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89964A - 보일러의 응축수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보일러의 응축수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89964A
KR20020089964A KR1020010029074A KR20010029074A KR20020089964A KR 20020089964 A KR20020089964 A KR 20020089964A KR 1020010029074 A KR1020010029074 A KR 1020010029074A KR 20010029074 A KR20010029074 A KR 20010029074A KR 20020089964 A KR20020089964 A KR 200200899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ensate
treatment apparatus
boiler
water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290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25916B1 (ko
Inventor
김석구
김정현
박성호
최영준
Original Assignee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290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25916B1/ko
Publication of KR200200899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899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259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25916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0005Details for water heaters
    • F24H9/0036Dispositions against condensation of combustion product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6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neutralisation; pH adjust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8/00Fluid heaters characterised by means for extracting latent heat from flue gases by means of condensation
    • F24H8/003Fluid heaters characterised by means for extracting latent heat from flue gases by means of condensation having means for moistening the combustion air with condensate from the combustion ga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16Arrangements for water drain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Details Of Fluid Hea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일러의 응축수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기름 또는 가스를 원료로 사용하는 버너(10)에 의해 그 내부로 공급되는 물을 원하는 온도로 가열시켜 주는 열교환기(20)와;
상기 열교환기(20)의 일측 단부에 설치되며, 소정의 용적을 갖는 형성되는 시스턴(30)과;
상기 시스턴(30)에서 열교환기(20)측으로 물을 강제 공급시켜 주는 순환펌프(40)와;
상기 시스턴(30)에서 보충수를 계속 공급시켜 주는 급수밸브(50)와;
상기 열교환기(20)의 저면으로 소정의 폭과 크기를 갖고 위치되며, 몸체 상부에는 열교환기에서 유입되는 응축수 유입공(61)과 오버플로우관 삽입홀(62)이 구비되는 뚜껑체(60)와;
상기 뚜껑체(60)와 체결수단(71)에 의해 고정되며, 몸체 내측으로는 응축수의 수납실(72) 및 배출구(73)가 구비된 응축수 저장용기(70)로 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응축수 저장용기(70)의 수납실(72)에는 저면에서 상부방향에 대하여 소정의 폭과 높이를 갖고 돌출되게 형성되며, 몸체 상부에는 응축수를 중화부로 유입되는 유입부(75)가 구비되고, 몸체 저면부에는 끼움홈(77)이 형성된 하우징(74)이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74)의 끼움홈(77)에는 몸체 내측이 관통되게 구비되고, 몸체 저면에는 내측과 연통되는 배출구(73)가 형성되며, 몸체 내측 상부에서 중앙부로는 응축수 중화부재(78)가 설치되는 플러그부재(80)로 구성되므로, 본 발명인 보일러의 응축수 처리장치는 응축수 저장용기(70)의 수납실(72) 저면에서 상부방향으로는 몸체 상부에 응축수 유입부(75)가 구비된 하우징(74)이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74)에는 몸체 내측상부로 중화부재(78)가 설치된 플러그부재(80)가 설치되므로, 보일러의 작동시 열교환기(20)에서 발생되는 응축수가 응축수 저장용기(70)를 통해 유입되어 하우징(74)의 높이 이상으로 저장되면, 상기 하우징(74)의 몸체 상부에 형성되는 응축수 유입부(75)를 통해 응축수가 내측으로 이동되면서, 플러그부재(80)의 중화부재(78)에 의해 중화처리된 후 배출구(73)를 통해 외부로 배수되므로, 환경오염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제품의 신뢰성 및 응축수 처리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Description

보일러의 응축수 처리장치{Condensate water disposal device of boiler}
본 발명은 보일러의 응축수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열회수형 보일러(일명 콘덴싱 보일러)의 응축수 희석 및 자동 배출장치에 있어서, 응축수 저장용기의 수납실 저면으로 응축수 중화배출수단을 형성하여 산성의 응축수 처리효율을 증대시켜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도록 발명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열회수형 보일러라 함은, 열교환기의 윗면 또는 측면에 버너를 설치하여 연소가스 흐름을 하향식으로 하고 그 온도를 노점온도 이하로 하여 응축 열교환이 용이하도록 설계된 보일러를 말한다.
이와 같은 열흡수형 보일러는 분젠식 보일러와 달리 다공 예혼합 방식을 채택하고 화염면 직후에 열교환기를 설치하여 질소화합물 발생을 억제하고 일산화탄소의 배출량도 적어 환경 친화적인 보일러라 할 수 있는데, 그 원리는 1차로 현열을 흡수하고 2차로 배기가스로 배출되는 잠열을 흡수하는 형태를 가지므로써 일반 보일러러의 배기가스 온도가 150 - 260℃ 인데 비해 열흡수형 보일러는 50 - 120℃ 정도로 열을 회수하여 95% 이상의 높은 열을 얻을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열흡수형 보일러에서는 배기가스에 포함되어 있는 수증기가 노점온도 이하에서 응축되어 열교환기의 외부로 배출되는데, 이 응축수의 산성도가 PH2.8 - PH3.5 정도이어서 이 산성 응축수가 보일러를 구성하고 있는 부품에 닿게될 경우 부식의 우려가 있고, 또 이와같은 산성 응축수가 하수구로 그대로 배출될 경우 환경오염을 일으킬 우려가 있다.
따라서, 종래 본 출원인은 1997년 국내특허출원 제 82285호(공개번호 98-79579호)에서 상기 열교환기의 저부에 중화제를 삽입시키고 일측부에는 드레인 파이프가 구비됨과 동시에 그 내부에서 상측부로는 수개의 격벽이 일체로 구비된 드레인 저장용기를 설치하되, 시스턴과 상기 드레인 저장용기 사이에는 오버플로우관을 설치하여 산성의 응축수로 인한 부품들의 부식을 포함한 하수구의 물의 오염을 방지하고 있다.
또한, 본 출원인이 2000년 국내특허출원 제 57500호에서 제안한 바와 같이 응축수 저장용기(1)의 응축수 저장실(1A) 상방부에 위치하는 뚜껑체(2)상에 물을 공급시키기 위한 물 공급홀(3)을 부가 형성시켜, 상기 응축수 저장실(4)내에서 응축수와 물을 직접 희석된 상태에서 격벽(5)의 상단부를 통해 물 배출실(6)로 오버플로우 되도록 하고, 상기 물 배출실(6)의 내부가 적은 용적을 갖는 물 배출실(6) 자체 및 회피실(7)로 구획하도록 중앙 격벽(5) 보다 낮은 격벽(5A)을 형성하고, 상기 회피실(7)의 바닥면에는 보조 배수구(8)를 형성하되, 상기 응축수 저장실(1A)과 물 배출실(6)로 구획하는 중앙 격벽(5)에서 물 배출실(6)과 통하는 격벽(5A)의 상단면에 단턱부(9)를 형성시켜 응축수가 물 배출실(6)측으로만 오버플로워 되도록 한 방법이 제안된 바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 콘덴싱 보일러의 응축수 처리장치중 1997년 국내특허출원 제 82285호(공개번호 98-79579호)의 구성은 응축수 희석 및 배출장치에서 사용되는 드레인 저장용기가 상면에서 하방부를 향해 일체로 형성시킨 3개의 격벽을 통해 응축수 저장실과 오버플로우수 유입실 및 희석된 물 배출실로 형성시켜 각각의 격벽 저단부와 바닥판 사이에 형성된 틈새를 통해 유체가 이동되도록 하고,또 배출관의 상단부는 수위가 일정수위 이상 높아졌을시에만 배출될 수 있도록 물 배출실의 상방부에 위치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물의 배출이 완전히 이루어지지 않고 일정수위를 유지하게 되므로 겨울철 보일러가 장기간 가동되지 않은 경우에는 응축수 저장용기내에 정체된 물이 동결되어 물 자체가 배출되지 않음은 물론 용기 자체가 동결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역압으로 인해 물이 배출되지 않고 역류하거나 과다한 응축수의 발생시 회피수단이 구비되어 있지 않아 용기내의 물이 모두 배출구를 통해 유출되지 못하고 공기구멍을 통해 외부로 흘러내릴 우려가 있으며, 또 응축수와 외부에서 공급되는 물이 용기의 바닥면을 따라 물 배출실로 이동하도록 되어 있어 때에 따라서는 응축수가 오버플로우수와 희석되지 않고 용기의 바닥면을 따라 물 배출실로 이동되어 외부로 방출될 우려가 있는 폐단이 있었던 것이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본완하기 위해 제안된 2000년 국내특허출원 제 57500호는 응축수 저장실 내부로 직수가 직접 공급되므로 산성의 응축수가 물과 희석되지 않은 상태로 배출되므로 인한 보일러 구성품들이 부식 또는 수질오염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역압이나 과다한 응축수가 발생되더라도 보조 배수구를 통해 외부로 자동 배출시킬 수 있으며, 또한 필요에 따라서는 용기내의 물을 외부로 전부 배출시킬 수 있어 겨울철 장기간 보일러가 가동되지 않을 때 응축수 저장용기내에 남아 있는 물이 동결되어 발생되는 응축수 배출불량과 저장용기 자체 동파를 방지할 수 있는 구성이나, 이역시 직수의 공급으로 응축수를 희석시켜 배출시키는 구성만으로는 강한 산성을 갖는 응축수를 중화처리하기에는 많은 문제점이있었다.
또한, 응축수 저장용기 내부에 다수개의 격벽을 형성하여 응축수 저장실과 회피실 등을 설정하여 사용하고 있으나, 다수개의 격벽을 형성해야 하는 관계로 응축수 저장용기의 제작성이 난해하고, 이로 인해 제작단가 역시 상승되는 폐단이 있었다.
그리고, 응축수 저장용기 내부에서 격벽에 의해 다수개의 구획된 처리실들이 형성되는 관계로 응축수의 처리능력이 크게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열회수형 보일러(일명 콘덴싱 보일러)의 응축수 희석 및 자동 배출장치에 있어서, 응축수 저장용기의 물배출실 저면으로 응축수 중화배출수단을 형성하여 산성의 응축수 처리효율을 증대시켜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보일러의 응축수 처리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응축수 저장용기의 내부에 비교적 간단한 구성으로 응축수를 중화처리 하여 배출시킬 수 있으므로, 응축수 저장용기의 제작성 향상 및 제작단가를 저감시킬 수 있도록 한 보일러의 응축수 처리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신뢰성 및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보일러의 응축수 처리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인 보일러의 응축수 처리장치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개략 구성도.
도 2는 열교환기의 저면으로 본 발명인 보일러의 응축수 처리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요부 확대도.
도 3은 본 발명인 보일러의 응축수 처리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인 보일러의 응축수 처리장치의 정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인 보일러의 응축수 처리장치의 측단면도.
도 6의 (A)(B) 종래 보일러의 응축수 처리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정단면 및 측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인 응축수 유입부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8은 응축수 유입부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정단면도.
도 9는 응축수 유입부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요부 확대도.
*도면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버너20 - 열교환기
30 - 시스턴40 - 순환펌프
50 - 급수밸브60 - 뚜껑체
61 - 응축수 유입공62 - 오버플로우관 삽입홀
70 - 응축수 저장용기71 - 체결수단
72 - 수납실73 - 배출구
74 - 하우징75 - 응축수 유입부
76 - 응축수 유입홀77 - 끼움홈
78 - 중화부재79 - 테이퍼부
80 - 플러그부재81 - 너어링부
82 - 오링83 - 단턱부
90 - 메쉬부재100 - 보조배수수단
110 - 오버플로우관120 - 배수홀
130 - 드레인홀135 - 볼트
200 - 응축수 안내수단210 - 가이드홈
220 - 예각면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은, 기름 또는 가스를 원료로 사용하는 버너(10)에 의해 그 내부로 공급되는 물을 원하는 온도로 가열시켜 주는 열교환기(20)와;
상기 열교환기(20)의 일측 단부에 설치되며, 소정의 용적을 갖는 형성되는 시스턴(30)과;
상기 시스턴(30)에서 열교환기(20)측으로 물을 강제 공급시켜 주는 순환펌프(40)와;
상기 시스턴(30)에서 보충수를 계속 공급시켜 주는 급수밸브(50)와;
상기 열교환기(20)의 저면으로 소정의 폭과 크기를 갖고 위치되며, 몸체 상부에는 열교환기에서 유입되는 응축수 유입공(61)과 오버플로우관 삽입홀(62)이 구비되는 뚜껑체(60)와;
상기 뚜껑체(60)와 체결수단(71)에 의해 고정되며, 몸체 내측으로는 응축수의 수납실(72) 및 배출구(73)가 구비된 응축수 저장용기(70)로 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응축수 저장용기(70)의 수납실(72)에는 저면에서 상부방향에 대하여 소정의 폭과 높이를 갖고 돌출되게 형성되며, 몸체 상부에는 응축수 유입부(75)가 구비되고, 몸체 저면부에는 끼움홈(77)이 형성된 하우징(74)이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74)의 끼움홈(77)에는 몸체 내측이 관통되게 구비되고, 몸체 저면에는 내측과 연통되는 배출구(73)가 형성되며, 몸체 내측 상부에서 중앙부로는 응축수 중화부재(78)가 설치되는 플러그부재(80)로 구성되어 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인 보일러의 응축수 처리장치는 응축수 저장용기(70)의 수납실(72) 저면에서 상부방향으로는 몸체 상부에 응축수를 중화부로 유입되는 유입부(75)가 구비된 하우징(74)이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74)에는 몸체 내측상부로 중화부재(78)가 설치된 플러그부재(80)가 설치되므로, 보일러의 작동시 열교환기(20)에서 발생되는 응축수가 응축수 저장용기(70)를 통해 유입되어 하우징(74)의 높이 이상으로 저장되면, 상기 하우징(74)의 몸체 상부에 형성되는 응축수 유입부(75)를 통해 응축수가 내측으로 이동되면서, 플러그부재(80)의 중화부재(78)에 의해 중화처리된 후 배출구(73)를 통해 외부로 배수되므로, 환경오염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제품의 신뢰성 및 응축수 처리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인 보일러의 응축수 처리장치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개략 구성도이다.
도 2는 열교환기의 저면으로 본 발명인 보일러의 응축수 처리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요부 확대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인 보일러의 응축수 처리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인 보일러의 응축수 처리장치의 정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인 보일러의 응축수 처리장치의 측단면도이다.
도 6의 (A)(B) 종래 보일러의 응축수 처리장치의 구성을 정단면 및 측단면도로 도시하고 있다.
즉, 도 1 ~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보일러의 응축수 처리장치에서 응축수 저장용기(70)의 수납실(72)에 형성되는 하우징(74)은 저면에서 상부방향에 대하여 소정의 폭과 높이를 갖고 원통형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며, 몸체 상부에는 응축수 유입부(75)가 구비되고, 몸체 저면부에는 끼움홈(77)이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74)의 몸체 상부에 형성되는 응축수 유입부(75)는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중앙을 중심으로 외측 원주방향으로 다수개 응축수 유입홀(76)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하우징(74)의 응축수 유입부(75)는 응축수가 하우징(74)의 높이 이상 저장되어 배출되는 과정에서 보다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중앙을 중심으로 테이퍼부(79)가 형성된다.
이는, 하우징(74)의 응축수 유입부(75)를 통해 수납된 응축수를 후술될 중화부재(78)로 이동시켜 통해 배출시키는 과정에서 응축수가 보다 원할하게 중화부재(78)로 이동되고 중화부재의 벽면을 따라 흐르지 않고 응축수가 골고루 퍼져 중화시킬 수 있도록 중앙상부에 테이퍼부(79)를 형성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74)의 설정 높이는 적용되는 보일러의 용량과 이와 연관관계를 갖는 응축수의 배출량 등을 감안하여 높이를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응축수 유입부(75)는 도 7 ~ 도 9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응축수 안내수단(200)을 형성하여 사용할 수 있다.
즉, 상기 응축수 안내수단(200)은 하우징(74)의 상부 중앙에서 하부로 소정의 단차를 갖고 하강되게 응축수 유입홀(76)을 형성하고, 상기 응축수 유입홀(76)의 외주면에는 응축수 유입홀(76)을 중심으로 응축수가 유도될 수 있는 가이드홈(210)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응축수는 상기 하우징(74)의 상부 외주면에서 내측 중심 하부의 응축수 유입홀(76)으로 형성되는 가이드홈(210)을 따라 응축수가 중화부재(78)로 집중되면서도, 용이하게 유입되어 응축수 중화처리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응축수 안내수단(200) 중 응축수 유입홀(76)의 내측 단부에는 응축수의 원할한 이동을 위하여 반복된 예각면(220)이 형성된다.
즉, 상기 응축수 유입홀(76)의 예각면(220)은 단부가 예각을 갖으며, 지그재그 방식으로 연속되게 형성되므로, 가이드홈(210)을 통해 유입된 응축수가 응축수 유입홀(76)의 내측단부에서 점성에 의해 응축수가 하부로 낙하되지 않고 머물려는 현상을 방지하여 응축수를 원할하게 내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하우징(74)의 몸체 상부로 형성되는 응축수 유입부(75)는 하우징(74)과의 성형 용이성을 위하여 각각 분리형성한 후 고주파 열융착에 의해 고정시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응축수 저장용기(70)의 하우징(74) 몸체 저면에 형성되는 끼움홈(77)에는 몸체 내측이 관통되게 구비되고, 몸체 저면에는 내측과 연통되는 배출구(73)가 형성되며, 몸체 내측 상부에서 중앙부로는 응축수 중화부재(78)가 설치되는 플러그부재(80)가 설치된다.
상기 플러그부재(80)는 몸체 내측으로 산성의 응축수를 중화시켜 배출시킬 수 있도록 중화부재(78)가 설치되는데 상기 중화부재(78)는 산성과 반응시 중화가 우수한 탄산칼슘재 중화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탄산칼슘재가 아닌 산성의 응축수를 중화시켜 중화처리할 수 있는 통상의 재료 및 성분 역시 본 발명의 구성에 포함된다.
즉, 상기 플러그부재(80)의 내측에 설치되는 중화부재(78)는 응축수 저장용기(70)로 유입되는 응축수와, 상기 응축수를 희석시켜 배출시킬 수 있도록, 통상적으로 급수밸브(50)의 개폐시점 및 개폐량을 자동 조절할 수 있도록, 마이컴의 제어신호에 부응하여 작동되는 수전자변(140)의 작동으로 사이펀(150)통해 유입되는 직수가 수납실(72)에서 상호 희석되면서, 1차적으로 응축수의 희석반응이 일어나고, 배출되는 시점에서 다시 플러그부재(80)의 내측에 설치되는 중화부재(78)에 의해 잔류된 산성성분을 중화처리 시켜 배출시킬 수 있으므로, 환경오염 문제를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플러그부재(80)의 몸체 저면 상부에는 하우징(74)의 내측 끼움홈(77)에 삽입된 후 혹시 발생될 수 있는 응축수의 누수를 방지하기 위하여 오링(82)이 설치되며, 몸체 저면부에는 사용자가 손쉽게 플러그부재(80)를 파지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미끄럼을 방지하는 너어링부(81)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플러그부재(80)의 내측 저면부에는 중화부재(78)를 통해 배출되는 응축처리수에 잔류된 이물질 및 찌거기가 그대로 배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메쉬부재(90)를 배출구(73)의 상부에 설치하여 사용하며, 상기 메쉬부재(90)의 외측으로는 중화부재(78)의 찌꺼기 등이 메쉬부재(90)를 막는 현상을 방지하는 단턱부(83)를 형성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플러그부재(80)의 내측 배출구(73)의 상부에 형성되는 메쉬부재(90)의 외측으는 소정의 높이를 갖고 돌출된 단턱부(83)가 형성되므로, 응축수가 중화부재(78)를 통해 중화되는 과정에서 중화부재(78)의 찌꺼기가 메쉬부재(90)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시켜 메쉬부재(90)의 원할한 역할 수행을 도울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필요에 따라 상기 응축수 저장용기(70)의 수납실(72) 일측단부에 보조배수수단(100)을 형성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는, 하수구 등에서 발생되는 역압으로 인해 배출구(73)를 통해 처리된 물이 배출되지 않거나, 과다한 응축수의 발생 및 직수의 공급으로 인해 상기 배출구(73)를 통해 외부로 모두 배출시키지 못할 경우을 대비하여 보조배수수단(100)을 형성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상기 보조배수수단(100)은 응축수 저장용기(70)의 수납실(72) 일측 단부에 내측이 관통되게 배수홀(120)이 형성된 오버플로우관(110)을 형성하여, 상기와 같은 현상 발생시 응축수를 외부로 원할하게 배출시킬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 경우 상기 보조배수수단(100)인 오버플로우관(110)의 높이를 하우징(74)의 설정 높이 보다 높게 설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응축수 저장용기(70)의 수납실(72) 바닥면에는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겨울철 장기간 보일러가 가동되지 않을 때 응축수 저장용기(70)내에 남아 있는 물이 동결되므로 인한 응축수 배출 불량 및 저장용기 자체의 동파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볼트(135)에 의해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드레인홀(130)을 형성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본 발명인 보일러의 응축수 처리장치는 응축수 저장용기의 내측 수납실 저면으로 몸체 상부에 응축수 유입부가 구비된 하우징이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의 내측으로는 중화부재가 구비된 플러그부재가 설치되어, 산성의 성질을 갖는 응축수를 중화시켜 배출시키므로,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종래의 응축수 처리장치에 비해 구성 및 구조가 비교적 간단하므로, 제품의 제작성 향상 및 이로 인한 제작단가를 저감시킬 수 있다.
그러므로, 제품의 신뢰성 및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10)

  1. 기름 또는 가스를 원료로 사용하는 버너(10)에 의해 그 내부로 공급되는 물을 원하는 온도로 가열시켜 주는 열교환기(20)와;
    상기 열교환기(20)의 일측 단부에 설치되며, 소정의 용적을 갖는 형성되는 시스턴(30)과;
    상기 시스턴(30)에서 열교환기(20)측으로 물을 강제 공급시켜 주는 순환펌프(40)와;
    상기 시스턴(30)에서 보충수를 계속 공급시켜 주는 급수밸브(50)와;
    상기 열교환기(20)의 저면으로 소정의 폭과 크기를 갖고 위치되며, 몸체 상부에는 열교환기에서 유입되는 응축수 유입공(61)과 오버플로우관 삽입홀(62)이 구비되는 뚜껑체(60)와;
    상기 뚜껑체(60)와 체결수단(71)에 의해 고정되며, 몸체 내측으로는 응축수의 수납실(72) 및 배출구(73)가 구비된 응축수 저장용기(70)로 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응축수 저장용기(70)의 수납실(72)에는 저면에서 상부방향에 대하여 소정의 폭과 높이를 갖고 돌출되게 형성되며, 몸체 상부에는 응축수를 중화부로 유입되는 유입부(75)가 구비되고, 몸체 저면부에는 끼움홈(77)이 형성된 하우징(74)이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74)의 끼움홈(77)에는 몸체 내측이 관통되게 구비되고, 몸체 저면에는 내측과 연통되는 배출구(73)가 형성되며, 몸체 내측 상부에서 중앙부로는 응축수 중화부재(78)가 설치되는 플러그부재(8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의 응축수 처리장치.
  2. 청구항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74)의 몸체 상부로 형성되는 응축수 유입부(75)는 중앙부의 내측을 중심으로 소정의 경사각을 갖는 테이퍼부(79)가 형성되고, 상기 테이퍼부(79)의 외측 원주방향으로는 다수개의 응축수 유입홀(76)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의 응축수 처리장치.
  3. 청구항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응축수 유입부(75)에는 하우징(74)의 상부 중앙에서 하부로 소정의 높이를 갖고 하강되게 응축수 유입홀(76)을 형성하고, 상기 응축수 유입홀(76)의 외주면에는 응축수 유입홀(76)을 중심으로 응축수가 유도될 수 있는 가이드홈(210)이 구비되는 응축수 안내수단(200)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의 응축수 처리장치.
  4. 청구항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응축수 유입홀(76)의 내측단부에는 응축수의 원할한 이동을 위하여 반복된 예각면(220)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의 응축수 처리장치.
  5. 청구항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부재(80)의 몸체 저면 외측으로는 사용자가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너어링부(81)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의 응축수 처리장치.
  6. 청구항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부재(80)의 내측 배출구(73) 상부로는 메쉬부재(90)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의 응축수 처리장치.
  7. 청구항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부재(80)의 배출구(73) 상부로 형성되는 메쉬부재(90)의 외측으로는 소정의 높이를 갖고 돌출된 단턱부(83)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의 응축수 처리장치.
  8. 청구항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응축수 저장용기(70)의 수납실(72) 일측 단부에는 보조배수수단(100)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의 응축수 처리장치.
  9. 청구항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배수수단(100)은 몸체 내측으로는 관통되게 배수홀(120)이 형성되는 오버플로우관(110)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의 응축수 처리장치.
  10. 청구항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응축수 저장용기(70)의 수납실(72) 바닥면에는 볼트(135)에 의해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드레인홀(130)이 형섬됨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의 응축수 처리장치.
KR10-2001-0029074A 2001-05-25 2001-05-25 보일러의 응축수 처리장치 KR1004259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29074A KR100425916B1 (ko) 2001-05-25 2001-05-25 보일러의 응축수 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29074A KR100425916B1 (ko) 2001-05-25 2001-05-25 보일러의 응축수 처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89964A true KR20020089964A (ko) 2002-11-30
KR100425916B1 KR100425916B1 (ko) 2004-04-03

Family

ID=277065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29074A KR100425916B1 (ko) 2001-05-25 2001-05-25 보일러의 응축수 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25916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5918B1 (ko) * 2001-06-01 2004-04-03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보일러의 응축수 처리장치
KR100426050B1 (ko) * 2001-06-01 2004-04-06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보일러의 응축수 처리장치
KR20040048131A (ko) * 2002-12-02 2004-06-07 주식회사 경동보일러 콘덴싱보일러의 중화장치
KR100472067B1 (ko) * 2001-06-01 2005-03-08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보일러의 응축수 처리장치
KR100899405B1 (ko) * 2007-10-04 2009-05-26 롯데알미늄 주식회사 보일러용 워터트랩
KR20190025106A (ko) * 2017-08-29 2019-03-11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보일러용 열교환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3330B1 (ko) * 2019-05-10 2020-02-04 (주) 지이에스앤씨 제지 공장의 스팀 절감 시스템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5918B1 (ko) * 2001-06-01 2004-04-03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보일러의 응축수 처리장치
KR100426050B1 (ko) * 2001-06-01 2004-04-06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보일러의 응축수 처리장치
KR100472067B1 (ko) * 2001-06-01 2005-03-08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보일러의 응축수 처리장치
KR20040048131A (ko) * 2002-12-02 2004-06-07 주식회사 경동보일러 콘덴싱보일러의 중화장치
KR100899405B1 (ko) * 2007-10-04 2009-05-26 롯데알미늄 주식회사 보일러용 워터트랩
KR20190025106A (ko) * 2017-08-29 2019-03-11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보일러용 열교환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25916B1 (ko) 2004-04-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90102A (en) Water heater and distiller apparatus
KR100425916B1 (ko) 보일러의 응축수 처리장치
US4479482A (en) Drain leg assembly
JP3791451B2 (ja) ドレン中和槽
KR200453569Y1 (ko) 보일러용 워터트랩
US6076271A (en) Garbage disposer
KR101876200B1 (ko) 가스보일러용 배기가스 차단장치
EP0920924B1 (en) Garbage disposer
KR200444631Y1 (ko) 보일러용 워터트랩
KR100422855B1 (ko) 열회수형 보일러의 응축수 희석 및 자동 배출장치
KR200176948Y1 (ko) 가스보일러용 응축수받이의 배기가스 차단장치
KR100899405B1 (ko) 보일러용 워터트랩
KR200362891Y1 (ko) 보일러의 응축수 사이펀구조
US11565955B2 (en) Condensate neutralizer
KR100501726B1 (ko) 절약형 열효율 향상 연탄 보일러
JP2003320379A (ja) ドレン中和槽
KR102372633B1 (ko) 중화제탱크 탈부착이 가능한 사이펀
KR100281467B1 (ko) 순환가열장치
KR20090003292U (ko) 보일러용 워터트랩
KR200333251Y1 (ko) 온수 보일러
KR200446568Y1 (ko) 보일러용 워터트랩
KR102501785B1 (ko) 빗물 배출 기능을 갖는 보일러
KR20020092006A (ko) 보일러의 응축수 처리장치
JP2008180463A (ja) ドレン中和器およびそのドレン中和器を用いた浴室構造
KR20120051984A (ko) 콘덴싱 보일러의 중화기 일체형 시스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30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