR 20020097326 A KR20020097326 A KR 200200973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condenser
cooling
air conditioner
evapor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349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창선
문동수
진심원
정인화
이원희
안철오
정문기
윤인철
조관식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349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97326A/ko
Publication of KR200200973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97326A/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56Casing or covers of separate outdoor units, e.g. fan guar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3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characterised by a split arrangement, wherein parts of the air-conditioning system, e.g. evaporator and condenser, are in separately located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12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transport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For Blowing Cold Air, Devices For Blowing Warm Air, And Means For Preventing Water Condensation In Air 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이동형 에어컨은 이동형 에어컨은 냉매의 증발현상을 이용하여 냉각작용을 행하는 증발기(62)와, 증발기(62) 주위에서 형성된 냉기를 순환시키는 순환팬(64)으로 구성된 냉각유닛(60)과; 상기 증발기(62)로부터 유입된 저온 저압의 기상 냉매를 고온 고압으로 압축하는 압축기(72)와, 압축된 고온 고압의 기상 냉매를 응축하여 고압의 액상으로 변환시키는 응축기(74)와, 응축된 냉매를 확산시키는 팽창밸브와, 상기 응축기(74)를 냉각시키는 냉각팬(76)으로 구성되며, 상기 냉각유닛(60)과 분리 결합 가능한 응축유닛(70)과; 상기 응축기(74)와 증발기(62)를 연결하는 고압배관(82)과, 증발기(62)와 압축기(72)를 연결하는 저압배관(84), 증발기(62)에서 발생된 응축수를 배출하기 위한 드레인 배관(86)이 하나로 묶인 형태로서, 냉각유닛(60)과 응축유닛(70)을 연결하며, 자유 굴곡 가능한 플렉시블 냉매관(80)과; 운반작업이 용이하도록 응축유닛(70)에 구비된 손잡이 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손잡이 수단은 응축유닛 케이스(71)의 좌우면에 그 양선단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응축유닛(70)의 상면을 가리지 않도록 일측으로 완전히 젖혀지는 회동 손잡이(90)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형 에어컨은, 부피가 작고 무게가 가벼우며 위치변동이 자유로운 냉각유닛 및 응축유닛의 구조상 냉기토출 위치 및 방향을 자유로이 조절할 수 있으며, 특히 손잡이 수단을 이용하여 용이하게 옮길 수 있기 때문에 편의성이 높다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이동형 에어컨{Mobile air conditioner with handle}
본 발명은 에어컨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이동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짐으로써 사용이 편리한 이동형 에어컨에 관한 것이다.
에어컨은 하절기와 같이 기온이 높은 계절에 실내의 더운공기를 흡입하여 열교환 작용을 통해 냉각시킨 다음 다시 실내로 분출함으로써 실내의 기온을 적절히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 압축기와 응축기, 증발기 및 팽창장치 등과 같이 냉동사이클을 이루어 냉기를 생성하기 위한 기기들과, 생성된 냉기를 배출하는 송풍팬 등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에어컨에 의하면 저온 저압의 기체상태 냉매가 압축기에 의해 고온 고압으로 압축되고, 압축된 고온 고압의 기체상태 냉매가 응축기에 의해 냉각 응축되어 고압의 액체상태로 된 다음, 팽창장치에 의해 저온 저압의 이상(異狀)상태로 변화되고, 계속해서 증발기에서 저온 저압의 기체상태로 변하면서 주위로부터 열을 빼앗아 증발기 주위 공기를 냉각시키게 된다. 냉각된 공기는 송풍팬에 의해 에어컨 외부로 배출됨으로써 실내의 기온이 조절된다.
에어컨은 냉동사이클을 이루는 기기들의 배치 구조에 따라 크게 일체형과 분리형으로 구분된다.
상기 일체형 에어컨은 창문형이라고도 불리우며 도 1에 나타난 것과 같이 하나의 케이스(10) 내에 압축기(12), 응축기(14), 증발기(16) 등이 모두 구비된 형태로서 케이스(10)의 내부공간이 격막패널(18)에 의해 실내부와 실외부로 구분되며, 실내부에는 증발기(16) 및 실내공기를 순환시키는 순환팬(20)이 구비되고, 실외부에는 압축기(12)와 응축기(14) 및 응축기(14)를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팬(22) 등이 구비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일체형 에어컨은 대개 창문틀에 장착되며, 창문틀을 중심으로 실내부가 실내측으로 향하고, 실외부가 실외측을 향하도록 배치된다.
그리고, 분리형 에어컨은 도 2에 나타난 것과 같이 실내에 설치되어 실내공기의 냉각 순환작용을 행하는 실내기(30)와, 실외에 설치되는 실외기(40)로 분리구성되는데, 실내기(30)에는 증발기 및 순환팬이 구비되며, 실외기(40)에는 응축기와 압축기 및 응축기용 냉각팬이 구비되고, 실내기와 실외기는 냉매관(50)에 의해 연결된다.
상기 냉매관(50)은 응축기와 증발기를 연결하는 고압배관(52)과, 증발기와 압축기를 연결하는 저압배관(54), 증발기에서 발생된 응축수를 배출하기 위한 드레인 배관(56)이 하나로 묶여 조합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또한, 분리형 에어컨의 실내기(30)는 설치구조에 따라 벽부착형(도 2참조), 스탠드형, 천장형 등으로 구분되는데, 벽부착형은 벽면에 고정부착되는 방식으로, 스탠드형은 단순직립되는 방식으로, 천장형은 천장에 내장되는 붙박이 방식으로 장착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에 따른 에어컨에 의하면 먼저, 창문형 에어컨의 경우, 창틀과 같이 실내외의 경계부위에 고정 설치되어야 하기 때문에 냉기의 배출방향 및 냉각공간이 한정되고, 설치장소 선정에 많은 제약이 있으며, 설치를 위한 지지대 등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사용이 불편하고 설치작업 또한 번거롭다는 문제점이 있다.
다음으로, 분리형 에어컨의 경우에는 실내기(30)가 벽이나 천장에 고정되거나(벽부착형, 천장형), 실내기의 부피가 크고 무겁우며(스탠드형), 특히 냉매관(50)이 벽을 통과하는 방식으로 설치되기 때문에 냉각공간이 한정되고, 설치작업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부피가 작고 무게가 가벼우며 실내기와 실외기의 위치변동이 자유로운 구조로 이루어짐으로써 사용이 편리한 이동형 에어컨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종래 일체형 에어컨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는 종래 분리형 에어컨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에어컨의 구조 및 냉각유닛과 응축유닛이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에어컨의 구조 및 냉각유닛과 응축유닛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5의 a, b는 본 실시예에서 회동 손잡이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60: 냉각유닛 62: 증발기
64: 순환팬 70: 응축유닛
70a: 흡기구 70b: 배기구
72: 압축기 74: 응축기
76: 냉각팬 80: 플렉시블 냉매관
82: 고압배관 84: 저압배관
86: 드레인 배관 90: 회동손잡이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이동형 에어컨은 냉매의 증발현상을 이용하여 냉각작용을 행하는 증발기와, 증발기 주위에서 형성된 냉기를 순환시키는 순환팬으로 구성된 냉각유닛과; 상기 증발기로부터 유입된 저온 저압의 기상 냉매를 고온 고압으로 압축하는 압축기와, 압축된 고온 고압의 기상 냉매를 응축하여 고압의 액상으로 변환시키는 응축기와, 응축된 냉매를 확산시키는 팽창밸브와, 상기 응축기를 냉각시키는 냉각팬으로 구성되며, 상기 냉각유닛과 분리 결합 가능한 응축유닛과; 상기 응축기와 증발기를 연결하는 고압배관과, 증발기와 압축기를 연결하는 저압배관, 증발기에서 발생된 응축수를 배출하기 위한 드레인 배관이 하나로 묶인 형태로서, 냉각유닛과 응축유닛을 연결하며, 자유 굴곡 가능한 플렉시블 냉매관과; 운반작업이 용이하도록 응축유닛에 구비된 손잡이 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손잡이 수단은 응축유닛 케이스의 좌우면에 그 양선단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응축유닛의 상면을 가리지 않도록 일측으로 완전히 젖혀지는 회동 손잡이로 이루어진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 3부터 도 5까지 참조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에어컨은 도 3에 나타난 것과 같이 이동 가능토록 부피가 작고 가벼운 냉각유닛(60)과 응축유닛(70) 및 상기 각 유닛(60)(70)을 서로 연결하는 플렉시블 냉매관(80)으로 이루어지는데, 냉각유닛(60)에는 증발기(62) 및 상기 증발기(62) 주위에서 형성된 냉기를 순환시키는 순환팬(64)이 구비되며, 응축유닛(70)에는 압축기(72)와 응축기(74) 및 냉각팬(76)이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응축유닛(70)은 흡기구(70a)와 배기구(70b)가 각각 전면과 상면에 형성되며, 응축기(74)가 흡기구(70a) 측에 배치되고, 냉각팬(76)이 배기구(70b) 측에 배치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 플렉시블 냉매관(80)은 응축기(74)와 증발기(62)를 연결하는 고압배관(82)과, 증발기(62)와 압축기(72)를 연결하는 저압배관(84), 증발기(62)에서 발생된 응축수를 배출하기 위한 드레인 배관(86)이 하나로 묶인 형태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응축유닛(70)에는 운반작업이 용이하도록 손잡이 수단이 구비되는데, 상기 손잡이 수단은 응축유닛 케이스(71)의 좌우면에 그 양선단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응축유닛(70)의 상면 즉, 배기구(70b)를 가리지 않도록 일측으로 완전히 젖혀지는 회동 손잡이(90)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에어컨은 냉각유닛(60)과 응축유닛(70)의 배치구조에 따라 냉각유닛(60)과 응축유닛(70)이 분리된 분리방식 및 결합된 결합방식 등으로 다양하게 사용되는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다음과 같다.
먼저, 분리방식은 응축유닛(70)을 실외에 배치한 상태에서, 냉각유닛(60)을 실내의 벽 등에 고정부착시켜 사용하는 벽부착방식과, 단순히 세워놓고 사용하는 단순직립방식으로 나뉘어진다.
벽부착방식은 실내 바닥에 냉각유닛(60)을 내려놓을 공간이 부족하거나, 어린아이들의 손이 냉각유닛(60)에 닿지 않도록 해야 하는 등의 경우에 유용하며, 단순직립방식은 냉기토출방향을 다양하게 변화시키거나 더위를 식히고자하는 사람에게만 집중적으로 냉기가 향하도록 하는 경우에 유용하다.
상기 분리방식에 의하면 냉각유닛(60)과 응축유닛(70)을 연결하는 플렉시블 냉매관(80)의 길이가 제한적이기 때문에 냉각유닛(60)의 설치범위는 냉매관(80)의 길이에 따라 응축유닛(70)을 중심으로 일정범위 내에서 제한된다.
일체방식은 도 4에 나타난 것과 같이 냉각유닛(60)과 응축유닛(70)을 결합시킨 상태에서 실내에 들여놓고 사용하는 것으로서, 이에 따르면 냉각유닛(60)과 응축유닛(70)을 함께 옮길 수 있기 때문에 에어컨의 이동범위에 제한이 없어 냉각공간을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으며, 사무용 빌딩과 같이 응축유닛(70)의 설치공간(베란다 등)이 없는 건물에서도 사용 가능하다는 특징이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에어컨을 일체방식으로 사용할 경우에는 증발기(62)에서 발생하는 응축수를 이용하여 응축기(74)를 냉각시킬 수 있는 냉각시스템 (미도시) 등을 필요로 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손잡이 수단을 이용하여 냉각공간 변경 등의 경우에 필용한 에어컨의 위치이동 작업을 수월하게 행할 수 있게 된다.
즉, 도 5의 a에 나타난 것과 같이 회동 손잡이(90)를 회동시켜 세운 다음, 회동 손잡이(90)를 잡고 응축유닛(70) 또는 결합된 상태의 냉각유닛(60)과 응축유닛(70)을 함께 들어서 옮기게 되며, 에어컨의 작동시에는 도 5의 b에 나타난 것과 같이 손잡이(90)를 일측으로 젖혀서, 응축유닛(70) 상면의 배기구(70b)가 손잡이(90)에 의해 가려지지 않도록 함으로써 토출압력의 저하 및 이로 인한 공기유동 효율 저하를 방지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형 에어컨에 의하면, 부피가 작고 무게가 가벼우며 위치변동이 자유로운 냉각유닛 및 응축유닛의 구조상 냉기토출 위치 및 방향을 자유로이 조절할 수 있으며, 특히 회동 손잡이를 이용하여 응축유닛을 용이하게 옮길 수 있기 때문에 편의성이 높다는 이점이 있다.

Claims (2)

  1. 냉매의 증발현상을 이용하여 냉각작용을 행하는 증발기와, 증발기 주위에서 형성된 냉기를 순환시키는 순환팬으로 구성되는 냉각유닛과,
    상기 증발기로부터 유입된 저온 저압의 기상 냉매를 고온 고압으로 압축하는 압축기와, 압축된 고온 고압의 기상 냉매를 응축하여 고압의 액상으로 변환시키는 응축기와, 상기 응축기를 냉각시키는 냉각팬으로 구성되며, 상기 냉각유닛과 분리 결합 가능한 응축유닛과,
    상기 냉각유닛과 응축유닛을 연결하는 플렉시블 냉매관을 포함하며, 자유이동 가능한 이동형 에어컨에 있어서;
    상기 응축유닛에는 운반작업이 용이하도록 손잡이 수단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에어컨.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 수단은
    응축유닛 케이스의 좌우면에 그 양선단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응축유닛의 상면을 가리지 않도록 일측으로 완전히 젖혀지는 회동 손잡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에어컨.
KR1020010034984A 2001-06-20 2001-06-20 이동형 에어컨 KR2002009732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34984A KR20020097326A (ko) 2001-06-20 2001-06-20 이동형 에어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34984A KR20020097326A (ko) 2001-06-20 2001-06-20 이동형 에어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97326A true KR20020097326A (ko) 2002-12-31

Family

ID=277100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34984A KR20020097326A (ko) 2001-06-20 2001-06-20 이동형 에어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97326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6828B1 (ko) * 2004-04-28 2005-04-29 (주)삼화엔지니어링 막대형 증발기와 그 연결수단
CN110043952A (zh) * 2019-04-19 2019-07-23 曾庆维 一种散热分离式移动式空调
KR102088466B1 (ko) 2019-10-29 2020-03-12 김인호 분리형 에어컨의 창문 거치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6828B1 (ko) * 2004-04-28 2005-04-29 (주)삼화엔지니어링 막대형 증발기와 그 연결수단
CN110043952A (zh) * 2019-04-19 2019-07-23 曾庆维 一种散热分离式移动式空调
KR102088466B1 (ko) 2019-10-29 2020-03-12 김인호 분리형 에어컨의 창문 거치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2081688A (ja) 換気装置
JP3977823B2 (ja) 空気調和装置
CN214094711U (zh) 吊顶式空调室内机
JPH0914691A (ja) 移動式空気調和装置
KR20020097326A (ko) 이동형 에어컨
KR100434376B1 (ko) 개인용 에어컨의 응축유닛
CN213395603U (zh) 一种吸顶式空调室内机及空调器
KR100430284B1 (ko) 이동형 에어컨
TW201514430A (zh) 移動分離式空調裝置
CN109737516B (zh) 吊顶式空调器
KR20010094180A (ko) 이동형 공기조화기
CN215863734U (zh) 风道换向装置及全热交换装置
KR20190084529A (ko) 배관부 설치키트 결합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KR102419907B1 (ko) 포터블 냉방기
CN213334678U (zh) 一种室内空调器
CN213901266U (zh) 吊顶式空调室内机
CN212252861U (zh) 一种空调器
CN217109774U (zh) 空调室内机
CN212511444U (zh) 空调器及其主体部件
KR200161181Y1 (ko) 에어컨의 실내기
KR20030037029A (ko) 에어컨 실외기의 배관구조
KR100528294B1 (ko) 주방용 공기조화기
KR100357147B1 (ko) 개인용 공기조화기의 열흡수부 설치구조
JP3068008B2 (ja) 壁付け型エアーコンディショナー
JPH0718907Y2 (ja) 一体形空気調和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801 Dismissal of trial

Free format text: REJECTION OF TRIAL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40830

Effective date: 20050112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04101003902; REJECTION OF TRIAL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40830

Effective date: 200501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