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88565A - 산화구법을 이용한 하수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산화구법을 이용한 하수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88565A
KR20020088565A KR1020010027308A KR20010027308A KR20020088565A KR 20020088565 A KR20020088565 A KR 20020088565A KR 1020010027308 A KR1020010027308 A KR 1020010027308A KR 20010027308 A KR20010027308 A KR 20010027308A KR 20020088565 A KR20020088565 A KR 200200885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treatment apparatus
sewage treatment
aeration tank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273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길
권이현
Original Assignee
한샘이앤지(주)
권이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샘이앤지(주), 권이현 filed Critical 한샘이앤지(주)
Priority to KR10200100273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88565A/ko
Publication of KR200200885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88565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2Activated sludge processes
    • C02F3/1236Particular type of activated sludge installations
    • C02F3/1257Oxidation ditch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02Biological 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2Activated sludge processes
    • C02F3/1205Particular type of activated sludge processes
    • C02F3/121Multistep treatm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1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eration Devices For Treatment Of Activated Polluted Slud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산화구법을 이용한 하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산화구법 하수처리장치는, 원형의 외벽과, 상기 외벽 내측에 형성되는 원형의 내벽으로 구성되어; 상기 내벽과 외벽 사이에는 수로를 형성할 수 있는 폭기조가 형성되고, 상기 내벽의 내부에는 침전지가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폭기조의 내부에 침전지를 설치함으로써 좁은 용지에 대한 활용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산화구법을 이용한 하수 처리장치{Wastewater disposal plant using oxidation ditch}
본 발명은 하수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처리장치 자체를 최소의 면적을 이용하여 가장 효율적인 하수처리가 가능하게 구성되는 산화구법을 이용하는 하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3에는 일반적인 산화구(Oxidation ditch)법을 이용하는 하수처리장치의 개념이 도시되어 있다. 산화구법을 이용하는 하수처리장치는, 폭기와 교반의 효과를 최대한 살릴 수 있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장원형의 수로를 가지고 있으며, 이러한 부분에 에어레터(aerator)를 설치하여 호기성 미생물과 협기성 미생물을 번식시키고, 이를 이용하여 하수중의 유기물을 산화분해 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산화구법을 이용하는 하수처리장치는, 운전이 용이하고 비교적 양호한 처리수질, 그리고 질소제거의 효과 등이 다른 처리공법에 비하여 탁월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인정되어 널리 이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은 산화구법을 이용하는 일반적인 하수처리장치의 개략이 도 3에 도시되어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유입되는 하수는 펌프장을 거쳐서 스크린에 의하여 1차적으로 걸러진다. 그런 후에는 중심부가 비어있는 타원형의 산화구(2)에 유입된다. 상기 산화구(2)에서는 에어레터에 의하여 폭기를 발생시키면서 미생물을 양생시키고 있고, 일정한 수로를 형성하기 위하여 가운데가 비어있는 타원형 수로로 만들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산화구(2)를 거치면서 유기물이 산화분해된 물은, 다시 별도의 위치에 마련되어 있는 침전지(4)로 유입된다. 이러한 침전지(4)에 유입된 물이 충분히 침전된 후에는 처리수로서 재활용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산화구법에 의한 하수처리장치에 있어서는, 산화구는 그 장치의 특성상 일정한 수로를 형성하기 위하여 타원형으로 성형할 때 중심부분이 비어있는 상태로 설치되고 있다. 또한 침전지를 별도의 시설로 만들지 않으면 안되기 때문에 전체적으로 많은 용지를 필요로 하는 단점이 있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볼 때, 하수처리시설의 용지는 경제적으로나 용지활용의 측면에서 볼 때, 작으면 작을수록 좋은 것은 당연한 일이다.
그리고 폭기조와 침전조를 별도의 장소에 설치하는 경우에는, 폭기조에서 침전조까지 물을 이송시키기 위한 부대시설을 필요로 하게 되고, 이러한 부대시설 역시 경제적인 측면에서는 바람직하지 못하다고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단점을 개량하기 위한 것으로, 좁은 용지에 충분히 설치하는 것이 가능한 산화구형 하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하수처리장치의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하수처리장치의 정면도.
도 3은 일반적인 산화구법에 의한 하수처리장치의 개념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폭기조12 ..... 외벽
20 ..... 침전지22 ..... 내벽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산화구법 하수처리장치는, 원형의 외벽과, 상기 외벽 내측에 형성되는 원형의 내벽으로 구성되어; 상기 내벽과 외벽 사이에는 수로를 형성할 수 있는 폭기조가 형성되고, 상기 내벽의 내부에는 침전지가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폭기조의 내부에 침전지를 설치함으로써 좁은 용지에 대한 활용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
다음에는 도면에 도시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기초하면서 본 발명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하수처리장치의 평면도인 도 1 및 정면도인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산화구법을 이용하는 하수처리장치는 외측에 위치하는 폭기조(10)와, 상기 폭기조의 내측에 위치하는 침전지(20)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폭기조(10)는 외벽(12)과 내벽(22)에 의하여 형성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산화구법을 이용한 하수처리장치이기 때문에 폭기조(10)는 물의 흐름이 형성될 수 있는 형태로 구현되어야 하며, 도시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원형으로 형성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폭기조(10)는 산화구법 하수처리를 하기 위하여 물이 흐를 수 있는 형상을 가지는 것이면 어떠한 물의 경로를 형성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원형의 폭기조를 형성하는 경우에는, 보다 원활한 물의 흐름이 형성될 것이고, 원형과 유사한 타원형 등으로 성형하는 것도 가능함은 당연하다.
이렇게 폭기조(10)를 형성하기 위한 외벽(12)과 내벽(22)은, 여러가지 방법으로 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벽체를 형성하는 시공법에 의해서도 가능하고, 콘크리트로 만들어지는 프리캐스팅을 조립하고 수압에 견딜 수 있도록 연결하여 만드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리고 산화구법 하수처리장치를 구현하기 위하여, 상기 폭기조(10)의 상부측에는, 미생물의 활성화를 위한 산소를 공급하기 위한 에어레터가 설치되는 것이나, 이러한 에어레터 자체의 구성은 실질적으로 종래의 것을 이용할 수 있음과 동시에 본 발명과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는 것이어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폭기조(10)의 내부에는 침전지(20)가 형성된다. 본 발명의 침전지(20)는 실질적으로 폭기조(10)의 내측에 형성되고 있기 때문에, 폭기조(10)의 외측에 별도로 침전지를 형성하는 종래의 것에 비해서는 현저하게 좁은 면적에서도 하수처리장치를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산화구법 하수처리장치에서,폭기조(10)의 내부에 침전지(20)를 설치하는 것을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으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범주 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산화구법을 이용하는 하수처리장치에서, 폭기조 내부에 침전조를 설치하는 것에 의하여, 실질적으로 설치용지를 현저하게 줄일 수 있게 되는 잇점을 기대할 수 있다. 또한 폭기조와 침전조를 별도로 성형하는 경우에 필요로 하는 부대시설을 생략할 수 있게 되어, 전체적인 구성도 더욱 간단하게 되는 잇점을 기대할 수 있게 된다.

Claims (1)

  1. 원형의 외벽(12)과, 상기 외벽 내측에 형성되는 원형의 내벽(22)으로 구성되어; 상기 내벽과 외벽 사이에는 수로를 형성할 수 있는 폭기조(10)가 형성되고, 상기 내벽의 내부에는 침전지(20)가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화구법 하수처리장치.
KR1020010027308A 2001-05-18 2001-05-18 산화구법을 이용한 하수 처리장치 KR2002008856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27308A KR20020088565A (ko) 2001-05-18 2001-05-18 산화구법을 이용한 하수 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27308A KR20020088565A (ko) 2001-05-18 2001-05-18 산화구법을 이용한 하수 처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88565A true KR20020088565A (ko) 2002-11-29

Family

ID=277054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27308A KR20020088565A (ko) 2001-05-18 2001-05-18 산화구법을 이용한 하수 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88565A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87196A (en) * 1979-12-19 1981-07-15 Hitachi Ltd Differential pressure transmitter
JPS588591A (ja) * 1981-07-07 1983-01-18 Hitachi Plant Eng & Constr Co Ltd 廃水処理装置
JPS592498U (ja) * 1982-06-28 1984-01-09 株式会社西原環境衛生研究所 浄化槽
JPS6259200U (ko) * 1985-09-30 1987-04-13
JPH02280894A (ja) * 1989-04-24 1990-11-16 Hitachi Kiden Kogyo Ltd 回分式水処理装置
KR20010113065A (ko) * 2000-06-16 2001-12-28 이호인 겹유로 단일조에 의한 연속 흐름식 하·폐수 처리방법 및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87196A (en) * 1979-12-19 1981-07-15 Hitachi Ltd Differential pressure transmitter
JPS588591A (ja) * 1981-07-07 1983-01-18 Hitachi Plant Eng & Constr Co Ltd 廃水処理装置
JPS592498U (ja) * 1982-06-28 1984-01-09 株式会社西原環境衛生研究所 浄化槽
JPS6259200U (ko) * 1985-09-30 1987-04-13
JPH02280894A (ja) * 1989-04-24 1990-11-16 Hitachi Kiden Kogyo Ltd 回分式水処理装置
KR20010113065A (ko) * 2000-06-16 2001-12-28 이호인 겹유로 단일조에 의한 연속 흐름식 하·폐수 처리방법 및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7265890A (ja) 有機硫黄化合物を含有する被処理水の処理方法とその装置
KR20020088565A (ko) 산화구법을 이용한 하수 처리장치
DE59801515D1 (de) Vorrichtung zur intensivierten biologischen abwasseraufbereitung
KR20170108519A (ko) 오폐수용 저장조 또는 폭기조의 bod, 질소 및 악취 저감장치
KR100882818B1 (ko) 폭기조
JPH0813359B2 (ja) 窒素分含有排水の処理装置
JPH09150182A (ja) 有機性汚水の処理方法及びその装置
US3959142A (en) Manhole aerator
KR101634292B1 (ko) 변형 a2o공법에 기반한 유동상여재 활용 수처리시스템
KR101791626B1 (ko) 산소전달효율이 향상된 사각산기장치
Nakasone et al. Oxidation-ditch process using falling water as aerator
KR20100104297A (ko) 음식물 폐수 처리 시스템
KR200320086Y1 (ko) 오·폐수 처리용 산기장치
CN208716950U (zh) 一种改进污水处理系统
JP3234139B2 (ja) 汚水の生物処理方法と装置
KR100304058B1 (ko) 하수처리시스템에이용되는반응조간격벽구조및하수고도처리시스템
CN205856100U (zh) 一种合建式射流混合好氧生化反应器
JP3650856B2 (ja) 深層水処理装置
CN215946898U (zh) 气源共用式曝气装置及系统
CN218345268U (zh) 一种污水处理设备
CN219239382U (zh) 臭氧后端催化耦合生物强化处理装置
CN221027966U (zh) 一种扰流装置
CN217732785U (zh) 一种适用养猪废水处理构筑物
JP2005087830A (ja) 膜分離式活性汚泥処理装置
KR910003087B1 (ko) 물의 처리방법과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