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87679A - 체력 관리가 가능한 헬스 기구 운용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체력 관리가 가능한 헬스 기구 운용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87679A
KR20020087679A KR1020010026595A KR20010026595A KR20020087679A KR 20020087679 A KR20020087679 A KR 20020087679A KR 1020010026595 A KR1020010026595 A KR 1020010026595A KR 20010026595 A KR20010026595 A KR 20010026595A KR 20020087679 A KR20020087679 A KR 200200876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tness
user
driving
equipment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265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형진
Original Assignee
김형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형진 filed Critical 김형진
Priority to KR10200100265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87679A/ko
Publication of KR200200876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87679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62Monitoring athletic performances, e.g. for determining the work of a user on an exercise apparatus, the completed jogging or cycling distanc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71/0622Visual, audio or audio-visual systems for entertaining, instructing or motivating the use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62Monitoring athletic performances, e.g. for determining the work of a user on an exercise apparatus, the completed jogging or cycling distance
    • A63B2024/0065Evaluating the fitness, e.g. fitness level or fitness index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62Monitoring athletic performances, e.g. for determining the work of a user on an exercise apparatus, the completed jogging or cycling distance
    • A63B2024/0068Comparison to target or threshold, previous performance or not real time comparison to other individual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30/00Measuring physiological parameters of the user
    • A63B2230/75Measuring physiological parameters of the user calorie expendi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헬스 기구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신체 조건이나 체력 상태에 따라 게임 방식으로 헬스 기구를 운용하여 사용자별 체력 관리가 가능하도록 한 체력 관리가 가능한 헬스 기구 운용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종래에는 각 개인들이 현재 자신의 운동량이나 에너지(칼로리) 소모량 등과 같은 현재 자신의 체력 상태를 알 수 없었고, 이로 인해 체력 관리를 위해 단지 매일매일의 운동시간만을 고려하여 점차 그 시간을 늘려가는 방식을 사용했으며, 결국 헬스 기구가 종합적인 체력 관리 기구라기 보다는 단순히 하나의 운동 기구로서의 기능만을 제공하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에 의한 체력 관리가 가능한 헬스 기구 운용 시스템 및 방법에 따르면, 헬스 기구를 운동 게임 방식으로 운용하여 사용자들의 흥미를 유발시켜서 체력을 증진시킴과 동시에 헬스 기구 사용자별로 과학적이고 효율적인 체력 관리가 가능해 진다.

Description

체력 관리가 가능한 헬스 기구 운용 시스템 및 방법{Operating System And Method For Physical Strength Management Possible Health Apparatus}
본 발명은 체력 관리가 가능한 헬스 기구 운용에 관한 것으로, 특히 헬스 기구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신체 조건이나 체력 상태에 따라 게임 방식으로 헬스 기구를 운용하여 사용자별 체력 관리가 가능하도록 한 체력 관리가 가능한 헬스 기구 운용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대 사회를 살아가고 있는 사람들은 대부분 정해진 생활의 틀 속에서 규칙적으로 움직이고 또한 충분히 발달된 교통수단을 이용하게 된다. 따라서 대다수의 사람들은 육체적으로 운동부족 상태에 있다고 볼 수 있는데, 운동부족은 그들 자신의 건강에 직결되는 문제이므로 헬스 스포츠에 관심을 갖게 되었고, 이러한 관심은 실내 스포츠 시설의 확충 및 저변 확대를 가져오게 되었다.
이러한 실내 스포츠로서 생활 주변에서 가장 널리 보급되어 있는 것이 헬스 운동으로 다른 스포츠와는 달리 별도의 개인 장비없이 공통의 헬스 기구만 있으면 되므로 누구나 쉽게 시작할 수 있는 운동이다.
또한, 헬스 기구도 다양한 것들이 있는데, 상체 운동을 하기 위한 것으로 역기, 덤벨, 및 바벨을 이용하는 벤치프레스, 덤벨프레스 및 바벨 프레스 등이 있고, 하체 운동을 하기 위한 것으로 런닝머신이나 싸이클링머신 등이 있으며, 이외에도 허리 운동이나 복부 운동 등을 위한 헬스 기구 등과 전술한 기능들을 혼합해 놓은 복합헬스머신 등이 있다.
한편, 전술한 헬스 기구들이 갖추어져 있는 장소(예를 들어 헬스클럽이나 스포츠 센터 등)에서는 대부분 소수의 코치들이 돌아다니면서 헬스 기구 사용자들의 운동 상태 등을 관리함에 따라 사실상 각 개인별 지도가 불가능했으며, 이로 인해 대부분의 헬스 기구 사용자들은 자신이 선호하는 한 두가지의 헬스 기구를 이용한운동만을 집중적으로 하게 되어 신체 각 부위의 균형적인 운동이 이루어지지 않을 뿐 아니라, 효과적인 체력 관리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그리고, 종래의 헬스기구들은 상체 운동이나 하체 운동 또는 허리 운동이나 복부 운동 등을 단순히 반복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 밖에는 없기 때문에 얼마 안가서 지루해지고 꺼려지는 경우가 있는 바, 흥미나 즐거움을 얻으면서 운동을 하기 위한 동기 유발이 부족했다.
이에, 노젓기와 스텝퍼를 결합하여 상체 운동과 하체 운동을 동시에 할 수 있도록 한다든지 하는 등 여러 운동방식을 조합한 다기능의 새로운 헬스 기구들이 제안되고 있는 실정이지만 이 또한 운동 자체에 대한 흥미를 유발하지는 못했다.
또한, 종래의 헬스 기구를 사용하는 각 개인들은 현재 자신의 운동량이 얼마나 되는지, 또 얼마나 에너지(칼로리)를 소모했는지 등과 같은 현재 자신의 체력 상태를 알 수 없었고, 이로 인해 체력 관리를 위해 단지 매일매일의 운동시간만을 고려하여 점차 그 시간을 늘려가는 방식을 사용했으며, 결국 헬스 기구가 종합적인 체력 관리 기구라기 보다는 단순히 하나의 운동 기구로서의 기능만을 제공하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단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헬스 기구를 운동 게임 방식으로 운용하여 사용자들의 흥미를 유발시켜서 체력을 증진시키고, 각각의 헬스 기구 사용자별로 기초 체력 정보 및 체력 상태 정보를 관리하여과학적이고 효율적인 체력 관리가 가능하도록 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체력 관리가 가능한 헬스 기구 운용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체력 관리가 가능한 헬스 기구 운용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동작 순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 : 헬스 기구 12 : 입력부
13 : 사용자 DB 14 : 운동 감지부
15 : 헬스 제어부 16 : 구동부
17 : 디스플레이부 18 : 출력부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신체의 상체나 하체 또는 허리나 복부 등의 근육을 단련할 수 있는 구동부재를 구비하고 있는 헬스 기구와; 상기 헬스 기구 사용자를 식별하기 위한 사용자 계정 정보를 입력받거나, 상기 헬스 기구를 게임 방식으로 운용할 수 있도록 운동 게임 항목을 선택적으로 입력받기 위한 입력부와; 상기 헬스 기구 사용자별 신체 조건이나 건강 상태 등을 포함하는 기초 체력 정보와, 사용자의 헬스 기구 사용에 따라 변화되는 체력 상태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사용자 DB와; 상기 헬스 기구의 구동부재가 구동되는 방향이나 구동 경사도 또는 구동 속도를 감지하여 해당되는 헬스 기구 구동 정보를 전달하는 운동 감지부와; 상기 헬스 기구의 구동 속도나 구동 압력 또는 구동 경사도와 같은 기구적인 구동 조건을 가변시키기 위해 구동부재를 동작시키는 구동부와; 상기 헬스 기구 사용자의 운동 진행에 따른 체력 상태 정보를 시각 또는 청각적으로 출력해 주는 출력수단과; 상기 입력부를 통해 현재의 헬스 기구 사용자를 식별하고, 사용자에 의해 운동 게임 항목별로 선택되는 조건에 따라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여 헬스 기구의 기구적인 구동 조건을 가변시키며, 상기 운동 감지부로부터 전달되는 헬스 기구 구동 정보를 분석하여 해당되는 사용자의 체력 상태 정보를 상기 사용자 DB에 저장함과 동시에 상기 출력수단을 통해 출력해 주는 헬스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체력 관리가 가능한 헬스 기구 운용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여기서, 상기 헬스 제어부는, 헬스 기구 구동 정보를 분석하여 헬스 기구 사용자의 운동량이나 에너지 소모량을 포함하는 체력 상태를 산출한 후, 산출한 체력 상태 정보를 음성이나 텍스트 또는 그래픽이나 이미지 형태로 변환하여 사용자가 시각 또는 청각적으로 자신의 체력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출력해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헬스 기구 사용자의 체력 상태 정보를 운동 게임 항목에서 선택된 게임 대상자에 대한 체력 상태 정보와 비교하여 그 결과를 출력해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게임 대상자는, 실제로 헬스 기구를 사용하는 다른 사용자이거나, 현재 헬스 기구를 사용하는 사용자와 신체 및 체력 조건이 유사한 가상의 헬스 기구 사용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또한 상기 헬스 제어부는, 헬스 기구 사용자에 의해 운동 게임 항목별 조건이 선택되지 않은 경우 상기 사용자 DB에 저장되어 있는 기초 체력 정보 및 헬스 기구 사용으로 인해 변경된 체력 상태 정보를 기준으로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여 헬스 기구의 기구적인 구동 조건을 가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헬스 기구 사용자의 신체 조건이나 건강 상태를 포함하는 기초 체력 정보를 입력받아 저장하고, 해당되는 사용자 계정을 부여하는 과정과; 상기 헬스 기구 사용자로부터 소정의 계정 정보를 입력받아 해당되는 사용자를 식별하고, 소정의 운동 게임 항목별 조건을 선택, 입력받는 과정과; 상기 헬스 기구 사용자에 의해 선택, 입력된 운동 게임 항목별 조건에 따라 상기 헬스 기구의 구동부재를 동작시켜 기구적인 구동 조건을 가변시키는 과정과; 구동 조건이 가변된 헬스 기구의 운용에 따라 감지되는 헬스 기구 구동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헬스 기구 사용자의 운동량이나 에너지 소모량을 포함하는 체력 상태를 산출하는 과정과; 산출한 체력 상태 정보를 저장함과 동시에 음성이나 텍스트 또는 그래픽이나 이미지 형태로 변환하여 상기 헬스 기구 사용자가 자신의 체력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출력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체력 관리가 가능한 헬스 기구 운용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때, 상기 체력 상태 정보를 출력하는 과정은, 헬스 기구 사용자에 의해 운동 게임 항목에서 선택된 게임 대상자의 체력 상태 정보와 현재 헬스 기구 사용자의 체력 상태 정보를 비교하여 그 결과를 실시간으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운동 게임 항목은, 게임의 난이도, 코스, 게임 대상자, 코치 중에서 하나 이상의 항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술한 체력 관리가 가능한 헬스 기구 운용 방법은, 상기 헬스 기구 사용자별 체력 상태 정보를 저장하여 소정기간 동안의 체력 변동 추이나 신체 리듬을 체크해서 사용자별 체력 관리 기능을 제공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헬스 기구 사용자로부터 운동 게임 항목별 조건이 선택, 입력되지 않는 경우 현재의 헬스 기구 사용자를 식별한 후, 기저장되어 있는 기초 체력 정보 및 헬스 기구 사용으로 변경된 체력 상태 정보를 기준으로 상기 헬스 기구의 기구적인 구동 조건을 가변시키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체력 관리가 가능한 헬스 기구 운용 시스템은 첨부한 도면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헬스 기구(11)와, 입력부(12)와, 사용자 DB(Data Base)(13)와, 운동 감지부(14)와, 헬스 제어부(15)와, 구동부(16)와, 디스플레이부(17) 및 출력부(18)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헬스 기구(11)는 신체의 상체나 하체 또는 허리나 복부 등의 근육을 단련할 수 있는 구동부재를 구비하고 있으며, 입력부(12)는 헬스 기구 사용자를 식별하기 위한 사용자 식별자 및 비밀번호를 입력받거나, 현재 사용자로부터 운동과 관련된 게임의 난이도, 코스, 게임 대상자, 코치 등의 운동 게임 항목을 선택적으로 입력받아 헬스 제어부(15)에 전달해 준다.
사용자 DB(13)는 헬스 기구(11)를 사용하는 각 사용자별 신체 조건이나 건강 상태 등의 기초 체력 정보를 저장하고 있으며, 이후에 사용자의 헬스 기구 사용에 따라 변화되는 체력 상태 정보를 저장한다.
운동 감지부(14)는 사용자의 헬스 기구 운용에 따라 구동부재가 구동되는 방향이나 구동 경사도 또는 구동 속도 등을 감지하여 해당되는 헬스 기구 구동 정보를 헬스 제어부(15)에 전달한다.
헬스 제어부(15)는 입력부(12)를 통해 현재의 헬스 기구 사용자를 식별하고, 사용자에 의해 운동 게임 항목별로 선택되는 조건에 따라 구동부(16)를 제어하여 헬스 기구(11)의 기구적인 구동 조건(구동속도, 구동 압력, 구동 경사도 등)을 가변시키며, 운동 감지부(14)로부터 전달되는 헬스 기구 구동 정보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운동량이나 에너지 소모량 등과 같은 체력 상태를 산출한 후, 산출한 체력 상태 정보를 사용자 DB(13)에 저장함과 동시에 음성이나 텍스트 또는 그래픽이나 이미지 형태로 디스플레이부(17) 또는 출력부(18)를 통해 출력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자신의 체력 상태를 체크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사용자의 체력 상태 정보는 이미 선택된 게임 대상자의 체력 상태 정보와 비교된 결과를 출력하게 되는데, 해당 게임 대상자는 실제의 헬스 기구 사용자이거나 가상의 헬스 기구 사용자일 수 있으며, 자신의 체력 상태를 보다 정확히 체크하기 위해서는 현재의 헬스 기구 사용자와 신체 및 체력 조건이 비슷한 사용자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사용자에 의해 운동 게임 항목별 조건이 선택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용자 DB(13)에 저장되어 있는 기초 체력 정보 및 헬스 기구 사용으로 인해 변경된 체력 상태 정보를 기준으로 구동부(16)를 제어하여 헬스 기구(11)의 기구적인 구동 조건을 가변시켜 준다.
구동부(16)는 헬스 제어부(15)의 제어에 따라 헬스 기구(11)의 구동 속도나 구동 압력 또는 구동 경사도 등과 같은 기구적인 구동 조건을 가변시키기 위해 구동부재를 동작시킨다.
디스플레이부(17)와 출력부(18)는 헬스 기구(11)의 지지대 등에 직접 장착되거나 별도로 설치되어 헬스 제어부(15)에 의해 출력되는 운동 결과 정보인 사용자별 체력 상태 정보를 해당 헬스 기구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시각 또는 청각적으로 출력해 준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체력 관리가 가능한 헬스 기구의 운용 동작을 첨부한 도면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헬스 기구(11)를 사용하고자 하는 사람(즉, 사용자)은 해당 헬스 기구(11)를 처음 사용하는 경우 자신의 신체 조건이나 건강 상태 등을 입력부(12)를 통해 직접 입력하거나 해당 헬스 기구 관리자(코치나 클럽 운용자 등)와의 상담 등을 통해 입력하게 되고, 이렇게 입력된 정보는 사용자 DB(15)에 저장되어 각 사용자별 기초 체력 정보로서 관리하게 된다(스텝 S21).
이때, 헬스 기구 사용자는 개인별 식별자와 비밀번호 등의 개인 계정을 부여받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소정의 헬스 기구(11)를 사용하기 위해 입력부(12)를 통해 사용자 식별자와 비밀번호 등의 계정 정보를 입력하게 되면, 입력부(12)를 통해 입력된 정보는 헬스 제어부(15)로 전달되어 현재의 헬스 기구 사용자를 식별하게 된다(스텝 S22).
그리고, 해당 헬스 기구 사용자는 게임 방식으로 헬스 기구(11)를 운용하여 운동을 진행하고자 하는 경우 자신이 원하는 게임의 난이도, 코스, 게임 대상자, 코치 등의 운동 게임 항목별 조건을 입력부(12)를 통해 선택 입력하게 된다(스텝 S23).
그러면, 헬스 제어부(15)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 입력되는 운동 게임 항목별 조건에 따라 구동부(16)를 제어하여 헬스 기구(11)의 기구적인 구동 조건, 예를 들어 헬스 기구(11)가 런닝머신인 경우 구동 속도나 구동 경사도 등의 구동 조건, 싸이클링머신인 경우 게임의 난이도나 코드 등에 따라 구동 속도나 구동 압력 등의구동 조건을 가변시키게 된다(스텝 S24).
이후, 사용자가 원하는 구동 조건으로 가변된 헬스 기구(11)를 이용하여 게임 방식으로 운동을 진행하게 되면, 해당 헬스 기구(11)의 운동 감지부(14)는 사용자의 헬스 기구 운용에 따라 구동부재가 구동되는 방향이나 구동 경사도 또는 구동 속도 등을 감지하여 해당되는 헬스 기구 구동 정보를 헬스 제어부(15)로 전달하게 된다(스텝 S25).
이때, 게임 방식으로 운동을 진행하는 예를 들어 설명하면, 헬스 기구(11)가 싸이클링 머신인 경우 해당 헬스 제어부(15)는 게임의 난이도나 코스 등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7)에 출력되는 게임의 내용 화면이 언덕을 올라가는 상황일 경우에는 구동부(16)를 제어하여 헬스 기구(11)의 기구적인 조건 즉, 바퀴에 장착된 브레이크 구동부재를 제어하여 사용자가 싸이클의 페달을 더 많은 힘을 가하도록 브레이크 세기를 크게 가변시켜 사용자로 하여금 실제 언덕을 올라가는 느낌이 들 수 있도록 현실감있는 운동을 진행하고, 이렇게 진행되는 헬스 기구 구동 정보를 감지하여 헬스 제어부(15)로 전달하게 되는 것이다.
이에, 해당 헬스 제어부(15)는 운동 감지부(14)로부터 전달되는 헬스 기구 구동 정보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운동량이나 에너지 소모량 등과 같은 체력 상태를 산출한 후(스텝 S26), 산출한 체력 상태 정보를 음성이나 텍스트 또는 그래픽이나 이미지 형태로 변환하여 사용자가 시각 또는 청각적으로 자신의 체력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부(17) 또는 출력부(18)를 통해 출력해 주게 되는데(스텝 S27), 이때, 해당 헬스 기구 사용자로 하여금 자신의 체력 상태를 보다 정확히 체크할 수 있도록 해당 헬스 기구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게임 대상자의 체력 상태 정보와 현재 헬스 기구 사용자의 체력 상태 정보를 비교하여 실시간으로 출력할 수 있다.
즉, 게임 대상자가 실제로 헬스 기구(11)를 사용하는 다른 사용자인 경우에는 해당되는 사용자의 체력 상태 정보를 사용자 DB(13)로부터 인출하여 비교 출력해 주고, 게임 대상자가 가상의 헬스 기구 사용자인 경우에는 표준적이거나 그 이상의 조건으로 가상적인 체력 상태 정보를 산출하여 이를 비교 출력해 주게 된다. 여기서, 표준적이거나 그 이상의 조건으로 가상적인 체력 상태 정보를 산출하는 이유는 헬스 기구 사용자의 체력 상태를 지속적으로 증진시켜 주기 위함이다.
그리고, 해당 헬스 제어부(15)는 헬스 기구 사용자의 운동이 종료되는 경우 현재 진행된 체력 상태 정보를 디스플레이부(17) 또는 출력부(18)를 통해 출력해 줌과 동시에 사용자 DB(13)에 저장하여 관리하게 된다.
또한, 해당 헬스 제어부(15)는 현재의 체력 상태 정보 뿐 아니라, 헬스 기구 사용자별 체력 상태 정보를 지속적으로 관리하여 각각의 헬스 기구 사용자에 대해 소정기간(예컨대 1주일, 1개월, 3개월, 6개월, 1년 등) 동안의 체력 변동 추이나 신체 리듬 등을 체크하여 사용자별 체력 관리를 가능하게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헬스 기구 사용자가 입력부(12)를 통해 사용자 식별자와 비밀번호를 입력할 뿐 운동 게임 항목별 조건을 입력하지 않는 경우를 예로 들을 수 있는데, 이 경우 헬스 제어부(15)는 현재의 헬스 기구 사용자를 식별한 후, 해당되는 사용자 DB(13)에 저장되어 있는 기초 체력 정보 및 이미 진행된 체력 상태 정보를 기준으로 구동부(16)를 제어하여 헬스 기구(11)의 기구적인 구동 조건을 가변시켜 주게 되며, 이후의 체력 관리 동작은 상술한 동작과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체력 관리가 가능한 헬스 기구 운용 시스템 및 방법에 대한 실시예는 상술한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과 관련하여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자명한 범위내에서 여러 가지의 대안, 수정 및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체력 관리가 가능한 헬스 기구 운용 시스템 및 방법에 따르면, 헬스 기구를 운동 게임 방식으로 운용하여 사용자들의 흥미를 유발시켜서 체력을 증진시킴과 동시에 헬스 기구 사용자별로 과학적이고 효율적인 체력 관리가 가능해 진다.

Claims (11)

  1. 신체의 상체나 하체 또는 허리나 복부 등의 근육을 단련할 수 있는 구동부재를 구비하고 있는 헬스 기구와;
    상기 헬스 기구 사용자를 식별하기 위한 사용자 계정 정보를 입력받거나, 상기 헬스 기구를 게임 방식으로 운용할 수 있도록 운동 게임 항목을 선택적으로 입력받기 위한 입력부와;
    상기 헬스 기구 사용자별 신체 조건이나 건강 상태 등을 포함하는 기초 체력 정보와, 사용자의 헬스 기구 사용에 따라 변화되는 체력 상태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사용자 DB와;
    상기 헬스 기구의 구동부재가 구동되는 방향이나 구동 경사도 또는 구동 속도를 감지하여 해당되는 헬스 기구 구동 정보를 전달하는 운동 감지부와;
    상기 헬스 기구의 구동 속도나 구동 압력 또는 구동 경사도와 같은 기구적인 구동 조건을 가변시키기 위해 구동부재를 동작시키는 구동부와;
    상기 헬스 기구 사용자의 운동 진행에 따른 체력 상태 정보를 시각 또는 청각적으로 출력해 주는 출력수단과;
    상기 입력부를 통해 현재의 헬스 기구 사용자를 식별하고, 사용자에 의해 운동 게임 항목별로 선택되는 조건에 따라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여 헬스 기구의 기구적인 구동 조건을 가변시키며, 상기 운동 감지부로부터 전달되는 헬스 기구 구동 정보를 분석하여 해당되는 사용자의 체력 상태 정보를 상기 사용자 DB에 저장함과동시에 상기 출력수단을 통해 출력해 주는 헬스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력 관리가 가능한 헬스 기구 운용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헬스 제어부는, 헬스 기구 구동 정보를 분석하여 헬스 기구 사용자의 운동량이나 에너지 소모량을 포함하는 체력 상태를 산출한 후, 산출한 체력 상태 정보를 음성이나 텍스트 또는 그래픽이나 이미지 형태로 변환하여 사용자가 시각 또는 청각적으로 자신의 체력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출력해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력 관리가 가능한 헬스 기구 운용 시스템.
  3. 제 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상기 헬스 제어부는, 헬스 기구 사용자의 체력 상태 정보를 운동 게임 항목에서 선택된 게임 대상자에 대한 체력 상태 정보와 비교하여 그 결과를 출력해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력 관리가 가능한 헬스 기구 운용 시스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게임 대상자는, 실제로 헬스 기구를 사용하는 다른 사용자이거나, 현재헬스 기구를 사용하는 사용자와 신체 및 체력 조건이 유사한 가상의 헬스 기구 사용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력 관리가 가능한 헬스 기구 운용 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헬스 제어부는, 헬스 기구 사용자에 의해 운동 게임 항목별 조건이 선택되지 않은 경우 상기 사용자 DB에 저장되어 있는 기초 체력 정보 및 헬스 기구 사용으로 인해 변경된 체력 상태 정보를 기준으로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여 헬스 기구의 기구적인 구동 조건을 가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력 관리가 가능한 헬스 기구 운용 시스템.
  6. 헬스 기구 사용자의 신체 조건이나 건강 상태를 포함하는 기초 체력 정보를 입력받아 저장하고, 해당되는 사용자 계정을 부여하는 과정과;
    상기 헬스 기구 사용자로부터 소정의 계정 정보를 입력받아 해당되는 사용자를 식별하고, 소정의 운동 게임 항목별 조건을 선택, 입력받는 과정과;
    상기 헬스 기구 사용자에 의해 선택, 입력된 운동 게임 항목별 조건에 따라 상기 헬스 기구의 구동부재를 동작시켜 기구적인 구동 조건을 가변시키는 과정과;
    구동 조건이 가변된 헬스 기구의 운용에 따라 감지되는 헬스 기구 구동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헬스 기구 사용자의 운동량이나 에너지 소모량을 포함하는 체력상태를 산출하는 과정과;
    산출한 체력 상태 정보를 저장함과 동시에 음성이나 텍스트 또는 그래픽이나 이미지 형태로 변환하여 상기 헬스 기구 사용자가 자신의 체력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출력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력 관리가 가능한 헬스 기구 운용 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체력 상태 정보를 출력하는 과정은, 헬스 기구 사용자에 의해 운동 게임 항목에서 선택된 게임 대상자의 체력 상태 정보와 현재 헬스 기구 사용자의 체력 상태 정보를 비교하여 그 결과를 실시간으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력 관리가 가능한 헬스 기구 운용 방법.
  8. 제 6항 또는 7항에 있어서,
    상기 운동 게임 항목은, 게임의 난이도, 코스, 게임 대상자, 코치 중에서 하나 이상의 항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력 관리가 가능한 헬스 기구 운용 방법.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게임 대상자가 실제로 헬스 기구를 사용하는 다른 사용자인 경우 해당되는 사용자의 체력 상태 정보를 인출하여 비교 출력해 주고, 게임 대상자가 가상의 헬스 기구 사용자인 경우 표준적이거나 그 이상의 조건으로 가상적인 체력 상태 정보를 산출하여 이를 비교 출력해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력 관리가 가능한 헬스 기구 운용 방법.
  10.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헬스 기구 사용자별 체력 상태 정보를 저장하여 소정기간 동안의 체력 변동 추이나 신체 리듬을 체크해서 사용자별 체력 관리 기능을 제공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력 관리가 가능한 헬스 기구 운용 방법.
  11.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헬스 기구 사용자로부터 운동 게임 항목별 조건이 선택, 입력되지 않는 경우 현재의 헬스 기구 사용자를 식별한 후, 기저장되어 있는 기초 체력 정보 및 헬스 기구 사용으로 변경된 체력 상태 정보를 기준으로 상기 헬스 기구의 기구적인 구동 조건을 가변시키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력 관리가 가능한 헬스 기구 운용 방법.
KR1020010026595A 2001-05-16 2001-05-16 체력 관리가 가능한 헬스 기구 운용 시스템 및 방법 KR2002008767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26595A KR20020087679A (ko) 2001-05-16 2001-05-16 체력 관리가 가능한 헬스 기구 운용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26595A KR20020087679A (ko) 2001-05-16 2001-05-16 체력 관리가 가능한 헬스 기구 운용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87679A true KR20020087679A (ko) 2002-11-23

Family

ID=277050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26595A KR20020087679A (ko) 2001-05-16 2001-05-16 체력 관리가 가능한 헬스 기구 운용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87679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91343A (ko) * 2001-05-30 2002-12-06 김대중 네트웍헬스기구를 이용한 온라인게임서비스방법
KR20020091344A (ko) * 2001-05-30 2002-12-06 김대중 온라인게임서비스를 지원하는 네트웍헬스기구
KR100853256B1 (ko) * 2007-07-04 2008-08-20 박효식 전동 헬스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60007936A (ko) * 1985-04-12 1986-11-10 사다하루 쯔야마 엑사사이저
KR20000053242A (ko) * 1996-12-04 2000-08-25 히라따 다다시 디티오카보네이트 조성물
KR200247162Y1 (ko) * 2001-03-30 2001-10-10 주식회사 아팩스코리아 헬스 게임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60007936A (ko) * 1985-04-12 1986-11-10 사다하루 쯔야마 엑사사이저
KR20000053242A (ko) * 1996-12-04 2000-08-25 히라따 다다시 디티오카보네이트 조성물
KR200247162Y1 (ko) * 2001-03-30 2001-10-10 주식회사 아팩스코리아 헬스 게임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91343A (ko) * 2001-05-30 2002-12-06 김대중 네트웍헬스기구를 이용한 온라인게임서비스방법
KR20020091344A (ko) * 2001-05-30 2002-12-06 김대중 온라인게임서비스를 지원하는 네트웍헬스기구
KR100853256B1 (ko) * 2007-07-04 2008-08-20 박효식 전동 헬스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347804B1 (en) User status notification system
US6547702B1 (en) Exercise device
JP4249173B2 (ja) トレーニング装置、画像出力処理方法、及び、画像出力プログラム
US9636543B2 (en) Universal exercise guidance system
US6749432B2 (en) Education system challenging a subject's physiologic and kinesthetic systems to synergistically enhance cognitive function
US6464618B1 (en) Exercise system
US6634992B1 (en) Training machine, image output processing device and method, and recording medium which stores image outputting programs
US7791808B2 (en) System and method for tracking and assessing movement skills in multidimensional space
US20030069108A1 (en) Exercise training and monitoring system
KR101999748B1 (ko) IoT 운동기구, 운동지도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운동지도방법
KR20160054325A (ko) 맞춤형 개인 트레이닝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020087679A (ko) 체력 관리가 가능한 헬스 기구 운용 시스템 및 방법
US20230218967A1 (en) Camera equipped cycle and coordinated punch exercise device and methods
TWI220387B (en) Exercise device with virtual-reality and physical agility training functions
Friel Total heart rate training: customize and maximize your workout using a heart rate monitor
KR200247162Y1 (ko) 헬스 게임기
CN107016227B (zh) 一种智能设备联动型基于实时运转数据的运动处方的运转指导系统
Flood et al. The complete guide to indoor rowing
KR100763524B1 (ko) 중량 운동을 보조하기 위한 방법 및 가상 보조원 시스템
Simon Investigating the Use of Augmented Reality to Enhance the Indoor Running Experience on a Treadmill
EP1268008A2 (en) Exercise device
JP2006129957A (ja) 水中運動器具指導システム
Defibrillator Health club staff use Philips AED to save liv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