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96333A - 바닥절단기 - Google Patents

바닥절단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96333A
KR20020096333A KR1020010034733A KR20010034733A KR20020096333A KR 20020096333 A KR20020096333 A KR 20020096333A KR 1020010034733 A KR1020010034733 A KR 1020010034733A KR 20010034733 A KR20010034733 A KR 20010034733A KR 20020096333 A KR20020096333 A KR 200200963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tter
guide
guide body
longitudinal direction
fl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347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32934B1 (ko
Inventor
김세운
이재용
Original Assignee
쌍용건설 주식회사
남광토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쌍용건설 주식회사, 남광토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쌍용건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347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32934B1/ko
Publication of KR200200963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963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329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32934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D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 B28D1/00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 B28D1/02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by sawing
    • B28D1/04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by sawing with circular or cylindrical saw-blades or saw-discs
    • B28D1/044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by sawing with circular or cylindrical saw-blades or saw-discs the saw blade being movable on slide w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D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 B28D1/00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 B28D1/02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by sawing
    • B28D1/04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by sawing with circular or cylindrical saw-blades or saw-discs
    • B28D1/045Sawing grooves in walls; sawing stones from rocks; sawing machines movable on the stones to be cu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D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 B28D7/00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use with machines or devices of the preceding groups
    • B28D7/04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use with machines or devices of the preceding groups for supporting or holding work or conveying or discharging wor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Knives (AREA)

Abstract

커터 및 커터를 회전시키는 회전구동수단이 결합되는 커터본체를 구비하는 바닥절단기가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막대상의 가이드본체, 가이드본체의 양단에 배치되어 상호 대향한 벽면에 접촉하는 고정판, 가이드본체와 상기 고정판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가이드본체와 고정판과의 간격을 조절하는 신축조절수단을 가지는 가이드조립체; 및 커터본체에 마련되어 커터본체가 가이드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가이드본체와 맞물리는 안내물림부를 포함한다. 이에 따르면, 대향한 벽이 있는 작업공간에서 안정적인 작업이 가능하다.

Description

바닥절단기{Apparatus for cutting concrete}
본 발명은 바닥절단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콘크리트 바닥면에 파이프공사를 하기 위한 홈을 팔 수 있는 바닥절단기에 관한 것이다.
온돌문화권에 속하는 우리나라에서는, 일반적으로, 주거용 건축물의 바닥면에 보일러가 연결된 온돌파이프를 설치한다. 온돌파이프는, 시공될 바닥면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지그재그 형상으로 배치된다. 온돌파이프가 배치된 상면에는 미장몰탈층을 형성한 후 가공하며, 이 후 시간이 경과하면서 미장몰탈층이 점차적으로 굳어지면 온돌바닥이 완성된다.
그런데, 이러한 온돌바닥공사에서는, 온돌파이프의 개보수나 파이프의 결함등으로 인하여 교체작업이 필요한 경우가 있다. 특히,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온돌파이프가 노화되면, 실내의 보온역할을 제대로 수행할 수 없어서, 즉시 새로운 온돌파이프로 교체하여야만 한다. 이와 같은 경우, 종래에는 경화된 미장몰탈층을 깨어낸 다음, 온돌파이프와 미장몰탈층을 전부 들어 낸 후, 새로운 파이프를 배열하여 다시 미장몰탈층을 형성하는 작업이 이루어졌다. 이 때, 통상적으로 수작업이 진행되기 때문에, 비교적 많은 인원이 필요하고, 또한 그 작업시간이 오래 걸리는 문제가 있었다. 특히, 들어낸 온돌파이프와 미장몰탈층등의 폐자재 처리문제가발생하였다.
따라서, 최근에는, 온돌바닥의 재시공 또는 온돌파이프를 교체하는 경우, 콘크리트 절단기와 같은 장비를 이용하고 있다.
도 6은 종래의 콘크리트 절단기의 사시도이다. 종래의 콘크리트 절단기(101)는, 크게 안내가이드(103), 안내가이드(103)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한 슬라이딩관(105), 슬라이딩관(105)에 일체이동가능하게 결합된 커터조립체(111), 및 안내가이드(103)를 지지하는 받침대(107)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에 슬라이딩관(105)를 안내가이드(103)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시키는 이동장치(121)를 구비한다.
안내가이드(103)는 거의 사각막대형상을 가지며, 그 양측 단부가 각각 받침대(107)에 의해 지지된다. 받침대(107)는 방사선방향으로 연장된 세 개의 발을 가지며, 각기 그 높이조절가능하다. 슬라이딩관(105)은 사각관형상을 가지고 안내가이드(103)의 외면에 끼워진다. 커터조립체(111)는, 커터(117)를 부분 수용하는 휀더(115), 이 휀더(115)로부터 상향 연장된 높이조절부(113), 및 커터(117)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119)를 구비한다. 높이조절부(113)는 슬라이딩관(105)의 외측에 승강가능하게 결합된다.
한편, 이동장치(121)는, 가이드봉(125), 가이드봉(125)의 길이방향을 이동가능한 슬라이더(127), 가이드봉(125)을 회전시키는 회전모터(123)로 구성된다. 가이드봉(125)의 외면에는 그 길이방향을 따라 숫나사부가 형성되어 있다. 슬라이더(127)는 가이드봉(125)의 외면에 끼워지며, 숫나사부와 맞물리는 암나사부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슬라이더(127)는, 슬라이딩관(105)의 외면에 고정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회전모터(123)를 구동시키면 가이드봉(125)의 회전으로 그 축선방향을 따라 슬라이더(127)가 이동한다. 그러면, 슬라이더(127)가 고정된 슬라이딩관(105)이 일체로 안내가이드(103)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하며, 동시에 슬라이딩관(105)의 일측에 결합된 커터조립체(111)가 이동한다. 이러한 커터조립체(111)의 이동중에 구동모터(119)를 구동시키면, 커터(117)가 회전하게 된다. 회전하는 커터(117)에 의해 바닥면이 절단되며, 그 이동방향을 따라 직선상의 절단선이 형성된다.
바닥면에 직선상의 절단선이 형성되면, 작업자는 절단기(101) 자체를 평행이동시킨 후, 다시 안내가이드(103)를 따라 커터조립체(111)를 이동시키며 바닥면을 절단한다. 이러한 반복적인 작업으로 바닥면의 절단이 가능하며, 그 평행이동 간격을 조절하여 소정 폭의 홈을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종래의 바닥절단기(101) 중에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대향 배치되는 한 쌍의 커터를 가지는 것도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은, 커터의 이격 거리만큼의 폭을 가지는 홈을 바닥면에 일회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
바닥면에 형성된 홈에는, 새로운 온돌파이프를 배치시킨다. 그런 다음, 온돌파이프가 배치된 부분에 몰타르층을 형성하면, 간단히 온돌바닥의 재시공이 완료된다. 이와 같이, 콘크리트 절단기를 사용하면, 적은 인원으로 비교적 빠르게 온돌바닥을 재시공할 수 있다. 그리고, 특히, 폐자재의 양을 줄일 수 있어 환경친화적인 온돌바닥의 재시공이 가능하다.
그런데, 이와 같은 종래의 콘크리트 절단기에서는, 안내가이드의 길이가 짧아서 그 길이방향을 따른 커터조립체의 이동에 한계가 있으며, 이에 의해, 작업장의 길이가 긴 경우 홈형성 작업시 기기를 자주 이동시켜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그리고, 받침대에 의한 안내가이드의 지지도 상대적으로 불안하여, 커터조립체의 이동시 좌우방향으로의 유동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바닥면에 일정한 폭을 가지는 직선상의 홈을 형성하는데 문제가 있다.
종래의 바닥절단기는 또한, 바닥면에 일정한 깊이의 홈을 파기 곤란하며, 비록 도 6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기어박스 및 랙등을 구비하여 커터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켜 고정시킬 수 있는 구성을 가지더라도, 그 구성상의 제작비용상승의 문제나 조작불편의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이러한 문제점을 고려하여, 비교적 간단한 구성으로 제작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대향한 벽이 있는 작업공간에서 안정적인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바닥절단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작업장내에서 기기의 이동을 줄일 수 있기 때문에, 작업효율을 높일 수 있는 바닥절단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닥절단기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부분 분해사시도,
도 3는 도 1의 Ⅲ-Ⅲ선에 따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바닥절단기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
도 5는 도 4의 평면도, 및
도 6은 종래의 콘크리트 절단기의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바닥절단기 3 : 가이드조립체
4 : 슬라이딩봉 5 : 암나사부
9 : 지지체 11 : 신축부재
12 : 숫나사부 21 : 커터본체
23 : 휀더 27 : 물림턱
31 : 이동구동부 33 : 가이드부재
35 : 랙치형부 41 : 회전손잡이
47 : 피니언 51 : 커터케이싱
61 : 멈춤부재 67 : 탄성스프링
71 : 회전구동부 73 : 모터
77 : 풀리 81, 83 : 커터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커터 및 상기 커터를 회전시키는 회전구동수단이 결합되는 커터본체를 구비하는 바닥절단기에 있어서, 막대상의 가이드본체,상기 가이드본체의 양단에 배치되어 상호 대향한 벽면에 접촉하는 고정판, 상기 가이드본체와 상기 고정판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가이드본체와 상기 고정판과의 간격을 조절하는 신축조절수단을 가지는 가이드조립체; 및 상기 커터본체에 마련되어 상기 커터본체가 상기 가이드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상기 가이드본체와 맞물리는 안내물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절단기에 의하여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신축조절수단은, 상기 고정판과 상기 가이드본체중 어느 일측의 길이방향을 따라 마련된 숫나사부; 및 상기 타측에 마련되는 암나사부를 포함하여 간단히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본체는, 관상의 가이드부재; 상기 가이드부재를 관통하는 슬라이딩봉; 및 상기 슬라이딩봉을 상기 가이드부재에 위치고정하는 멈춤수단을 포함하여, 슬라이딩봉의 길이방향을 따라 가이드본체를 이동시키면서 바닥에 홈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마련된 랙치형부; 상기 커터본체에 마련되어, 상기 랙치형부에 맞물려 회전하는 피니언; 및 상기 피니언을 회전시키는 회전손잡이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커터는 상기 커터의 절단평면방향으로 회동가능하며; 상기 커터를 어느 회동각 위치에 위치고정시키는 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하면, 평탄한 바닥면에 일차적으로 홈을 형성한 후, 커터를 그 회동위치에 고정시킨 후 이동시키면서 홈을 형성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바닥면에 일정한 깊이 및 폭을 가자는 홈을 형성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닥절단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부분분해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바닥절단기(1)는, 크게 상호 대향하는 벽면 사이에 배치되는 가이드조립체(3), 가이드조립체(3)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한 커터본체(21), 및 커터본체(21)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커터케이싱(51)을 구비하고 있다. 여기에, 커터본체(21)를 가이드조립체(3)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시키는 이동구동부(31), 및 커터(81. 83)를 회전시키는 회전구동부(71)를 포함한다.
가이드조립체(3)는, 막대상의 가이드본체(30), 가이드본체(30)의 양단에 각각 배치되는 한 쌍의 고정판(47), 및 고정판(47)과 가이드본체(30) 사이에 개재되는 신축부재(11)로 구성되어 있다. 가이드본체(30)는 관상의 가이드부재(33), 이 가이드부재(33)를 관통하는 슬라이딩봉(4), 및 가이드부재(33)를 슬라이딩봉(4)의 외면에 위치고정하는 스토퍼(91)를 구비한다.
가이드부재(33)는 슬라이딩봉(4)에 비하여 짧은 길이를 가지며, 그 길이방향을 따라 관통공(39)이 형성되어 있다. 관통공(39)의 반경은 슬라이딩봉(4)의 외주 반경을 수용가능한 길이를 가지며, 이에 의해, 가이드부재(33)는 슬라이딩봉(4)을 수용시킨 상태에서 그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다. 가이드부재(33) 및 슬라이딩봉(4)에는 각각 그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을 두고 결합홈(6, 36)이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부재(33)가 슬라이딩봉(4)의 외면 일측 위치에 배치되면, 복수의스토퍼(91)가 상호 대응하는 결합홈(6, 36)을 일체로 관통체결시킨다. 이에 의해, 가이드부재(33)의 위치고정이 가능하다. 가이드부재(33)는 또한, 각 모서리가 대각선방향으로 외향 돌출되어 있고, 이 돌출부(34)는 가이드부재(33)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있다.
슬라이딩봉(4)에는, 그 양 단부영역에 각각 암나사부(5)가 형성되어 있다. 이 암나사부(5)는, 슬라이딩봉(4)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 길이구간에 마련된다. 이에 대응하여, 원형 막대상의 신축부재(11)에는 숫나사부(12)가 마련되어 있다. 신축부재(11)의 말단에는, 원반상의 고정판(47)이 각각 결합된다. 이를 위해, 신축부재(11)의 말단에 길이방향의 함몰부(15)가 형성되어 있고, 고정판(47)의 판면에는 돌출부(17)가 형성되어 있다. 함몰부(15)와 돌출부(17)에는 신축부재(11)의 길이방향에 직교방향으로 체결공(14)이 형성되어 있다. 이들 체결공(14)은 리벳(20)등에 의해 일체로 관통체결되며, 이에 의해 신축부재(11)의 말단에 고정판(47)을 고정시킬 수 있다.
고정판(47)의 외면에는 고무재질의 패드(48)가 부착된다. 고정판(47)은, 대향하는 벽면에 접근이반하며, 접근시 고무패드(48)가 벽면에 접촉상태를 유지한다. 예를 들어, 슬라이드봉(4)과 맞물린 신축부재(11)를 일측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신축부재(11)는 슬라이딩봉(4)에 대하여 축선방향으로 신장된다. 신축부재(11)의 신장과 연동하여 고정판(47)도 슬라이딩봉(4)에 대하여 이반하며 한편, 대향하는 벽면에 접근한다. 그리고, 신축부재(11)의 소정 신장위치에서 고무패드(48)와 벽면이 상호 접면하는 것이다. 신축부재(11)의 회전은 그 자유단부에 형성된조절공(13)과 이 조절공(13)에 끼워져 사용자에게 파지를 제공하는 조절부재(18)에 의해 가능하다.
이와 같은 가이드조립체(3)는 지지체(9)에 의해 바닥면과 소정 이격된 평행상태를 유지한다. 지지체(9)는 일정각을 가지고 상호 대향하는 한 쌍의 세로지지부(7), 및 이들 세로지지부(7)의 중앙영역을 상호 연결하는 가로지지부(8)를 가진다. 세로지지부(7)는, 하부영역의 이격거리가 상부영역의 그것에 비하여, 다소 넓게 형성되어 있어서, 전체적으로 삼각꼴형상을 가진다. 가로지지부(8)에 슬라이딩봉(4)의 자유단부가 놓여져 지지된다.
도 3은 도 1의 Ⅲ-Ⅲ에 따른 단면도로서, 커터본체 및 이동구동부가 구체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커터본체(21)는, 거의 직사각통상을 가지며, 상호 대면이 각각 개구되어 안내물림부(28)를 형성하고 있다. 안내물림부(28)의 각 모서리에는 대각선방향으로 외향 확장된 홈(29)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부영역에는 자세히 후술할 랙치형부홈(30)이 마련되어 있다. 이러한 안내물림부(28)는 가이드부재(33)를 관통시키며, 커터본체(21)가 가이드부재(33)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물림유지한다. 이 때, 안내물림부(28)의 홈(29)은 출입하는 가이드부재(33)의 돌출부(34)와 물림유지되며, 이에 의해, 출입시 발생할 수 있는 흔들림이 방지된다. 커터본체(21)에는 또한, 그 하부영역에 외향 돌출된 휀더(23)가 설치되어 있다. 이 휀더(23)에는 한 쌍의 커터(81, 83)가 회전가능하게 수용된다.
이동구동부(31)는, 가이드부재(33)의 상면에 그 길이방향을 따라 마련되는 랙치형부(35), 커터본체(21)에 설치되어 랙치형부(35)와 맞물리는 피니언(47), 및피니언(47)을 회전시키는 회전손잡이(41)로 구성되어 있다. 피니언(47)은, 커터본체(21)의 내측 상부영역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된다. 이를 위해, 커터본체(21)의 상면에는 가이드부재(33)의 길이방향에 가로로 대향하는 한 쌍의 지지리브(29)가 하향 연장되어 있다. 이 리브(29)에 축공(도시않음)이 형성되며, 축공에 피니언(47)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이에 의해, 피니언(47)의 회전운동이 랙(35)의 직선운동으로 전환되어, 커터본체(21)의 이동이 가능하다.
회전손잡이(41)는 원형고리상의 회전조절부(43)가 외향 노출되어 있고, 이 회전조절부(43)의 중앙영역에 마련된 보스(도시않음)로부터 내향 돌출된 회전축부(45)를 가진다. 이 회전축부(45)는 커터본체(21)의 벽면을 관통하여 피니언(47)의 회전축공에 일체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따라서, 회전축부(45)가 회전하면, 피니언(47)이 일체회전하고, 연동하여 랙(35)의 직선운동이 이루어진다. 보스와 회전조절부(43) 사이에는 복수의 아암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회전손잡이(41)는 간단히 일체성형가능하다.
한편, 커터케이싱(51)은 상하로 배치된 모터수용실(53) 및 동력전달실(55)을 구비한다. 모터수용실(53)에는 회전구동부(71)를 형성하는 모터(73)가 수용되며, 일측 벽면에 그릴부(54)가 마련된다. 동력전달실(55)에도 또한, 회전구동부(71)를 형성하는 풀리(77) 및 벨트(75)가 된다. 동력전달실(55)의 하부영역은 휀더(23)에 수용되며, 휀더(23)에는 그 원주방향을 따라 개구(25)가 형성되어 있다.
풀리(77)는 동력전달실(55)의 하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으며, 그 회전축(76)이 외향 노출되도록 연장되어 있다. 풀리(77)의 외향 노출된 회전축(76)에 한 쌍의 커터(81. 83)가 일체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커터(81, 83)는 원반형상을 가지며, 간격조절용 링(85)을 사이에 두고 소정의 간격을 유지하고 있다. 따라서, 회전커터(81, 83)의 회전으로 바닥면에 형성되는 홈은 간격조절용 링(85)에 의한 이격 폭만큼의 너비를 가지게 된다.
커터케이싱(51)에는, 또한, 커터본체(21)와의 상호 대향 벽면에 외향 돌출된 회동축(56)이 형성되어 있다. 회동축(56)의 말단은 반경방향으로 확장되어 있다. 이에 대응하여, 커터본체(21)에는 커터케이싱(51)의 회동축(56)을 수용하는 회동축공(22)이 형성되어 있다. 회동축공(22)은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장공으로 형성되며, 상부영역은 회동축(56)의 확장부를 수용할 정도의 반경을 가지고, 하부영역은 축경되어 있다. 따라서, 회동축공(22)내에 회동가능하게 수용된 회동축(56)의 외향 이탈이 저지된 상태에서, 커터케이싱(51)의 회동이 가능하다.
한편, 커터케이싱(51)의 동력전달실(55)의 외벽면에는 조절공(57)이 형성되어 있고, 이 조절공(57)에 멈춤부재(61)가 결합되어 있다. 멈춤부재(61)는, 거의 'ㄱ'자형상을 가지며, 탄성스프링(67)에 의하여 하향 탄성력을 받고 있다. 이에 대응하여, 휀더(23)의 개구(25)의 길이방향 연부에는 복수개의 치형상 멈춤턱(27)이 형성되어 있다. 멈춤부재(61)는 복수의 멈춤턱(27) 중에서 어느 일측과 상호 맞물리며, 이에 의해, 커터케이싱(51)의 회동을 소정위치에 제한시킬 수 있다. 멈춤부재(61)는 보강리브(65)에 지지되어 있다.
도면상 미설명 부호인 60은, 커터케이싱(51)의 상부에 설치되는 손잡이부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작업자는 각기 분해된 상태의 가이드조립체(3), 커터본체(21), 및 커터케이싱(51)을 작업하려는 건축물의 내부로 용이하게 운반할 수 있다. 이 때, 가이드조립체(3)의 구성요소들은 용이하게 결합분해 가능하므로, 보관 및 운반이 용이한 상태 즉, 작업자의 선택에 따라 결합 또는 분해된 상태에서 운반가능하다.
여기에서는, 본 발명의 구성요소들이 완전히 분리된 상태로 운반되었다고 가정하자. 운반이 완료되면 우선, 신축부재(11)를 슬라이딩봉(4)에 끼워 가이드조립체(3)를 조립한다. 그런 다음, 슬라이딩봉(4)의 외면에 가이드부재(33)를 끼우고 스토퍼(91)를 체결시킨 후, 커터본체(21)을 가이드부재(33)에 결합시킨다. 결합이 완성되면, 바닥면의 일측 길이방향 즉, 형성하려는 홈의 길이방향과 어느 정도 평행하게 가이드조립체(3)를 배치시킨다. 이 때, 가이드조립체(3)의 양측 단부에 결합된 고정판(16)이 바닥면상에 고정설치된 구조물 즉, 상호 대향하는 벽면과 대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런 다음, 지지체(9)를 사용하여, 가이드조립체(3)를 바닥면과 소정 이격유지한다. 가이드조립체(3)가 지지되면, 슬라이딩봉(4)의 양측 단부에 결합된 신축부재(11)를 일측 방향으로 회전시켜, 고정판(47)이 각각 벽면에 접면하도록 한다. 이를 위해 조절부재(18)를 사용한다. 그러면, 양측 고정판(47)의 상대적인 가압으로 가이드조립체(3)의 흔들림이 방지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커터본체(21)의 측면에 커터케이싱(51)을 회동가능하게 결합시킨다. 이 때, 커터케이싱(51)의 회동반경이 바닥면과 가이드부재(33)의 이격 거리에 비하여 길기 때문에, 커버케이싱(51)은 기립상태를 유지하지 못하고 소정 회동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작업자는, 바닥면에 일차적인 홈형성 작업을 수행한다. 즉, 커터본체(21)를 가이드부재(33)의 일측에 배치시킨 후, 커터케이싱(51)의 손잡이부(60)를 잡고 모터(73)를 구동시킨다. 모터(73)의 작동상태에서, 손잡이부(60)를 가압하면 커터(81, 83)의 회전으로 바닥면에 홈이 형성된다. 이러한 작동중에 바닥면에 일정 깊이의 홈이 형성되면, 사용자는 가압을 중지하고, 멈춤부재(61)를 대응하는 휀더(23)의 멈춤턱(27)과 맞물리도록 고정시킨다.
그러면, 도 4 및 도 5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커터본체(21)에 대하여 일정한 회동각 위치에 커터케이싱(51)을 고정시킬 수 있다. 커터케이싱(51)의 회동이 고정되면, 작업자는 회전손잡이(41)를 회전시켜 커터본체(21)을 가이드본체(23)를 따라 이동시킨다. 그러면, 커터케이싱(51)의 흔들림이 방지되어, 바닥면에는 일정한 깊이의 홈이 형성되는 한편, 거의 일직선상의 홈이 형성된다.
이러한 작업중에, 일측 벽면에 인접한 위치에서 타측으로의 홈형성 작업이 완료되면, 신축부재(11)를 타측 방향으로 회전시켜 벽면과의 상호 접면상태를 해제한다. 그런 다음, 가이드조립체(3)를 평행이동시킨 후, 신축부재(11)를 다시 고정구조물에 접촉유지시킨다. 신축부재(11)를 사용한 가이드조립체(3)의 고정이 완료되면, 상기한 바와 같은 순서를 따라 바닥면에 홈을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바닥절단기를 사용하면, 바닥면에 일정한 깊이를 가지는 복수의 홈을 평행하게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홈에, 종래기술과 관련하여 설명한 바와 마찬가지로, 온돌파이프를 지그재그로 배치시킨 후 미장몰타르층을 형성하면,간단히 온돌바닥의 시공이 완성된다.
한편, 상술 및 도시한 실시예에서는, 슬라이딩봉(4)과 고정판(47)을 각기 별개로 제작한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하지만, 이러한 슬라이딩봉(4) 및 고정판(47)은 일체로 형성하여 슬라이딩봉(4)에 간단히 체결 및 체결해제시킬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함몰부(15) 및 돌출부(17)의 삭제로 인해, 그 제작공정상에 유리함이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비교적 간단한 구성으로 제작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대향한 벽이 있는 작업공간에서 안정적인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바닥절단기가 제공된다. 그리고, 작업장내에서 기기의 이동을 줄일 수 있기 때문에, 작업효율을 높을 수 있다.

Claims (5)

  1. 커터 및 상기 커터를 회전시키는 회전구동수단이 결합되는 커터본체를 구비하는 바닥절단기에 있어서,
    막대상의 가이드본체, 상기 가이드본체의 양단에 배치되어 상호 대향한 벽면에 접촉하는 고정판, 상기 가이드본체와 상기 고정판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가이드본체와 상기 고정판과의 간격을 조절하는 신축조절수단을 가지는 가이드조립체; 및
    상기 커터본체에 마련되어 상기 커터본체가 상기 가이드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상기 가이드본체와 맞물리는 안내물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절단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조절수단은,
    상기 고정판과 상기 가이드본체중 어느 일측의 길이방향을 따라 마련된 숫나사부; 및
    상기 타측에 마련되는 암나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절단기.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본체는,
    관상의 가이드부재;
    상기 가이드부재를 관통하는 슬라이딩봉; 및
    상기 슬라이딩봉을 상기 가이드부재에 위치고정하는 멈춤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절단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마련된 랙치형부;
    상기 커터본체에 마련되어, 상기 랙치형부에 맞물려 회전하는 피니언; 및
    상기 피니언을 회전시키는 회전손잡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절단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커터는 상기 커터의 절단평면방향으로 회동가능하며;
    상기 커터를 어느 회동각 위치에 위치고정시키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절단기.
KR10-2001-0034733A 2001-06-19 2001-06-19 바닥절단기 KR1004329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34733A KR100432934B1 (ko) 2001-06-19 2001-06-19 바닥절단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34733A KR100432934B1 (ko) 2001-06-19 2001-06-19 바닥절단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96333A true KR20020096333A (ko) 2002-12-31
KR100432934B1 KR100432934B1 (ko) 2004-05-27

Family

ID=277099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34733A KR100432934B1 (ko) 2001-06-19 2001-06-19 바닥절단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3293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133427A1 (en) * 2007-04-27 2008-11-06 Yoo Beaing Ho Mobile manual cutting machine having movable cutte
CN108748699A (zh) * 2018-05-24 2018-11-06 朱群成 一种建筑监测安装用凿墙设备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5776B1 (ko) 2005-03-08 2006-11-14 한정락 벽면절단 및 바닥천공용 조립체
KR100918170B1 (ko) 2009-06-15 2009-09-17 정순창 고속절단기용 거치대
KR101059735B1 (ko) 2011-02-10 2011-08-26 주식회사 동해석재산업 보행안전용 도로경계석의 미끄럼방지용 요철면 가공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14820A (ja) * 1992-02-06 1993-08-24 Hitachi Plant Eng & Constr Co Ltd コンクリートのはつり装置
JP3740493B2 (ja) * 1999-03-31 2006-02-01 栗本コンクリート工業株式会社 コンクリート管内面切断機
KR200172576Y1 (ko) * 1999-09-21 2000-03-15 김근수 건축물 실내배관설비용 콘크리트절단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133427A1 (en) * 2007-04-27 2008-11-06 Yoo Beaing Ho Mobile manual cutting machine having movable cutte
CN101668607A (zh) * 2007-04-27 2010-03-10 俞炳镐 刀片可移动的移动式手动切割机
CN108748699A (zh) * 2018-05-24 2018-11-06 朱群成 一种建筑监测安装用凿墙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32934B1 (ko) 2004-05-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952281A (en) Portable undercutting and routing device
JP6894524B2 (ja) 電動ドライバーにより長さが調節可能な自動はしご
KR100432934B1 (ko) 바닥절단기
JPH0910851A (ja) 鉄筋ベンダー
JPH0584704A (ja) 切り溝深さ調整機構付きルーター
JP2009501288A (ja) 配管用ツールの供給制御装置
JPH0592401A (ja) ルーター用切削深さ調整リングの締め付け機構
KR102078564B1 (ko) 피 절단물용 이송 가이드 및 지지 장치
KR100562878B1 (ko) 흄관 절단기
US6588111B2 (en) Undercut saw with central height adjustment
EP3154758A1 (en) An improved wall or floor saw
CN107348587B (zh) 一种可清理式衣料打孔器
KR200300641Y1 (ko) 철근 절곡기
KR100922331B1 (ko) 바닥시공장치
KR100675169B1 (ko) 콘크리트 거푸집 하부 수평 규준틀
KR20140001514U (ko) 자동 미장장치
KR960007835Y1 (ko) 철근 절곡기
CN113613609B (zh) 切割重型基板的工具附件
KR20040068752A (ko) 흄관절단기
US20210197300A1 (en) Cutting Assemby
CN113729552A (zh) 传动组件、切割机构、滚刷装置及清洁设备
JP3740493B2 (ja) コンクリート管内面切断機
CN220840861U (zh) 一种建筑工程搅拌装置
KR0121341Y1 (ko) 휴대용 파이프 절단기
US20240123646A1 (en) Tool with latch assemb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1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1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4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