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91017A - 아동용 성장발육 관리시스템 - Google Patents

아동용 성장발육 관리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91017A
KR20020091017A KR1020020070193A KR20020070193A KR20020091017A KR 20020091017 A KR20020091017 A KR 20020091017A KR 1020020070193 A KR1020020070193 A KR 1020020070193A KR 20020070193 A KR20020070193 A KR 20020070193A KR 20020091017 A KR20020091017 A KR 200200910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ild
growth
height
controller
childr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701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성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지테크인터내셔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지테크인터내셔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지테크인터내셔날
Priority to KR10200200701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91017A/ko
Publication of KR200200910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91017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G16H10/65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stored on portable record carriers, e.g. on smartcards, RFID tags or C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07Measuring physical dimensions, e.g. size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ath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Dent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Epidem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학부모들이 자녀들의 성장발육에 대해 관리를 쉽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아동들을 집단적으로 관리하는 유아원 등에서 많은 아동들에 대한 개인별 성장발육 상태를 자동으로 쉽게 관리할 수 있도록 한 아동용 성장발육 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같은 본 발명은 신장측정기와; 아동이 휴대가능하며 내부에 소정의 아동정보가 기록되어 있는 신상카드와; 스피커, 디스플레이부, 상기 신상카드를 읽는 카드리더, 복수의 수동조작키 및 기능키를 가지고 상기 신장측정기에 마련되어 상기 신장측정기의 작동을 제어하는 한편, 신상카드를 소지한 아동이 자신의 신상카드를 상기 카드리더에 삽입하면 키, 몸무게 등을 측정할 수 있도록 상기 신장측정기의 이용방법을 음성으로 안내하고 그 측정결과값을 표시하며, 신상카드를 소지하지 아니한 아동은 상기 수동조작키를 통해 수동조작할 수 있도록 한 모바일 인터넷 환경이 가능한 컨트롤러와; 상기 컨트롤러와 인터넷 접속가능하며 상기 컨트롤러로부터의 측정결과값을 전송받아 소정 시간에 걸쳐 아동의 나이에 대한 성장발육 상태를 관리하는 관리프로그램을 갖는 메인컴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아동용 성장발육 관리시스템 {Management of ones growth and development System for Child}
본 발명은, 아동용 성장발육 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학부모들이 자녀들의 성장발육에 대해 관리를 쉽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아동들을 집단적으로 관리하는 유아원 등에서 많은 아동들에 대한 개인별 성장발육 상태를 자동으로 쉽게 관리할 수 있도록 한 아동용 성장발육 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대략 4세 내지 8세 정도의 어린이(이하, "아동"이라 함)의 성장발육 상태는 영양에 따라 상대적으로 큰 편차를 갖는다. 예를 들어, 영양섭취가 좋은 아동들의 경우에는 표준치에 대해 다달이 몸무게와 키가 증가하는 반면, 그러하지 못한 아동들의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성장이 느리다.
이러한 아동들의 성장발육 상태는 후에 성인이 되어서까지 건강에 그 영향을 미치는 바, 철저하게 관리되어 부족한 영양에 대해서는 보충해 주는 한편, 평상시 골고루 음식을 섭취하여 일정한 표준치로 성장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관리가 필요하다.
그러나, 부모들의 경우, 개인적으로 자식에 대한 성장발육에 대해 관리를 하는 경우가 흔치 않고 다만, 아동들을 집단적으로 보호하고 교육시키는 유아원이나 어린이집 등에서 수동적으로 관리를 하고 있을 뿐이다.
따라서, 부모들의 경우에도 직접 자녀들의 성장발육에 대해 관리를 쉽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더욱이, 아동들을 집단적으로 관리하는 유아원 등에서 많은 아동들에 대한 개인별 성장발육 상태를 자동으로 쉽게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의 개발은 매우 중요하다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부모들의 경우 직접 자녀들의 성장발육에 대해 관리를 쉽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더욱이,아동들을 집단적으로 관리하는 유아원 등에서 많은 아동들에 대한 개인별 성장발육 상태를 자동으로 쉽게 관리할 수 있도록 한 아동용 성장발육 관리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주된 목적이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아동용 성장발육 관리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신장측정기에서 컨트롤러의 확대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아동용 성장발육 관리시스템의 개략적인 제어 흐름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신장측정기, 12 : 컬럼, 14 : 발판, 16 : 이동자, 20 : 신상카드, 30 : 컨트롤러, 31 : 디스플레이부, 32 : 카드리더, 34 : 기능키, 40 : 메인컴퓨터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아동용 성장발육 관리시스템에 있어서, 컬럼과, 상기 컬럼의 하부에 마련되어 아동의 몸무게를 측정하는 발판과, 상기 컬럼에 결합되어 상기 컬럼의 높이방향을 따라 이동하며 상기 발판에 올라선 아동의 키를 측정하는 이동자를 갖는 신장측정기와; 아동이 휴대가능하며 내부에 소정의 아동정보가 기록되어 있는 신상카드와; 스피커, 디스플레이부, 상기 신상카드를 읽는 카드리더, 복수의 수동조작키 및 기능키를 가지고 상기 신장측정기에 마련되어 상기 신장측정기의 작동을 제어하는 한편, 신상카드를 소지한 아동이 자신의 신상카드를 상기 카드리더에 삽입하면 키, 몸무게 등을 측정할 수 있도록 상기 신장측정기의 이용방법을 음성으로 안내하고 그 측정결과값을 표시하며, 신상카드를 소지하지 아니한 아동은 상기 수동조작키를 통해 수동조작할 수 있도록 한 모바일 인터넷 환경이 가능한 컨트롤러와; 상기 컨트롤러와 인터넷 접속가능하며 상기 컨트롤러로부터의 측정결과값을 전송받아 소정 시간에 걸쳐 아동의 나이에 대한 성장발육 상태를 관리하는 관리프로그램을 갖는 메인컴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동용 성장발육 관리시스템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아동용 성장발육 관리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관리시스템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키와 몸무게를 자동으로 측정하는 신장측정기(10)와, 아동이 소지하는 신상카드(20)와, 신장측정기(10)에 마련되는 한편 모바일 인터넷 환경이 가능한 컨트롤러(30)와, 컨트롤러(30)와 인터넷 접속가능한 메인컴퓨터(40)가 구비되어 있어야 한다. 이 때, 신상카드(20)의 경우에는 반드시 구비되어 있을 필요는 없다. 이는 아래에서 후술한다.
신장측정기(10)는 통상의 병원 등에 마련되어 있는 것을 그대로 적용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관리시스템에서는 신장측정기(10)에 마련된 컨트롤러(30)에 그 주된 기능이 부여되어 있는 것이다.
신장측정기(10)는 기립배치된 컬럼(12)과, 컬럼(12)의 하부에 마련되는 한편 내부에 중량센서(미도시)를 갖는 발판(14)과, 컬럼(12)의 높이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이동자(16)를 갖는다.
이에, 아동이 발판(14)에 올라서면 올라선 상태에 따라 몸무게가 측정되고 이어 이동자(16)가 아동의 머리를 향해 이동함으로써 아동의 키가 측정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신장측정기(10)는 아동의 키 및 몸무게를 측정한다고 하고 있으므로, 키 측정은 60㎝부터 최대 120㎝까지로 하고, 몸무게 측정은 5㎏부터 60㎏까지로 제한을 둘 수도 있는 것이다.
이때, 도시된 것처럼 컬럼(12)의 상단에는 만화 캐릭터 등의 형상으로 이루어진 점등램프(18)를 마련하고 아동이 신장측정기(10)를 이용할 경우,점등램프(18)가 점멸함으로써 아동의 흥미를 끌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신상카드(20)는 아동이 휴대하는 것으로써, 휴대 및 보관이 쉽도록 목걸이줄 등을 달아 아동이 항상 목에 걸고 다닐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유리하다. 또한, 신상카드(20)를 후술할 컨트롤러(30)의 카드리더(32)에 삽입하여 읽히도록 할 경우, 그 방향에 무관하게 쉽게 삽입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뿐만 아니라 쉽게 깨지지 않도록 일정한 강성을 갖도록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신상카드(20)에는 해당하는 아동의 이름, 성별, 생년월일 등이 기록되어 있다. 만일, 본 관리시스템을 유아원에 적용한다면 아동의 이름, 성별, 생년월일 외에도 신상카드(20)에 반, 번호 등의 정보가 더 저장되어 있는 것이 관리를 위해 보다 유리하다.
컨트롤러(30)는 점멸등(35), 스피커, 키, 몸무게, 비만도 및 기타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31), 신상카드(20)를 읽는 카드리더(32), 복수의 수동조작키(33) 및 기능키(34)를 가지고 신장측정기(10)의 일측에 마련되어 신장측정기(10)의 작동을 제어한다. 즉, 도시 않은 중량센서의 작동을 제어하는 한편, 이동자(16)의 움직임 등을 제어한다.
카드리더(32)는 통상의 바코드 카드방식 및 스마트 카드방식 또는 이용자의 지문이나 홍체를 인식하는 생체인식의 방식중 어느 하나를 채용할 수 있을 것이다.
수동조작키(33) 및 기능키(34)에 의해, 램프의 점멸기능, 날짜의 표시 및 조정기능, 시간의 표시 및 조정기능, 메인컴퓨터(40)와의 통신 접속여부기능, 계절에 따른 무게 보상기능, 날씨에 따른 몸무게 보상기능, 아동의 사진등록기능, 신장측정기(10)의 이용방법 안내 보정기능, 아동의 정보를 수동으로 입력하는 입력기능 등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물론, 이러한 기능 외에도 부가적인 기능들을 더 다운로드하여 사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러한 컨트롤러(30)는 신상카드(20)를 소지한 아동이 자신의 신상카드(20)를 상기 카드리더(32)에 삽입하면 키, 몸무게 등을 측정할 수 있도록 상기 신장측정기(10)의 이용방법을 음성으로 안내하고 그 측정결과값을 표시하며, 신상카드(20)를 소지하지 아니한 아동은 수동조작키(33)를 통해 수동조작할 수 있도록 하며, 측정결과값은 모바일 인터넷 환경을 통해 메인컴퓨터(40)로 전송한다.
메인컴퓨터(40)는 컨트롤러(30)와 인터넷 접속가능하며 컨트롤러(30)로부터의 측정결과값을 전송받아 소정 시간에 걸쳐 아동의 나이에 대한 성장발육 상태를 관리한다. 따라서, 메인컴퓨터(40)에는 소정 시간에 걸쳐 아동의 나이에 대한 성장발육 상태를 관리하기 위한 소정의 관리프로그램이 갖춰져 있다. 그리고, 메인컴퓨터(40)의 관리프로그램을 통해 관리된 아동의 성장발육 상태는 소정의 출력부에 의해 도표, 그래프 등으로 출력될 수 있다.
만일, 컨트롤러(30)를 갖는 신장측정기(10)가 개인의 용도로 이용된다면 메인컴퓨터(40)는 집에 보유하고 있는 컴퓨터가 될 것이며, 신장측정기(10)가 유아원 등에 설치된다면 메인컴퓨터(40)는 아동들을 전체적으로 관리하는 원장컴퓨터가 될 수 있다.
다음은, 본 발명에 따른 관리시스템이 유아원에 적용된 상태에 대해 실시예로써 설명하도록 하며, 메인컴퓨터(40)를 원장컴퓨터라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원장컴퓨터에 신장발육을 위한 관리프로그램을 설치하고 아동들에 해당하는 신상카드(20)를 발급한다. 만일, 카드발행기를 구비하고 있지 않다면 신상카드(20)는 별도로 판매하여도 좋다. 관리프로그램은 본 시스템을 제조하는 회사의 홈페이지로부터 다운로드할 수 있다.
신상카드(20)는 아동들이 모두 가지고 있는 것이 본 관리시스템을 사용하는데 보다 편리할 수 있으나, 신상카드(20)를 가지고 있지 않더라도 컨트롤러(30)에 마련된 수동조작키(33)를 조작함으로써 본 관리시스템은 이용할 수 있다.
신상카드(20)를 소지하고 있는 아동들이 본 관리시스템을 이용하고자 한다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선 신상카드(20)를 컨트롤러(30)에 마련된 카드리더(32)에 삽입한다. 그러면, "OOO씨, 반가워요" 혹은 "형아, 언니 안녕" 등의 음성 메시지가 나와, 신상카드(20)를 삽입한 아동을 신장측정기(10)로 안내하도록 하고, 전원이 온(On)된다(S10). 그러면, 디스플레이부(31)는 초기화되며(S11), 컨트롤러(30)에서 신상 정보를 체크한다(S12).
그리고는, 컨트롤러(30)의 스피커에서 "안녕, 나는 왕눈이, 사랑해"라는 음성 메시지가 나옴과 동시에 점등램프(18)가 점멸한다. 이러한 음성 메시지와 점등램프(18)의 점멸은 아동의 호기심을 유발시키기 위해 설정한 것이므로 반드시 상기와 동일한 음성 메시지가 나올 필요는 없다.
소정의 시간이 지나, 컨트롤러(30)의 스피커로부터 "신을 벗고 발판(14)위로 올라오세요"라는 음성 메시지가 전달되며, 이러한 음성 메시지를 듣고 아동은 발판(14) 위로 올라선다(S13).
아동이 발판(14) 위로 올라서면, 올라선 상태에 따라 몸무게가 측정되고 이어 이동자(16)가 아동의 머리를 향해 이동함으로써 아동의 키가 측정된다(S14). 측정된 값은 물론 컨트롤러(30) 내에 일시 저장된다.
이처럼, 아동이 발판(14) 위에 올라서서 몸무게와 키를 측정하는 동안에는 멜로디나 음악, 혹은 "으라차차" 등과 같은 의성어가 스피커로부터 나오도록 하는 것도 하나의 예가 될 수 있다(S15).
몸무게와 키의 측정이 완료되면, 다시 컨트롤러(30)의 스피커로부터 "내려가세요"라는 음성 메시지가 나오고(S16), 이어 측정된 비만도의 결과값에 따라 "너무 날씬해요, 많이 먹어요" 라는지 혹은 "군것질하면 안 되요" 라는 측정결과값을 음성 메시지로 알려준다. 그리고는, "안녕, 또 만나요"라는 음성 메시지가 흘러나온다.
물론 상기와 같이 컨트롤러(30)에서 신장측정기(10)의 이용방법을 음성으로 안내하는 것은 다양한 방법으로 행해질 수 있는 바, 위의 음성 메시지들은 하나의 실시예인 것이다.
만일, 신상카드(20)가 없는 아동일 경우에는 전원을 켠 상태에서 검사에 해당하는 기능키(34)를 선택한다. 그리고, 자신에 해당하는 정보, 예를 들어 이름, 성별, 생년월일 외에 유아원의 반, 번호 등의 정보를 입력한다.
그러면, 전술한 바와 같이, 컨트롤러(30)의 스피커로부터 신장측정기(10)의 이용방법을 음성으로 안내한 후, 그 측정결과값을 음성으로 들려주고 이에 해당하는 정보는 일시 저장한다(S12'~S16').
이렇게 신상카드(20)가 있는 아동이거나 혹은 신상카드(20)가 없는 아동들이 컨트롤러(30)를 통해 신장측정기(10)를 이용하고 나면, 통신 접속여부기능을 통해 사용자가 컨트롤러(30)에 일시 저장된 각종 기록을 메인컴퓨터(40)인 원장컴퓨터로 전송한다(S17).
전송되는 자료는 아동의 이름, 성별, 생년월일 외에 유아원의 반, 번호 등의 정보와 더불어 측정된 키, 몸무게 및 비만도 등의 기록이 된다.
컨트롤러(30)로부터의 기록이 전송되면 원장컴퓨터에서는 그 내부에 설치된 소정의 관리프로그램에 기초하여 아동들의 신장발육 상태를 관리하고 필요할 경우, 출력하여 보관하거나 혹은 아동의 부모에게 메일로 전송한다(S18).
이 때, 관리프로그램에 의해 관리되는 형태 중 가장 간단한 방법으로는 나이에 따른 몸무게와 키에 대한 표준 성장곡선에 대해 아동들 개개인의 성장곡선에 대한 편차가 될 것이다.
만일, 표준 성장곡선보다 편차 이하로 성장하고 있다면 가정통신문 등을 통해 아동의 영양을 좀 더 보충해주라는 정보를 전달할 수 있고, 표준 성장곡선보다 편차 이상으로 성장하고 있다면 운동을 강조하는 가정통신문을 전달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관리시스템에 의하면, 부모들의 경우 직접 자녀들의 성장발육에 대해 관리를 쉽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더욱이, 아동들을 집단적으로 관리하는 유아원 등에서 많은 아동들에 대한 개인별 성장발육 상태를 자동으로 쉽게 관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전술한 실시예에서 참조부호 "S15"로 되어 있는, 랜덤(Random) 음성은 아동들의 흥미를 위해 사용하는 음성이므로 반드시 도 3의 그 위치에 있을 필요는 없으며, 다양한 랜덤(Random) 음성은 제조사의 홈페이지로부터 다운로드 하여 그 기능을 확장시킬 수 있을 것이다.
제조사의 홈페이지로부터 다운로드 할 수 있는 정보는, 랜덤(Random) 음성 외에도 컨트롤러(30)의 기능 등이 될 수 있으며, 이러한 정보는 메인컴퓨터(40)에서 다운로드하여 컨트롤러(30)로 전송하거나 혹은, 컨트롤러(30) 차체에서 다운로드 할 수 있도록 구현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에 더하여, 컨트롤러(30)는 전기에 의해 온오프(On/Off)될 수도 있으나, 보다 간편한 방법을 취하고자 한다면, 통상의 배터리 충전방식이나, 배터리 교환방식을 적용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아동용 성장발육 관리시스템을 유아원 등에 적용함으로써 수많은 아동들에 대한 개인별 성장발육 상태를 자동으로 쉽게 관리할 수 있어 그 관리 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것이다.

Claims (4)

  1. 아동용 성장발육 관리시스템에 있어서,
    컬럼과, 상기 컬럼의 하부에 마련되어 아동의 몸무게를 측정하는 발판과, 상기 컬럼에 결합되어 상기 컬럼의 높이방향을 따라 이동하며 상기 발판에 올라선 아동의 키를 측정하는 이동자를 갖는 신장측정기와;
    아동이 휴대가능하며 내부에 소정의 아동정보가 기록되어 있는 신상카드와;
    스피커, 디스플레이부, 상기 신상카드를 읽는 카드리더, 복수의 수동조작키 및 기능키를 가지고 상기 신장측정기에 마련되어 상기 신장측정기의 작동을 제어하는 한편, 신상카드를 소지한 아동이 자신의 신상카드를 상기 카드리더에 삽입하면 키, 몸무게 등을 측정할 수 있도록 상기 신장측정기의 이용방법을 음성으로 안내하고 그 측정결과값을 표시하며, 신상카드를 소지하지 아니한 아동은 상기 수동조작키를 통해 수동조작할 수 있도록 한 모바일 인터넷 환경이 가능한 컨트롤러와;
    상기 컨트롤러와 인터넷 접속가능하며 상기 컨트롤러로부터의 측정결과값을 전송받아 소정 시간에 걸쳐 아동의 나이에 대한 성장발육 상태를 관리하는 관리프로그램을 갖는 메인컴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동용 성장발육 관리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컴퓨터의 관리프로그램을 통해 관리된 아동의 성장발육 상태를 도표, 그래프 등으로 출력하는 출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동용 성장발육 관리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에는, 램프의 점멸기능, 날짜의 표시 및 조정기능, 시간의 표시 및 조정기능, 상기 메인컴퓨터와의 통신 접속여부기능, 계절에 따른 무게 보상기능, 날씨에 따른 몸무게 보상기능, 아동의 사진등록기능, 상기 신장측정기의 이용방법 안내 보정기능, 아동의 정보를 수동으로 입력하는 입력기능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기능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동용 성장발육 관리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에서 측정결과값을 표시하는 방법은 음성 메시지에 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동용 성장발육 관리시스템.
KR1020020070193A 2002-11-12 2002-11-12 아동용 성장발육 관리시스템 KR2002009101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0193A KR20020091017A (ko) 2002-11-12 2002-11-12 아동용 성장발육 관리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0193A KR20020091017A (ko) 2002-11-12 2002-11-12 아동용 성장발육 관리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91017A true KR20020091017A (ko) 2002-12-05

Family

ID=277292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70193A KR20020091017A (ko) 2002-11-12 2002-11-12 아동용 성장발육 관리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9101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5043443A1 (en) * 2003-11-04 2005-05-12 Felicity Ruth Marshall A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data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5314Y1 (ko) * 2000-09-08 2001-03-02 주식회사휴먼테크 전자식 자세균형 진단장치
KR20010037940A (ko) * 1999-10-21 2001-05-15 양군모 신체검사 측정시스템 및 그 측정장치
KR20010068068A (ko) * 2001-04-19 2001-07-13 양군모 신체치수측정시스템
JP2001190514A (ja) * 1999-10-27 2001-07-17 Tanita Corp グラフ表示式生体測定装置
KR20020037147A (ko) * 2000-11-13 2002-05-18 김희명 온라인 건강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30021812A (ko) * 2001-09-07 2003-03-15 박영출 Pc연결식 디지털 체중계와 디지털 줄자를 이용한종합신체측정기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37940A (ko) * 1999-10-21 2001-05-15 양군모 신체검사 측정시스템 및 그 측정장치
JP2001190514A (ja) * 1999-10-27 2001-07-17 Tanita Corp グラフ表示式生体測定装置
KR200215314Y1 (ko) * 2000-09-08 2001-03-02 주식회사휴먼테크 전자식 자세균형 진단장치
KR20020037147A (ko) * 2000-11-13 2002-05-18 김희명 온라인 건강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10068068A (ko) * 2001-04-19 2001-07-13 양군모 신체치수측정시스템
KR20030021812A (ko) * 2001-09-07 2003-03-15 박영출 Pc연결식 디지털 체중계와 디지털 줄자를 이용한종합신체측정기 및 그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5043443A1 (en) * 2003-11-04 2005-05-12 Felicity Ruth Marshall A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data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242715A1 (en) Liquid Ingesting Management System
US6102846A (en) System and method of managing a psychological state of an individual using images
Bakker Neuropsychological treatment of dyslexia
US8814359B1 (en) Memory recollection training system and method of use thereof
JP4787465B2 (ja) 情報通信システム
US20050004437A1 (en) Simulation device for playful evaluation and display of blood sugar levels
US7848699B2 (en) Accessory device,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 and teaching apparatus
Hayes et al. Spelling of deaf children who use cochlear implants
CN105981083A (zh) 智能可穿戴设备和用于优化输出的方法
Chute et al. The parents' guide to cochlear implants
BR102013001360A2 (pt) montagem de dispositivo vestível dotado de funcionalidade atlética
KR102303323B1 (ko) 퍼소나 매칭을 통한 컨텐츠 제공 방법
De Smedt et al. Toward an integrative approach of cognitive neuroscientific and evolutionary psychological studies of art
WO2022116980A1 (zh) 一种学生学习保护视力带锁的桌面装置和方法
US11806122B2 (en) Utilization of infant activated audio player
KR20020091017A (ko) 아동용 성장발육 관리시스템
US8591415B2 (en) Child-friendly analyte measurement instrument
KR102510802B1 (ko) 맞춤형 화장품 스마트 세트 보관함
US20060235330A1 (en) Apparatus and method of identifying and managing mood
US11321677B1 (en) Action reminder device and method
Davis Labelled encounters and experiences: ways of seeing, thinking about and responding to uniqueness
CN215570118U (zh) 一种智能钢琴灯
Cardany Sound stories for general music
KR101288543B1 (ko) 스토리 텔링 방식의 독서지도 시스템 및 그 독서지도방법
TW202143156A (zh) 化妝品雲端平台及化妝品調製系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