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87587A - 휴대폰의 자동응답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휴대폰의 자동응답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87587A
KR20020087587A KR1020010026260A KR20010026260A KR20020087587A KR 20020087587 A KR20020087587 A KR 20020087587A KR 1020010026260 A KR1020010026260 A KR 1020010026260A KR 20010026260 A KR20010026260 A KR 20010026260A KR 20020087587 A KR20020087587 A KR 200200875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ass
mode
work
response mode
sche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262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정운
Original Assignee
남정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정운 filed Critical 남정운
Priority to KR10200100262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87587A/ko
Publication of KR200200875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87587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4Automatic arrangements for answering calls; Automatic arrangements for recording messages for absent subscribers; Arrangements for recording conversations
    • H04M1/642Automatic arrangements for answering calls; Automatic arrangements for recording messages for absent subscribers; Arrangements for recording conversations storing speech in digital form
    • H04M1/645Automatic arrangements for answering calls; Automatic arrangements for recording messages for absent subscribers; Arrangements for recording conversations storing speech in digital form with speech synthesi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응답기능을 내장한 휴대폰 또는 통화기능이 포함된 개인휴대 단말장치(이하 휴대폰)에 관한 것이다. 특히 착신호 수신시, 수신시각과 사용자가 입력한 수업일정저장수단의 수업일정 또는 업무일정저장수단의 업무일정과 비교하여 수업중 또는 회의중인지를 판단한 후, 수업중이거나 회의중일 경우에는 자동으로 응답모드로 동작하는 완전자동응답 휴대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휴대폰의 자동응답 방법 및 장치{omitted}
본 발명은 응답기능을 내장한 휴대폰 또는 통화기능이 포함된 개인휴대 단말장치(이하 휴대폰)에 관한 것이다. 특히 착신호 수신시, 수신시각과 사용자가 입력한 수업일정저장수단의 수업일정 또는 업무일정저장수단의 업무일정과 비교하여 수업중 또는 회의중인지를 판단한 후, 수업중이거나 회의중일 경우에는 자동으로 응답모드로 동작하는 완전자동응답 휴대폰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수업시간중 또는 회의시간중에 착신호가 수신될 경우, 통화를 원하지 않으면 수동으로 응답모드를 설정하고 단순한 응답 메시지를 상대방에게 전달해야 했다.
그러나 상기 종래 방법은 수업중 또는 업무중에 착신호가 수신될 때마다 수동으로 응답모드를 설정해야 하는 번거러움의 문제점과 상대방에게 신뢰감을 주지 못하는 단순한 응답 메시지의 전송에 불과한 문제점을 안고 있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종래의 방법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 휴대폰에 수업응답모드 또는 업무응답모드를 활성화 함으로써, 착신호 수신시각이 수업시간중 또는 회의시간중에는 자동으로 응답모드로 전환 하고자 한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사상으로써, 휴대폰에 수업일정저장수단 또는 업무일정저장수단을 내장하고, 사용자가 한 학기 또는 일년에 해당하는 수업일정을 입력하여 저장하고, 또는 미리 업무일정을 입력하여 저장하고, 수업응답모드 또는 업무응답모드를 활성화 함으로써, 착신 호 수신시, 수신시각과 수업일정저장수단에 저장된 수업일정 또는 업무일정저장수단에 저장된 업무일정을 비교하여 수업중 또는 회의중인지를 판단 한 후, 수업중이거나 회의중일 경우에는 자동으로 응답모드로 전환한다. 또한 단순한 응답 메시지가 아닌 다음 휴식시간이나 회의종료시각 등의 통화가 가능한 시각정보를 포함한 응답 메시지를 전송함으로써 상대방에게 신뢰감을 줄 수 있는 자동응답 휴대폰 장치가 제시된다.
제 1 도 종래 휴대폰의 응답장치 구성도
제 2 도 제안된 발명에 의한 자동응답장치 구성도
제 3도 수업응답모드를 위한 제어 흐름도
제 4도 업무응답모드를 위한 제어 흐름도
제 5 도 수업일정표
제 6 도 업무일정표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200 : 제어수단
101, 201 : 저장수단
102, 202 : 착신호
103, 203 : 송신수단
104, 204 : 일반응답모드선택수단
205 : 수업응답모드선택수단
206 : 수업일정저장수단
207 : 업무일정저장수단
300, 400 : 대기과정
301, 401 : 착신호 수신 판단과정
302, : 수업응답모드 활성화 판단과정
303, 402 : 착신호 수신시각 확인과정
304, 403 : 일정표와 비교과정
305 : 수업중 판단과정
404 : 회의중이면서 업무응답모드 활성화 판단 과정
306, 405 : 종래의 휴대폰의 수신과정
307, 406 : 통화연결과정
308, 407 : 응답메시지 전송 과정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종래의 휴대폰의 응답장치의 구성도를 나타낸다. 종래의 휴대폰 사용자는 수업중 또는 회의시간중에 착신호 수신시, 통화를 원하지 않으면 수동으로 일반응답모드선택수단(104)을 이용하여 일반응답모드를 설정함으로써 제어수단(100)은 통화를 연결하고, 저장수단(101)에 저장된 "지금은 전화를 받을 수 없습니다" 등의 응답 메시지를 송신수단(103)을 통하여 상대방에게 전달한다.
도 2는 제안된 발명에 의한 자동응답장치의 구성도를 나타낸다. 학생과 교사 등은 수업응답모드를 사용할 수 있고, 일반인 등은 업무응답모드로 사용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동시에도 사용이 가능하다. 학생과 교사등은 다음과 같이 수업응답모드를 사용할 수 있다. 사용자는 수업응답모드 선택수단(205)을 이용하여 수업응답모드의 활성화 여부와, 활성화 하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도 5와 같은 수업일정을 수업일정저장수단(206)에 입력하여 저장한다. 대기상태에서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이 동작한다.
착신호 수신시, 수업응답모드가 비 활성화 되어있거나 착신호 수신시각과 수업일정저장수단(206)에 저장된 수업일정과 비교하여 수업중인지를 판단한 후, 수업중이 아닐 경우에는 제어수단(200)은 종래의 휴대폰의 수신모드로 동작한다.
착신호 수신시, 수업응답모드가 활성화 되어있으면서 수업중인지를 판단한 후, 수업중일 경우에는 제어수단(200)은 자동응답모드로 동작한다. 즉 제어수단(200)은 통화를 연결하고 저장수단(201)에 저장된 "지금은 전화를 받을 수 없습니다" 등의 응답 메시지와 수업일정저장수단(206)에 저장된 수업일정에서 휴식시간 등의 통화가 가능한 시각을 확인하여 "12시 45분 경에 통화가 가능합니다" 등의 통화가 가능한 시각정보를 포함한 응답 메시지를 송신수단(203)을 통하여 상대방에게 전달한다.
수업응답모드 자동응답장치에서 제어수단(200)은 그림 3과 같은 과정으로 동작한다. 제어수단(200)은 대기과정(300)과, 착신호 수신을 판단하는 과정(301)과, 착신호를 수신한 경우에는 수업응답모드의 활성화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302)과 수업응답모드가 비 활성화 되어있는 경우에는 종래의 휴대폰의 수신모드로 동작(306)한다. 제어수단(200)은 수업응답모드의 활성화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302)에서 수업응답모드가 활성화 되어있는 경우에는, 착신호 수신시각을 확인하는 과정(303)과 착신호 수신시각과 수업일정 저장수단(206)의 수업일정을 비교하는 과정(304)과 수업중인지를 판단하는 과정(305)과 수업중이 아닌 경우에는 수업응답모드가 비 활성화 되어 있는 경우와 마찬가지로 종래의 휴대폰의 수신모드로 동작(306)한다. 제어수단(200)은 수업중인지를 판단하는 과정(305)에서 수업중인 경우에는 자동응답모드로 동작하여 통화를 연결하는 과정(307)과 수업일정저장수단(206)의 저장된 수업일정을 점검하여 휴식시간 등의 통화가 가능한 시각을 확인하고 "12시 45분 경에 통화가 가능합니다" 등의 통화가능 시각정보를 포함한 응답 메시지를 송신수단(203)을 통하여 상대방에게 전달하는 과정(308)등의 순으로 동작한다. 수업응답모드 자동응답장치에서 제어수단(200)은 수업응답모드 활성화를 판단하는 과정(302)을 제거하고 수업중인지를 판단하는 과정(305)을 수업중인지를 판단하면서 수업응답모드의 활성화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으로 대치할 수 있다.
일반인들은 다음과 같이 업무응답모드를 사용할 수 있다. 사용자는 도 6과 같이 미리 일정표에 원하는 날의 원하는 시간에 업무일정을 입력하여 저장하고, 업무내용에 따라 업무응답모드의 활성화 여부를 선택하여 저장한다. 대기상태에서 본발명은 다음과 같이 동작한다.
착신호 수신시, 착신호 수신시각과 업무일정저장수단(206)에 저장된 업무일정과 비교하여 업무중인지를 판단하면서 업무응답모드의 활성화 여부를 판단 한 후, 업무중이 아니거나 업무응답모드가 비 활성화 되어있는 경우에는 제어수단(200)은 종래의 휴대폰의 수신모드로 동작한다.
착신호 수신시, 업무중인지를 판단하면서 업무응답모드의 활성화 여부를 판단한 후, 업무중이면서 업무응답모드가 활성화 되어있는 경우에는 제어수단(200)은 자동응답모드로 동작한다. 즉 제어수단(200)은 통화를 연결하고 업무일정저장수단(206)에 저장된 업무일정에서 회의종료시각이나 통화가 가능한 시각을 확인하여 "12시 45분 경에 통화가 가능합니다" 등의 통화가 가능한 시각정보를 포함한 응답 메시지를 송신수단(203)을 통하여 상대방에게 전달한다.
업무응답모드 자동응답장치에서 제어수단(200)은 그림 4 와 같은 과정으로 동작한다. 제어수단(200)은 대기과정(400)과, 착신호 수신을 판단하는 과정(401)과, 착신호를 수신한 경우에는 착신호 수신시각을 확인하는 과정(402)과 착신호 수신시각과 업무일정저장수단(207)의 업무일정을 비교하는 과정(403)과 업무중인지를 판단하면서 업무응답모드의 활성화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404)과 업무중이 아니거나 업무응답모드가 비 활성화 되어있는 경우에는 종래의 휴대폰의 수신모드로 동작(405)한다. 제어수단(200)은 업무중인지를 판단하면서 업무응답모드의 활성화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404)에서 업무중이면서 업무호출모드가 활성화 되어있는 경우에는 자동응답모드로 동작하여 통화를 연결하는 과정(406)과업무일정저장수단(206)에 저장된 업무일정에서 회의 종료시각 등의 통화가 가능한 시각을 확인하여 "12시 45분 경에 통화가 가능합니다" 등의 통화 가능 시각정보를 포함한 응답 메시지를 송신수단(203)을 통하여 상대방에게 전달하는 과정(407) 등으로 동작한다.
완전자동응답 휴대폰 또는 통화기능이 포함된 개인정보단말기

Claims (3)

  1. 휴대폰 또는 휴대폰 기능을 내장한 개인휴대단말장치(이하 휴대폰)에 있어서, 수업응답모드의 활성화 여부를 선택하기 위한 수업응답모드선택수단(205)과, 사용자의 수업일정을 저장하기 위한 수업일정저장수단(206)과 착신호 수신시, 수업응답모드가 비 활성화 되어있거나, 수신시각과 수업일정저장수단(206)의 수업일정을 비교하여 수업중이 아닐 경우에는 종래의 휴대폰의 수신모드로 동작하며, 착 신호 수신시, 수업응답모드가 활성화 되어있고 수신시각과 수업일정저장수단(206)의 수업일정을 비교하여 수업중일 경우에는 자동응답모드로 전환하여 응답 메시지를 상대방에게 전달하는 제어수단(200)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어수단(200)은 착신호 수신을 판단하는 과정(301)과, 착신호를 수신한 경우, 수업응답모드의 활성화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302)과 수업호출모드가 비 활성화 되어있는 경우에는 종래의 휴대폰의 수신모드로 동작하는 과정(306)과 수업응답모드의 활성화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302)에서 수업응답모드가 활성화 되어있는 경우에는, 착신호 수신시각을 확인하는 과정(303)과 착신호 수신시각과 수업일정저장수단(206)의 수업일정을 비교하는 과정(304)과 수업중인지를 판단하는 과정(305)과 수업중이 아닌 경우에는 수업응답모드가 비 활성화 되어 있는 경우와 마찬가지로 종래의 휴대폰의 수신모드로 동작하는 과정(306)과 수업중인지를 판단하는 과정(305)에서 수업중인 경우에는, 자동응답모드로 전환하여 통화를 연결하는 과정(307)과 응답 메시지를 전달하는 과정(308)등의 순으로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응답 휴대폰 장치
  2. 휴대폰 또는 휴대폰 기능을 내장한 개인휴대단말장치(이하 휴대폰)에 있어서, 사용자의 업무일정과 업무내용에 따라 업무응답모드의 활성화 여부를 저장하기 위한 업무일정저장수단(207)과 착신호 수신시, 수신시각과 업무일정저장수단(207)의 업무일정을 비교하여 업무중이 아니거나 업무응답모드가 비 활성화 되어있는 경우에는 종래의 휴대폰의 수신모드로 동작하며, 업무중이면서 업무응답모드가 활성화 되어있는 경우에는 자동응답모드로 전환하여 응답 메시지를 상대방에게 전달하는 제어수단(200)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어수단(200)은 착신호 수신을 판단하는 과정(401)과, 착신호를 수신한 경우, 착신호 수신시각을 확인하는 과정(402)과 착신호 수신시각과 업무일정저장수단(206)의 업무일정을 비교하는 과정(403)과 업무중인지를 판단하면서 업무응답모드의 활성화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404)과 업무중이 아니거나 업무응답모드가 비 활성화 되어있는 경우에는 종래의 휴대폰의 수신모드로 동작하는 과정(405)과 업무중인지를 판단하면서 업무응답모드의 활성화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404)에서 업무중이면서 업무응답모드가 활성화 되어있는 경우에는 자동응답모드로 전환하여 통화를 연결하는 과정(406)과 응답 메시지를 전달하는 과정(407)등의 순으로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응답 휴대폰 장치
  3. 제 1항 과 제 2항에 있어서 응답 메시지를 전달하는 과정(308,407)에서 제어장치(200)는 착신호 수신시각과 일정저장수단(205,206)에 저장된 일정과 비교하여 통화가 가능한 시각을 판단하고, 통화가 가능한 시각정보를 포함한 응답 메시지를상대방에게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응답 휴대폰 장치.
KR1020010026260A 2001-05-14 2001-05-14 휴대폰의 자동응답 방법 및 장치 KR2002008758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26260A KR20020087587A (ko) 2001-05-14 2001-05-14 휴대폰의 자동응답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26260A KR20020087587A (ko) 2001-05-14 2001-05-14 휴대폰의 자동응답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87587A true KR20020087587A (ko) 2002-11-23

Family

ID=277048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26260A KR20020087587A (ko) 2001-05-14 2001-05-14 휴대폰의 자동응답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8758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0128B1 (ko) * 2006-08-07 2008-01-02 삼성전자주식회사 스케줄 관리 기능과 연동하여 자동 응답 메시지를 전송하기위한 방법 및 이동통신 단말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0128B1 (ko) * 2006-08-07 2008-01-02 삼성전자주식회사 스케줄 관리 기능과 연동하여 자동 응답 메시지를 전송하기위한 방법 및 이동통신 단말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592782C (zh) 可视移动电话机
KR100429808B1 (ko) 휴대전화기 및 그 데이터 표시방법
KR20010056261A (ko) 휴대용 무선 단말기에서 수신호의 선택적 착신 및 거부 방법
US2007014731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mmunicating with a multi-mode wireless device
US20060160530A1 (en) Silent radio communications
US6804508B1 (en)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0698330B1 (ko) 인스턴트 메신저 서비스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이를 이용한 무선 신호 처리방법
KR100462751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문자 메시지 송신방법
KR20020087587A (ko) 휴대폰의 자동응답 방법 및 장치
JP2009049675A (ja) 電話機
KR20010076822A (ko) 디지털 휴대용 단말기의 옵션 메시지 전송 방법
KR20060099783A (ko) 수신자 상태 자동 응답 기능이 구비된 이동 단말기 및 이동단말기의 수신자 상태 자동 응답 방법
CN103248737A (zh) 一种界面显示控制方法、装置和通信终端
KR100313853B1 (ko) 이동단말기의 전원온상태에서 단문메세지 수신방법 및 그에 따른 수신제어장치
KR100628103B1 (ko)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인스턴트 메시지의 폴링시간 제어 방법
KR20040007909A (ko) 이동단말기의 호출모드 자동 전환 방법 및 장치
KR100384279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수신한 단문 메시지의 회신 방법
JP3549828B2 (ja) 電話機
KR20020078401A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호 수신시 단문 메시지 저장 방법
KR20050057762A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메신저운용방법
KR20020082984A (ko) 휴대폰의 호출모드 자동 전환 방법 및 장치
JP3862157B2 (ja) 文字送受信システム
KR100770881B1 (ko) 음성 인식을 이용하여 호 수신을 거부하는 휴대 단말기 및그 방법
KR200289651Y1 (ko) 휴대용 단말기의 통화거부 알림장치
KR20010068544A (ko)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수신자의 상황을 알리는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