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89645A - 블루투스 및 인공지능 복합 단말기 - Google Patents

블루투스 및 인공지능 복합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89645A
KR20020089645A KR1020010028450A KR20010028450A KR20020089645A KR 20020089645 A KR20020089645 A KR 20020089645A KR 1020010028450 A KR1020010028450 A KR 1020010028450A KR 20010028450 A KR20010028450 A KR 20010028450A KR 20020089645 A KR20020089645 A KR 200200896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uetooth
artificial intelligence
mode
terminal
public pl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284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인준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284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89645A/ko
Publication of KR200200896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89645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04M1/7245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according to context-related or environment-related condi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0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Bluetooth interface

Abstract

본 발명은 블루투스 및 인공지능 복합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종래 단말기는 공공장소에서도 사용자가 착신음 선택모드를 진동모드로 전환하지 않으면 계속 벨소리 모드로 설정되어 있어, 사용자의 실수 등에 의해 모드의 전환을 하지 않는 경우, 다른 사람에게 피해를 줄수 있으며, 주변의 소음에 따라 통화음량을 사용자가 직접 조절해야 함으로써, 사용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한 본 발명은 공공장소에 설치된 블루투스 제어기와의 통신을 통하여 공공장소 내에서는 착신모드를 진동 또는 무음 모드로 전환하고, 공공장소 이외의 지역에서는 이전의 착신모드로 전환되도록 제어하는 블루투스 칩과; 사용자의 설정시간에 따라 자동으로 착신모드를 변환함과 아울러 통화시 주변의 잡음을 그 잡음의 정도에 따라 다단계의 분류로 판단하여, 그에 해당하는 통화음량을 결정하는 인공지능 칩을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공공장소 내에서만 자동으로 착신모드가 무음 또는 진동모드로 전환되며, 인공지능을 이용하여 설정시간을 입력하여 특정한 시간대에는 자동으로 착신모드가 무음 또는 진동 모드로 변환되도록 함으로써, 다른 사람에게 피해를 주지 않으며, 공공장소에 입장할때 마다 착신모드를 직접 변경하는 번거로움을 제거하는 효과와 아울러 소음의 다단계 분류를 통해 주변의 상황에 적합한 통화음량을 자동으로 설정해 주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블루투스 및 인공지능 복합 단말기{TERMINAL FOR COMPOUND OF BLUETOOTH AND ARTIFICIAL INTELLIGENCE}
본 발명은 블루투스 및 인공지능 복합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블루투스를 사용하여 공공장소에서 강제로 단말기를 무음모드로 전환하고, 인공지능을 이용하여 상황에 맞는 통화음량 등을 결정할 수 있는 블루투스 및 인공지능 복합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근래 공공장소에서 셀룰러 폰 사용을 금지하는 것을 법제화하는 나라들이 생겨나고 있는 추세이며, 우리나라에서도 공공장소에 셀룰러 폰의 전파를 차단시키는 목적의 소형 제어장치를 설치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이와 같이 공공장소에서 다른 사람들에게 피해를 주면서 큰소리로 통화하는 것을 금지하거나, 벨소리를 진동으로 전환하도록 하는 권유하는 방법은 현재까지는 매우 소극적으로, 그 계도의 한계성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통화 음량을 자동으로 제어하기 위해 단말기의 마이크 입력단을 통해 들어오는 배경 잡음을 기준 레벨과 비교하여, 단말기의 오디오 입출력단의 이득값을 제어하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으나, 그 제어단계가 고정되어 있고, 배경 잡음의 연관성과 차별성에는 상관없이 모두 동일한 잡음으로 인식하여, 주변 상황을 정확하게 고려한 통화 음량 제어라고 볼 수 없다.
그리고, 상기 통화 음량의 이득값의 가감 범위가 현재는 6Db 정도이며, 이 이상의 범위를 제어하기 위해서는 사이드 키등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직접 통화음량을 제어해야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 단말기는 공공장소에서도 사용자가 착신음 선택모드를 진동모드로 전환하지 않으면 계속 벨소리 모드로 설정되어 있어, 사용자의 실수 등에 의해 모드의 전환을 하지 않는 경우, 다른 사람에게 피해를 줄수 있으며, 주변의 소음에 따라 통화음량을 사용자가 직접 조절해야 함으로써, 사용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한 본 발명은 공공장소에서 자동으로 착신음 선택모드를 진동으로 변환하며, 수변의 소음을 정확하게 판단하여 최적화된 통화음량을 자동으로 설정하는 블루투스 및 인공지능 복합 단말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1은 본 발명 블루투스 및 인공지능 복합단말기를 이용한 서비스망의 구성도.
도2는 본 발명 블루투스 및 인공지능 복합단말기의 통화 음량 제어순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입력장치 또는 데이터소스2:외부제어장치
3:블루투스 및 인공지능 복합 단말기
상기와 같은 목적은 공공장소에 설치된 블루투스 제어기와의 통신을 통하여 공공장소 내에서는 착신모드를 진동 또는 무음 모드로 전환하고, 공공장소 이외의 지역에서는 이전의 착신모드로 전환되도록 제어하는 블루투스 칩과; 사용자의 설정시간에 따라 자동으로 착신모드를 변환함과 아울러 통화시 주변의 잡음을 그 잡음의 정도에 따라 다단계의 분류로 판단하여, 그에 해당하는 통화음량을 결정하는 인공지능 칩을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달성되는 것으로, 이와 같은 본 발명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본 발명 블루투스 및 인공지능 복합 단말기와 이를 제어하는 요소들의 구성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공공장소에 설치되며, 블루투스 칩을 포함하여제어신호를 전송하며, 입력장치 또는 데이터 소스(1)의 정보 및 데이터를 양방향으로 전송하는 외부제어장치(2)와; 블루투스 칩과 인공지능 칩을 포함하여 상기 외부제어장치(2)의 제어신호를 인가받아, 착신음 모드를 진동으로 변환함과 아울러 외부의 소음을 검출하여 그 소음을 다단계로 분할된 기준치와 비교하여 통화음량을 결정하는 단말기(3)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동작을 좀 더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공공장소에 블루투스 칩을 포함하는 외부제어장치(2)를 설치해두고, 사람들이 휴대하는 블루투스 및 인공지능 복합단말기(3)를 제어하게 된다.
이와 같이 공공장소에 외부제어장치(2)를 설치해둔 상태에서 특정 단말기 사용자가 블루투스 및 인공지능 복합단말기(3)를 휴대하고 공공장소에 들어서면, 상기 외부제어장치(2)는 블루투스 및 인공지능 복합단말기(3)와의 통신을 요청하고, 그 블루투스 및 인공지능 복합단말기(3)의 응답이 있으면, 제어신호를 그 블루투스 및 인공지능 복합단말기(3)로 송신한다.
그 다음, 상기 제어신호를 인가받은 블루투스 및 인공지능 복합단말기(3)의 블루투스칩은 상기 외부제어장치(2)의 제어신호가 입력됨을 블루투스 및 인공지능 복합단말기(3)에 내장된 마이크로 프로세서에 인식시킨다.
그 다음,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는 상기 외부제어장치(2)의 제어신호에 따라 블루투스 및 인공지능 복합단말기(3)의 착신음모드를 진동 또는 무음모드로 변환한다.
이와 같이 자동으로 착신음모드가 변경되어, 공공장소에서는 모든 단말기가진동 또는 무음모드로 설정되어 다른 사람에들에게 피해를 주는 멜로디 또는 벨소리를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게 된다.
그 다음, 상기 블루투스 및 인공지능 복합단말기(3) 내의 블루투스 칩은 일정한 시간간격으로 상기 외부제어장치(2)와의 통신을 통해 그 외부제어장치(2)의 제어신호가 수신되는 지를 파악하여, 그 외부제어장치(2)의 통제권역 내에 있다는 것으로 판단하여, 현재 진동 또는 무음모드로 설정된 착신음모드를 유지한다.
그러나, 상기의 과정에서 사용자가 공공장소를 벋어나, 외부제어장치(2)의 통제권역의 밖으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블루투스 및 인공지능 복합단말기(3)의 블루투스칩은 제어신호가 더이상 수신되지 않음을 확인하고, 블루투스 및 인공지능 복합단말기(3)의 착신음 모드를 이전의 착신음 모드인 벨소리모드 또는 멜로디 모드로 착신음 모드를 변경한다.
이때, 이전의 착신음 모드가 진동 또는 무음모드인 경우에는 그 진동 또는 무음모드를 유지한다.
또한,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하여 필요한 정보 또는 데이터를 입력장치 또는 데이터소스(1)에 전송하거나, 전송받아 사용할 수 있다.
즉, 상기 공공장소가 극장 또는 연주회장 등 특정한 프로그램을 상영 또는 공연하는 곳일 경우 그 시작 시간, 입장시간, 주의사항 등의 정보를 상기 데이터소스(1)에 저장해두고 상기 외부제어장치(2)에서 특정한 시간마다 상기 데이터소스(1)의 데이터를 억세스하여 그 정보를 상기 블루투스 및 인공지능 복합단말기(3)의 블루투스칩과의 통신을 통해 인가하여 관람자가 상기 공연 또는 상영되는 프로그램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게 한다.
도2는 본 발명 블루투스 및 인공지능 복합단말기(3)의 통화 음량 조절동작의 순서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전화를 걸거나, 받을 경우 마이크를 통해 들어오는 잡음의 강도와 종류를 검출하는 단계와; 인공지능 칩에서 상기 잡음의 강도와 종류를 이용하여 매우 시끄러움, 시끄러움, 보통, 조용함, 매우조용함 등 다단계의 판단을 수행하는 단계와; 상기 판단의 결과에 따라 모뎀 칩의 해당 소프트웨어를 제어하여 통화음량을 제어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통화음량 제어방법을 좀 더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블루투스 및 인공지능 복합단말기(3)에 전화가 걸려오거나, 사용자가 전화를 하는 경우, 그 블루투스 및 인공지는 복합단말기(3)는 내장된 마이크를 통해 외부의 잡음을 검출한다.
이때 블루투스 및 인공지능 복합단말기(3)는 그 잡음의 종류와 강도를 판단하여, 그 결과를 단말기 내의 마이크로 프로세서에 인가함으로써, 마이크로 프로세서에서 통화음량을 제어한다.
상기 블루투스 및 인공지능 복합단말기(3)의 인공지능칩은 외부의 잡음의 강도를 매우 조용함, 조용함, 보통, 시끄러움, 매우 시끄러움 등의 다단계의 기준값을 설정해 두어 그에 해당하는 소음 판단신호를 출력한다.
또한, 상기의 소음은 그 강도와 함께 사람의 목소리와 비슷한 톤이거나, 높은 음, 낮은 음등 통화에 영향을 주는 요소가 포함되어 있으며, 그 소음의 종류를 판단하여 그에 적합한 통화음량 및 통화의 톤을 제공할 수 있다.
일예로써 소음의 톤이 높으면 통화의 톤을 낮춰 음의 감별이 용이하게 함과 아울러 그 소음의 강도에 따른 적정 통화음량을 제공한다.
즉, 퍼지이론을 적용한 인공지능 칩을 사용하여, 통화시 주변의 잡음상태를 종래의 시끄러움과 조용함의 이분법적 판단에서 벗어나, 다단계로 나누어 판단하고, 그 결과에 따라 적당한 통화음량을 설정함과 아울러 그 소음의 종류 즉 소음의 톤을 다단계로 검출하여, 그 소음의 톤에 대하여 청취시 가장 구분되는 통화의 톤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인공지능 칩을 사용하여 사용자가 자신의 생활리듬, 예를 들어 기상시간, 취침시간, 수업시간 등을 블루투스 및 인공지능 복합단말기(3)에 설정해 두면, 사용자가 설정한 취침시간과 수업시간 등에는 자동으로 착신모드를 진동모드 또는 무음모드로 전환하며, 그 설정시간 이외의 시간에는 자동으로 착신모드를 벨소리 모드 또는 멜로디모드로 전환한다.
이와 같이 설정시간의 입력만으로 인공지능 칩에서 착신모드의 변경 및 알람의 제공등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 블루투스 및 인공지능 복합 단말기는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하여 공공장소에 설치된 블루투스 외부 제어장치의 제어에 따라 그 공공장소 내에서만 자동으로 착신모드가 무음 또는 진동모드로 전환되며, 인공지능을 이용하여 설정시간을 입력하여 특정한 시간대에는 자동으로 착신모드가 무음 또는 진동 모드로 변환되도록 함으로써, 다른 사람에게 피해를 주지 않으며, 공공장소에입장할때 마다 착신모드를 직접 변경하는 번거로움을 제거하는 효과와 아울러 소음의 다단계 분류를 통해 주변의 상황에 적합한 통화음량을 자동으로 설정해 주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공공장소에 설치된 블루투스 제어기와의 통신을 통하여 공공장소 내에서는 착신모드를 진동 또는 무음 모드로 전환하고, 공공장소 이외의 지역에서는 이전의 착신모드로 전환되도록 제어하는 블루투스 칩과; 사용자의 설정시간에 따라 자동으로 착신모드를 변환함과 아울러 통화시 주변의 잡음을 그 잡음의 정도에 따라 다단계의 분류로 판단하여, 그에 해당하는 통화음량을 결정하는 인공지능 칩을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루투스 및 인공지능 복합 단말기.
KR1020010028450A 2001-05-23 2001-05-23 블루투스 및 인공지능 복합 단말기 KR2002008964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28450A KR20020089645A (ko) 2001-05-23 2001-05-23 블루투스 및 인공지능 복합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28450A KR20020089645A (ko) 2001-05-23 2001-05-23 블루투스 및 인공지능 복합 단말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89645A true KR20020089645A (ko) 2002-11-30

Family

ID=277061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28450A KR20020089645A (ko) 2001-05-23 2001-05-23 블루투스 및 인공지능 복합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89645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4386B1 (ko) * 2005-08-25 2007-01-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통화음 제재 방법 및 그 이동 통신단말기
WO2009151840A3 (en) * 2008-05-27 2010-03-04 Palm, Inc. Notification adjustment for computing devices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4386B1 (ko) * 2005-08-25 2007-01-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통화음 제재 방법 및 그 이동 통신단말기
WO2009151840A3 (en) * 2008-05-27 2010-03-04 Palm, Inc. Notification adjustment for computing devices
US8886211B2 (en) 2008-05-27 2014-11-11 Qualcomm Incorporated Notification adjustment for computing device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817848B1 (en) Handheld communications device with automatic alert mode selection
US20030013495A1 (en) Adaptive audible alert volume control
US20020006207A1 (en) Portable device and method of providing user with information on operation of portable device
KR100617140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착신 신호 자동 전환 방법
KR20020089645A (ko) 블루투스 및 인공지능 복합 단말기
KR100744346B1 (ko) 벨소리 음량 조절 방법 및 그 이동 통신 단말기
US20050176384A1 (en) Communication device and communication device ringing method
JPH077783A (ja) 報知音発生装置
KR100454946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통화전 스피커홀을 차단하는 장치 및제어방법
KR100447956B1 (ko) 이동통신단말기의 착신음 자동 제어 장치 및 방법
JP2004080616A (ja) 携帯電話機の振動検知による鳴動音量制御方式とその方法
KR20010008937A (ko) 호출음 출력레벨 자동조절 및 호출방식 자동전환방법
KR20010048834A (ko) 기존 휴대 이동 통신기의 벨, 진동, 차단 모드의 자동전환 방법
KR100362561B1 (ko) 이동 무선 단말기에서 스피커 출력 신호의 처리 방법
JP2940516B2 (ja) 携帯電子機器
KR101604869B1 (ko) 수신 음량의 변화에 따라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통신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0276557Y1 (ko) 외부 소음 감지에 따른 전자 음향기기의 음량 자동 조절장치
KR19990020285A (ko) 키폰전화기에서 착신음 가변방법
KR100400560B1 (ko) 휴대 단말기의 수신 통보 방법
KR101130007B1 (ko) 착신벨 제어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 및 착신벨 제어방법
KR200254222Y1 (ko) 유무선 전화기의 착신벨 발생 장치
JP2002171308A (ja) 携帯通信端末の着信音調節装置
JPH07231276A (ja) 携帯用無線電話装置
KR20020023305A (ko) 외부 소음 감지에 따른 전자 음향기기의 음량 자동 조절장치 및 그 조절 방법
KR20050053114A (ko) 포토 센서를 이용한 멜로디 음량 조절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