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20086Y1 - 오·폐수 처리용 산기장치 - Google Patents

오·폐수 처리용 산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20086Y1
KR200320086Y1 KR20-2003-0011437U KR20030011437U KR200320086Y1 KR 200320086 Y1 KR200320086 Y1 KR 200320086Y1 KR 20030011437 U KR20030011437 U KR 20030011437U KR 200320086 Y1 KR200320086 Y1 KR 20032008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air supply
closing member
opening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1143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정호
Original Assignee
신성메디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성메디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신성메디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3-001143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2008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2008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20086Y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2Activated sludge processes
    • C02F3/20Activated sludge processes using diffusers
    • C02F3/205Moving, e.g. rotary, diffusers; Stationary diffusers with moving, e.g. rotary, distribu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1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Abstract

본 고안은 오·폐수 처리용 산기장치에 관한 것으로, 급기관으로부터 공급되는 공기의 공급이 차단되면 그 즉시 개폐부재 복귀수단의 복원력을 통해 급기공을 폐쇄하여 급기관 내부로 오·폐수의 역류가 발생되지 않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구성된 본 고안은 급기관으로부터 공기가 유입되는 급기공과 기포가 방출되는 기포방출홈이 구비된 깔대기 형태의 산기부재, 산기부재의 기포방출홈에 관계하는 기포방출홈과 다수의 통공을 구비하는 커버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산기장치에 있어서, 급기공 외주연 상에 상향이 개구된 파이프의 형태로 형성되어지되 급기공을 통해 유입된 공기를 측방향으로 분출시키는 다수의 공기분출공이 관통 형성된 공기분출관; 공기분출공으로부터 분출되는 공기를 나선방향으로 안내하는 공기안내리브; 공기의 급기 및 차단시 급기공을 개폐시키는 급기공 개폐부재; 급기공 개폐부재의 유동시 상하의 직립된 방향으로 안내하는 안내부재; 급기공 개폐부재를 상시 원위치시키는 방향으로 그 힘이 작용하는 개폐부재 복귀수단; 및 안내부재에 관계하는 위치의 커버부재 하부면에 형성되어 안내부재를 공기분출관 내부에 위치되도록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오·폐수 처리용 산기장치{Oxygen supply apparatus for sewage disposal and wastewater treatment}
본 고안은 오·폐수 처리용 산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오·폐수 처리장치의 폭기조 내부의 급기관에 설치되어 급기관으로부터 공급되는 공기를 보다 작은 공기방울 형태로 쪼개어 오·폐수에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오·폐수 내의 산소용해도를 증가시킬 수 있도록 하는 오·폐수 처리용 산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급격한 경제발전 과정에서 환경보전에 대한 인식이 부족하였다는 것은 주지의 사실이다. 이처럼 환경보전에 대한 인식의 부족으로 인하여 대기는 물론 수질 또한 그 오염의 정도가 매우 심각한 지경에 이르렀다. 특히, 생활하수, 농·축산폐수 및 산업폐수 등은 호소, 내만 및 내해 등의 공용 수역과 도시 중소 하천 등의 수질을 오염시키는 원인이 되고 있다.
따라서, 각국은 자국에 알맞은 수질규제기준을 마련하여 시행하기에 이르렀으며, 우리의 경우도 뒤늦게나마 수질규제기준을 마련하여 시행하고 있다. 이러한수질규제기준은 관련법규에 의거하여 환경정책기본법의 환경기준, 수질환경보전법의 배출허용기준 및 방류수 수질기준, 오수 및 축산에 관한 법률의 오수 및 정화조 기준, 폐기물관리법의 침출수 기준으로 구분하며, 각각의 기준들은 공공수역의 환경기준 준수를 위하여 설정되었다.
한편, 수질의 개선에 대한 각종 오·폐수를 정화시키기 위해 오·폐수 유입공정, 교반공정, 혐기조건하의 무산소 반응공정, 호기조건하의 산소 반응공정, 슬러지 침전공정, 여과공정 및 방류수계로의 방류공정 등 여러 공정을 거치게 되는데, 호기조건하의 산소 반응공정이 이루어지는 폭기조에는 용존산소의 존재하에서 미생물의 연속 배양을 통해 유기물, 질소 및 인이 제거될 수 있도록 폭기조 내에 산소를 공급하는 산기장치가 설치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산기장치와 관련한 기술로써 본 출원인이 실용신안등록출원하여 등록된 실용신안등록 제301445호(2001.6.25)의 오폐수처리용 산기장치가 기재되어 있는데, 이러한 산기장치의 구성을 살펴보면 소정직경을 갖는 나팔관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급기관으로부터 산소가 공급되는 체결구와 상단의 플랜지 상에 등간격으로 형성되는 다수의 기포방출홈을 구비한 산기본체, 다수의 통공이 형성되어 산기본체의 내주면 상에 설치되는 다공판, 산기본체의 체결구와 다공판 사이에 위치되어 기포를 형성하는 한편 산소의 공급중단시 체결구를 차단하여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는 작동구 및 산기본체의 기포방출홈에 관계하여 하단면에 기포방출홈이 형성되어 산기본체의 상부를 커버하는 덮개부재로 이루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실용신안등록 제301445호(2001.6.25)의 오폐수처리용 산기장치는 체결구를 통해 산소가 공급되면 공급되는 산소의 송풍력에 의해 불규칙적으로 유동을 하면서 발생되는 기포를 보다 잘게 쪼개어 기포의 표면적을 크게 함으로써 오·폐수에 대한 산소의 전달율을 현저히 향상시키게 된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산기장치는 산소공급의 차단시 작동구가 압력차에 의해 체결구의 상단면을 차단하기 때문에 이에 따른 동작이 다소 늦어져 체결구로 오·폐수의 역류가 발생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은 구조의 산기장치는 작동구를 통해 발생된 기포를 보다 잘게 쪼개어 오폐수의 산소 용해도를 증가시키기는 하나 기존의 산기장치에 비해 월등히 향상된 효과를 나타내는 것은 아니다.
더구나, 전술한 종래의 기술에 따른 산기장치는 급기관으로부터 공급되는 산소의 공급압력에 의해 산기본체의 내주면과 다공판이 이루는 공간 사이에 끼어 유동되지 않는 경우가 발생됨으로써 오히려 산소의 용해도를 저하시키는 원인으로 작용하는 문제가 발생된다.
본 고안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급기관으로부터 공급되는 공기의 공급이 차단되면 그 즉시 개폐부재 복귀수단의 복원력을 통해 급기공을 폐쇄하여 급기관 내부로 오·폐수의 역류가 발생되지 않도록 한 오·폐수 처리용 산기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급기공을 통해 산기부재의 내부로 급기된 공기의 유동이 상향은 물론 산기부재 내주면의 경사면 방향으로 유동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공기안내리브를 통해 나선방향으로 유동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공기의 회전 소용돌이에 의해 발생된 에너지를 통해 공기방울(기포)을 보다 잘게 쪼개주어 폭기조 내부의 산소전달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함에 있다.
나아가, 본 고안은 전술한 목적들 이외에 급기공을 통해 산기부재의 내부로 급기된 공기의 유동이 상향은 물론 산기부재 내주면의 경사면 방향으로 유동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공기안내리브를 통해 나선방향으로 유동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산기부재의 내측으로 유입된 공기를 나선방향으로 회전 배출시켜 공기압이 강하게 분사되면서 폭기조 내에 골고루 분포될 수 있도록 함에 있다.
도 1 은 본 고안에 따른 오·폐수 처리용 산기장치를 보인 분리 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오·폐수 처리용 산기장치에서 산기부재의 평면상을 보인 평면도.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오·폐수 처리용 산기장치를 보인 종단면도.
도 4 는 본 고안에 따른 오·폐수 처리용 산기장치의 작용을 보인 종단면도.
도 5 는 본 고안에 따른 오·폐수 처리용 산기장치에서 개폐부재 복귀수단의 다른 예를 보인 종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산기장치 110. 산기부재
112. 체결구 114. 급기공
116. 기포방출홈 120. 커버부재
122. 통공 124. 기포방출홈
130. 공기분출관 132. 공기분출공
140. 공기안내리브 150. 급기공 개폐부재
152. 샤프트 154. 지지편
156. 밀봉링 160. 안내부재
162. 개폐부재 안내공 164. 공기분출공
170. 개폐부재 복귀수단, 스펀지 고무, 코일스프링
180. 지지부재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구성되는 본 고안은 다음과 같다. 즉, 본 고안에 따른 오·폐수 처리용 산기장치는 급기관으로부터 공기가 유입되는 급기공과 기포가 방출되는 기포방출홈이 구비된 깔대기 형태의 산기부재, 산기부재의 기포방출홈에 관계하는 기포방출홈과 다수의 통공을 구비하는 커버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산기장치에 있어서, 산기부재 내측 저면의 급기공 외주연 상에 상향이 개구된 파이프의 형태로 형성되어지되 그 내외측에는 급기공을 통해 유입된 공기를 측방향으로 분출시키는 다수의 공기분출공이 관통 형성된 공기분출관; 공기분출관의 외주면에서 산기부재의 내주면에 등간격의 나선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공기분출공으로부터 분출되는 공기를 나선방향으로 안내하는 공기안내리브; 공기분출관의 내부에 상하로 유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공기의 급기 및 차단시 급기공을 개폐시키는 급기공 개폐부재; 급기공 개폐부재의 상단부가 관통 안내되는 개폐부재 안내공이 형성되어 급기공 개폐부재의 유동시 상하의 직립된 방향으로 안내하는 안내부재; 급기공 개폐부재의 외주면 상에 끼워져 급기공 개폐부재를 상시 원위치시키는 방향으로 그 힘이 작용하는 개폐부재 복귀수단; 및 안내부재에 관계하는 위치의 커버부재 하부면에 형성되어 안내부재를 공기분출관 내부에 위치되도록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전술한 구성에서 공기안내리브는 공기분출관의 측방향으로 형성되는 공기분출공 각각의 사이에 형성함이 양호하다.
전술한 급기공 개폐부재를 상하의 직립된 방향으로 안내하는 안내부재는 그 중심에 형성되어 급기공 개폐부재가 관통 안내되는 개폐부재 안내공과 개폐부재 안내공의 외주연 상에 다수 형성되어 급기관으로부터 공기분출관을 경유하는 공기를 상향으로 분출시키는 공기분출공을 구비하되 개폐부재 복귀수단이 끼워진 상태의 급기공 개폐부재 상단부에 개폐부재 안내공을 통해 끼움 결합된다.
전술한 구성에서 급기공 개폐부재는 일정크기의 샤프트, 샤프트의 하부측 외주면 상에 개폐부재 복귀수단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편 및 지지편 하부측의 샤프트 외주면 상에 끼워져 급기공의 폐쇄시 수밀을 하는 밀봉링의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개폐부재 복귀수단은 급기공 개폐부재의 하단부와 안내부재 사이의 급기공 개폐부재 외주면에 끼워지되 그 작용하는 힘은 급기공을 폐쇄시키는 방향인 급기공 개폐부재의 원위치 방향으로 작용한다.
전술한 개폐부재 복귀수단은 일정한 탄성력과 복원력을 갖는 튜브 형태의 스펀지 고무일 수도 있고, 개폐부재 복귀수단은 코일스프링일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오·폐수 처리용 산기장치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은 본 고안에 따른 오·폐수 처리용 산기장치를 보인 분리 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오·폐수 처리용 산기장치에서 산기부재의 평면상을 보인 평면도,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오·폐수 처리용 산기장치를 보인 종단면도, 도 4 는 본 고안에 따른 오·폐수 처리용 산기장치의 작용을 보인 종단면도, 도 5 는 본 고안에 따른 오·폐수 처리용 산기장치에서 개폐부재 복귀수단의 다른 예를 보인 종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오·폐수 처리용 산기장치(100)는 체결구(112)와 급기공(114) 및 다수의 기포방출홈(116)이 구비되어 하부로부터 상부로 확장되는 깔대기 형태의 산기부재(110), 다수의 통공이 상하로 관통 형성되는 통공(122)과 상기 산기부재(110)의 기포방출홈(116)에 관계하는 기포방출홈(124)이 형성되어 산기부재(110)의 상부를 커버하는 커버부재(120), 외주에 다수의 공기분출공(132)이 형성되어 산기부재(110) 내측 저면의 급기공(114) 외주연 상에 상향이 개구된 파이프의 형태로 형성되는 공기분출관(130), 공기분출관(130)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공기분출공(132)으로부터 분출되는 공기를 나선방향으로 안내하는 공기안내리브(140), 공기분출관(130)의 내부에 설치되어 공기의 급기 및 차단시 급기공(114)을 개폐시키는 급기공 개폐부재(150), 개폐부재 안내공(162)이 형성되어 급기공 개폐부재(150)의 유동시 상하의 직립된 방향으로안내하는 안내부재(160), 급기공 개폐부재(150)를 상시 원위치시키는 방향으로 그 힘이 작용하는 개폐부재 복귀수단(170) 및 안내부재(160)를 공기분출관(130) 내부에 위치되도록 지지하는 지지부재(180)의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산기장치(100)는 급기관(10)을 통해 공기가 공급되면 공급되는 공기의 압력에 의해 급기공(114)을 폐쇄하고 있는 급기공 개폐부재(150)가 상향으로 밀려 급기공(114)이 열리게 된다. 이에 따라, 공기는 급기공(114)을 경유하여 공기분출관(130)으로 유입되어 상향의 안내부재(160)를 통해 분출되는 한편, 공기분출공(132)을 통해서도 분출이 된다. 이때, 공기분출공(132)을 통해 분출되는 공기는 공기안내리브(140)에 의해 나선방향으로 안내되어 소용돌이를 일으키게 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공기분출공(132)을 통해 분출되는 공기는 공기안내리부(140)에 의해 나선방향으로 안내되어 소용돌이를 일으키기 때문에 보다 작은 공기방울(기포)을 형성하게 된다. 이처럼 공기방울이 보다 작게 형성된다는 것은 공기와 폭기조 내부의 오·폐수와의 접촉이 많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공기의 용해가 보다 잘 이루어진다는 것이다.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이 공기분출관(130) 상향의 안내부재(160)와 공기분출공(132)을 통해 공기가 분출되는 가운데 산기부재(110) 내부에는 공기방울(기포)들이 발생하게 되고, 이러한 공기방울들은 산기부재(110)와 커버부재(120)의 기포방출홈(116, 124)을 통해 폭기조의 내부로 유입이 된다. 물론, 커버부재(120)의 통공(122)을 통해서도 방출되는 것은 당연하다.
반면, 급기관(10)을 통해 공급되는 공기의 공급이 차단되면 급기공 개폐부재(150)를 상향으로 밀어 올려 급기공(114)을 개방시키는 힘 즉, 공기압이 사라지게 되기 때문에 그 즉시 개폐부재 복귀수단(170)의 복원력에 의해 급기공 개폐부재(150)는 원위치되어 급기공(114)을 폐쇄하게 된다.
본 고안에 따른 오·폐수 처리용 산기장치(100)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산기부재(110)는 급기관(10)으로부터 공급되는 공기를 작은 공기방울의 형태로 형성하기 위한 것으로, 이 산기부재(110)는 급기관(10)과 연결되는 하부의 체결구(112), 체결구(112)의 상부 중심에 상하로 관통 형성되는 급기공(114) 및 상단의 플랜지면에 나선방향의 등간격으로 형성되는 다수의 기포방출홈(116)이 구비되어 깔대기 형태로 이루어진다. 즉, 산기부재(110)는 하부의 체결구(112)로부터 상부로 확장되는 구조의 깔대기 형태로 이루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산기부재(110)는 체결구(112)를 통해 급기관(10)에 연결되어 그 측면 형상이 역삼각형의 형태로 설치된다. 이처럼 급기관(10)에 연결된 산기부재(110)에는 급기관(10)으로부터 공급되는 공기가 체결구(112)와 급기공(114)을 통해 그 내주면으로 유입된다.
한편, 전술한 구성에서 산기부재(110)의 플랜지면 상에 등간격으로 다수 형성되는 기포방출홈(116)은 산기부재(110) 내부에서 발생된 공기방울(기포)을 방출하기 위한 홈으로, 이러한 기포방출홈(116)은 방출되는 공기방울(기포)들이 폭기조 내부에 소용돌이를 일으키면서 방출될 수 있도록 나선방향으로 형성된다.
커버부재(120)는 폭기조 내부의 이물질들이 산기부재(110)의 내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이 커버부재(120)는 상하로 관통 형성되는 다수의 통공(122)과 산기부재(110)의 기포방출홈(116)에 관계하여 하단 테두리에 형성되는 기포방출홈(124)이 구비되어 산기부재(110)의 상부측을 통해 결합된다. 이때, 커버부재(120)의 하단 안쪽면으로는 걸림턱(126)이 형성되어 산기부재의 외주단과 걸림에 의해 결합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에서 기포방출홈(124)은 하부측이 열린 구조로 형성되고, 이에 관계하는 산기부재(110)의 기포방출홈(116)은 상향으로 열린 구조로 형성되어 산기부재(110)와 커버부재(120)의 결합에 의해 두 기포방출홈(116, 124)은 기포방출공을 형성하게 된다.
한편, 전술한 커버부재(120)의 통공(122)들은 폭기조 내부의 이물질들이 산기부재(110)의 내부로 유입되지 않으면서도 산기부재(110) 내부에 발생된 작은 공기방울(기포)들이 방출될 수 있도록 하는 정도의 크기로 형성된다. 이때, 커버부재(120)의 통공(122)들이 이물질에 의해 막히는 경우가 발생하더라도 산기부재(110) 내부에 발생된 공기방울들이 통공(122)을 통해 폭기조 내부로 방출될 때 통공(122)은 뚫리게 된다. 즉, 통공(122)을 막고 있는 이물질들이 통공(122)을 통해 방출되는 공기방울에 의해 제거된다.
공기분출관(130)은 급기공(114)을 경유하는 공기를 상향과 측방향으로 안내하기 위한 것으로, 이 공기분출관(130)은 산기부재(110) 내측 저면의 급기공(114) 외주연 상에 상향이 개구된 파이프의 형태로 형성된다. 이때, 공기분출관(130)의 내경은 급기공(114)에 비해 크게 형성되어 급기공(114)의 외주연 상부에는 평면상이 형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형성되는 공기분출관(130)에는 공기분출관(130)의 내부로 유입된 공기가 측방향으로도 분출될 수 있도록 다수의 공기분출공(132)의 등간격으로 형성된다. 이처럼 공기의 분출이 측방향으로도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은 산기부재(110)의 내부에서 보다 작은 공기방울이 형성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공기안내리브(140)는 공기분출공(132)으로부터 분출되는 공기를 나선방향으로 안내하여 산기부재(110) 내부에 소용돌이를 일으키기 위한 것으로, 이 공기안내리브(140)는 공기분출관(130)의 외주면에서 산기부재(110)의 내주면에 등간격의 나선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공기분출공(132)으로부터 분출되는 공기를 나선방향으로 안내하게 된다. 이때, 공기안내리부(140)는 공기분출공(132) 각각의 사이에 하나씩 형성된다. 즉, 공기안내리브(140) 각각의 사이에는 공기분출공(132)이 형성된다고도 볼 수 있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이 공기분출공(132) 각각의 사이에 하나씩 공기분출공(132)을 통해 측방향으로 분출되는 공기를 나선방향으로 안내하기 위한 공기안내리브(140)가 형성됨으로써 각각의 공기분출공(132)을 통해 분출되는 공기는 두 공기안내리브(140) 사이에서 나선방향으로 안내되어 산기부재(110) 내부에 소용돌이를 일으키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급기관(10)과 급기공(114)을 통해 공기분출관(130)으로 유입된 공기가 공기분출공(132)을 통해 분출되어 공기안내리브(140)에 의해 나선방향으로 안내됨으로써 공기는 산기부재(110) 내부의 오·폐수와 접촉이 이루어지는 가운데 소용돌이를 일으켜 보다 작은 공기방울(기포)로 형성된다.
급기공 개폐부재(150)는 급기공(114)을 개폐하여 급기관(10)으로부터 공급되는 공기를 급기 및 차단시키는 것으로, 이 급기공 개폐부재(150)는 공기분출관(130)의 내부에 상하로 유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공기의 급기 및 차단시 급기공(114)을 개폐시키게 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급기공 개폐부재(150)는 일정크기의 샤프트(152)와 샤프트(152)의 하부측에 후술하는 개폐부재 복귀수단(170)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편(154) 및 급기공(114)의 폐쇄시 급기공(114)을 수밀하는 밀봉링(156)으로 이루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급기공 개폐부재(150)는 지지편(154)이 형성되는 하부측이 급기공(114)을 향하게 하여 공기분출관(130)의 내부에 설치된다. 이때, 급기공 개폐부재(150)의 샤프트(152) 하단은 급기공(114)의 직경에 관계하는 외경으로 형성된다.
안내부재(160)는 급기공 개폐부재(150)를 상하의 직립된 방향으로 안내하기 위한 것으로, 이러한 안내부재(160)는 그 중심에 급기공 개폐부재(150)의 샤프트(152) 상단의 직경에 관계하는 내경의 개폐부재 안내공(162)과 공기분출관(130)으로 유입된 공기가 상향으로 분출될 수 있도록 하는 다수의 공기분출공(164)이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안내부재(160)는 급기공 개폐부재(150)의 샤프트(152) 상단에 개폐부재 안내공(162)이 끼워진 상태로 후술하는 하부의 개폐부재 복귀수단(170)과 상부의 지지부재(180)를 통해 지지되어 공기분출관(130)의 상부 내측에 위치된다. 이처럼 안내부재(160)를 설치함으로써 급기공 개폐부재(150)의 상하 유동시 급기공 개폐부재(150)의 샤프트(152)는 개폐부재 안내공(162)을 따라 상하로 안내되기 때문에 원활한 상하유동이 이루어진다.
개폐부재 복귀수단(170)은 급기관(10)을 통한 공기의 급기차단시 급기공 개폐부재(150)를 원위치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 개폐부재 복귀수단(170)은 급기공 개폐부재(150)의 샤프트(152) 외주면 상에 끼워져 급기공 개폐부재(150)를 상시 원위치시키는 방향으로 그 힘이 작용한다. 즉, 개폐부재 복귀수단(170)은 급기공 개폐부재(150)의 샤프트(152) 외주면 상에 끼워진 상태로 급기공 개폐부재(150)의 지지편(154)과 안내부재(160) 사이에 위치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개폐부재 복귀수단(170)은 상부의 안내부재(160)가 사실상 고정되는 상태이기 때문에 급기에 따른 급기공 개폐부재(150)의 상향 이동시 압축되고, 급기차단에 따라 복원력을 통해 급기공 개폐부재(150)를 원위치시켜 급기공(114)을 폐쇄하게 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개폐부재 복귀수단(170)은 도 1 내지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한 탄성력과 복원력을 갖는 튜브 형태의 스펀지 고무일 수도 있고,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부재 복귀수단(170)은 코일스프링의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지지부재(180)는 안내부재(160)의 상부면을 지지하여 그 위치를 고정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 지지부재(180)는 안내부재(160)에 관계하는 위치의 커버부재(120)하부면에 형성되어 안내부재(160)를 공기분출관(130) 내부에 위치되도록 지지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지지부재(180)는 커버부재(120)를 산기부재(110)에 결합시킴으로써 안내부재(160)의 상부면을 지지(가압)하여 안내부재(160)의 위치가 공기분출관(130)의 상부 내측에 위치될 수 있도록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오·폐수 처리용 산기장치(100)는 개폐부재 복귀수단(170)이 급기공 개폐부재(150)의 샤프트(152)에 끼워진 상태로 공기분출관(130)의 내측에 설치되고, 개폐부재 복귀수단(170) 상단의 샤프트(152)에 안내부재(160)가 끼워진 상태에서 산기부재(110)에 커버부재(120)를 결합함으로써 조립이 이루어진다. 이처럼 조립이 이루어진 산기장치(100)의 체결구(112)를 급기관(10)에 연결하게 되면 산기장치(100)의 설치는 완료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급기의 차단시 급기공(114)의 폐쇄를 보다 확실하게 하여 오·폐수의 역류를 방지할 수 있으며, 공기안내리브(140)를 통해 분출되는 공기를 나선방향으로 안내하여 소용돌이가 일어나도록 함으로써 보다 작은 공기방울을 형성하여 공기의 용해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본 고안은 전술한 실시 예에 국한되지 않고 본 고안의 기술사상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가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급기관으로부터 공급되는 공기의 공급이 차단되면 그 즉시 개폐부재 복귀수단의 복원력을 통해 급기공을 폐쇄하여 급기관 내부로 오·폐수의 역류가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의 다른 효과로는 급기공을 통해 산기부재의 내부로 급기된 공기의 유동이 상향은 물론 산기부재 내주면의 경사면 방향으로 유동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공기안내리브를 통해 나선방향으로 유동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공기의 회전 소용돌이에 의해 발생된 에너지를 통해 공기방울(기포)을 보다 잘게 쪼개주어 폭기조 내부의 산소전달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나아가, 본 고안은 전술한 효과들 이외에 급기공을 통해 산기부재의 내부로 급기된 공기의 유동이 상향은 물론 산기부재 내주면의 경사면 방향으로 유동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공기안내리브를 통해 나선방향으로 유동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산기부재의 내측으로 유입된 공기를 나선방향으로 회전 배출시켜 공기압이 강하게 분사되면서 폭기조 내에 골고루 분포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7)

  1. 급기관으로부터 공기가 유입되는 급기공과 기포가 방출되는 기포방출홈이 구비된 깔대기 형태의 산기부재, 상기 산기부재의 기포방출홈에 관계하는 기포방출홈과 다수의 통공을 구비하는 커버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산기장치에 있어서,
    상기 산기부재 내측 저면의 상기 급기공 외주연 상에 상향이 개구된 파이프의 형태로 형성되어지되 그 내외측에는 상기 급기공을 통해 유입된 공기를 측방향으로 분출시키는 다수의 공기분출공이 관통 형성된 공기분출관;
    상기 공기분출관의 외주면에서 상기 산기부재의 내주면에 등간격의 나선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공기분출공으로부터 분출되는 공기를 나선방향으로 안내하는 공기안내리브;
    상기 공기분출관의 내부에 상하로 유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공기의 급기 및 차단시 상기 급기공을 개폐시키는 급기공 개폐부재;
    상기 급기공 개폐부재의 상단부가 관통 안내되는 개폐부재 안내공이 형성되어 상기 급기공 개폐부재의 유동시 상하의 직립된 방향으로 안내하는 안내부재;
    상기 급기공 개폐부재의 외주면 상에 끼워져 상기 급기공 개폐부재를 상시 원위치시키는 방향으로 그 힘이 작용하는 개폐부재 복귀수단; 및
    상기 안내부재에 관계하는 위치의 상기 커버부재 하부면에 형성되어 상기 안내부재를 상기 공기분출관 내부에 위치되도록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폐수 처리용 산기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안내리브는 상기 공기분출관의 측방향으로 형성되는 상기 공기분출공 각각의 사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폐수 처리용 산기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급기공 개폐부재를 상하의 집립된 방향으로 안내하는 안내부재는 그 중심에 형성되어 상기 급기공 개폐부재가 관통 안내되는 개폐부재 안내공과 상기 개폐부재 안내공의 외주연 상에 다수 형성되어 상기 급기관으로부터 상기 공기분출관을 경유하는 공기를 상향으로 분출시키는 공기분출공을 구비하되 상기 개폐부재 복귀수단이 끼워진 상태의 상기 급기공 개폐부재 상단부에 상기 개폐부재 안내공을 통해 끼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폐수 처리용 산기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급기공 개폐부재는 일정크기의 샤프트;
    상기 샤프트의 하부측 외주면 상에 상기 개폐부재 복귀수단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편; 및
    상기 지지편 하부측의 상기 샤프트 외주면 상에 끼워져 상기 급기공의 폐쇄시 수밀을 하는 밀봉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폐수 처리용 산기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재 복귀수단은 상기 급기공 개폐부재의 하단부와 상기 안내부재 사이의 급기공 개폐부재 외주면에 끼워지되 그 작용하는 힘은 상기 급기공을 폐쇄시키는 방향인 상기 급기공 개폐부재의 원위치 방향으로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폐수 처리용 산기장치.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재 복귀수단은 일정한 탄성력과 복원력을 갖는 튜브 형태의 스펀지 고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폐수 처리용 산기장치.
  7.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재 복귀수단은 코일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폐수 처리용 산기장치.
KR20-2003-0011437U 2003-04-14 2003-04-14 오·폐수 처리용 산기장치 KR20032008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1437U KR200320086Y1 (ko) 2003-04-14 2003-04-14 오·폐수 처리용 산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1437U KR200320086Y1 (ko) 2003-04-14 2003-04-14 오·폐수 처리용 산기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23433A Division KR100513295B1 (ko) 2003-04-14 2003-04-14 오·폐수 처리용 산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20086Y1 true KR200320086Y1 (ko) 2003-07-12

Family

ID=493359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1437U KR200320086Y1 (ko) 2003-04-14 2003-04-14 오·폐수 처리용 산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20086Y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2576B1 (ko) 2012-05-31 2012-07-09 (주)한국테크 수질 개선용 폭기 시스템
KR101289791B1 (ko) * 2011-07-28 2013-07-26 (주) 조인엔텍 공기 부상식 오폐수 처리 장치
KR101292601B1 (ko) 2012-06-07 2013-08-02 고일영 미세기포 발생장치
KR101451550B1 (ko) * 2014-02-17 2014-10-16 원남희 오니건조장치용 디스크 플레이트 구조체
KR101474192B1 (ko) * 2014-02-17 2014-12-17 원남희 오니건조장치의 샤프트와 디스크 플레이트의 결합 구조
KR20230077206A (ko) 2021-11-25 2023-06-01 주식회사 국제에스티 수중 버블 발생장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9791B1 (ko) * 2011-07-28 2013-07-26 (주) 조인엔텍 공기 부상식 오폐수 처리 장치
KR101162576B1 (ko) 2012-05-31 2012-07-09 (주)한국테크 수질 개선용 폭기 시스템
KR101292601B1 (ko) 2012-06-07 2013-08-02 고일영 미세기포 발생장치
KR101451550B1 (ko) * 2014-02-17 2014-10-16 원남희 오니건조장치용 디스크 플레이트 구조체
KR101474192B1 (ko) * 2014-02-17 2014-12-17 원남희 오니건조장치의 샤프트와 디스크 플레이트의 결합 구조
KR20230077206A (ko) 2021-11-25 2023-06-01 주식회사 국제에스티 수중 버블 발생장치
KR102614729B1 (ko) * 2021-11-25 2023-12-15 주식회사 국제에스티 수중 버블 발생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395874B (zh) 一种折流式内循环生物膜反应器的改良结构
KR200320086Y1 (ko) 오·폐수 처리용 산기장치
KR900012846A (ko) 오수의 초화처리장치
KR100870728B1 (ko) 개선된 교반장치의 하수고도처리 장치
KR100513295B1 (ko) 오·폐수 처리용 산기장치
KR20100069898A (ko) 다단 산기장치
KR100527091B1 (ko) 나선형 회전체가 구비된 산기장치
US4160723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moval of pollutants from waste water
KR101106761B1 (ko) 격막 순환식 활성슬러지 포기조 및 이를 이용한 수처리 방법
CN111689602B (zh) 一种芬顿氧化反应装置
JPH11207386A (ja) 嫌気性処理装置
KR100301521B1 (ko) 거품 부상식 슬러지 제거장치
CN206705785U (zh) 一种生物反应污水处理器
CN216808353U (zh) 一种颗粒化微生物聚集体的高效筛选分离系统
KR200383134Y1 (ko) 단독정화조용 수처리장치
KR100653895B1 (ko) 유동상의 미생물 담체를 이용한 폐수처리장치 및 방법
CN215102734U (zh) 一种垃圾渗滤液混凝氧化处理系统
KR200375500Y1 (ko) 유동상의 미생물 담체를 이용한 폐수처리장치
KR102362832B1 (ko) 고농도 폐수 슬러지의 막힘 없는 산기통
KR100295433B1 (ko) 산기장치
CN213446429U (zh) 污水处理系统中的三相分离装置及水质净化设备
KR100543833B1 (ko) 단독정화조용 수처리장치
CN2747217Y (zh) 污水好氧/缺氧处理反应器
JPH09248591A (ja) 嫌気性流動床排水処理方法およびその装置
KR102500184B1 (ko) 상등수의 배출장치 및 상등수의 배출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