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89956A - 고압/저압 열교환기겸용 스팀보일러의 저압 열교환기응축수 배출 장치 - Google Patents

고압/저압 열교환기겸용 스팀보일러의 저압 열교환기응축수 배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89956A
KR20020089956A KR1020010029065A KR20010029065A KR20020089956A KR 20020089956 A KR20020089956 A KR 20020089956A KR 1020010029065 A KR1020010029065 A KR 1020010029065A KR 20010029065 A KR20010029065 A KR 20010029065A KR 20020089956 A KR20020089956 A KR 200200899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ensate
steam
heat exchanger
condensed water
storage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290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24898B1 (ko
Inventor
이준형
Original Assignee
이준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준형 filed Critical 이준형
Priority to KR10-2001-00290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24898B1/ko
Publication of KR200200899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899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248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24898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2STEAM GENERATION
    • F22DPREHEATING, OR ACCUMULATING PREHEATED, FEED-WATER FOR STEAM GENERATION; FEED-WATER SUPPLY FOR STEAM GENERATION; CONTROLLING WATER LEVEL FOR STEAM GENERATION; AUXILIARY DEVICES FOR PROMOTING WATER CIRCULATION WITHIN STEAM BOILERS
    • F22D5/00Controlling water feed or water level; Automatic water feeding or water-level regulators
    • F22D5/26Automatic feed-control systems
    • F22D5/34Applications of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2STEAM GENERATION
    • F22DPREHEATING, OR ACCUMULATING PREHEATED, FEED-WATER FOR STEAM GENERATION; FEED-WATER SUPPLY FOR STEAM GENERATION; CONTROLLING WATER LEVEL FOR STEAM GENERATION; AUXILIARY DEVICES FOR PROMOTING WATER CIRCULATION WITHIN STEAM BOILERS
    • F22D5/00Controlling water feed or water level; Automatic water feeding or water-level regulators
    • F22D5/08Controlling water feed or water level; Automatic water feeding or water-level regulators with float-actuated valves
    • F22D5/10Controlling water feed or water level; Automatic water feeding or water-level regulators with float-actuated valves and with pistons or membranes unitary with the feed inlet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2STEAM GENERATION
    • F22DPREHEATING, OR ACCUMULATING PREHEATED, FEED-WATER FOR STEAM GENERATION; FEED-WATER SUPPLY FOR STEAM GENERATION; CONTROLLING WATER LEVEL FOR STEAM GENERATION; AUXILIARY DEVICES FOR PROMOTING WATER CIRCULATION WITHIN STEAM BOILERS
    • F22D7/00Auxiliary devices for promoting water circu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 Of Steam Boilers And Waste-Gas Boil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팀보일러 시스템(System)에 관한 것으로, 스팀보일러에서 생성된 스팀을 이용하여 고압 및 저압 열교환기를 동시에 가동시킨 다음 발생된 응축수를 재사용하는 폐쇄 회로 순환식 보일러에서 저압 열교환기에서 발생된 응축수를 응축수 회수탱크측으로 드레인(Drain)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열원에 의해 물을 가열하여 스팀을 발생시키는 보일러(2)와, 상기 보일러에서 생성된 스팀을 이용하는 열교환기(4)와, 상기 열교환기에서 열교환이 이루어짐에 따라 발생된 응축수를 저장하는 응축수 회수탱크(6)와, 상기 응축수 회수탱크내의 응축수를 응축수-스팀 분리 저장탱크(14)측으로 공급하는 응축수 및 혼합유체 회수 순환펌프(12)와, 스팀과 응축수를 분리하여 스팀은 순환씨스템으로 재순환시키고 응축수는 보일러에 급수하기 위해 저장하는 응축수-스팀 분리 저장탱크(14)와, 이들을 연결하는 배관과 여러 조절밸브로 구성된 폐쇄회로 순환식 스팀보일러에 있어서, 고압 열교환기(4a) 및 저압 열교환기(4b)로 이루어져 보일러에서 발생된 스팀이 배관(3)을 통해 공급되는 열교환기(4)와, 상기 저압 열교환기로 공급되는 배관상에 설치되어 저압 열교환기(4b)로 공급되는 스팀의 압력을 감압시키는 감압밸브(24)와, 상기 저압 열교환기와 드레인관(26)으로 연결되어 저압 열교환기에서 발생된 응축수가 담겨지는 응축수 저장탱크(25)와, 상기 응축수 저장탱크와 응축수 회수탱크사이에 연결된 제 2 응축수 회수배관(28)과, 상기 배관과 응축수 저장탱크사이에 연결되어 응축수 저장탱크내에 고압이 작용되도록 하는 연장관(29)과, 상기 연장관상에 설치되어 응축수 저장탱크내의 응축수 배출시기가 감지됨에 따라 응축수 저장탱크내에 고압이 작용되도록 관로를 개방하는 솔레노이드 밸브(30)와, 상기 응축수 저장탱크내에 설치되어 응축수가 채워짐에 따라 상승하여 솔레노이드의 접점을 온시키는 플로터(31)로 구성된 것이다.

Description

고압/저압 열교환기겸용 스팀보일러의 저압 열교환기 응축수 배출 장치{Condensate water discharging device of low pressure heat exchanger in steam boiler system}
본 발명은 스팀 보일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구체적으로는 스팀보일러에서 생성된 스팀을 이용하여 고압 및 저압 열교환기를 동시에 가동시킨 다음 발생된 응축수를 재사용하는 폐쇄 회로 순환식 보일러에서 저압 열교환기에서 발생된 응축수를 응축수 회수탱크측으로 드레인시키기 위한 고압/저압 열교환기겸용 스팀보일러의 저압 열교환기 응축수 배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스팀보일러의 구성을 나타낸 개략도로서, 그 구성을 살펴보면 버너(1)의 가열에 의해 물을 가열하여 스팀을 발생시키는 보일러(2)와, 상기 보일러에서 발생된 스팀이 배관(3)을 통해 공급됨에 따라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열교환기(4)와, 상기 열교환기에서 발생된 응축수의 배출을 위한 스팀 트랩(5)과, 상기 열교환기에서 열교환이 이루어짐에 따라 발생된 응축수가 담겨지는 응축수 회수탱크(6), 상기 응축수 회수탱크내의 응축수를 보일러측으로 강제 압송하는 펌프(7)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버너(1)의 가열에 의해 보일러(2)에서 고압의 스팀이 발생되면 스팀은 배관(3)을 따라 열교환기(4)로 보내져 열교환이 이루어지게 되므로 냉각되어 응축수(8)로 변환된다.
이 때, 응축수 회수장치내의 스팀 트랩(5)으로부터 응축수는 대기 압력(9) 상태로 유지되어 응축수 회수탱크(6)로 모아지고, 스팀은 대기로 개방된 공기 및스팀배관(10)을 통해 배출되는데, 응축수 회수탱크(6)내에 응축수가 부족하면 보충수 밸브(11)를 통해 보충수가 공급된다.
그러나 이러한 일반적인 스팀 보일러 시스템은 응축수 회수탱크(11)에서 대기로 배출되는 증발손실이 많아 자연적으로 물이 줄어들게 되므로 보충수 밸브(11)를 통해 지속적으로 보충수를 보충해 주어야 되었다.
이에 따라, 보충수에 포함된 경도성분을 제거하기 위해 청관제를 투입하여야 되었음은 물론 배관 및 보일러내에 발생하는 스케일의 제거를 위한 세관작업 등이 필요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스팀 트랩(5)에 의한 응축수의 배출은 에너지가 낭비되는 결과를 초래하게 되었음은 물론 환경을 오염시키는 문제점도 발생되었다.
상기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기존 보일러 시스템의 응축수 회수장치에서 스팀 트랩을 제거하고, 응축수-스팀 혼합유체를 분리하기 위한 응축수-스팀 분리 저장 탱크와, 응축수-스팀 혼합유체를 응축수-스팀 분리 저장탱크로 유출시키는 응축수 및 스팀 혼합유체 회수 순환펌프를 사용하여 폐쇄 회로 싸이클을 구성함으로써 응축수 회수탱크에서 대기로 배출되는 증발을 억제하고 열 효율을 높이는 폐쇄회로 순환식 스팀보일러 시스템이 출원인에 의해 선출원되어 특허 제221493호로 등록된 바 있다.
도 2는 종래 폐쇄회로 순환식 스팀보일러의 구성을 나타낸 개략도로서, 그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보일러(2)와, 열교환기(4)와, 밀폐식 응축수 회수탱크(6)와, 응축수 및 스팀혼합유체 회수 순환펌프(12)와, 폐열 회수기(13)와, 응축수-스팀 분리 저장탱크(14)와, 이들을 연결하는 배관 및 여러 조절 밸브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응축수 및 스팀 혼합유체 회수 순환펌프(12)는 독일 Crane Pumps & Systems 사의 CS series 펌프로서 고온의(약 160℃) 응축수-스팀 혼합유체(15)를 볼 밸브(16)를 통해 응축수-스팀 분리 저장탱크(14)측으로 펌핑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응축수-스팀 분리 저장탱크(14)는 내부에서 응축수-스팀 혼합유체(15)를 스팀(17)과 응축수(8)로 분리하여 분리된 스팀(17)을 보일러(2)에서 발생된 스팀과 같이 재순환 싸이클에 공급하게 되는데, 이 때 분리된 응축수(8)는 보일러(2)의 보일러 수위조절 전극봉 스위치(18)의 동작에 따라 보일러 보충수 전자밸브(19)를 통하여 보일러(2)와 응축수-스팀 분리 저장탱크(14)의 동일 압력 하에서 보일러(2)의 수위와 응축수-스팀 분리 저장탱크(14)의 수위 낙차에 의하여 보일러(2)의 내부로 자동 급수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폐쇄회로 순환식 스팀보일러는 보일러 수위 조절 전극봉 스위치(18)에 의하여 응축수-스팀 분리 저장탱크(14)로부터 보일러 보충수 전자 밸브(19)를 통해 유입된 응축수(8)를 버너(1)의 구동에 의해 가열한다.
이에 따라, 가열된 응축수(8)는 스팀(17)으로 변환되어 응축수-스팀 분리 저장탱크(14)로부터 분리된 스팀과 혼합된 다음 스팀 공급 조절밸브(20)를 거쳐 열교환기(4)로 공급된다.
상기 열교환기(4)에서 열 교환된 스팀은 일부 응축되어 응축수-스팀 혼합유체(15)로 변환되고, 발생된 응축수(8)는 밀폐식 응축수 회수탱크(6)로 모이게 된다.
상기 밀폐식 응축수 회수탱크(6) 내에서 일정 수위 이상으로 응축수가 저장되면 플로터 스위치(21)에 의하여 상기 응축수-스팀 혼합유체(15)는 상기 응축수 및 스팀 혼합유체 회수 순환펌프(12)를 작동시키게 되므로 응축수가 응축수-스팀 분리 저장탱크(14)로 재유입된다.
상기 응축수 및 스팀 혼합유체 회수 순환펌프(12)에 의하여 응축수-스팀 혼합유체(15)는 스톱 밸브(22)와 체크 밸브(23)를 거쳐 A 지점으로 유입된다.
A 지점에서 응축수-스팀 혼합유체(15)는 응축수-스팀 분리 저장탱크(14)로부터 볼 밸브(16)를 통과한 일부 응축수와 혼합되며, 응축수 및 혼합유체 회수 순환펌프(12)에 의하여 가속된 응축수-스팀 혼합유체(15)에 의하여 응축수-스팀 분리 저장탱크(14)로부터 유출된 일부 응축수도 유속이 증가하여 폐열회수기(13)로 유입된다.
상기 폐열회수기(13)에 의하여 응축수-스팀 혼합유체(15)는 일부 기화하여 스팀의 비율이 보다 증가 되며, 따라서 상기 응축수-스팀 분리 저장탱크(14)로부터 보일러(2)로 유입되는 응축수의 비율이 낮아지므로 보다 높은 효율을 얻을 수 있게 된다.
상기 폐열회수기(13)를 통한 응축수-스팀 혼합유체(15)는 상기 응축수-스팀 분리 저장탱크(14)로 유입되어 응축수-스팀 분리 저장탱크(14)내에서 스팀과 응축수로 분리된다.
분리된 스팀은 보일러(2)에서 발생한 스팀과 혼합되어 다시 싸이클로 들어가고, 응축수는 보일러 보충수 전자밸브(19)에 의하여 보일러(2)로 유입되어 재 가열되므로 스팀을 열교환기(4)측으로 계속해서 공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스팀보일러는 개방형 응축수 탱크에서 배출되던 증기의 배출을 억제하여 시스템의 열 효율을 높이고 보일러의 가동시 보충수의 추가 공급이 불필요하므로 보충수의 추가 공급에 따른 배관 및 보일러 내부의 스케일의 발생을 억제하는 잇점을 갖는 반면, 고압 열교환기와 저압 열교환기를 동시에 사용하는 스팀보일러인 경우에는 저압 열교환기에서 발생된 응축수를 재회수할 수 없게 되는 폐단이 발생되어 고압 열교환기와 저압 열교환기를 동시에 사용할 수 없는 눈제점이 발생되었다.
즉, 저압 열교환기에서 발생된 응축수가 모이는 응축수 저장탱크가 고압 열교환기와 배관으로 연결되어 있어 고압이 작용되므로 저압 열교환기에서 발생된 응축수가 응축수 저장탱크내에 일정량 차이더라도 압력차이에 의해 배출되지 못하였으므로 저압 열교환기에서 발생된 응축수를 회수하지 못하여 폐쇄회로 순환식 스팀보일러에서 고압 열교환기와 저압 열교환기를 동시에 사용할 수 없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그 구조를 개선하여 저압 열교환기에서 발생된 응축수가 응축수 저장탱크내에 일정량 차이게 되면 응축수 저장탱크내에 고압 열교환기측의 고압이 작용되도록 하여 응축수 저장탱크내에 있던 응축수가 응축수 회수탱크측으로 드레인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형태에 따르면, 열원에 의해 물을 가열하여 스팀을 발생시키는 보일러와, 상기 보일러에서 생성된 스팀을 이용하는 열교환기 및 열사용 설비기기와, 상기 열교환기에서 열교환이 이루어짐에 따라 발생된 응축수를 저장하는 응축수 회수탱크와, 상기 응축수 회수탱크내의 응축수를 응축수-스팀 분리 저장탱크측으로 공급하는 응축수 및 혼합유체 회수 순환펌프와, 스팀과 응축수를 분리하여 스팀은 순환씨스템으로 재순환시키고 응축수는 보일러에 급수하기 위해 저장하는 응축수-스팀 분리 저장탱크와, 이들을 연결하는 배관과 여러 조절밸브로 구성된 폐쇄회로 순환식 스팀보일러에 있어서, 고압 열교환기 및 저압 열교환기로 이루어져 보일러에서 발생된 스팀이 배관을 통해 공급되는 열교환기와, 상기 저압 열교환기로 공급되는 배관상에 설치되어 저압 열교환기로 공급되는 스팀의 압력을 감압시키는 감압밸브와, 상기 저압 열교환기와 드레인관으로 연결되어 저압 열교환기에서 발생된 응축수가 담겨지는 응축수 저장탱크와, 상기 응축수 저장탱크와 응축수 회수탱크사이에 연결된 제 2 응축수 회수배관과, 상기 배관과 응축수 저장탱크사이에 연결되어 응축수 저장탱크내에 고압이 작용되도록 하는 연장관과, 상기 연장관상에 설치되어 응축수 저장탱크내의 응축수 배출시기가 감지됨에 따라 응축수 저장탱크내에 고압이 작용되도록 관로를 개방하는 솔레노이드 밸브와, 상기 응축수 저장탱크내에 설치되어 응축수가 채워짐에 따라 상승하여 솔레노이드의 접점을 온시키는 플로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저압 열교환기겸용 스팀보일러의 저압 열교환기 응축수 배출장치가 제공된다.
도 1은 일반적인 스팀보일러의 구성을 나타낸 개략도
도 2는 종래 폐쇄회로 순환식 스팀보일러의 구성을 나타낸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된 고압/저압 열교환기겸용 스팀보일러의 구성을 나타낸 개략도
*도면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보일러3 : 배관
4a : 고압 열교환기4b : 저압 열교환기
6 : 응축수 회수탱크14 : 응축수-스팀 분리 저장탱크
24 : 감압밸브25 : 응축수 저장탱크
26 : 드레인관28 : 제 2 응축수 회수배관
29 : 연장관30 : 솔레노이드 밸브
31 : 플로터
이하, 본 발명을 일 실시예로 도시한 도 3을 참고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된 고압/저압 열교환기겸용 스팀보일러의 구성을 나타낸 개략도로서, 본 발명의 구성 중 종래의 구성과 동일한 부분은 그 설명을 생략하고 동일 부호를 부여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보일러(2)의 가동으로 발생된 스팀이 공급됨에 따라 열교환이 이루어져 물을 데우거나, 난방을 하는 열교환기(4)가 고압 열교환기(4a) 및 저압 열교환기(4b)로 이루어져 상기 고압 열교환기(4a) 및 저압 열교환기(4b)가 보일러(2)와 배관(3)으로 연결되어 있는데, 저압 열교환기(4b)와 연결된 배관(3)상에는 스팀의 압력을 감압시키는 감압밸브(24)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보일러(2), 고압 열교환기(4a), 저압 열교환기(4b)와 근접된 부위에는 스팀의 공급을 제어하기 위한 조절밸브(20a)(20b)(20c)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저압 열교환기(4b)에는 상기 저압 열교환기에서 열교환이 이루어짐에 따라 발생된 응축수를 저장하기 위한 응축수 저장탱크(25)가 드레인관(26)으로 연결되어 있고 상기 고압 열교환기(4a)와 응축수 회수탱크(6)사이에는 고압 열교환기에서 발생된 응축수를 드레인시키는 제 1 응축수 회수배관(27)이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제 1 응축수 회수배관상에는 응축수 저장탱크(25)내에 모여진 응축수를 응축수 회수탱크(6)측으로 드레인시키는 제 2 응축수 회수배관(26)이 연결되어 있다.
한편, 고압의 스팀이 작용되는 배관(3)과 응축수 저장탱크(25)사이에 연장관(29)이 연결되어 필요에 따라 응축수 저장탱크(25)내에 고압이 작용되도록 되어 있고 상기 연장관상에는 응축수 저장탱크(25)내의 응축수 배출시기가 감지됨에 따라 응축수 저장탱크(25)내에 고압이 작용되도록 관로를 개방하는 솔레노이드 밸브(30)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응축수 저장탱크내에는 응축수가 채워짐에 따라 상승하여 솔레노이드의 접점을 온시키는 플로터(31)가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전원의 인가로 응축수 공급펌프(31)가 구동하면 응축수-스팀 분리 저장탱크(14)내에 담겨져 있던 응축수(8)가 보일러(2)측으로 공급되므로 공급된 응축수가 버너(1)의 구동에 의해 가열된다.
이에 따라, 가열된 응축수(8)는 고압의 스팀(17)으로 변환되어 응축수-스팀 분리 저장탱크(14)로부터 분리된 스팀과 혼합된 다음 조절밸브(20b)(20c)를 거쳐 고압 열교환기(4a) 및 저압 열교환기(4b)측으로 공급되는데, 상기 저압 열교환기측으로 공급되는 고압의 스팀은 배관(3)상에 설치된 감압밸브(24)를 통과하면서 그 압력이 떨어지게 된다.
상기 고압 열교환기(4a)에서 열 교환된 스팀은 일부 응축되어 응축수-스팀 혼합유체(15)로 변환되어 제 1 응축수 회수배관(27)을 통해 응축수 회수탱크(6)로 모이지만, 저압 열교환기(4b)에서 열 교환되어 일부 응축된 응축수-스팀 혼합유체(15)는 드레인관(26)을 통해 응축수 저장탱크(25)에 모이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저압 열교환기(4b)에서 열교환이 이루어짐에 따라 발생되어 응축수 저장탱크(25)내에 모여지는 응축수는 고압이 작용되고 있는 제 1 응축수 회수배관(27)과 연결되어 있어 압력 차이가 발생되므로 응축수가 응축수 회수탱크(6)측으로 배수되지 못하고 차이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응축수 저장탱크(25)내에 설치된 플로터(31)가 응축수가 채워짐에 따라 상승하게 된다.
상기 저압 열교환기(4b)의 가동으로 발생된 응축수가 응축수 저장탱크(25)내에 채워지므로 인해 상기 응축수 저장탱크내에 설치된 플로터(31)가 상승하여 응축수 배출시기에 도달하면, 즉 플로터(31)가 상승하여 연장관(29)상에 설치된 솔레노이드 밸브(30)의 접점을 온시키면 솔레노이드 밸브(30)가 구동하여 연장관(29)의 관로를 개방시키게 되므로 응축수 저장탱크(25)내에 순간적으로 고압이 작용되고, 이에 따라 응축수 저장탱크(25)내에 차여져 있던 응축수가 제 2 응축수 회수배관(28)을 통해 응축수 회수탱크(6)로 배출된다.
이와 같이 응축수 저장탱크(25)내의 응축수가 응축수 회수탱크(6)로 배수되어 응축수 저장탱크(25)내에서 응축수에 의해 상승하였던 플로터(31)가 자중에 의해 하강하므로 인해 솔레노이드 밸브(30)의 접점이 떨어지면 솔레노이드 밸브(30)의 구동이 중단되어 연장관(29)의 관로를 폐쇄하게 되므로 저압 열교환기(4b)에서 발생된 응축수가 응축수 저장탱크(25)내에 다시 채워지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동작으로 응축수 회수탱크(6)내에 일정량이상의 응축수가 채워지면 응축수 및 혼합유체 회수 순환펌프(12)가 구동하여 응축수를 응축수-스팀 분리 저장탱크(14)측으로 강제 압송하게 되므로 분리된 스팀을 배관(3)으로 제순환시킴과 동시에 응축수를 보일러(2)에 공급하여 가열시키게 되므로 발생된 스팀을 계속해서 고압 열교환기(4a) 및 저압 열교환기(4b)측으로 공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고압의 스팀이 공급되는 배관을 응축수 저장탱크측에 연결하고 상기 배관상에는 응축수 저장탱크내의 플로터에 의해 동작하는 솔레노이드 밸브를 설치하여 응축수 저장탱크내의 플로터가 응축수의 양을 검출하여 솔레노이드 밸브를 온(On)시킴에 따라 응축수 저장탱크내에 고압이 순간적으로 걸리도록 하므로써 응축수 저장탱크내에 모였던 응축수가 응축수 회수탱크측으로 드레인되므로 폐쇄 회로 순환식 스팀보일러에서 고압 및 저압 열교환기를 동시에 사용할 수 있게 됨은 물론 스팀보일러의 가동시 보충수를 공급하지 않아도 되므로 배관 및 보일러 내부에서 스케일이 발생되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하게 되는 효과를 얻게 된다.

Claims (1)

  1. 열원에 의해 물을 가열하여 스팀을 발생시키는 보일러와, 상기 보일러에서 생성된 스팀을 이용하는 열교환기 및 열사용 설비기기와, 상기 열교환기에서 열교환이 이루어짐에 따라 발생된 응축수를 저장하는 응축수 회수탱크와, 상기 응축수 회수탱크내의 응축수를 응축수-스팀 분리 저장탱크측으로 공급하는 응축수 및 혼합유체 회수 순환펌프와, 스팀과 응축수를 분리하여 스팀은 순환씨스템으로 재순환시키고 응축수는 보일러에 급수하기 위해 저장하는 응축수-스팀 분리 저장탱크와, 이들을 연결하는 배관과 여러 조절밸브로 구성된 폐쇄회로 순환식 스팀보일러에 있어서, 고압 열교환기 및 저압 열교환기로 이루어져 보일러에서 발생된 고압의 스팀이 배관을 통해 공급되는 열교환기와, 상기 저압 열교환기로 공급되는 배관상에 설치되어 저압 열교환기로 공급되는 스팀의 압력을 감압시키는 감압밸브와, 상기 저압 열교환기와 드레인관으로 연결되어 저압 열교환기에서 발생된 응축수가 담겨지는 응축수 저장탱크와, 상기 응축수 저장탱크와 응축수 회수탱크사이에 연결된 제 2 응축수 회수배관과, 상기 배관과 응축수 저장탱크사이에 연결되어 응축수 저장탱크내에 고압이 작용되도록 하는 연장관과, 상기 연장관상에 설치되어 응축수 저장탱크내의 응축수 배출시기가 감지됨에 따라 응축수 저장탱크내에 고압이 작용되도록 관로를 개방하는 솔레노이드 밸브와, 상기 응축수 저장탱크내에 설치되어 응축수가 채워짐에 따라 상승하여 솔레노이드의 접점을 온시키는 플로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저압 열교환기겸용 스팀보일러의 저압 열교환기 응축수 배출장치.
KR10-2001-0029065A 2001-05-25 2001-05-25 고압/저압 열교환기겸용 스팀보일러의 저압 열교환기응축수 배출 장치 KR1004248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29065A KR100424898B1 (ko) 2001-05-25 2001-05-25 고압/저압 열교환기겸용 스팀보일러의 저압 열교환기응축수 배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29065A KR100424898B1 (ko) 2001-05-25 2001-05-25 고압/저압 열교환기겸용 스팀보일러의 저압 열교환기응축수 배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89956A true KR20020089956A (ko) 2002-11-30
KR100424898B1 KR100424898B1 (ko) 2004-03-27

Family

ID=277065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29065A KR100424898B1 (ko) 2001-05-25 2001-05-25 고압/저압 열교환기겸용 스팀보일러의 저압 열교환기응축수 배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2489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214316A1 (zh) * 2017-05-25 2018-11-29 广州无添加主义化妆品有限公司 一种无菌液体原料灌装设备
CN109441579A (zh) * 2018-10-17 2019-03-08 郑州赛为机电设备有限公司 一种电站弃热回收装置及节能系统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3247B1 (ko) 2013-01-23 2013-06-10 영일펌프테크(주) 재증발 증기 및 응축수 회수장치
CN108813686B (zh) * 2018-05-10 2021-07-02 沈阳市农祥牧业科技有限公司 一种饲料造粒用蒸汽输送管路系统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20074A (ko) * 1992-03-02 1993-10-19 박영후 중기 보일러의 배관 회로의 시스템
JPH08247406A (ja) * 1995-02-17 1996-09-27 Spirax Sarco Ltd 蒸気プラント回路のドレン回収システム
KR100221493B1 (ko) * 1996-08-19 1999-09-15 이준형 폐쇄 회로 순환식 준형 스팀 보일러 시스템
JP2000257806A (ja) * 1999-03-08 2000-09-22 Nippon Steel Corp 熱交換器のドレン回収システム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214316A1 (zh) * 2017-05-25 2018-11-29 广州无添加主义化妆品有限公司 一种无菌液体原料灌装设备
CN109441579A (zh) * 2018-10-17 2019-03-08 郑州赛为机电设备有限公司 一种电站弃热回收装置及节能系统
CN109441579B (zh) * 2018-10-17 2024-01-09 郑州赛为机电设备有限公司 一种电站弃热回收装置及节能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24898B1 (ko) 2004-03-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73829A (en) Steam power plant
KR102076696B1 (ko) 폐쇄회로 순환식 증기보일러의 압력이 다른 응축수 회수장치
CN102132107A (zh) 燃料电池废热发电系统
CN105957567A (zh) 一种蒸汽发生器二次侧非能动余热排出系统
JP6359321B2 (ja) 真空式温水機
CN210772106U (zh) 一种锅炉排污扩容器蒸汽回收系统
KR100424898B1 (ko) 고압/저압 열교환기겸용 스팀보일러의 저압 열교환기응축수 배출 장치
US5918570A (en) Deaerated feedwater supply system for a boiler system and a method for deaerating boiler feedwater
CN112484013B (zh) 一种除氧器排汽自动调节与余热利用装置
CA3068559C (en) Steam-generating unit of dual circuit reactor with purge and drain system
KR100221493B1 (ko) 폐쇄 회로 순환식 준형 스팀 보일러 시스템
US20150211731A1 (en) Processed vapor make-up process and system
CN212719686U (zh) 干熄焦锅炉供水系统
CN219640232U (zh) 一种排水回收系统
JP2020512522A (ja) 縦型の強制流動蒸気発生器における水の再循環
JPS6341789A (ja) セパレ−ト型廃熱回収装置
JP3298956B2 (ja) ボイラー給水装置
KR101444142B1 (ko) 해상구조물의 폐열 회수 장치
KR20190114601A (ko) 피동 안전주입장치 및 이를 구비한 원자로
CN113154352B (zh) 一种冷凝液高效回收装置及工艺
CN201228565Y (zh) 抽凝式汽轮机发电系统
CN212720920U (zh) 一种燃烧炉余热回收制冷系统
JP2009275997A (ja) 復水回収装置
CN116066044A (zh) 油田采油井用高温高压电蒸汽发生注汽系统
Singhal Improving Condensate Removal and Collecting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31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