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88957A - 차량 주행 정보 조사 시스템 - Google Patents

차량 주행 정보 조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88957A
KR20020088957A KR1020010028053A KR20010028053A KR20020088957A KR 20020088957 A KR20020088957 A KR 20020088957A KR 1020010028053 A KR1020010028053 A KR 1020010028053A KR 20010028053 A KR20010028053 A KR 20010028053A KR 20020088957 A KR20020088957 A KR 200200889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driving
information
speed
driving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280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정근
Original Assignee
(주)카포인트시스템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카포인트시스템즈 filed Critical (주)카포인트시스템즈
Priority to KR10200100280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88957A/ko
Publication of KR200200889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88957A/ko

Links

Classifications

    • G06Q50/4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Abstract

발명은 차량 주행 정보 조사 시스템에 있어서, 차량의 적정 위치에 설치되는 속도 센서로부터 차속에 대한 신호를 입력받아 이를 통해 미리 설정된 차량 주행 상태를 분석하여 이에 대한 정보를 일시 저장하며, 미리 설정된 주기로 저장된 정보를 무선 단말기를 통해 무선 전송토록 하는 주행 정보 수집/전송기를 구비하는 차량 장치와, 인터넷에 접속되어 무선망 및 인터넷을 통해 차량 장치에서 전송된 주행 정보를 제공받아 각 차량별로 내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서비스 관리자를 가진다.

Description

차량 주행 정보 조사 시스템{SYSTEM FOR INVESTIGATING VEHICLE'S TRAVELLING RECORD INFORMATION}
본 발명은 데이터의 습득 및 가공 시스템과 관련되며, 특히 차량 보험금의 보다 정확한 결정을 위해 사용 안전성과 관련된 더 많은 양의 데이터를 얻기 위해 자동차 주행 특성을 조사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 보험금의 결정을 위한 일반적인 방식은 보험 가입자와의 개별 상담을통해 얻어진 관련 과거 데이터와, 차량관리국과 같은 정부 기관에 의해 유지되는 가입자의 공적 자동차 운행 기록(특히 차량 사고와 관련된 정보)을 바탕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데이터를 통해 보험업자는 가입자를 넓은 보험 등급으로 분류하고, 많은 통계자료에 의존하여 보험 요율을 결정한다. 이외에도 많은 요인들 예를 들어, 나이, 성별, 결혼 여부, 주거지 또는 운전 경력 등과 같은 요인들이 특정 보험 등급으로의 분류시 연관이 있게 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일반적인 보험 요율 산정 방식에서의 근본적인 문제점은 상담을 통해 가입자로부터 수집된 많은 데이터를 확인할 수 없으며, 종래의 공공 기록조차 단지 최소의 정보만을 담고 있으며, 대다수는 앞으로 있을 보험료 청구의 가능성을 평가하는 데 있어 관련성이 적다는 것이다.
즉, 현재의 요율 체계는 기본적으로 과거의 단편적인 자료에 근거하고 있다. 이에 따라 종래의 방식은 차량의 실제 자세한 운행 상태에 대한 데이터가 없으며, 해당 차량의 장래 운행의 방식이나 안전성을 합리적으로 예측하기가 어렵게 된다.
따라서, 제한된 양의 축적된 관련 데이터와 최소한의 증거 가치로써 공정한 보험금의 계산을 하여야 할 필요가 있으며, 실질적인 차량의 장래 이용 방법을 예측하는데 보다 합리적이고 정확한 축적된 데이터를 이용하는 개선된 시스템이 요구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차량의 실제 상세한 운행 방식을 고려하지않고 보험금을 결정하는 방식을 극복하여 해당 차량의 상세하고 정확한 운행 정보를 통해 차량의 보험금을 결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차량 주행 정보 조사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차량 주행 정보 조사 시스템에 있어서, 차량의 적정 위치에 설치되는 속도 센서로부터 차속에 대한 신호를 입력받아 이를 통해 미리 설정된 차량 주행 상태를 분석하여 이에 대한 정보를 일시 저장하며, 미리 설정된 주기로 상기 저장된 정보를 무선 단말기를 통해 무선 전송토록 하는 주행 정보 수집/전송기를 구비하는 차량 장치와, 인터넷에 접속되어 무선망 및 인터넷을 통해 상기 차량 장치에서 전송된 주행 정보를 제공받아 각 차량별로 내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서비스 관리자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주행 정보 조사 시스템의 개략적인 전체 구성도
도 2는 도 1중 차량에 설치되는 차량장치의 상세 블록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장치와 웹서버간의 신호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장치에서의 미전송 정보 저장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소자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이 나타나고 있는데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이러한 특정 사항들이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소정의 변형이나 혹은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주행 정보 조사 시스템의 개략적인 전체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은 차량의 내외부의 적정 위치에 설치되어 차량 주행 정보를 수집하고 이에 대한 정보를 셀룰라폰, PCS,IMT-200 단말기 등과 같은 휴대용 무선 단말기를 통해 무선 전송하는 차량 장치(100)와, 인터넷(300)에 접속되어 차량 장치(100)에서 전송된 주행 정보를 무선망(200) 및 인터넷(300)을 통해 전송받아 각 차량별 해당 가입자별로 내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서비스관리자(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서비스관리자(400)는 저장된 차량별 주행 정보를 적절한 시기에 인터넷을 통해 보험사(500)에 제공하게 된다. 도 1에서는 상기 서비스관리자(400)가 보험사(500)와 물리적으로 구분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상기 서비스관리자(400)는 보험사(500)의 내부 보험 시스템에 포함될 수 있다.
도 2는 도 1중 차량에 설치되는 차량 장치의 상세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차량 장치(100)는 차량의 적정 위치에 설치되는 속도 센서(122)로부터 차속에 대한 아날로그 신호를 입력받아 이를 통해 미리 설정된 차량 주행 상태를 분석하여 이에 대한 정보를 일시 저장하며, 미리 설정된 주기로 저장된 정보를 무선 단말기로 출력하여 무선 단말기를 통해 무선 전송토록 하는 주행 정보 수집/전송기(110)를 핵심 구성요소로 갖는다.
주행 정보 수집/전송기(110)는 속도 센서(122)로부터 제공되는 차속에 대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변환하며, 또한 변환된 디지털 신호를 1초 단위의 속력 데이터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데이터 변환부(112)와, 실시간 클럭을 발생하는 타이머(114)와, 상기 데이터 변환부(112) 및 타이머(114)를 통해 미리 설정된 차량 주행 상태를 분석하여 이를 메모리부(117)에 저장하며 또한 미리 설정된 적절한 주기로 상기 메모리부(117)에 저장된 주행 정보를 무선 단말기를 통해 출력토록 제어하는 제어부(116)와, 상기 제어부(116)의 동작 프로그램 및 상기 주행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부(117)와, 상기 제어부(116)의 제어하에 외부 무선 단말기와 접속하며 이와 인터페이스하는 무선단말 인터페이스부(118)와, 상기 제어부(116)의 제어하에 외부 PC(노트북) 등과 같은 단말기와 접속하며 이와 인터페이스하는 PC 인터페이스부(119)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무선단말 인터페이스부(118)는 무선 단말기와 접속하기 위한 UART(Universal Asynchronous Receiver Transmitter) 포트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주행정보 수집/전송기(110)는 차량 배터리(미도시)의 전원(에를 들어 112V)을 제공받아 이를 내부 각 기능부의 동작 전원(예를 들어 12V~5V)으로 조정하는 전압 조정기(미도시) 등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주행정보 수집/전송기(110)는 초기 동작 개시 전에 해당 차량 및 사용자(가입자)에 대한 정보와 각종 동작 설정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게 되는데, 이러한 정보는 서비스 제공 업체에서 초기에 PC 등을 이용하여 상기 PC 인터페이스부(119)를 통해 입력하게 된다. 이때 상기 PC 인터페이스부(119)는 RS232 규격에 따른 인터페이스모듈일 수 있다.
차량 및 사용자에 대한 설정 정보 및 각종 설정에 대한 정보는 하기와 같은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 주행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목적지 주소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서비스 관리자(400)) 웹서버 IP(Internet Protocol) 어드레스
. 보험번호
. 차량번호
. 무선 단말기 번호
. 주행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거리주기 설정(예를 들어, 500Km~2000Km/ 500Km 단위로 설정 가능)
. 주행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일자주기 설정(예를 들어, 30일~50일 / 5일 단위로 설정 가능)
이러한 각종 설정 정보 입력은 PC 등에 설치된 별도의 초기 동작 설정을 위한 윈도우 기반 프로그램의 동작에 의해 입력될 수 있으며 재 설정이 가능하도록 한다.
주행정보 수집/전송기(110)는 상기와 같이 입력되는 각종 동작 설정 정보를 메모리부(117)에 저장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정보는 전원 오프 시에도 보관되어야 하므로, 상기 메모리부(117)는 상기 동작 설정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EEPROM 등을 구비함이 바람직하다.
주행정보 수집/전송기(110)는 상기와 같은 각종 동작 설정 정보를 입력받은 후 차량 주행정보를 수집하게 된다. 주행 정보는 미리 설정된 각종 주행 상태를 분석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첫째로 차량 주행 거리를 계측하며, 둘째로 심야 운전 횟수 및 심야주행 거리를 계측하며, 셋째로 급가/감속 횟수를 계측하며, 넷째로 과속운전 횟수 및 과속주행 거리를 계측한다.
이를 보다 상세히 살펴보면, 먼저 차량 주행 거리 계측은 차량의 속도 센서(122)로부터 제공되는 아날로그 신호는 데이터 변환부(112)의 A/D 컨버터를 통해 디지털 신호로 변환되며 또한 디지털 신호를 카운터기에 의해 1초 단위의 속력 데이터로 변환되어 제어부(116)에 제공되면, 제어부((116)는 이러한 속력 데이터를 통해 미리 설정된 단위 예를 들어 5초 단위로 주행거리를 확인하여 이를 메모리부(116)에 저장하게 된다.
심야 운전 횟수 및 심야주행 거리 계측은, 제어부(116)가 타이머(114)를 통해 현재 시각을 계측하고 있다가, 미리 설정된 심야 시간(예를 들어 24:00~04:00)에 차량이 운행될 경우에 이를 심야 운전을 간주하고 심야 운전 횟수를 1회 카운트하고, 또한 해당 심야 운전시 주행거리를 계측하여 이의 누적치를 저장한다.
급가/감속 횟수 계측은, 제어부(116)가 상기 1초 단위의 속력 데이터를 계측하고 있다가 미리 설정된 속력변화량(예를 들어, 초당 20km/h 이상 변화)이 있을 경우에 이를 급가/감속으로 간주하고 급가/감속 운전 횟수를 1회 카운트하여 저장한다.
과속운전 횟수 및 과속주행 거리 계측은 제어부(116)가 측정 속력 데이터가 미리 설정된 속력, 예를 들어 140km/h 이상일 경우에는 과속 운전으로 간주하여 가속 운전 횟수를 1회 카운트하고 가속 주행 거리를 계측하여 이의 누적치를 저장한다. 이때 속력 데이터가 140km/h 이상이라 하더라도 10회(10초) 이상 주행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이를 가속운전으로 간주하지 않도록 동작 설정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분석되어 저장된 주행 정보는 미리 설정된 전송 주기(거리 주기 또는 전송 주기)마다 차량 장치(100)에서 무선망(200) 및 인터넷(300)을 통해 서비스 관리자(400)의 웹서버로 전송되는데 이러한 정보 전송 과정을 도 3을 참조하여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장치와 웹서버간의 신호 흐름도이다. 주행정보 수집/전송기 및 무선 단말기를 포함하는 차량 장치는 먼저 301단계에서 웹서버로 접속 요청을 하게 되며, 이에 따라 웹서버는 302단계에서 접속을 승인하게 된다. 이후 차량 장치는 303단계에서 가입자 인증정보를 웹서버로 전송하게 되는데, 이러한 가입자 인증정보에는 차량 번호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웹서버는 상기 제공된 가입자 인증정보를 통해 내부 가입자 데이터 베이스를 검색하여 가입자 인증을 행하며 이후 304단계에서 차량 장치로 인증 확인 작업을 하게 된다. 이후 차량 정보는 305단계에서 주행 정보를 웹서버로 전송하며 웹서버는 전송받은 주행 정보를 입시 저장하게 된다. 이후 306단계에서 차량 장치는 정보 전송 완료 메시지를 웹서버로 전송하며, 상기 정보 전송 완료 메시지를 수신한 웹서버는 가입자별로 해당 주행정보를 저장한 후 307단계에서 완료 확인 메시지를 차랑 장치로 전송하게 된다. 이에 따라 차량 장치와 웹서버간의 주행 정보 전송 동작이 종료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주행 정보 전송 과정시 단말기의 미 접속, 웹서버의 접속 오류 등의 이유로 주행 정보의 전송이 불가능할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때 차량 장치는 다수회(예를 들어 3회)의 재접속을 요구하며, 정보 전송이 가능한 시점에서 자동 접속하여 정보를 전송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또한 미 전송 정보는 백업된다. 이를 도 4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장치에서의 미 전송 정보 저장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미 전송 정보 저장을 위해 전송 정보 백업 메모리(410)와 요약 정보 백업 메모리(420)가 메모리부(117)에 구비된다. 전송 정보 백업 메모리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최대 5회의 전송 주행 정보를 저장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 4에서 제1 주행정보(411)는 현재 저장 중인 주행 정보를 의미하며 제2 주행정보(412)는 전송 시점 2회전 정보를 의미하며, 마찬가지로, 제3, 4, 5 주행정보(413, 414, 415)는 각각 전송 시점 3, 4, 5회전 정보를 의미한다.
이때 상기 각각의 주행 정보는 헤더 영역과 주행 데이터 영역 및 전송 플래그 영역으로 구성됨을 볼 수 있으며, 전송 플래그 영역에는 해당 주행 정보의 전송 유무, 미 전송 이유 등이 표시된다. 미 전송 이유는 단말기 부재, 서버 응답 불능, 패킷 데이터 교환시 콜 드롭(call drop) 등을 나타내도록 표시된다.
전송 정보 백업 메모리의 모든 데이터가 미 전송시에는 상기 제5 주행정보가(415)가 요약 정보 백업 메모리(420)로 옮겨와 저장된다. 요약 정보는 주기별 주행 거리에 대한 정보만을 가질 수 있으며, 요약 정보 백업 메모리(42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최대 5회의 요약 정보를 저장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 4에서 제1, 2, 3, 4, 5 요약정보(421, 422, 423, 424, 425)가 저장되며, 요약 정보 백업 공간이 풀(full)인 경우에는 마지막 요약 정보에 데이터를 누적하여 저장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 및 동작에 의해 미 전송 정보가 처리 및 저장된다.
한편 상기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청구범위와 청구범위의 균등한 것에 의하여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차량의 실제 상세한 운행 방식을 고려하지 않고 보험금을 결정하는 방식을 극복하여 해당 차량의 상세하고 정확한 운행 정보 즉, 해당 차량의 주행 거리, 심야 운전 횟수 및 심야주행 거리, 급가/감속 횟수, 과속운전 횟수 및 과속주행 거리 등을 계측하여 이를 적절한 주기로 서비스 관리자에게 전송토록 하므로, 차량의 보험금의 산출에 보다 정확한 자료를 제시할 수 있다.

Claims (5)

  1. 차량 주행 정보 조사 시스템에 있어서,
    차량의 적정 위치에 설치되는 속도 센서로부터 차속에 대한 신호를 입력받아 이를 통해 미리 설정된 차량 주행 상태를 분석하여 이에 대한 정보를 일시 저장하며, 미리 설정된 주기로 상기 저장된 정보를 무선 단말기를 통해 무선 전송토록 하는 주행 정보 수집/전송기를 구비하는 차량 장치와,
    인터넷에 접속되어 무선망 및 인터넷을 통해 상기 차량 장치에서 전송된 주행 정보를 제공받아 각 차량별로 내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서비스 관리자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장치의 주행 정보 수집/전송기는
    상기 속도 센서로부터 제공되는 차속에 대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변환하고, 변환된 디지털 신호를 속력 데이터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데이터 변환부와,
    실시간 클럭을 발생하는 타이머와,
    상기 데이터 변환부 및 타이머의 출력 신호를 통해 미리 설정된 차량 주행 상태를 분석하여 이를 메모리부에 저장토록 하며, 미리 설정된 주기로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주행 정보를 상기 무선 단말기를 통해 출력토록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하에 외부 무선 단말기와 접속하며 이와 인터페이스하는무선단말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하에 외부 PC 단말기와 접속하며 이와 인터페이스하는 PC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설정되는 차량 주행 상태는 차량 주행 거리, 심야 운전 횟수 및 심야주행 거리, 급가/감속 횟수, 과속운전 횟수 및 과속주행 거리에 대한 상태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4. 차량 주행 정보 조사 시스템에 있어서,
    차량의 미리 설정된 위치에 설치되는 속도 센서와,
    상기 속도 센서로부터 제공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변환하고, 변환된 디지털 신호를 속력 데이터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데이터 변환부와,
    실시간 클럭을 발생하는 타이머와,
    상기 데이터 변환부 및 타이머의 출력 신호를 통해 차량 주행 거리, 심야 운전 횟수 및 심야주행 거리, 급가/감속 횟수, 과속운전 횟수 및 과속주행 거리에 대한 차량 주행 상태를 분석하여 이를 메모리부에 저장토록 하며, 미리 설정된 주기로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주행 정보를 상기 무선 단말기를 통해 출력토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차량 장치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주행 정보의 전송이 불가능할 경우에 미리 설정된 다수회 재 전송 동작을 수행하며, 미 전송 주행 정보를 백업함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KR1020010028053A 2001-05-22 2001-05-22 차량 주행 정보 조사 시스템 KR2002008895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28053A KR20020088957A (ko) 2001-05-22 2001-05-22 차량 주행 정보 조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28053A KR20020088957A (ko) 2001-05-22 2001-05-22 차량 주행 정보 조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88957A true KR20020088957A (ko) 2002-11-29

Family

ID=277059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28053A KR20020088957A (ko) 2001-05-22 2001-05-22 차량 주행 정보 조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8895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7465A (ko) * 2002-08-21 2004-02-27 주식회사 텔사인 스마트카드를 이용한 자동차 보험료 산정 방법 및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7027561A1 (en) * 1996-01-29 1997-07-31 Progressive Casualty Insurance Company Motor vehicle monitoring system for determining a cost of insurance
KR19990001515A (ko) * 1997-06-16 1999-01-15 오상수 차량 주행궤적 추정방법 및 그 장치
US6141611A (en) * 1998-12-01 2000-10-31 John J. Mackey Mobile vehicle accident data system
KR20010034969A (ko) * 2000-05-04 2001-05-07 송진호 인터넷 차량관리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7027561A1 (en) * 1996-01-29 1997-07-31 Progressive Casualty Insurance Company Motor vehicle monitoring system for determining a cost of insurance
KR19990001515A (ko) * 1997-06-16 1999-01-15 오상수 차량 주행궤적 추정방법 및 그 장치
US6141611A (en) * 1998-12-01 2000-10-31 John J. Mackey Mobile vehicle accident data system
KR20010034969A (ko) * 2000-05-04 2001-05-07 송진호 인터넷 차량관리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7465A (ko) * 2002-08-21 2004-02-27 주식회사 텔사인 스마트카드를 이용한 자동차 보험료 산정 방법 및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049937B (zh) 智能网联汽车的数据处理系统及数据传输方法
US6408232B1 (en) Wireless piconet access to vehicle operational statistics
CN100392637C (zh) 远程信息处理编程逻辑控制单元和使用方法
EP2203714B1 (en) A method of creating map data
US8330593B2 (en) Monitoring vehicle activity
US7155322B2 (en) Vehicle information collection system and method thereof
CN1312004C (zh) 具有信息交换的公车、车站和中心的系统
EP1594283A1 (en) Device and method for performing both local and remote vehicle diagnostics
US20130013347A1 (en) Vehicle Monitoring System
US20100152960A1 (en) On-line vehicle management system
CN102120441A (zh) 乘用车辆灵巧诊断系统
US20060217935A1 (en) Vehicle component usage monitor
US20180013873A1 (en) Method of Providing Driver-Behavior Information Off-Site Through Telematics System
US20040160327A1 (en) System for mediating safety drive information, safety drive information mediating apparatus used therein and method for confirming safety drive information
WO2006085380A1 (ja) 移動体診断を含む各種サービスを提供するサービス提供システム及び提供方法並びに該システムに用いる携帯情報機器
EP1481344B1 (en) Vehicle monitoring system
EP3457379A1 (en) Method of providing driver-behavior information off-site through telematics system
AU2022200298A1 (en) GEN II meter system with multiple processors, multiple detection sensor types, fault tolerance methods, power sharing and multiple user interface methods
JP7067876B2 (ja) 車載無線通信装置および通信制御方法
JPWO2006085379A1 (ja) 移動体診断を含む各種サービスを提供するサービス提供システム及び該システムに用いるカーa/v
KR20040105438A (ko) 텔레매틱스 기기를 이용한 자동차 보험 고객 관리 시스템및 방법
RU2308385C2 (ru) Устройство оценки качества вождения автомобиля
Al-Rousan et al. GSM-based mobile tele-monitoring and management system for inter-cities public transportations
KR20020088957A (ko) 차량 주행 정보 조사 시스템
KR100515128B1 (ko) 운행기록을 전송하는 알에프 버스단말기 및버스관리시스템 및 운행기록 전송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