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95218A - 임플란트의 공간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포스트형 요소 - Google Patents

임플란트의 공간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포스트형 요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95218A
KR20020095218A KR1020027013960A KR20027013960A KR20020095218A KR 20020095218 A KR20020095218 A KR 20020095218A KR 1020027013960 A KR1020027013960 A KR 1020027013960A KR 20027013960 A KR20027013960 A KR 20027013960A KR 20020095218 A KR20020095218 A KR 200200952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st
shaped element
implant
section
trunc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139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72793B1 (ko
Inventor
아우크툰미카엘
페터스만프레트
하젤훈클라우스
슈피커만후베르투스
Original Assignee
헤레우스 쿨처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헤레우스 쿨처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filed Critical 헤레우스 쿨처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Priority to KR10200270139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72793B1/ko
Publication of KR200200952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952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27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2793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rostheses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납 섹션(26A)에 의해 임플란트(1)에 있는 그에 맞춰진 수납 리세스(10) 속에 넣어질 수 있고 그 속에 비틀리지 않게 고정될 수 있으며 다시 그로부터 제거될 수 있고, 결합 위치에서 칼라 섹션(26K)에 의해 수납 리세스(10)의 개방 횡단면을 넘어 돌출되는, 임플란트(1)의 공간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포스트형 요소에 관한 것이다. 임플란트(1)가 경사진 위치에 있을 경우에도 인상재 속에 매설된 포스트형 요소가 간단하게 제거될 수 있게끔 하기 위해, 포스트형 요소는 수납 리세스(10) 속에 비틀리지 않게 고정될 수 있는 하부(24) 및 그 하부(24) 속에 비틀리지 않게 삽입될 수 있거나 그 하부(24) 상에 씌워질 수 있는 상부(25)로 이뤄지되, 상부(25)가 포스트형 요소의 결합 위치를 기점으로 하여 여러 방향으로 하부(24)로부터 직선적으로 제거될 수 있도록 조치된다.

Description

임플란트의 공간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포스트형 요소{POST-SHAPED ELEMENT FOR DETERMINING SPATIAL POSITION, ESPECIALLY OF AN IMPLANT}
치의학 분야에서는 그러한 유형의 포스트형 요소를 소위 인상 포스트(impression post)라고 지칭하는데, 그것에 의해 예컨대 턱뼈에 미리 도입된 치의학적 임플란트의 위치 및 정향이 결정되게 된다. 그를 위해, 그 포스트형 요소는 수납 섹션으로서 형성된 그 하부에 의해 수납 리세스로서의 기능을 하는 임플란트의 구멍 속에 삽입되어 그 속에서 예컨대 축 방향 일자 나사에 의해 임플란트 내부의 나사 포켓 구멍 속에 고정된다. 포스트형 요소의 그러한 결합 위치에서 임플란트의 개방 횡단면을 넘어 돌출되는 칼라 섹션은 전형적으로 다수의 유지부를구비하여 그 칼라 섹션과 경화될 수 있는 인상재(impression material) 사이에 가능한 한 긴밀한 형상 결속이 이뤄지게끔 한다.
인상 스푼(impression spoon)의 도움을 빌어서, 인상 포스트와 그에 인접된 치아의 둘레에 있는 공간이 초기에 가소적으로 성형될 수 있는 인상재에 의해 충전되고, 그럼으로써 치아와 인상 포스트가 음형의 형식으로 본 떠지게(coping) 된다.
인상 스푼은 인상 포스트의 칼라 섹션의 근위(proximal) 단부에 배정된 구역에 오목부를 구비하여 인상재의 경화 후에 그 인상재를 고정시키는 나사를 다시 돌려 뺄 수 있게끔 한다. 포스트형 요소를 임플란트에 고정시킨 것을 다시 해제시키면, 인상재 속에 형상 결속식으로 매립된 포스트형 요소가 그 인상재와 함께 턱으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그와 관련하여, 그러한 공지의 포스트형 요소에서는 임플란트 또는 인공 공동의 종 방향 축이 경사진 위치에 있을 경우에 인상 포스트를 경화된 인상재와 함께 빼낼 수 있는 방향이 수납 섹션을 수납 리세스로부터 제거할 수 있는 유일한 방향인 인상 포스트의 종 방향 축과 일치하지 않는다는 것이 단점인 것으로 드러났다. 그와 같이 경사진 위치에 있는 경우에는 인상재와 포스트형 요소를 제거하는 것이 인상재의 탄성을 활용해야만 구현될 수 있는데, 그 경우에 포스트형 요소가 인상을 제작할 때에 차지한 위치로부터 크게 이탈될 때에는 인상재의 소성 변형, 즉 인상재 내에서의 인상 포스트의 위치가 왜곡될 위험이 있다.
본 발명은 임플란트 또는 인체나 동물체의 치아 또는 지지 조직에 있는 인공 공동의 개방 횡단면의 그 주위 조직 구조에 대한 공간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포스트형 요소(post-shaped element)로서, 수납 섹션에 의해 임플란트 또는 인공 공동에 있는 그에 맞춰진 수납 리세스 속에 넣어질 수 있고 그 속에 비틀리지 않게 고정될 수 있으며 다시 그로부터 제거될 수 있고, 결합 위치에서 칼라(collar) 섹션에 의해 수납 리세스 또는 인공 공동의 개방 횡단면을 넘어 돌출되는 포스트형 요소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포스트형 요소를 첨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 의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 도면 중에서,
도 1은 폐쇄 캡이 클립핑된 임플란트의 단면도이고;
도 2는 폐쇄 캡의 평면도이며;
도 3은 폐쇄 캡이 제거된 후의 임플란트의 평면도이고;
도 4는 도 1에 따른 임플란트의 Ⅳ-Ⅳ 선을 따른 단면도이며;
도 5는 도 1에 따른 임플란트의 Ⅴ-Ⅴ 선을 따른 단면도이고;
도 6은 클립 요소의 맞물림 구역의 부분 확대도이며;
도 7은 인상 포스트가 클립핑된 임플란트의 단면도이고;
도 7a는 도 7에 따른 인상 포스트의 상부의 평면도이며;
도 8은 인상 포스트가 로드 요소를 구비하는 대체적 임플란트의 단면도이고;
도 9는 도 8과 유사하지만, 작업실용 임플란트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임플란트가 인접된 치아 또는 조직 구조에 비해 크게 경사진 위치에 있는 경우에도 인상 품질을 왜곡시키지 않고서 간단하게 포스트형 요소를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임플란트의 공간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포스트형 요소를 제공하는 것이다.
그러한 목적은 서두에 전제된 유형의 포스트형 요소로부터 출발하여, 본 발명에 따라 포스트형 요소가 수납 리세스 또는 인공 공동 속에 비틀리지 않게 고정될 수 있는 하부 및 그 하부 속에 비틀리지 않게 삽입될 수 있거나 그 하부 상에 씌워질 수 있는 상부로 이뤄지되, 상부가 포스트형 요소의 결합 위치를 기점으로 하여 여러 방향으로 하부로부터 직선적으로 제거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달성된다.
하부는 통상적으로 원통형 또는 약간 원추형으로 형성되는 수납 리세스의 내측 표피 면에 지지되어 실질적으로 일 방향으로만 임플란트로부터 제거될 수 있지만, 하부와 상부 사이의 분리 평면은 적당하다고 여겨지는 예컨대 30°까지의 각도 범위 내에서 상부가 임의의 방향으로 하부로부터 직선적으로 제거될 수 있게끔 형성될 수 있다. 상부와 하부의 분리 시의 그러한 방향 선택의 자유는 임플란트 또는 인공 공동이 주위 신체 구조에 대해 크게 경사진 위치에 있더라도 인상재 속에 매설된 포스트형 요소의 부분이 인상재의 불확실한 탄성 특성을 활용할 필요가 없이 간단하게 제거될 수 있도록 보장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인상의 품질 및 임플란트의 정향을 결정함에 있어서의 신뢰성이 현격히 제고될 수 있다.
하부는 상보적으로 형성된 상부의 원위(distal) 단부 섹션이 삽입될 수 있는 원추형, 절두 원추형, 피라미드형, 또는 절두 피라미드형 리세스를 구비하는 것이바람직하다. 그럼으로써, 결합 위치에서 상부와 하부의 확실한 접촉이 제공되면서도, 제거 방향 선택의 자유가 각각의 원추 각도 또는 피라미드 각도 내에서 보장되게 된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서두에 전제된 유형의 포스트형 요소로부터 출발하여, 칼라 섹션이 접촉 면에 의해 치아 또는 지지 조직의 임플란트의 근위 단부 면에 접하고, 수납 섹션이 결합 위치에서 그 경계선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납 리세스의 개방 횡단면의 경계선과 합치되는 기저 횡단면을 구비하며, 포스트형 요소가 결합 위치를 기점으로 하여 여러 방향으로 임플란트, 치아, 또는 지지 조직으로부터 직선적으로 제거될 수 있게끔 기저 횡단면으로부터 그 원위 단부 쪽으로 점감되도록 함으로써도 역시 달성된다.
그러한 형식의 포스트형 요소에서는 그 수납 섹션이 포스트형 요소의 결합 위치에서 포스트형 요소의 이동뿐만 아니라 비틀림도 방지되도록 임플란트 또는 인공 공동 속에 맞물린다. 그러나, 포스트형 요소를 여러 방향으로 임플란트, 치아, 또는 지지 조직으로부터, 특히 결합 위치로부터 직선적으로 제거할 수 있음으로써 임플란트 또는 공동의 종 방향 축이 경사진 위치에 있는 경우에도 간단하고도 왜곡을 일으키지 않는 인상 제작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고, 또한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포스트형 요소는 일체로 형성되고, 그에 의해 저렴하게 제작될 뿐만 아니라 조립 및 제거도 간단하게 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성에 따르면, 원추, 절두 원추, 피라미드, 또는 절두 피라미드의 밑면이 수납 리세스의 개방 횡단면과 동일한 평면에 배치되도록 조치된다.
원추, 절두 원추, 피라미드, 절두 피라미드의 밑면이 수납 리세스의 개방 횡단면과 합동으로 되면, 결합 위치에서 포스트형 요소의 최적의 고정이 보장되어 인상재에 의해 본을 뜰 때에 포스트형 요소가 당장 목표의 위치로부터 옮겨질 수 없게 된다.
포스트형 요소가 제대로 결합 위치를 차지하는 것은 상부가 결합 위치에서 접촉 면에 의해 임플란트의 그 근위 단부 면에 접하도록 함으로써 간단하게 제어될 수 있다. 그에 의해, 본을 뜨는 과정 중에 의도하지 않은 이탈이 방지될 뿐만 아니라, 결합의 안정성도 증대되게 된다.
원추, 절두 원추, 피라미드, 또는 절두 피라미드의 개방 각도가 5°내지 20°일 경우, 실제로 일어나는 대부분의 경사 위치에서 왜곡됨이 없이 본을 뜨는 것이 보장되게 된다.
하부를 아주 유리하게 임플란트 속에 고정시키고 다시 간단하게 떼어낼 수 있게 하는 방안은 하부가 반경 방향의 외측으로 돌출된 돌기에 의해 수납 리세스의 내측 표피 면에 있는 리세스에 형상 결속식으로 맞물릴 수 있는 하나 이상의 클립 요소를 그 원위 단부에 구비하도록 하는데 있다.
포스트형 요소가 중심에 배치되어 로드 요소(rod element)를 통과시키는 일자 관통 구멍을 구비하면, 한편으로 인상을 제작하는 동안 포스트형 요소의 고정이 개선되게 된다. 그러나, 다른 한편으로는 인상의 제작을 시작하기 전에 임플란트 또는 치아에 대한 포스트형 요소의 올바른 위치를 로드 요소에 의해 제어하는 것까지도 가능하게 된다.
포스트형 요소가 칼라 섹션의 접촉 면에 의해 임플란트, 치아, 또는 지지 조직의 근위 단부 면에 일시적으로 접착될 수 있도록 할 경우, 인상을 제작하는 동안 포스트형 요소가 의도하지 않게 옮겨지지 않도록 방지하는 것이 개선될 수 있다.
끝으로,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성에 따르면, 포스트형 요소는 치의학적 임플란트의 공간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인상 포스트이다.
도 1 내지 도 5로부터, 기본 형태가 대략 원추형이고 그 외측 표피 면에 수나사(2)를 구비한 티타늄제 임플란트(1)를 볼 수 있다; 그러한 임플란트(1)는 둥글게 된 원위 단부(3) 및 대략 환형의 단부 면(5)에 의해 형성된 근위 단부(4)를 구비한다. 임플란트(1)는 단부 면(5)에 인접된 섹션(6)에서 고광택 연마된 표피 면(7)을 구비한 원통형 형태로 된다. 그 다음에 이어지는 나사 섹션(8)에서는 임플란트(1)가 원추형으로 형성된다. 단부 면(5)으로부터 출발하여, 임플란트(1)의 종 방향 축(9)에 평행하게 수납 리세스(10)가 연장되는데, 그 수납 리세스(10)는 섹션(6)의 전 길이와 나사 섹션(8)의 부분 길이에 걸쳐 연장된다.
도 3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섹션(6)의 구역에서의 수납 리세스(10)의 횡단면은 모따기된 장방형의 형태를 일관되게 취하고 있다. 수납 리세스(10)의 횡단면은 나사 섹션(8)을 기점으로 연속적으로 점감되어 리세스(10)의 바닥(11)에서는 그 횡단면이 모따기된 정방형(도 5를 참조)을 나타내게 된다. 모따기된 장방형의 횡단면 형태로부터 모따기된 정방형의 횡단면 형태로 전이되는 것은 연속적으로 급격하지 않게 이뤄진다.
도 1로부터 특히 잘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수납 리세스(10)의 벽(12)은 종 방향 축(9)에 수직하게 정향된 다수의 환형 홈(13)을 구비한다. 또한, 그 벽(12)은 상부 및 하부 환형 홈(14o, 14u)을 구비하는데, 그 기능에 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도 1에 도시된 임플란트(1)에는 대략 원통형의 헤드부(16) 및 그와 동축상으로 정향되어 수납 리세스(10) 속으로 연장되는 결합 핀(17)으로 이뤄진 폐쇄캡(15)이 삽입된다. 헤드부(16)의 접촉 면(18)은 마찰 결속의 형식으로 임플란트(1)의 단부 면(5)에 접촉된다.
도 3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결합 핀(17)은 상부 섹션에서 대략 장방형의 횡단면을 나타내는데, 그 모퉁이 구역은 수납 리세스(10)의 횡단면의 모따기된 구역에서 결합 핀(17)과 수납 리세스(10)의 벽(12) 사이에 4개의 배기 채널(19a)이 형성되도록 절단된다. 따라서, 결합 핀(17)을 수납 리세스(10) 속에 끼워 넣을 때에 조립 과정을 방해하는 압력 형성이 일어남이 없이 공기가 밀어내어져 위쪽으로 반출될 수 있고, 그 공기는 임플란트의 단부 면(5)에 마련되어 반경 방향의 외측으로 연장된 4개의 배기 홈(19b)을 통해 외부로 빠져 나올 수 있다.
폐쇄 캡(15)이 조립된 상태에서는 결합 핀(17)의 외측 표피 면과 수납 리세스(17)의 벽(12) 및 단부 면(5)과 접촉 면(18)이 마찰 결속에 의해 접하게 된다.
폐쇄 캡(15)은 이식 후에 단지 일시적으로만 임플란트(1)에 머무르기 때문에 환형 홈(14o)에 맞물리는 4개의 클립 요소(20)에 의해서만 임플란트(1)와 결합될 뿐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립 요소(20)를 상부 환형 홈(14o)에 맞물리는 대신에, 결합 핀(17)이 상응하는 길이로 될 경우에는 하부 홈(14u)에 맞물리는 것도 가능하다.
폐쇄 캡(15)은 임플란트(1)의 제조업자에 의해 이미 임플란트에 삽입되어 있고, 한편으로 턱뼈에 대응 구멍을 만든 후에 도 2에 도시된 슬릿(21)에 맞물리는 나사 드라이버에 의해 임플란트(1)를 돌려 끼우는 역할을 한다. 결합 핀(17)의 횡단면 및 그에 맞춰진 수납 리세스(10)의 횡단면이 장방형으로 됨에 의거하여, 토크가 폐쇄 캡(15)을 경유하여 임플란트(1)에 전달될 수 있다. 이식 후에는 폐쇄 캡(15)이 임플란트(1)에 머물러 다른 한편으로 수납 리세스(10)를 외래 오염물로부터 보호하게 된다.
임플란트(1)를 턱뼈에 삽입하고 나서 폐쇄 캡(15)을 덮은 점막이 제2 시술에 의해 다시 개방될 수 있을 정도까지 약 3 내지 6개월 후에 교합이 완료된다. 폐쇄 캡(15)이 제거되는데, 그를 위해 펜치형 공구를 헤드부(16)의 V형 환형 홈(22)에 맞물림으로써 전체의 폐쇄 캡(15)이 가벼운 잡아당김에 의해 축 방향을 따라 위쪽으로 임플란트로부터 제거되게 된다. 이제는,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소위 치은 형성자(gingiva former)의 결합 핀(17)이 임플란트(1)의 수납 리세스(10) 속에 삽입된다. 치은 형성자의 고정 원리는 폐쇄 캡에서의 그것과 동일하다.
임플란트(1)에 앵커 고정시키려는 의치를 환자의 구강 밖에서 턱뼈 모형에 맞출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의치의 인상(impression)이 제작된다. 그를 위해, 도 7에 도시된 인상 포스트(23)의 형태의 포스트형 요소가 임플란트(1)의 수납 리세스(10) 속에 삽입된다. 그러한 인상 포스트(23)는 4개의 클립 요소(20)에 의해 고정될 수 있는 하부(24) 및 하부(24)에 비틀리지 않게 삽입될 수 있는 상부(25)로 이뤄진다. 상부(25)의 칼라 섹션(26K)은 수납 리세스(10)의 개방 횡단면을 넘어 돌출되는데, 칼라 섹션(26K) 그 자체는 4개의 직육면체형 몸체(27.1 내지 27.4)로 이뤄진다. 가장 아래쪽 몸체(27.1)는 횡단면이 타원형인 원추형 단부 섹션(28)을 구비하고, 그 단부 섹션(28)은 인상 포스트(23)의 하부(24)에 상보적으로 형성된 리세스(29)에 맞물린다. 하부(24)는 임플란트(1)의 수납 섹션(26A)과동일한 길이로 되고, 그 상부 에지로써 임플란트(1)의 단부 면(5)과 동일한 높이로 종료된다. 리세스(29)는 단부 면(5)의 높이로부터 바로 연장되고, 임플란트(1)에 있는 수납 리세스(10)의 개방 횡단면 그 자체보다는 약간 작은 개방 횡단면을 구비한다.
도 7a에 따른 인상 포스트(23)의 상부의 평면도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장방형 수평 단면을 구비한 직육면체형 몸체(27.1 내지 27.4)는 교대로 90°만큼 서로 비틀어져 있다. 즉, 십자형으로 쌓여져 배치된다.
인상 포스트(23)의 상부(25)의 가장 아래쪽 몸체(27.1)는 환형 접촉 면(30)에 의해 임플란트(1)의 단부 면(5)에 접하는데, 인상 포스트(23)를 임플란트(1)에 확실하게 고정시키기 위해 사출 성형 기술로 인상 포스트(23)를 제조한 후에 얇은 환형 접착 링(31)을 접촉 면(30)에 부착하는데, 그 환형 접착 링(31)은 본을 뜨고 난 후에 가벼운 잡아당김에 의해 임플란트(1)의 단부 면(5)으로부터 다시 분리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결합 위치로부터 출발하여, 인상 포스트(23)의 상부(25)는 유동성이 있고 경화될 수 있는 인상재에 의해 에워싸인다. 인상재가 경화된 후에는 인상 포스트(23)의 상부(25)의 구역에서의 형상 결속에 의한 결합을 파괴하지 않고서는 인상 포스트(23)가 더 이상 인상재로부터 제거될 수 없게 된다. 오히려, 그 내부에 인상재가 들어있는 인상 스푼이 인상 포스트(23)와 함께 제거되는데, 그 경우에 접착 링(31)의 형태의 접착 결합은 가벼운 잡아당김에 의해 해제되게 된다. 인상 포스트(23)의 상부(25)와 하부(24) 사이에 횡단면이 타원형인 원추형 결합이이뤄짐에 의거하여, 상부(25)가 여러 방향으로 임플란트(1)로부터 또는 우선적으로 뒤에 남겨진 하부(24)로부터 직선적으로 제거될 수 있다. 가능한 이동 방향의 한계는 유선형 표피 면이 가상적으로 임플란트(1)의 단부 면(5)을 넘어 밖으로 확장된다고 할 경우에는 단부 섹션(28) 또는 상보적 리세스(29)의 원추의 표피 면에 의해 결정된다. 그와 같이 하부(24)와 상부(25)가 특수하게 결합됨에 의거하여, 임플란트(1)의 종 방향 축이 인접된 치아에 비해 적지 않게 경사진 위치를 나타낼 경우에도 상부(25)가 응력을 받음이 없이, 그리고 인상재에 힘을 가함이 없이 구강으로부터 제거될 수 있게 된다. 하부(24)에는 관통 구멍(24a)이 위치된다. 그 구멍(24a)을 통해 도입되는 예컨대 후크가 달린 펜치 또는 확개 펜치에 의해, 추후에 하부(24)가 가벼운 축 방향 힘에 의해 임플란트(1)로부터 빼내어질 수 있게 된다.
도 8에 도시된 인상 포스트(23')는 중심에 배치된 일자 관통 개구부를 구비하고 그 속에 그에 맞춰진 로드 요소(32)가 삽입된다는 점에서 도 7에 따른 인상 포스트(23)와 다르다. 모든 몸체(27.1' 내지 27.4')를 통해 연장되는 로드 요소(32)는 그 원위 단부 섹션(33)에 의해 수납 리세스(29)의 바닥(35)에 있는 그에 맞춰진 포켓형 개구부(34) 속에 들어간다. 로드 요소(32)용 관통 개구부도 역시 원통형 몸체(27.1')의 단부 섹션(28') 및 하부(24')를 통해 연장된다.
그러한 로드 요소(32)에 의해, 한편으로 인상 포스트(23')의 올바른 위치 설정이 제어될 수 있고, 특히 그를 위해 몸체(27.1')의 접촉 면(30)이 임플란트(1)의 단부 섹션(5)에 올바르게 접촉되었을 때에 예컨대 가장 위쪽 몸체(27.4')의 관통개구부 속에 바로 막 감춰지거나 그 관통 개구부 속에 이제 막 들어가려고 하는 하나 이상의 표식(32a)이 로드 요소(32)의 근위 단부 섹션에 마련될 경우에 그와 같이 제어될 수 있게 된다.
로드 요소(32)의 또 다른 장점은 그에 의해 인상 포스트(23')가 보다 더 큰 안정성을 얻는다는데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특히, 본을 뜨는 과정에서 예컨대 인상재의 힘 작용에 의해 인상 포스트(23')의 상부(25')가 하부(24')에 대해 이동될 수 있는 것이 방지된다.
끝으로, 도 9는 본을 뜨고 난 후에 그 수납 리세스(10)가 도 8에 따른 본래의 임플란트의 그것과 일치하는 작업실용 임플란트(1L) 속에 인상 포스트(23')가 어떻게 삽입되는지를 아울러 나타내고 있다. 도 9에 따른 도면에서는 인상 포스트(23')의 하부(24')가 수납 리세스(10) 속에 삽입되지 않는다. 오히려, 그 경우에는 인상 포스트(23')의 상부(25')가 단부 섹션(28')에 의해 접촉 면(5)이 작업실용 임플란트(1L)의 단부 면(5L)에 접하는 올바른 그 결합 위치로 하부 몸체(27.1')에 유지되게 된다.
추가로, 로드 요소(32)는 그 원위 단부(33')에 의해 수납 리세스(10')의 바닥(35')에 있는 구멍(34') 속으로 들어간다. 그에 의해, 작업실용 임플란트(1L)와 인상 포스트(23') 사이의 올바른 결합 위치가 보장되게 된다.

Claims (12)

  1. 임플란트(1) 또는 인체나 동물체의 치아 또는 지지 조직에 있는 인공 공동의 개방 횡단면의 그 주위 조직 구조에 대한 공간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포스트형 요소로서, 수납 섹션(26A)에 의해 임플란트(1) 또는 인공 공동에 있는 그에 맞춰진 수납 리세스(10) 속에 넣어질 수 있고 그 속에 비틀리지 않게 고정될 수 있으며 다시 그로부터 제거될 수 있고, 결합 위치에서 칼라 섹션(26K)에 의해 수납 리세스(10) 또는 인공 공동의 개방 횡단면을 넘어 돌출되는 포스트형 요소에 있어서,
    포스트형 요소는 수납 리세스(10) 또는 인공 공동 속에 비틀리지 않게 고정될 수 있는 하부(24, 24') 및 그 하부(24, 24') 속에 비틀리지 않게 삽입될 수 있거나 그 하부(24, 24') 상에 씌워질 수 있는 상부(25, 25')로 이뤄지되, 상부(25, 25')가 포스트형 요소의 결합 위치를 기점으로 하여 여러 방향으로 하부(24, 24')로부터 직선적으로 제거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의 공간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포스트형 요소.
  2. 제1항에 있어서, 하부(24, 24')는 상보적으로 형성된 상부(25, 25')의 원위 단부 섹션(28, 28')이 삽입될 수 있는 원추형, 절두 원추형, 피라미드형, 또는 절두 피라미드형 리세스(29)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스트형 요소.
  3. 임플란트(1) 또는 인체나 동물체의 치아 또는 지지 조직에 있는 인공 공동의 개방 횡단면의 그 주위 조직 구조에 대한 공간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포스트형 요소로서, 수납 섹션(26A)에 의해 임플란트(1) 또는 인공 공동에 있는 수납 리세스(10) 속에 비틀리지 않게 삽입될 수 있고 다시 그로부터 제거될 수 있으며, 결합 위치에서 칼라 섹션(26K)에 의해 수납 리세스(10) 또는 인공 공동의 개방 횡단면을 넘어 돌출되는 포스트형 요소에 있어서,
    칼라 섹션(26K)은 접촉 면(30)에 의해 치아 또는 지지 조직의 임플란트(1)의 근위 단부 면(5)에 접하고, 수납 섹션(26A)은 결합 위치에서 그 경계선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납 리세스(10)의 개방 횡단면의 경계선과 합치되는 기저 횡단면을 구비하며, 포스트형 요소는 결합 위치를 기점으로 하여 여러 방향으로 임플란트(1)로부터 직선적으로 제거될 수 있게끔 기저 횡단면으로부터 그 원위 단부 쪽으로 점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의 공간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포스트형 요소.
  4. 제3항에 있어서, 수납 섹션(26A)은 원추, 절두 원추, 피라미드, 절두 피라미드의 형태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스트형 요소.
  5. 제1항 내지 제4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원추, 절두 원추, 피라미드, 절두 피라미드의 밑면은 수납 리세스(10)의 개방 횡단면과 동일 평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스트형 요소.
  6. 제2항 내지 제5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원추, 절두 원추, 피라미드, 절두 피라미드의 밑면은 수납 리세스(10)의 개방 횡단면과 합동으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스트형 요소.
  7. 제1항 내지 제6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부(25)는 결합 위치에서 접촉 면(30)에 의해 임플란트(1)의 근위 단부 면(5)에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스트형 요소.
  8. 제2항 내지 제7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원추, 절두 원추, 피라미드, 절두 피라미드의 개방 각도는 5°내지 2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스트형 요소.
  9. 제1항 내지 제8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부(24)는 반경 방향의 외측으로 돌출된 돌기에 의해 수납 리세스(10)의 내측 표피 면에 있는 리세스에 형상 결속식으로 맞물릴 수 있는 하나 이상의 클립 요소(20)를 그 원위 단부에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스트형 요소.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포스트형 요소는 중심에 배치되어 로드 요소(32)를 통과시키는 일자 관통 구멍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스트형 요소.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포스트형 요소는 칼라 섹션(26K)의 접촉 면(30)에 의해 치아 또는 지지 조직의 임플란트(1)의 근위 단부에 일시적으로 접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스트형 요소.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포스트형 요소는 치의학적 임플란트(1)의 공간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인상 포스트(23, 2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스트형 요소.
KR1020027013960A 2000-04-19 2001-04-05 임플란트의 공간적 위치를 설정하기 위한 포스트형 요소 KR1006727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7013960A KR100672793B1 (ko) 2000-04-19 2001-04-05 임플란트의 공간적 위치를 설정하기 위한 포스트형 요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019332.3 2000-04-19
KR1020027013960A KR100672793B1 (ko) 2000-04-19 2001-04-05 임플란트의 공간적 위치를 설정하기 위한 포스트형 요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95218A true KR20020095218A (ko) 2002-12-20
KR100672793B1 KR100672793B1 (ko) 2007-01-23

Family

ID=390044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13960A KR100672793B1 (ko) 2000-04-19 2001-04-05 임플란트의 공간적 위치를 설정하기 위한 포스트형 요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7279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13928A (ko) * 2011-12-29 2014-09-25 바이오테크놀로지 인스티튜트, 아이 엠에이에스 디, 에스. 엘. 치아 보철물용 내부 서포트로서 기능하는 금속 구조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13928A (ko) * 2011-12-29 2014-09-25 바이오테크놀로지 인스티튜트, 아이 엠에이에스 디, 에스. 엘. 치아 보철물용 내부 서포트로서 기능하는 금속 구조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72793B1 (ko) 2007-0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28655B1 (ko) 개량된 인상 제작용 컴포넌트
JP4276540B2 (ja) 改良した印象採得のための構成要素および方法
US8992221B2 (en) Denture system
AU2002347711A1 (en) Components for improved impression making
US9993318B2 (en) Retention insert and connection device for dental applications
CA2405090C (en) Dowel-shaped element for determining spatial position, especially that of an implant
JP3671004B2 (ja) 特にインプラントの空間的位置を決定するための柱状エレメント
KR102224795B1 (ko) 임플란트 시술용 임프레션 코핑
US9615900B2 (en) Devices for connecting a dental prosthetic construction to a jawbone
KR100672793B1 (ko) 임플란트의 공간적 위치를 설정하기 위한 포스트형 요소
KR100672794B1 (ko) 임플란트의 공간적 위치를 설정하기 위한 포스트형 요소
KR102198248B1 (ko) 레진광중합힐링부가 구비된 힐링 어버트먼트
KR101067484B1 (ko) 임플란트 시술용 임프레션 코핑
KR102024911B1 (ko) 편심형 힐링 어버트먼트
US20220151739A1 (en) Molding device for a dental implant
KR100672795B1 (ko) 임플란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11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