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93493A - 차량용 휠 커버의 충격시험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휠 커버의 충격시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93493A
KR20020093493A KR1020010032279A KR20010032279A KR20020093493A KR 20020093493 A KR20020093493 A KR 20020093493A KR 1020010032279 A KR1020010032279 A KR 1020010032279A KR 20010032279 A KR20010032279 A KR 20010032279A KR 20020093493 A KR20020093493 A KR 200200934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closing
weight
open
dro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322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27247B1 (ko
Inventor
최민호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322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27247B1/ko
Publication of KR200200934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934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272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27247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7/00Vibration-testing of structures; Shock-testing of structures
    • G01M7/08Shock-test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7/00Testing of vehicles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휠 커버의 충격시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높이조절이 가능하도록 된 본체와, 내부의 강추가 자중에 의하여 낙하출구로 이동된 후 낙하지점으로 떨어질 수 있도록 된 낙하대와, 제어 가능한 개폐작동부에 의하여 강추의 낙하출구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개폐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차량용 휠 커버의 충격시험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시험실시시 충격시험장치만을 저온상태의 챔버 안에 넣고 시험자가 챔버 밖에서 이를 제어할 수 있으므로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고, 정확히 조절된 낙하높이에서 강추를 낙하시킬 수 있으므로 시험결과의 정확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 나아가, 신차개발시 효율적인 시험관리가 가능하여 보다 안정화된 제품개발에 효과적이다.

Description

차량용 휠 커버의 충격시험장치{Device for testing impact on wheel cover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휠 커버의 충격시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높이조절이 가능하도록 된 본체와, 내부의 강추가 자중에 의하여 낙하출구로 이동된 후 낙하지점으로 떨어질 수 있도록 된 낙하대와, 제어 가능한 개폐작동부에 의하여 강추의 낙하출구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개폐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차량용 휠 커버의 충격시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 휠 커버(wheel cover)는 타이어 휠의 측면에 부착되는 차량 외장재로서, 주행 중 자갈이나 돌맹이 등과 같은 외부의 충격물로부터 타이어의 주변부품, 특히, 제동장치인 브레이크와 그 주변부품 등을 보호하기 위하여 장착된다.
차량 휠은 주철재 휠과 알루미늄재 휠로 구분되며, 이중 알루미늄재 휠은 자체 외관미가 우수하므로 별도의 휠 커버가 장착되지 않으나, 주철재 휠은 외관미와 상기한 목적을 위하여 휠 커버를 장착하게 된다.
상기 휠 커버는 이에 구비된 클립 등으로 휠에 직접 압입하여 장착하게 되거나, 너트 등으로 휠에 체결하여 장착하게 된다.
이러한 휠 커버의 재료는 상기 휠 커버가 주행 중에 외부 충격물에 의한 충격이나 타이어로부터 전달되는 충격에 쉽게 파손되지 않아야 하므로 그 개발시 재료의 충격강도가 중요하게 고려된다.
특히, 저온에서의 충격강도가 중요한데, 이는 휠 커버가 차체의 외부에 장착되고, 동절기에 저온상태에 노출되면서 충격강도를 포함한 재료의 물성이 저하되기 때문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휠 커버의 충격강도가 저하되면 주행 중 파손이 쉽게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저온에서 최적의 물성을 갖는 재료의 선택이 중요하다.
따라서, 차량개발에 따른 외장부품의 개발시에는 재료의 저온 충격강도를 시험하여 최적의 재료를 선택하게 된다.
저온에서의 충격강도시험을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충격강도의 시험에는 휠 커버 제품을 특정 높이에서 특정 횟수만큼 자유낙하시켜 제품의 파손여부를 점검하게 되는 낙하충격시험과, 특정 무게의 강추를 휠 커버 제품에 직접 떨어뜨려 제품의 파손여부를 점검하게 되는 낙추충격시험이 있다.
이중 저온에서의 낙추충격시험은 저온상태의 대형 챔버 안에서 행하여지게 되는데, 상기한 저온 챔버 안에서 휠 커버를 차량의 휠에 직접 장착한 상태로 제품의 동일한 낙추지점에 특정 높이에서 특정 횟수만큼 강추를 낙하하는 방식으로 실시된다.
이때, 챔버 안의 온도는 대략 -30℃ 정도로서, 시험자가 직접 저온 챔버 안에 들어가 시험을 실시하고 있으며, 강추의 높이를 줄자 등을 이용하여 측정하고 그 측정된 위치에서 강추를 손으로 직접 낙추하는 방법으로 실시하고 있다.
그러나, 저온의 낙추충격시험을 실시할 때 상기한 시험방법을 따르게 되면, 저온 챔버 안에서 시험자의 안전사고 문제와 함께 정확한 강추높이를 일정하게 유지하기가 곤란한 문제가 있으므로, 제품에 정확한 충격값을 부과하여 정확한 시험평가를 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높이조절이 가능하도록 된 본체와, 내부의 강추가 자중에 의하여 낙하출구로 이동된 후 낙하지점으로 떨어질 수 있도록 된 낙하대와, 제어 가능한 개폐작동부에 의하여 강추의 낙하출구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개폐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차량용 휠 커버의 충격시험장치를 제공한다.
이로써, 본 발명은 시험실시시 정확히 조절된 낙하높이에서 강추를 낙하시킬 수 있고, 충격시험장치만을 저온상태의 챔버 안에 넣고 챔버 밖에서 이를 제어할 수 있는 차량용 휠 커버의 충격시험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휠 커버의 충격시험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휠 커버의 충격시험장치에서 개폐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충격시험장치3 : 휠(wheel)
5 : 휠 커버10 : 본체
20 : 낙하대22 : 경사통로부
24 : 낙하출구30 : 개폐장치
120 : 높이조절수단130 : 눈금표시부
310 : 개폐수단314 : 제1탄성부재
320 : 작동부322 : 하우징
324 : 가압로드326 : 피스톤
328 : 제2탄성부재329 : 작동기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눈금표시부(130)가 구비되고 높이조절이 가능하도록 된 본체(10)와; 하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자중에 따라 강추(40)를 이동시키는 경사통로부(22)와, 이 경사통로부(22)에 의해 이동된 강추(40)가 낙하지점으로 떨어지도록 된 낙하출구(24)가 구비된 낙하대(20)와; 상기 낙하출구(24)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개폐장치(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본체(10)는 하측의 지지대(114)와 일체로 된 하부 본체(112)와, 이 하부 본체(112)에 접첩 가능하게 결합되고 소정의 높이조절수단(120)에 의해 상/하 이동이 가능하도록 된 상부 본체(11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개폐장치(30)는 상기 낙하출구(24)에 힌지결합되어 회전됨에 따라 이 낙하출구(24)를 개폐하는 개폐수단(310)과, 이 개폐수단(310)의 힌지결합부(312)에 설치되어 상기 개폐수단(310)을 탄성적으로 회전시켜 상기 낙하출구를 닫게 하는 제1탄성부재(314)와, 상기 개폐수단(310)의 상부면을 밀면서 회전시켜 상기 낙하출구를 열게 하는 개폐작동부(32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개폐작동부(320)는 개폐수단(310)의 인근에 설치된 하우징(322)과, 전진이동시 하우징(322)에서 돌출작동하여 상기 개폐수단(310)의 상부면을 밀게 되는 가압로드(324)와, 이 가압로드(324)를 전진이동시키기 위하여 상기 가압로드(324)의 후단부를 밀게 되는 피스톤(326)과, 이 피스톤(326)의 후퇴시 상기 가압로드(324)를 탄성적으로 후퇴이동시키는 제2탄성부재(328)와, 상기 피스톤(326)을 전진/후퇴시키기 위한 작동기(329)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해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한 도면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휠 커버의 충격시험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면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휠 커버의 충격시험장치에서 개폐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휠 커버의 충격시험장치(1)는 크게 소정의 높이조절수단(120)이 구비되어 높이조절이 이루어지는 본체(10)와; 강추(40)의 이동통로가 되는 경사통로부(22)와, 강추(40)가 배출되는 낙하출구(24)가 구비된 낙하대(20)와; 이 낙하출구(24)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개폐장치(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본체(10)는 하측의 지지대(114)와 일체로 된 하부 본체(112)와, 이 하부 본체(112)에 접첩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하 이동이 가능한 상부 본체(11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높이조절수단(120)은 강추(40)의 정확한 낙하높이(H)를 조절하기 위하여 하부 본체(112)로부터 상부 본체(110)를 상/하 이동시키기게 된다.
상기 높이조절수단(120)은 하부 본체(112)가 고정된 위치에 있는 동안 이에 결합된 상부 본체(110)를 상/하로 슬라이딩 이동시키기 위한 공지된 기술에 의하여 실시될 수 있고, 그 예로서, 랙(rack)과 피니언(pinion)의 기어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상부 본체(110)에 길이방향을 따르는 랙을 형성하고, 상기 하부 본체(112)에 상기 랙과 치합된 피니언을 회전 가능하게 설치한다.
상기 피니언과 연동하도록 된 손잡이(126)를 돌리게 되면 이 피니언이 회전되면서 랙을 직선운동시키고, 이에 따라 상부 본체(110)가 상/하로 슬라이딩 되는 구조인 것이다.
또한, 상기 본체에는 측면 일측에 눈금표시부(130)가 구비되는데, 이는 높이조절수단(120)에 의하여 상기 상부 본체(110)가 상/하 이동됨에 따라 결정된 강추(40)의 낙하높이(H)를 표시하도록 되어 있다.
다음으로, 낙하대(20)는 상부 본체(110)와 일체로 되어 이 상부 본체(110)의 상/하 위치에 따라 강추(40)의 낙하높이(H)가 결정되도록 되어 있고, 강추(40)의 이동통로가 되는 경사통로부(22)의 하단부에 낙하출구(24)가 구비된다.
첨부한 도면 1과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낙하대(20)는 상부 본체(110)와 일체로 되어 있고, 경사통로부(22)는 그 내부에서 강추(40)가 자중에 의하여 낙하출구(24)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하방향으로 경사지게 되어 있다.
또한, 상기 개폐장치(30)는 낙하출구(24)에 설치되어 이 낙하출구(24)를 개폐하도록 된 개폐수단(310)과, 이 개폐수단(310)의 인근에서 낙하대(20)에 설치되어 상기 개폐수단(310)을 작동 및 제어하기 위한 개폐작동부(320)로 구성된다.
상기 개폐수단(310)은 낙하출구(24)의 하단부 일측에 힌지결합되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힌지결합부(312)에 설치된 제1탄성부재(314)에 의해 낙하출구(24)를 탄성적으로 닫게 된다.
상기 탄성부재는 그 예로서, 일단부가 개폐수단(310)에 고정되고 타단부가 낙하출구(24)에 고정된 채 힌지결합부(312)상에 장착된 코일 스프링으로 실시될 수 있다.
상기 개폐수단(310)의 하부면은 개폐수단(310)이 낙하출구(24)를 닫고 있을시 강추를 지지하게 되고, 수평방향을 기준으로 하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개폐수단(310)이 열리자 마자 강추가 자중에 의해 용이하게 떨어질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낙하출구(24)의 타측에도 경사면(26)이 형성되어 개폐수단(310)의 열림시 강추가 자중에 의해 용이하게 떨어질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개폐수단(310)의 상부면은 수직으로 선 형태가 되며, 이는 다음에 떨어질 강추가 소정의 위치에서 정지될 수 있도록 한다.
도 2에서, 상기 개폐수단(310)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 개폐수단(310)의 하부면에 지지된 강추가 낙하되면서 다음에 떨어질 강추(상부면에 의하여 정지되어 있던 강추)는 낙하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개폐수단(310)은 개폐작동부(320)에 의해 회전되어 낙하출구(24)를 열게 된다.
즉, 상기 개폐작동부(320)에서 돌출작동하는 가압로드(324)가 개폐수단(310)의 상부면을 좌방향으로 밀게 되면서 개폐수단(310)이 힌지결합부(312)를 중심으로 회전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한 개폐수단(310)의 제1탄성부재(314)는 돌출된 상태에서 상부면을 밀고 있는 가압로드(324)가 우방향으로 후퇴이동할 시 상기 개폐수단(310)을 시계방향으로 탄성 회동시키게 된다.
즉, 상기 개폐수단(310)은 제1탄성부재(314)에 의해 닫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개폐작동부(320)는 개폐수단(310)의 인근에서 낙하대(20)에 고정 설치된 하우징(322)과, 이 하우징(322) 내에 수평 배치되고 전진이동시 하우징(322)에서 돌출작동하는 가압로드(324)와, 이 가압로드(324)를 전진이동시키기 위하여 가압로드(324)의 후단부를 밀게 되는 피스톤(326)과, 상기 가압로드(324)를 탄성적으로 후퇴이동시키는 제2탄성부재(328)와, 상기 피스톤(326)을 전진/후퇴시키기 위한 작동기(329)로 구성된다.
상기 하우징(322)의 전면에는 가압로드(324)를 통과시킬 수 있도록 관통홀(322a)이 구비된다.
상기 작동기(329)는 유압 또는 공압 등에 의하여 피스톤(326)을 전진/후퇴시키도록 되어 있다.
상기 제2탄성부재(328)는 그 예로서, 가압로드(324)상에서 일단부가 가압로드(324)의 후단부에 고정되고 타단부가 하우징(322) 전면에 고정된 코일 스프링으로 실시될 수 있고, 가압로드(324)의 전진이동시 압축되고, 그 탄성력에 의해 가압로드(324)를 순간적으로 후퇴이동시키도록 되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작동상태와 본 발명을 이용한 충격시험의 실시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강추(40)의 낙하높이(H)를 조절하기 위하여 높이조절수단(120)을 작동시켜 상부 본체(110)를 상/하로 이동시키게 된다.
조절된 낙하높이(H)에서 개폐작동부(320)의 작동기(329)가 피스톤(326)을 전진이동시키게 되면 상기 피스톤(326)이 가압로드(324)를 밀게 되고, 상기 가압로드(324)의 돌출단부가 개폐수단(310)의 상부면을 밀게 된다.
상기 개폐수단(310)이 돌출작동된 가압로드(324)에 의하여 회전되면서 낙하출구(24)가 열리게 된다.
이때, 상기 개폐수단(310)의 하부면에 의하여 지지된 강추가 자중에 의하여 낙하출구(24)에서 빠져나가는 순간 다음의 강추가 역시 자중에 의하여 낙하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작동기(329)는 강추가 낙하출구(24)에서 빠져나가는 순간 피스톤(326)을 순간적으로 후퇴이동시키게 되어 있다.
상기 피스톤(326)의 후퇴이동으로 가압로드(324)의 후단부에 가해졌던 힘이 해제되면 가압로드(324)는 제2탄성부재(328)의 탄성력에 의하여 순간적으로 후퇴이동하게 된다.
또한, 상기 가압로드(324)의 후퇴이동으로 개폐수단(310)의 상부면에 가해졌던 힘이 해제되면서 상기 개폐수단(310)은 제1탄성부재(314)의 탄성력에 의해 순간적으로 처음의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된다.
상기 개폐수단(310)이 반대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개폐수단(310)의 상부면은 또 다른 강추를 정지위치에 정지시키게 된다.
본 발명의 충격시험장치(1)를 이용하여 상기한 과정의 충격시험을 실시할 때에는 저온상의 챔버 안에 충격시험장치(1)만을 넣고 작동시키게 된다.
이때, 휠 커버(5)를 차량의 휠(3)에 직접 장착한 상태로 실시하게 되고, 제품의 동일한 낙추지점에 소정의 횟수만큼 강추(40)를 낙하하는 방식으로 실시하게 된다.
이와 같이 하여, 시험실시시 정확히 조절된 낙하높이(H)에서 강추(40)를 낙하시킬 수 있고, 챔버 밖에서 개폐작동부(320)를 제어하면 시험자가 챔버 안에 들어가지 않고도 시험을 실시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높이조절이 가능하도록 된 본체와, 내부의 강추가 자중에 의하여 이동된 후 떨어질 수 있도록 된 낙하대와, 제어 가능한 개폐작동부에 의하여 강추의 낙하출구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개폐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차량용 휠 커버의 충격시험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시험실시시 충격시험장치만을 저온상태의 챔버 안에 넣고 시험자가 챔버 밖에서 이를 제어할 수 있으므로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고, 정확히 조절된 낙하높이에서 강추를 낙하시킬 수 있으므로 시험결과의 정확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 나아가, 신차개발시 효율적인 시험관리가 가능하여 보다 안정화된 제품개발에 효과적이다.

Claims (4)

  1. 눈금표시부(130)가 구비되고 높이조절이 가능하도록 된 본체(10)와;
    하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자중에 따라 강추를 이동시키는 경사통로부(22)와, 이 경사통로부(22)에 의해 이동된 강추가 낙하지점으로 떨어지도록 된 낙하출구(24)가 구비된 낙하대(20)와;
    상기 낙하출구(24)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개폐장치(3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휠 커버의 충격시험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는 하측의 지지대(114)와 일체로 된 하부 본체(112)와, 이 하부 본체(112)에 접첩 가능하게 결합되고 높이조절수단(120)에 의해 상/하 이동이 가능하도록 된 상부 본체(11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휠 커버의 충격시험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장치(30)는 상기 낙하출구(24)에 힌지결합되어 회전됨에 따라 이 낙하출구(24)를 개폐하는 개폐수단(310)과, 이 개폐수단(310)의 힌지결합부(312)에 설치되어 상기 개폐수단(310)을 탄성적으로 회전시켜 상기 낙하출구를 닫게 하는 제1탄성부재(314)와, 상기 개폐수단(310)의 상부면을 밀면서 회전시켜 상기 낙하출구를 열게 하는 개폐작동부(32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휠 커버의 충격시험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작동부(320)는 개폐수단(310)의 인근에 설치된 하우징(322)과, 전진이동시 하우징(322)에서 돌출작동하여 상기 개폐수단(310)의 상부면을 밀게 되는 가압로드(324)와, 이 가압로드(324)를 전진이동시키기 위하여 상기 가압로드(324)의 후단부를 밀게 되는 피스톤(326)과, 이 피스톤(326)의 후퇴시 상기 가압로드(324)를 탄성적으로 후퇴이동시키는 제2탄성부재(328)와, 상기 피스톤(326)을 전진/후퇴시키기 위한 작동기(329)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휠 커버의 충격시험장치.
KR10-2001-0032279A 2001-06-09 2001-06-09 차량용 휠 커버의 충격시험장치 KR1004272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32279A KR100427247B1 (ko) 2001-06-09 2001-06-09 차량용 휠 커버의 충격시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32279A KR100427247B1 (ko) 2001-06-09 2001-06-09 차량용 휠 커버의 충격시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93493A true KR20020093493A (ko) 2002-12-16
KR100427247B1 KR100427247B1 (ko) 2004-04-17

Family

ID=277084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32279A KR100427247B1 (ko) 2001-06-09 2001-06-09 차량용 휠 커버의 충격시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2724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185659A (zh) * 2011-12-30 2013-07-03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自动落球结构及自动落球装置
CN103674462A (zh) * 2013-10-25 2014-03-26 浙江吉利控股集团有限公司 落下冲击试验装置
KR20220045759A (ko) * 2020-10-06 2022-04-13 한국과학기술원 자유 낙하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충격파 실험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6744B1 (ko) 2008-04-23 2009-07-09 한국광해관리공단 휴대용 전락강도 검사장치
KR200468360Y1 (ko) 2010-04-16 2013-08-08 (주)에이에스티코리아 태양광 판 충격시험장치
CN103217268B (zh) * 2012-01-20 2015-09-02 昆山市建设工程质量检测中心 便携式外墙外保温抗冲击试验设备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185659A (zh) * 2011-12-30 2013-07-03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自动落球结构及自动落球装置
CN103674462A (zh) * 2013-10-25 2014-03-26 浙江吉利控股集团有限公司 落下冲击试验装置
KR20220045759A (ko) * 2020-10-06 2022-04-13 한국과학기술원 자유 낙하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충격파 실험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27247B1 (ko) 2004-04-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27247B1 (ko) 차량용 휠 커버의 충격시험장치
SU661996A3 (ru) Шиберный затвор металлоразливочной емкости
RU2060107C1 (ru) Устройство подачи и замены разливочной трубы
CN111141622A (zh) 一种可倾斜剪切装置
KR100398118B1 (ko) 차량 휠 커버의 충격시험장치
WO2004094203A1 (en) A safety device
CN215179195U (zh) 一种建筑检测用钢材强度检测装置
CN211978516U (zh) 一种材料硬度及抗拉伸强度检测装置
GB1584628A (en) Sliding gate valve
US3456489A (en) Shock absorber tester
CN211825497U (zh) 一种可倾斜剪切装置
CN105241763A (zh) 液压转台锌合金冲击锤轮子压板玻璃试验机器
CN205301065U (zh) 一种焦炭落下强度试验机
JPS5923749B2 (ja) 装入量を決定す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US1354447A (en) Scale
US4566560A (en) Movable lubricator apparatus
KR20020095627A (ko) 차체부품 충격 시험장치
US2763148A (en) Apparatus for making impact tests
KR100569373B1 (ko) 자동차용 언더바디 코팅제의 내마모시험장치
US4341257A (en) Arrangement for locating rollers with an increased rotatory resistance in a roller way
SU835638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подготовки металлурги-чЕСКОй ЕМКОСТи
CN219201745U (zh) 一种带有防护功能的万用表
CN218080389U (zh) 塞棒机构
SU1466768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тренировки
SU133048A1 (ru) Двересъемное устройство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40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