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5314Y1 - 전자식 자세균형 진단장치 - Google Patents

전자식 자세균형 진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5314Y1
KR200215314Y1 KR2020000025665U KR20000025665U KR200215314Y1 KR 200215314 Y1 KR200215314 Y1 KR 200215314Y1 KR 2020000025665 U KR2020000025665 U KR 2020000025665U KR 20000025665 U KR20000025665 U KR 20000025665U KR 200215314 Y1 KR200215314 Y1 KR 20021531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data
posture balance
balance
pos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2566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동섭
김영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휴먼테크
최동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휴먼테크, 최동섭 filed Critical 주식회사휴먼테크
Priority to KR202000002566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531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531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5314Y1/ko

Links

Landscapes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무게(체중)를 감지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로드셀을 좌우 대칭으로 설치하고, 이 로드셀들을 통해 체중을 측정하여 인체의 좌/우 대칭에 대한 치우침, 균형정도 등을 컴퓨터 프로그램을 통해 컴퓨터 모니터상에서 나타냄으로써 바람직한 자세 균형을 진단할 수 있도록 한 전자식 자세 균형 진단장치에 관한 것이다. 한편, 본 고안은 체중을 측정할 수 있는 체중계와 더불어 신장을 측정할 수 있는 신장계를 같이 구비하여 두가지의 신체치수를 모두 측정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측정한 데이터를 범용(개인용) 컴퓨터(PC)상의 모니터나 프린터로 출력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자세 균형과 관련한 데이터를 종합적으로 알아 볼 수 있도록 한 전자식 자세 균형 진단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 다른 한편, 본 고안은 자세 균형 진단을 위한 신체치수 측정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자세 교정 등을 위한 이력 관리를 체계적이고 효율적으로 할 수 있도록 한 전자식 자세 균형 진단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고안은, 피검자의 체중을 감지하며 피검자의 자세균형을 진단하도록 적어도 2개 이상의 로드셀이 대향적으로 설치되는 좌측체중 감지수단과 우측체중 감지수단과; 상기 좌우측 체중 감지수단에서 감지된 좌우측 체중 신호를 각각 입력받아 이를 증폭시키는 증폭수단과; 상기 증폭수단에서 증폭된 체중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체중 데이터로 변환하는 아날로그/디지털(A/D) 변환수단과; 상기 A/D 변환수단에서 변환된 좌우측 디지털 체중 데이터를 입력받아 이를 해당 목적에 맞게 처리하는 중앙처리수단과; 상기 중앙처리수단에서 처리된 데이터를 입력받아, 체중과 체중치우침 결과, 시간에 따른 자세균형상태, 좌우측 체중의 편차정도 및 측정시 좌우흔들림 정도와 같은 발란스 데이터를 그래프 데이터 및 숫자 데이터로 프린터 및 모니터와 같은 주변장치에 출력시키는 컴퓨터와; 상기 컴퓨터 및 각 수단에 전원을 제공하는 전원공급 수단; 및 DC모터와 모터 구동수단 그리고 신장 감지센서 수단을 갖는 신장측정 수단;을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전자식 자세균형 진단장치{Apparatus for electronically diagnosing posture balance}
본 고안은 전자식 자세 균형 진단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무게(체중)를 감지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로드셀을 좌우 대칭으로 설치하고, 이 로드셀들을 통해 체중을 측정하여 인체의 좌/우 대칭에 대한 치우침, 균형정도 등을 컴퓨터 프로그램을 통해 컴퓨터 모니터상에서 나타냄으로써 바람직한 자세 균형을 진단할 수 있도록 한 전자식 자세균형 진단장치에 관한 것이다.
한편, 본 고안은 체중을 측정할 수 있는 체중계와 더불어 신장을 측정할 수 있는 신장계를 같이 구비하여 두가지의 신체치수를 모두 측정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측정한 데이터를 범용(개인용) 컴퓨터(PC)상의 모니터나 프린터로 출력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자세 균형과 관련한 데이터를 종합적으로 알아 볼 수 있도록 한 전자식 자세 균형 진단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 다른 한편, 본 고안은 자세 균형 진단을 위한 신체치수 측정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자세 교정 등을 위한 이력 관리를 체계적이고 효율적으로 할 수 있도록 한 전자식 자세균형 진단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체의 자세 불균형시 관절면이 평탄하지 않게 되고, 인대가 당기거나 서는 자세에 필요한 근육들의 일을 가중시킬 수 있으며 통증이 동반될 수도 있다. 또한 바르지 못한 자세로 인하여 척추의 측만(기능성 측만증)이 발생할 수도 있다.
자세 불균형으로 인한 통증은 중력중심 이동 폭에 영향을 주는 요소이며, 체위의 치우침과도 연관성이 있어 결과적으로 중력중심 이동이 크면 클수록 자세를 유지하는 근육들의 근활동에 추가적인 에너지가 필요하게 되고, 근골격계에 무리한 부담을 주어 통증을 증가시킨다. 그리고, 체위 치우침은 이를 보상하기 위한 신체 먼곳에서의 이차적인 변형을 초래하여 각종 근골격계 증상의 원인이 된다.
그런데, 예를 들어 학교나 병원 등에서 신체검사를 할 때 신장, 체중 및 비만도 측정 등을 할 때 대부분이 개별적인 해당 측정계를 통해 측정을 하고, 그 결과치는 수기로 직접 기록하거나 혹은 7-세그먼트(segment)와 같은 표시장치로 단순 출력하기 때문에 필요한 모든 측정치를 하나의 데이터처럼 사용할 수 없는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고, 이는 자세 균형 진단을 위한 신체검사를 할 때도 그대로 반영되고 있어 자세 균형 진단을 효율적이고 체계적으로 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일상생활용품으로서 혹은 연구기관용 및 교육기관용으로서의 체중 및/또는 신장측정 그리고 신체의 자세균형을 바르게 진단하고 스스로 훈련하도록 하기 위한 적합한 장치가 없어 자세균형 진단 및 평가, 자세 균형 훈련 등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무게(체중)를 감지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로드셀을 좌우 대칭으로 설치하고, 이 로드셀들을 통해 체중을 측정하여 인체의 좌/우 대칭에 대한 치우침, 균형정도 등을 컴퓨터 프로그램을 통해 컴퓨터 모니터상에 나타냄으로써 바람직한 자세 균형을 진단할 수 있도록 한 전자식 자세 균형 진단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체중을 측정할 수 있는 체중계와 더불어 신장을 측정할 수 있는 신장계를 같이 구비하여 두가지의 신체치수를 모두 측정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측정한 데이터를 PC상의 모니터나 프린터로 출력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자세 균형과 관련한 데이터를 종합적으로 체계적으로 알아 볼 수 있도록 한 전자식 자세 균형 진단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자세 균형 진단을 위한 신체치수 측정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자세 교정 등을 위한 이력 관리를 체계적이고 효율적으로 할 수 있도록 한 전자식 자세 균형 진단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근골격계에 대한 적절한 자세균형을 통해 통증을 감소시킴으로써 자세의 이차적인 변형을 막고, 자세유지시 작용하는 근육의 에너지 효율을 높이는데 활용할 수 있는 전자식 자세균형 진단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전자식 자세균형 진단장치의 구성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전자식 자세균형 진단장치의 설치 구성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자세균형 진단기의 일실시예도로서,
도 3a는 평면도,
도 3b는 측면도.
도 4는 자세균형 진단기의 다른 실시예도로서,
도 4a는 신장계가 부가된 자세균형 진단기의 사시도,
도 4b는 신장계의 구성도.
도 5a,b는 본 고안에 따른 전자식 자세균형 진단장치의 작용 흐름도.
도 6a,b는 각각 본 고안에 따른 전자식 자세균형 진단장치의 초기화면의 일실시예도와 자세균형 진단결과의 출력물의 일실시예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체중계 12 : 로드셀 증폭부
14 : A/D 변환부 20, 150 : 신장계
22 : DC 모터 24 : 모터 구동부
30 : 중앙처리부 40 : 통신 인터페이스부
50 : PC 52 : 모니터
54 : 프린터 100 : 자세균형 진단기
LS : 좌측 로드셀 RS : 우측 로드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전자식 자세균형 진단장치는,
신체의 균형 상태를 진단하기 위한 전자식 자세균형 진단장치에 있어서,
피검자의 체중을 감지하며 피검자의 자세균형을 진단하도록 적어도 2개 이상의 로드셀이 대향적으로 설치되는 좌측체중 감지수단과 우측체중 감지수단과; 상기 좌우측 체중 감지수단에서 감지된 좌우측 체중 신호를 각각 입력받아 이를 증폭시키는 증폭수단과; 상기 증폭수단에서 증폭된 체중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체중 데이터로 변환하는 아날로그/디지털(A/D) 변환수단과; 상기 A/D 변환수단에서 변환된 좌우측 디지털 체중 데이터를 입력받아 이를 해당 목적에 맞게 처리하는 중앙처리수단과; 상기 중앙처리수단에서 처리된 데이터를 입력받아, 체중과 체중치우침 결과, 시간에 따른 자세균형상태, 좌우측 체중의 편차정도 및 측정시 좌우흔들림 정도와 같은 데이터를 그래프 데이터 및 숫자 데이터로 프린터 및 모니터와 같은 주변장치에 출력시키는 컴퓨터와; 상기 컴퓨터 및 각 수단에 전원을 제공하는 전원공급 수단;을 포함하여 된 점에 그 특징이 있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진단장치는 상기 중앙처리수단과 컴퓨터를 연결하며 이들 사이의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RS232 케이블을 포함하는 인터페이스 수단과, 피검자의 신장을 측정하기 위한 신장계를 더 포함하는데,
상기 신장계는 피검자의 머리에 접촉하는 측정바(bar)를 움직이기 위한 모터 수단과, 상기 모터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수단 및 상기 측정바의 움직인 거리를 감지하여 피검자의 신장을 감지하는 신장감지 센서수단을 구비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진단장치는 원형의 형상을 갖으며 상기 좌우측 체중 감지수단을 내장(casing)하는 몸체 수단을 포함하는데, 이 몸체 수단에는 상용전원을 공급받기 위한 플러그부와, 상기 인터페이스 수단의 RS232 케이블이 접속되기 위한 커넥터부 및 상기 몸체 수단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몸체 수단의 수평 상태를 맞추기 위해 높낮이을 조절할 수 있도록 된 수평조절 수단을 구비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진단장치는 상기 컴퓨터에 설치되어 상기 컴퓨터가 체중과 신장 및 체중 치우침 결과, 시간에 따른 자세균형상태, 좌우측 체중의 편차정도 및 측정시 좌우흔들림 정도와 같은 데이터를 그래프 데이터 및 숫자 데이터로 프린터 및 모니터와 같은 주변장치로 출력할 수 있도록 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프로그램 저장매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프로그램은 본 고안의 자세균형 진단기와 관련한 PC상의 운영 프로그램을 포함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고안에 따른 전자식 자세균형 진단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전자식 자세균형 진단장치의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전자식 자세균형 진단장치의 설치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자세균형 진단기의 일실시예도로서, 도 3a는 평면도이고, 도 3b는 측면도이다. 도 4는 자세균형 진단기의 다른 실시예도로서, 도 4a는 신장계가 부가된 자세균형 진단기의 사시도이고, 도 4b는 신장계의 구성도이다. 도 5a,b는 본 고안에 따른 전자식 자세균형 진단장치의 작용 흐름도이고, 도 6a,b는 각각 본 고안에 따른 전자식 자세균형 진단장치의 초기화면의 일실시예도와 자세균형 진단결과의 출력물의 일실시예도이다.
먼저,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전자식 자세균형 진단장치는 기본적으로 피검자의 체중을 감지하며 피검자의 자세균형을 진단하도록 적어도 2개 이상의 로드셀이 대향적으로 설치되는 좌측체중 감지 로드셀(LS)과, 우측체중 감지 로드셀(RS)를 포함한다. 또한, 좌우측 체중 감지 로드셀(LS)(RS)에서 감지된 좌우측 체중 신호를 각각 입력받아 이를 증폭시키는 로드셀 증폭부(12)와, 로드셀 증폭부(12)에서 증폭된 체중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체중 데이터로 변환하는 아날로그/디지털(A/D) 변환부(14), A/D 변환부(14)에서 변환된 좌우측 디지털 체중 데이터를 입력받아 이를 PC(50)에서 이용될 수 있도록 처리하는 중앙처리부(30)와, 중앙처리부(50)에서 처리된 데이터를 입력받아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은 체중과 체중치우침 결과, 시간에 따른 자세균형상태, 좌우측 체중의 편차정도 및 측정시 좌우흔들림 정도와 같은 데이터를 그래프 데이터 및 숫자 데이터로 프린터(54) 및 모니터(52)와 같은 주변장치에 출력시키는 PC(50)와, PC(50) 및 각 부(14)(30)(40)(50)에 전원을 제공하는 전원부(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로드셀 증폭부(12)와 A/D 변환부(14)는 체중계(10)를 구성한다.
본 고안 진단장치는 중앙처리부(30)와 PC(50)를 연결하며 이들 사이의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RS232 케이블(42)을 포함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부(40)와, 피검자의 신장을 측정하기 위한 신장계(2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신장계(20)는 피검자의 머리에 접촉하는 측정바(bar)(152)를 움직이기 위한 DC모터(22)와, DC모터(22)를 구동하기 위한 모터 구동부(24) 및 측정바(152)의 움직인 거리를 감지하여 피검자의 신장을 감지하는 신장감지 센서(26)인 포토커플러와, 회전판(154)(156)을 구비하여 구성된다. 통신 인터페이스부(40)는 중앙처리부(30)와 PC(50)간의 원활한 통신을 위한 소정의 통신 디바이스, 예를 들면 MAX232를 구비한다.
본 고안의 진단장치는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형의 형상을 갖으며 좌우측 체중 감지 로드셀(LS)(RS)을 내장(casing)하는 몸체부(80)을 포함하는데, 이 몸체부(80)에는 상용전원(예; 220볼트)을 공급받기 위한 플러그(82)와, 인터페이스부(40)의 RS232 케이블(42)이 접속되기 위한 접속 커넥터(84), 그리고 몸체부(80) 및 피검자의 체중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90)가 구비된다. 몸체부(80)의 지지부(90)에는 몸체부(80)의 수평 상태를 맞추기 위한 수평조절부재(95)가 마련된다.
본 고안의 진단장치는 PC(50)에 설치되어, PC(50)가 체중과 신장 및 체중치우침 결과, 시간에 따른 자세균형상태, 좌우측 체중의 편차정도 및 측정시 좌우흔들림 정도와 같은 데이터를 그래프 데이터 및 숫자 데이터로 프린터(54) 및 모니터(52)와 같은 주변장치로 출력할 수 있도록 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프로그램 저장매체(57), 예를 들면 CD를 포함한다. 상기 프로그램은 본 고안의 자세균형 진단기(100)와 관련하여 PC(50)상에서 운영되는 운영 프로그램을 포함한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전자식 자세균형 진단장치의 작용을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a을 참조하면, PC(50)와 자세균형 진단기(100)를 작동시키고 피검자의 신상입력을 자세균형 진단기(100)의 운영 프로그램을 통해 PC(50)에 입력한다. PC(50)에 입력된 피검자의 신상입력 사항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은 형태로 출력될 수 있으며, 입력된 피검자의 자세균형 진단결과는 PC(50) 혹은 별도의 저장장치에 데이터베이스화되어 지속적으로 자세균형 교정의 이력내용으로서 이용된다. 자세균형 진단기(100)에 피검자가 올라가서 약 2초 정도 경과하면, 로드셀(LS)(RS)에 의해 피검자의 체중(몸무게)과 발란스(balance)가 측정 감지되고, 이는 증폭부(12)에서 신호증폭된다. 증폭부(12)에서 신호증폭된 체중과 발란스 데이터는 A/D 변환부(14)에서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되고, 디지털로 변환된 데이터는 중앙처리부(30)에서 PC(50)에서 이용될 수 있도록 처리되어 인터페이스부(40)를 경유하여 PC(50)에 전송된다. PC(50)에 전송된 데이터는 CD(57)에 수록된 프로그램에 의해 그래프화 및 수식화되어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니터(52) 또는 프린터(54)로 출력된다. 모니터(52) 또는 프린터(54)로 출력된 출력물을 눈으로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피검자 등은 상기 출력물을 피드백하여 이용한다. 즉, 예전에 자세균형 진단기(100)로 진단받은 경험이 있는 피검자는 현재 출력된 자세균형 진단 출력물을 예전의 자세균형 진단 출력물에 피드백하여 이를 상호 비교함으로써 자세교정의 진전 여부 및 효과를 체크한다.
본 고안에 의한 자세균형 정도는 바람직하게 아래의 식에 의해 구해질 수 있다.
도 5b를 참조하면, 이는 자세교정 진단기(100)에 신장계(150)가 부가된 경우의 작용 흐름도로서, 체중계(10)에 의한 체중의 측정과 더불어 신장계(150)에 의해 키측정 및 비만도 계산이 이루어진다는 것 이외에는 도 5a의 경우와 동일하다.
도 4b에 도시한 신장계(150)의 작용을 보다 더 상세히 살펴보면, 신장계의 측정바(152)는 DC모터(22)로 구동되며, 측정시 측정바(152)가 피검자의 머리에 닿으면 DC모터(22)의 구동에 의해 회전한 회전판(154)(156)의 회전수를 포토커플러(26)가 카운팅하여 이 데이터를 중앙처리부(30)에 전송된다. 포토커플러(26)가 카운팅한 회전판(154)(156)의 회전수가 중앙처리부(30)에 전송되면, 중앙처리부(30)는 회전판(154)(156)의 톱니수와 원주율 등을 정밀하게 계산하여 이를 토대로 피검자의 신장을 측정한다.
이로써, 본 고안에 따른 전자식 자세교정 진단장치는 학교나 병원 등에서 학생이나 환자들의 외부적인 신체변화를 측정하여 자세교정 치료나 질환을 예방하는데 도움을 주며, 측정 진단 데이터를 PC나 기타 저장장치에 저장하여 언제든지 출력하여 볼 수 있도록 해주기 때문에 자세교정에 있어서 상당히 유익한 작용을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전자식 자세교정 진단 장치는, 무게(체중)를 감지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로드셀을 좌우 대칭으로 설치하고, 이 로드셀들을 통해 체중을 측정하여 인체의 좌/우 대칭에 대한 치우침, 균형정도 등을 컴퓨터 프로그램을 통해 컴퓨터 모니터상에서 나타냄으로써 바람직한 자세 균형을 진단할 수 있도록 하는 이점을 제공한다.
또한, 본 고안은 체중을 측정할 수 있는 체중계와 더불어 신장을 측정할 수 있는 신장계를 같이 구비하여 두가지의 신체치수를 모두 측정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측정한 데이터를 PC상의 모니터나 프린터로 출력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자세 균형과 관련한 데이터를 종합적으로 체계적으로 알아 볼 수 있도록 하는 이점을 제공한다.
그리고, 본 고안은 자세 균형 진단을 위한 신체치수 측정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자세 교정 등을 위한 이력 관리를 체계적이고 효율적으로 할 수 있도록 하는 이점을 제공한다.
더욱이, 본 고안은 근골격계에 대한 적절한 자세균형을 통해 통증을 감소시킴으로써 자세의 이차적인 변형을 막고, 자세유지시 작용하는 근육의 에너지 효율을 높이는데 활용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이상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기술되었지만,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있어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첨부된 청구 범위에 정의된 본 고안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고안을 여러 가지로 변형 또는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앞으로의 실시예들의 변경은 본 고안의 기술을 벗어날 수 없을 것이다.

Claims (6)

  1. 신체의 균형 상태를 진단하기 위한 전자식 자세 균형 진단장치에 있어서,
    피검자의 체중을 감지하며 피검자의 자세균형을 진단하도록 적어도 2개 이상의 로드셀이 대향적으로 설치되는 좌측체중 감지수단과 우측체중 감지수단;
    상기 좌우측 체중 감지수단에서 감지된 좌우측 체중 신호를 각각 입력받아 이를 증폭시키는 증폭수단;
    상기 증폭수단에서 증폭된 체중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체중 데이터로 변환하는 아날로그/디지털(A/D) 변환수단;
    상기 A/D 변환수단에서 변환된 좌우측 디지털 체중 데이터를 입력받아 이를 해당 목적에 맞게 처리하는 중앙처리수단;
    상기 중앙처리수단에서 처리된 데이터를 입력받아, 체중과 체중 치우침 결과, 시간에 따른 자세균형상태, 좌우측 체중의 편차정도 및 측정시 좌우흔들림 정도와 같은 데이터를 그래프 데이터 및 숫자 데이터로 프린터 및 모니터와 같은 주변장치에 출력시키는 컴퓨터;
    상기 컴퓨터 및 각 수단에 전원을 제공하는 전원공급 수단;을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자세균형 진단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처리수단과 컴퓨터를 연결하며, 이들 사이의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RS232 케이블을 포함하는 인터페이스 수단이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자세균형 진단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피검자의 신장을 측정하기 위한 신장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신장계는 피검자의 머리에 접촉하는 측정바(bar)를 움직이기 위한 모터 수단과, 상기 모터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수단 및 상기 측정바의 움직인 거리를 감지하여 피검자의 신장을 감지하는 신장감지 센서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자세균형 진단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진단장치는,
    좌우측 체중 감지수단을 내장(casing)하며, 원형 형상을 갖는 몸체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몸체 수단에는 상용전원을 공급받기 위한 플러그부와, 상기 인터페이스 수단의 RS232 케이블이 접속되기 위한 커넥터부 및 상기 몸체 수단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자세균형 진단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몸체 수단의 수평 상태를 맞추기 위해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된 수평조절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자세균형 진단장치.
  6. 제 1 항 내지 제 3 항중의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에 설치되어 상기 컴퓨터가 체중과 신장 및 체중 치우침 결과, 시간에 따른 자세균형상태, 좌우측 체중의 편차정도 및 측정시 좌우흔들림 정도와 같은 데이터를 그래프 데이터 및 숫자 데이터로 프린터 및 모니터와 같은 주변장치로 출력할 수 있도록 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프로그램 저장매체를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자세균형 진단장치.
KR2020000025665U 2000-09-08 2000-09-08 전자식 자세균형 진단장치 KR20021531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5665U KR200215314Y1 (ko) 2000-09-08 2000-09-08 전자식 자세균형 진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5665U KR200215314Y1 (ko) 2000-09-08 2000-09-08 전자식 자세균형 진단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53388A Division KR20020020303A (ko) 2000-09-08 2000-09-08 전자식 자세균형 진단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15314Y1 true KR200215314Y1 (ko) 2001-03-02

Family

ID=730886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5665U KR200215314Y1 (ko) 2000-09-08 2000-09-08 전자식 자세균형 진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5314Y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91017A (ko) * 2002-11-12 2002-12-05 주식회사 지테크인터내셔날 아동용 성장발육 관리시스템
KR20030021812A (ko) * 2001-09-07 2003-03-15 박영출 Pc연결식 디지털 체중계와 디지털 줄자를 이용한종합신체측정기 및 그 방법
KR20170080133A (ko) 2015-12-31 2017-07-10 대구대학교 산학협력단 자세 균형 판단장치
KR20170080141A (ko) 2015-12-31 2017-07-10 대구대학교 산학협력단 자세 균형 판단방법
KR20190093970A (ko) * 2018-02-02 2019-08-12 정성길 복합 전자 체중계
KR20200037552A (ko) 2018-10-01 2020-04-09 부산대학교병원 체중부하 바이오피드백 장치
KR20200109678A (ko) 2019-03-14 2020-09-23 김국주 자세 균형 측정 장치 및 그를 이용한 자세 균형 안내 방법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1812A (ko) * 2001-09-07 2003-03-15 박영출 Pc연결식 디지털 체중계와 디지털 줄자를 이용한종합신체측정기 및 그 방법
KR20020091017A (ko) * 2002-11-12 2002-12-05 주식회사 지테크인터내셔날 아동용 성장발육 관리시스템
KR20170080133A (ko) 2015-12-31 2017-07-10 대구대학교 산학협력단 자세 균형 판단장치
KR20170080141A (ko) 2015-12-31 2017-07-10 대구대학교 산학협력단 자세 균형 판단방법
KR20190093970A (ko) * 2018-02-02 2019-08-12 정성길 복합 전자 체중계
KR102114095B1 (ko) * 2018-02-02 2020-05-22 정성길 복합 전자 체중계
KR20200037552A (ko) 2018-10-01 2020-04-09 부산대학교병원 체중부하 바이오피드백 장치
KR20200109678A (ko) 2019-03-14 2020-09-23 김국주 자세 균형 측정 장치 및 그를 이용한 자세 균형 안내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37272B1 (ko) 건강관리 측정장치
US20210345910A1 (en) Furniture-integrated monitoring system and load cell for same
US7699784B2 (en) System for detecting and monitoring vital signs
US20050171451A1 (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growth and development of a user
US5620003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easuring quantities relating to a persons cardiac activity
JP5122798B2 (ja) 評価能力を備えた乳児保育ベッド
AU2017225337B2 (en) Urine weighing apparatus
US7163516B1 (en) Patient data collection system and methods
JP2005525161A (ja) 血糖測定装置及びデータアップロード方法
KR20130111400A (ko) 수면 관리 시스템 및 수면계
JP4584689B2 (ja) 生体情報計測装置、生体情報計測装置用ベッド及び生体情報計測方法
KR200215314Y1 (ko) 전자식 자세균형 진단장치
KR20020020303A (ko) 전자식 자세균형 진단 시스템
EP1952765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rmining obesity-related disease risk indicators of a human subject
JP5388024B2 (ja) 姿勢制御機能診断装置
WO2011120524A1 (en) Sound device for indications of health condition
JP7295941B2 (ja) 関節の固縮の特性評価のためのシステム及びデバイス
Nandyal et al. A holistic approach for patient health care monitoring system through IoT
KR20220121755A (ko) 척추측만증 자세교정장치, 자세교정방법 및 자세교정시스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100745034B1 (ko) 근육기능의 통합 진단분석장치
WO199502156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easuring physical condition
JPH05329110A (ja) 活動態様生体情報計測記録装置
JP2003315142A (ja) 健康管理システム
US20220079458A1 (en) Health Scan Device
CN209934034U (zh) 一种健身数据测试仪的控制电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129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