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85679A - 인터넷 이메일 학습지 서비스 운영 방법 - Google Patents

인터넷 이메일 학습지 서비스 운영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85679A
KR20020085679A KR1020010025315A KR20010025315A KR20020085679A KR 20020085679 A KR20020085679 A KR 20020085679A KR 1020010025315 A KR1020010025315 A KR 1020010025315A KR 20010025315 A KR20010025315 A KR 20010025315A KR 20020085679 A KR20020085679 A KR 200200856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arner
learning
mail
service
ans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253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창
Original Assignee
(주)창과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창과창 filed Critical (주)창과창
Priority to KR10200100253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85679A/ko
Publication of KR200200856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85679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06Q50/205Education administration or guid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7Computer-aided management of electronic mailing [e-mail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5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communications industr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6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postal servic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7/00Electrically-operated teaching apparatus or devi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 G09B7/02Electrically-operated teaching apparatus or devi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of the type wherein the student is expected to construct an answer to the question which is presented or wherein the machine gives an answer to the question presented by a student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인터넷 이메일 학습지 서비스 운영 방법은, 네트워크망을 통해 다수의 학습자들에게 주기적으로 전자 학습지를 제공하는 컴퓨터를 이용한 원격학습 관리방법으로서, 학습자가 전자우편 주소를 포함하는 학습지 신청정보를 상기 컴퓨터에 입력하는 단계와; 상기 학습지 신청정보에 근거하여 다양한 학습 컨텐츠를 포함하는 전자 학습지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전자 학습지를 상기 학습자의 전자우편 주소로 발송하는 단계와; 상기 학습자가 자신의 메일 계정으로 도착된 상기 전자 학습지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인터넷 이메일 학습지 서비스 운영방법{Method for electronic studying service using internet e-mail}
본 발명은 인터넷을 이용한 학습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유료로 이메일을 통해 학습자에게 문제 형식의 학습지를 주기적으로 제공하고 기한 내에 답안을 체크하여 회신하도록 하여, 회신된 답안을 이용해 학습자의 성실도와 학업 성취도를 분석하여 우수한 학습자에게 학습 장려금을 캐쉬백하여 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정보 축적 및 정보 전달의 매체로서 전세계의 컴퓨터 자원을 상호 연결하여 거대한 네트워크를 이룬 인터넷의 이용이 가히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이에 맞추어, 인터넷을 이용한 교육이 새로운 핵심 전자 비지니스의 영역으로 부각되고 있으며, 최근 내려진 과외 금지 위헌 결정이 또한 기폭제로 작용하여 수많은 학습용 웹사이트들이 인터넷상에 생성되고 있는 실정이며, 이 중 대부분은 온라인 화상강의, 온라인 학습 컨덴츠, 온라인 학습지와 같은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인터넷을 이용하는 교육의 특징을 살펴 보면, 우선 수요자인 학습자 입장에서는 인터넷 환경만 구비하면 언제 어디서든 학습이 가능하며 오프라인상의 학습에 비해 저렴한 가격으로 학습을 진행할 수 있으며, 서비스 제공자 측면에서는 일단소정의 학습 컨텐츠를 구축해 놓으면 언제든지 이를 소비자에게 제공할 수 있으며, 별도의 강의실이나 실물 교재를 마련하지 않아도 강좌를 운영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일반적으로, 인터넷 학습은 주로 서버-클라이언트 모델을 기반으로 그 서비스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 경우 학습자가 서비스 사이트에 로그인하여 자신의 서비스 항목을 선택해 가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으며, 다수의 학습자가 동시에 서비스 사이트에 접속하는 경우 학습 자료의 전송이 지연되어 대기시간이 발생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또한, 사이트의 접속을 위해서는 웹브라우저의 구동이 필수적이나 구동된 웹브라우저는 청소년인 학습자로 하여금 유해 사이트로 이동할 수 있는 계기를 제공할 가능성도 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다른 방법으로서 인터넷 서비스중에서 가장 일반적인 이메일을 통해 학습자에게 학습 자료를 제공하여 학습하도록 하는 방법을 고려해 볼 수 있으며, 이 방법에 따르면 학습자는 단지 전송되는 학습 자료를 수동적으로 제공받아 학습하면 되므로 학습 자료에의 접근을 위한 시간이 소요되지 않으며 또한 매우 편리할 것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 2000-54008 호는 학습자가 인터넷 홈페이지를 통해 반복학습할 내용을 자동반복 발송서버에 저장하면, 해당 서버가 설정된 주기에 따라 상기 반복학습할 내용을 상기 학습자에게 이메일을 통해 전송하는 자동반복 학습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 2001-00679 호는 인터넷상에서 이메일을 이용하여 모의 논술 시험을 치르고, 시험 결과에 대하여 지도교사의 지도를 받는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또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 2000-6700 호는 이메일을 통해 학습내용과 학습한 내용을 교육자와 학습자간에 상호 주고 받으며, 학습 및 교육을 진행하는 전자학습방법을 개시한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기술중 어느 것도 본 발명과 같이 주기적으로 학습지를 이메일을 통해 제공하고, 학습자의 풀이응답에 대응되는 채점결과 및 해설을 자동으로 전송하는 학습방법을 개시하고 있지는 않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들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이메일을 이용해 학습지의 전송, 풀이, 채점, 해설 과정을 자동화시키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학습자의 성실도나 학업성취도를 체킹하여 우수한 학습자에대해 일정한 보상을 제공함으로써 학습지를 통한 교육효과를 극대화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에 설명될 것이며,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해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첨부된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넷 이메일 학습지 서비스 운영 방법이 적용되는 네트워크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 서버의 기능적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학습자가 네트워크망을 통해 서비스 서버에 접속하여 이메일 학습지 서비스의 이용 신청을 등록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4(도 4a와 도 4b)은 본 발명에 따라 서비스 서버가 서비스 이용을 신청한 학습자에게 이메일 학습지를 발송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학습자에게 전송된 이메일 학습지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참조부호에 대한 설명>
10 : 학습자 단말 20 : 서비스 서버
30 : 네트워크망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넷 이메일 학습지 서비스 운영 방법은, 네트워크망을 통해 다수의 학습자들에게 주기적으로 전자 학습지를 제공하는 컴퓨터를 이용한 원격학습 관리방법으로서, 학습자가 전자우편 주소를 포함하는 학습지 신청정보를 상기 컴퓨터에 입력하는 단계와; 상기 학습지 신청정보에 근거하여 다양한 학습 컨텐츠를 포함하는 전자 학습지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전자 학습지를 상기 학습자의 전자우편 주소로 발송하는 단계와; 상기 학습자가 자신의 메일 계정으로 도착된 상기 전자 학습지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학습자가 답안이 체크된 전자 학습지를 상기 컴퓨터에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전자 학습지의 답안에 근거하여 채점 결과를 산출하는 단계와; 상기 채점 결과와 문제 해설정보를 포함하는 전자 채점지를 작성하는 단계와; 상기 전자 채점지를 상기 학습자의 전자우편 주소로 발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은 상기 학습지 신청과 관련한 결제정보를 상기 컴퓨터에 입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채점 결과와 답안의 기일내 제출 여부에 따라 상기 학습자의 성실도와 학업성취도를 산출하는 단계와; 상기 성실도 및 학업성취도에 근거하여 계산된 학습장려금을 해당하는 학습자의 가상계좌에 입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전자 학습지는 문제 은행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한 학습용 문제로 구성되고, 상기 학습용 문제는 개별 학습자의 학업 레벨에 따라 추출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 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에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넷 이메일 학습지 서비스 운영 방법이 적용되는 네트워크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다.
도면을 참조하면, 네트워크 시스템은 네트워크망(30)에 서로 접속하는 복수의 학습자 단말(10)과 서비스 서버(20)로 이루어진다.
학습자 단말(10)는 학습자가 서비스 서버(20)로부터 전송되는 문제 형식의 학습지를 내용(본문)으로 하는 이메일(e-mail, 전자우편)(이하, 이메일 학습지로 지칭함)을 확인하고, 이에 대해 이메일 내용상에서 문제에 대한 답안을 체크하거나 입력하여 해당 답안을 서비스 서버(20)로 발송하는데 사용되는 클라이언트 시스템이다.
여기서, 학습자 단말(10)은 퍼스널 컴퓨터나 노트북 컴퓨터가 채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서비스 서버(20)와 데이터 통신이가능한 모든 유, 무선 단말기를 포함한다.
그리고, 학습자 단말(10)은 통상적인 시스템 구성 요소로서, 서비스 서버(20)의 URL(Uniform Resource Locator)에 근거하여 웹페이지를 불러오고, 이를 HTML(Hyper-Text Markup Language) 코드 해석하여 모니터에 디스플레이하는 웹브라우저(browser) 프로그램과, 윈도우 환경에서 이메일 메시지를 송, 수신하기 위한 소프트웨어로서의 메일 브라우저 프로그램, 및 컴퓨터 시스템을 전체적으로 관리, 제어하는 운영 체제(OS : Operating System) 프로그램을 포함한다.
서비스 서버(20)는 본 발명의 이메일 학습지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시스템으로서, 네트워크망(30)을 통해 액세스하는 학습자의 서비스 이용 신청을 접수하고, 해당 학습자에게 일정 주기로 문제 형식의 학습지를 담은 이메일을 발송하여 제공하며, 이에 대해 학습자로부터 회신되는 답안을 채점하고, 또한 학습자의 성실도 및 학업 성취도를 분석하여 우수한 학습자에게 학습 장려금을 제공한다.
네트워크망(30)은 상기 단말(10)과 서버(20)를 공통으로 접속하여 상호간에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도록 하는 것으로, 유/무선 인터넷망, 공중 전화망(PSTN), 이동 통신망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네트워크망(30)이 월드 와이드 웹(WWW)을 기반으로 하는 유선 인터넷망이고, 상기 단말(10)이 퍼스널 컴퓨터인 경우를 대표적인 실시예로 들어 본 발명을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물론이다.
도 2에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 서버의 기능적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면을 참조하면, 서비스 서버(20)는 서버 엔진(22), 다수의 웹페이지(24),서비스 신청 획득 모듈(module)(26a), 학습지 구성 모듈(26b), 학습지 이메일 발송 모듈(26c), 답안 획득 모듈(26d), 채점지 구성 모듈(26e), 채점지 이메일 발송 모듈(26f), 학습 분석 모듈(26g), 학습 장려금 관리 모듈(26h), 서비스 회원 관리 DB(Data-Base)(28a), 문제 은행 DB(28b), 학습지 내역 DB(28c), 학습지 이메일 발송 내역 DB(28d), 획득 답안 내역 DB(28e), 채점 결과 DB(28f), 학습 분석 결과 DB(28g), 학습자 가상 계좌 DB(28h)로 구성된다.
서버 엔진(22)은 액세스하는 단말(10)에 대하여 다양한 웹페이지(24)를 제공하며, 상기 모듈들(26a∼26h)과 같은 서버 사이드(server-side) 프로그램을 위한 플랫폼(platform)을 제공한다.
여기서, 웹페이지(24)는 HTML 형식으로 작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컴퓨터 시스템에 의해서 독출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떠한 형식으로 작성되어도 무방하다.
서비스 신청 획득 모듈(26a)은 컴퓨터 시스템(10)을 이용하여 액세스하는 학습자의 서비스 이용 신청을 등록받는 프로그램으로서, 학습자의 기본적인 신상 정보와 이메일 주소, 서비스를 원하는 과목명, 단원과 같은 요소에 의해 한정되는 학습 대상, 그리고 서비스 이용료의 결제 정보를 등록받아 서비스 회원 관리 DB(28a)에 저장하여 관리한다. 그리고, 서비스 신청 획득 모듈(26a)은 학습자로부터 등록된 결제 정보에 따라 서비스 이용료를 학습자측으로부터 결제받는 기능도 수행한다.
학습지 구성 모듈(26b)은 일정 주기마다 서비스를 신청한 학습자에게 전송되는 문제 형식의 전자 학습지를 구성하는 프로그램으로서, 학습자가 등록한 학습 대상과 학습자의 학습 수준을 고려하여 학습자에게 필요되는 문제들을 문제 은행 DB(28b)로부터 추출하여 학습자에게 발송될 전자 학습지를 구성하며, 구성된 학습지내의 문제 구성과 같은 정보를 학습지 내역 DB(28c)에 저장하여 관리한다.
여기서, 문제 은행 DB(28b)에는 다수의 문제뿐만 아니라 문제에 대한 정답과 해설이 함께 저장되어 있으며, 각 문제는 수준별로 구분되어 있다.
학습지 이메일 발송 모듈(26c)은 상술한 학습지 구성 모듈(26b)이 구성한 전자 학습지를 학습자의 이메일 주소로 발송하는 프로그램으로, 발송 시간과 같은 정보를 학습지 이메일 발송 내역 DB(28d)에 저장하여 관리한다.
답안 획득 모듈(26d)은 상술한 학습지 이메일 발송 모듈(26c)에 의해 학습자에게 발송된 이메일 학습지에 대하여 학습자가 체크하거나 입력하여 회신한 답안을 획득하는 프로그램으로서, 획득 일시, 획득 답안 내역과 같은 정보를 획득 답안 내역 DB(28e)에 저장하여 관리한다.
채점지 구성 모듈(26e)은 상술한 답안 획득 모듈(26d)이 획득한 학습자의 답안에 대해 정답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문제 은행 DB(28b)를 이용하여 채점을 실시하고, 또한 문제 은행 DB(28b)로부터 해설을 추출하여 학습자에게 발송될 채점지를 구성하는 프로그램으로서, 채점 결과와 같은 정보를 채점 결과 DB(28f)에 저장하여 관리한다.
채점지 이메일 발송 모듈(26f)은 상술한 채점지 구성 모듈(26e)이 구성한 채점지를 이메일의 내용으로 하여 해당 이메일을 학습자의 이메일 주소로 발송하는 프로그램이다.
학습 분석 모듈(26g)은 학습자가 답안을 기일 내에 전송하였는지와 상술한 채점 결과를 이용하여 학습자의 성실도 및 학업 성취도와 같은 인자를 분석하는 프로그램으로서, 분석 결과를 학습 분석 결과 DB(28g)에 저장하여 관리한다.
학습 장려금 관리 모듈(26h)은 상술한 학습 분석 모듈(26g)이 분석한 성실도와 학업 성취도가 소정 기준 이상이 되거나 상위 순위의 학습자에게 학습 장려금을 제공하는 프로그램으로서, 학습자의 학습 장려금의 내역을 학습자 가상 계좌 DB(28h)에 기록하여 관리하며, 또한 계속되는 학습에 따라 갱신되어 산출되는 학습자의 성실도와 학업 성취도가 일정 기준 이하로 하락하는 경우 기 제공된 학습 장려금에서 소정 액수를 다시 환수 즉, 학습자 가상 계좌로부터 인출하는 프로그램이다.
도 3에 본 발명에 따라 학습자가 네트워크망을 통해 서비스 서버에 접속하여 이메일 학습지 서비스의 이용 신청을 등록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흐름도를 나타낸다.
이하, 설명에 있어서 학습자는 자신의 컴퓨터 시스템(10)을 이용하여 네트워크망(30)을 통해 서비스 서버(20)에 대해 각종 동작을 하게 되나, 설명의 편의상 학습자가 직접 서비스 서버(20)에 특정 동작을 수행하는 것처럼 기술하는 경우가 있으나 이 경우에도 학습자는 데이터 통신 수단이 구비된 컴퓨터 시스템(10)을 개재하여 서비스 서버(20)에 대해 특정 동작을 수행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이메일 학습지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학습자는 컴퓨터 시스템(10)을 이용하여 네트워크망(30)을 통해 온라인상의 서비스 서버(20)에 접속함으로써, 서비스 서버(20)와 데이터 링크를 확보한다(단계 S100). 여기서, 학습자는 웹브라우저를 이용하여 서비스 서버(20)를 대표하는 URL로 접속하며, 이에 대해 서비스 서버(20)는 상기 URL에 대응하는 웹페이지를 학습자의 웹브라우저에 제공하며, 웹브라우저는 전송된 웹페이지를 코드해석하여 모니터에 디스플레이하여 학습자가 확인하도록 한다.
접속한 학습자에 대해, 서비스 서버(20)는 본 발명의 이메일 학습지 서비스에 대한 안내와 다수 메뉴를 웹페이지에 게시하여 제공하며, 학습자는 서비스 안내를 확인하고 서비스 신청 메뉴를 마우스와 같은 포인팅 수단으로 선택하여 디스플레이되는 서비스 신청용 웹페이지의 각 항목에 요청된 정보를 등록하는 것에 의해 서비스 신청을 하게 된다(단계 S102). 여기서, 서비스 신청을 위해 학습자로부터 등록되는 정보로는 성명, 보호자 성명, 연락처, 소속 학교, 학년과 같은 기본적인 신상 정보와 이메일 주소, 서비스 기간과 같은 서비스 이용 정보, 과목, 단원과 같은 학습 대상을 한정하는 정보, 그리고 서비스 이용료의 결제를 위한 정보가 있으며, 이러한 정보를 등록받은 서비스 서버(20)는 소정의 확인 과정을 거쳐 학습자의 서비스 이용 신청을 접수하며(단계 S104), 이로써 학습자의 이메일 학습지 구독 신청 과정은 완료된다.
여기서, 서비스 서버(20)는 서비스 신청시 등록된 학습자의 각종 정보를 자체내의 서비스 회원 관리 DB(28a)에 저장하며, 획득된 결제 정보에 따라 학습자로부터 서비스 이용료를 결제받는다(단계 S108).
즉, 결제 수단으로 전자 화폐가 채택되어 학습자로부터 카드형 전자 화폐의해당 카드 번호나 계좌형 전자 화폐의 계좌 번호가 결제 정보로서 등록된 경우, 서비스 서버(20)는 해당하는 전자 화폐 시스템에 접속하여 서비스 이용료를 결제받는다. 물론, 결제 수단으로 신용카드, 온라인 계좌 이체, 전화 요금 합산 결제와 같은 현재 통용되는 모든 결제 수단이 채택될 수 있다.
한편, 서비스 이용 신청을 완료한 학습자는 서비스 서버(20)와의 데이터 링크를 해제한다(단계 S106).
이로써, 이메일 학습지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학습자가 서비스 서버(20)에 일회적인 접속으로 서비스 이용 신청을 등록하는 과정은 완료되며, 이 후 해당 학습자에 대해 이메일 학습지 서비스는 개시되며, 개시 전에 서비스 이용료의 결제 여부를 확인하여 개시 여부를 결정할 수도 있으나 꼭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4(도 4a와 도 4b)에 본 발명에 따라 서비스 서버가 서비스 이용을 신청한 학습자에게 이메일 학습지를 발송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흐름도를 나타낸다.
상술한 과정을 거쳐, 이메일 학습지 서비스에 대한 이용 신청을 등록한 학습자에 대해 서비스 서버(20)는 일정 주기로 이메일 학습지를 발송하게 된다.
도 4를 참조하면, 서비스 서버(20)는 우선 학습자가 서비스 신청시 등록한 학습 대상과 후술하는 학습자의 학습 능력을 고려하여 학습자에게 제공할 소정 개수의 학습용 문제들을 문제은행 DB(28b)로부터 추출하며(단계 S200), 추출한 문제들을 소정의 학습지 양식에 맞추어 학습지로 구성한다(단계 S202).
그리고, 구성된 학습지를 이메일의 내용(본문)으로 하여 학습자에게 전송할 이메일을 작성하며(단계 S204), 학습자의 이메일 주소를 서비스 회원 관리 DB(28a)로부터 확인한다.
다음으로, 서비스 서버(20)는 작성된 이메일을 확인된 학습자의 이메일 주소로 발송한다(단계 S206).
인터넷 이메일의 발송을 위해서는 메일 서버가 네트워크상에 존재해야 하며,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술한 학습지 이메일 발송 모듈(26c)이 이 기능을 수행하며, 이 경우 상기 모듈(26c)이 이메일을 작성하는 것만 다를 뿐 종래의 웹메일(web mail)과 구현상 차이가 없으며, 즉, 종래의 웹메일의 경우에는 사용자가 이메일을 작성하여 수신자의 주소를 입력하여 발송을 선택하면 메일 서버가 요청된 수신자의 메일 계정으로 이메일을 전송하게 되나 본 발명에 있어서는 서비스 서버(20)의 프로그램(26c)이 이메일을 작성하고 수신자인 학습자의 이메일 주소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확인하여 발송을 실행하게 된다.
이와 같이, 서비스 서버(20)로부터 발송된 이메일 학습지는 학습자의 이메일 계정에 수신되며, 학습자는 컴퓨터 시스템(10)을 이용하여 수신된 이메일을 확인하게 된다(단계 S208).
즉, 학습자가 아웃룩 익스프레스(outlook express)와 같은 메일 전용 브라우저를 이용하느냐 웹메일을 이용하느냐에 따라 각각 학습자는 컴퓨터 시스템(10)의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인 메일 브라우저를 실행하여 수신된 이메일을 확인하거나 컴퓨터 시스템(10)의 웹브라우저를 이용하여 웹메일 사이트에 접속하여 로그인하고 수신된 이메일을 확인한다.
여기서, 학습자에게 발송된 이메일의 구성을 나타낸 도 5를 참조하면, 날짜,발신자, 수신자, 제목과 같은 요소로 구성되는 헤드 부분(5a)과, 문제 형식의 학습지가 게시된 본문(내용) 부분(5b)과, 학습자로 하여금 각 문제에 대한 답을 체크하고 그 답안을 서비스 서버(20)로 전송할 수 있도록 하는 답안 전송 버튼(5c)으로 이메일 학습지는 구성된다.
따라서, 학습자는 5b 부분의 각 문제를 풀고 결정한 자신의 답을 마우스와 같은 포인팅 수단으로 체크하거나 소정의 답안 입력창에 키보드와 같은 입력장치를 이용해 입력한 후(단계 S210), 답안 전송 버튼(5c)을 선택하여 답안을 서비스 서버(20)에 회신하게 된다(단계 S212).
상기 답안 전송 버튼(5c)에는 서비스 서버(20)의 네트워크상의 위치 정보(IP어드레스)가 포함되어 있어 학습자의 답안은 서비스 서버(20)에 전송되며, 서비스 서버(20)는 회신되는 해당 학습자의 답안을 획득한다(단계 S214).
이와 같이 이메일 내용중에 회신 내용을 체크하거나 입력하여 전송하면 그 회신 내용이 온라인상의 시스템에 의해 획득되는 기술은 이미 이메일을 이용한 여론 조사와 같은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이용되고 있는 기술로서 당업자라면 상술한 과정이 용이하게 구현 가능함을 쉽게 인지할 것이다.
다음으로, 서비스 서버(20)는 획득한 사용자의 답안을 저장하며, 회신된 답안이 기한내에 전송되었는지를 확인하고(단계 S216), 전송된 답안에 대하여 문제 은행 DB(28b)의 정답과 비교하여 채점을 실시한다(단계 S218).
본 발명에 따르면, 서비스 서버(20)가 이메일 학습지를 발송한 시점으로부터 소정 기한 이내에 학습자가 답안을 회신해야만 후술하는 학습자의 성실도와 학업성취도는 올라가게 된다. 물론, 서비스 서버(20)는 사전에 이와 같은 취지를 학습자에게 서비스 이용 신청의 시점이나 이메일 내용으로 알릴 수 있으며, 학습자는 자신의 성실도와 학업 성취도를 올리기 위해 기한 내에 답안을 피드백하여 전송하기 위해 노력할 것이다. 이와 같이 답안 전송 기한을 정하면, 학습자에게 간접적인 부담이 가해져 학습지 밀림 현상이 해소될 수 있다.
다음으로, 서비스 서버(20)는 채점한 결과와 문제은행 DB(28b)로부터 추출한 해설을 소정의 채점지 양식에 맞추어 채점지로 구성하고(단계 S220), 구성된 채점지를 내용으로 하여 이메일을 작성하고(단계 S222), 작성된 이메일을 학습자의 이메일 주소로 발송한다(단계 S224).
따라서, 학습자는 상술한 학습지의 이메일을 확인하는 과정과 동일하게 전송된 채점지 이메일을 확인하여(단계 S226), 자신의 실력을 확인하고 해설을 통해 추가적인 학습을 수행하게 된다(단계 S228).
이로써, 일회의 이메일 학습지 서비스가 실행되는 과정은 완료되며, 한편, 서비스 서버(20)는 다음으로 학습자의 채점 결과와 기한내 답안이 제출되었는지의 여부로 학습자의 성실도와 학업 성취도를 분석한다(단계 S230).
여기서, 성실도는 주로 학습자가 수신된 이메일 학습지에 대해 제 때 학습을 하여 기한 내에 답안을 전송하였는지의 여부에 따라 산출되며, 학업 성취도는 채점 결과에 따른 학습자의 학습 능력에 따라 산출되며, 이들은 후술하는 학습 장려금의 제공을 위한 정보로서 활용되게 된다.
이와 같이, 서비스 서버(20)는 학습자로부터 답안이 전송되어 채점이 이루어진 시점마다 학습자의 성실도와 학업성취도를 계속해서 산출, 합산해 나가게 된다.
이어서, 서비스 서버(20)는 산출된 학습자의 성실도와 학업 성취도를 감안하여 소정 기준 이상의 성실도와 학업 성취도를 달성하거나 상위 순위를 기록한 학습자에게 학습 장려금을 제공하게 되며(단계 S232), 이것은 다른 한편으로 학습자가 결제한 서비스 이용료의 일정 금액을 캐쉬백(cash-back) 서비스의 명목으로 제공하는 것으로 이해 가능하다.
여기서, 서비스 서버(20)는 학습자에 대해 제공한 학습 장려금을 우선 해당 학습자의 가상 계좌에 기록하여 관리하며, 실제로 학습 장려금은 서비스가 종료되는 시점에 학습자에게 제공한다.
이는, 학습자가 추후 주기적으로 계속되는 이메일 학습에 있어서, 답안 전송을 기한 내에 하지 않거나 하여 성실도와 학업 성취도가 소정 기준 이하로 하락하는 경우, 제공한 학습 장려금을 환수하기 위한 것으로, 이로써 학습자는 학습 장려금을 계속적으로 적립하기 위해 서비스 기간 내내 충실한 학습 태도를 유지할 것이다.
따라서, 서비스 종료 시점이 되면(단계 S234), 서비스 서버(20)는 학습자의 가상 계좌에 기록된 학습 장려금을 실제로 학습자에게 제공한다(단계 S236). 여기서, 학습 장려금의 제공은 학습자로 하여금 서비스 이용 신청시 자신의 은행 계좌와 같은 데이터 통신을 통해 금액 이동이 가능한 정보를 등록하도록 하여, 해당 정보를 이용하여 서비스 서버(20)가 해당 계좌로 학습 장려금을 이체하는 방법으로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제공되는 학습 장려금의 형태는 전자 화폐, 사이버 머니,실제 화폐일 수 있다.
덧붙여, 서비스 서버(20)는 학습자의 채점 결과에 따라 학습자의 학습 능력 수준을 결정하고 결정된 학습 능력 수준에 따라 차회에 제공되는 문제의 수준을 결정한다. 이와 같이 학습자의 산출물을 분석하여 학습자의 수준에 맞는 학습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은 이미 널리 이용되고 있는 기술 사항이다.
한편, 학습자는 웹브라우저를 이용하여 서비스 서버(20)에 접속하여 자신의 성실도와 학업 성취도와 같은 학습 분석 산출물을 확인할 수 있으며, 자신에게 제공된 학습 장려금의 내역 즉, 가상 계좌의 내역을 확인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이메일 학습지의 학습 컨텐츠의 형태는 상술한 바와 같이 문제 형식이 바람직하나 문제와 함께 학습 내용도 함께 전송될 수 있으며, 따라서 학습자는 우선 학습 내용을 공부하고 이에 관련된 문제를 풀어 답안을 전송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 청구 범위의 균등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인터넷 이메일 학습지 서비스 운영 방법에 따르면, 학습자에게 학습 능력을 고려한 문제 형식의 학습지가 이메일를 통해 주기적으로 제공되어 학습자는 원하는 시간에 이메일을 확인하는 간단한 동작만으로 효율적인 학습을 진행할수 있으며, 자신의 학습 태도와 실력에 따라 보상으로 학습 장려금을 취득할 수도 있어 동기 부여에 따른 즐거운 학습을 진행할 수 있다.
그리고, 서비스 제공자는 편리성과 동기 부여성을 제공하는 차별화된 이메일 학습지 서비스를 제공하여 많은 학습자의 관심을 이끌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수익을 창출하고 보다 양질의 학습용 문제를 계속적으로 개발하여 우리 사회의 중요한 역할을 차지하는 교육에 이바지할 수 있다.
나아가, 현재의 막대한 사교육 비용을 감안할 때 학부모의 부담을 경감하는 인터넷을 이용한 학습 분야의 발전에 크게 이바지할 것이다.

Claims (6)

  1. 네트워크망을 통해 다수의 학습자들에게 주기적으로 전자 학습지를 제공하는 컴퓨터를 이용한 원격학습 관리방법으로서,
    (a) 학습자가 전자우편 주소를 포함하는 학습지 신청정보를 상기 컴퓨터에 입력하는 단계와;
    (b) 상기 학습지 신청정보에 근거하여 다양한 학습 컨텐츠를 포함하는 전자 학습지를 생성하는 단계와;
    (c) 상기 전자 학습지를 상기 학습자의 전자우편 주소로 발송하는 단계와;
    (d) 상기 학습자가 자신의 메일 계정으로 도착된 상기 전자 학습지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이메일 학습지 서비스 운영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e) 상기 학습자가 답안이 체크된 전자 학습지를 상기 컴퓨터에 전송하는 단계와;
    (f) 상기 전자 학습지의 답안에 근거하여 채점 결과를 산출하는 단계와;
    (g) 상기 채점 결과와 문제 해설정보를 포함하는 전자 채점지를 작성하는 단계와;
    (h) 상기 전자 채점지를 상기 학습자의 전자우편 주소로 발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이메일 학습지 서비스 운영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지 신청과 관련한 결제정보를 상기 컴퓨터에 입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이메일 학습지 서비스 운영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채점 결과와 답안의 기일내 제출 여부에 따라 상기 학습자의 성실도와 학업성취도를 산출하는 단계와;
    상기 성실도 및 학업성취도에 근거하여 계산된 학습장려금을 해당하는 학습자의 가상계좌에 입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이메일 학습지 서비스 운영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학습지는 문제 은행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한 학습용 문제로 구성되고,
    상기 학습용 문제는 개별 학습자의 학업 레벨에 따라 추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이메일 학습지 서비스 운영 방법.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성실도와 학업 성취도를 상기 학습자로부터 답안이 추가로 전송됨에 따라 갱신하여 산출하고, 산출된 성실도와 학업 성취도가 일정 기준 이하로 하락하는 경우 상기 학습자의 가상 계좌로부터 기 제공된 학습 장려금의 일정 금액을 환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이메일 학습지 서비스 운영 방법.
KR1020010025315A 2001-05-09 2001-05-09 인터넷 이메일 학습지 서비스 운영 방법 KR2002008567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25315A KR20020085679A (ko) 2001-05-09 2001-05-09 인터넷 이메일 학습지 서비스 운영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25315A KR20020085679A (ko) 2001-05-09 2001-05-09 인터넷 이메일 학습지 서비스 운영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85679A true KR20020085679A (ko) 2002-11-16

Family

ID=277043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25315A KR20020085679A (ko) 2001-05-09 2001-05-09 인터넷 이메일 학습지 서비스 운영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85679A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25547A (ja) * 1994-02-14 1995-08-22 Hitachi Ltd 通信教育システムおよび通信教育方法
JP2000029860A (ja) * 1998-07-10 2000-01-28 Casio Comput Co Ltd 通信装置、および通信学習システム
KR20000006700A (ko) * 1999-10-20 2000-02-07 전찬구 인터넷 이메일 전자학습(교육)방법 및 전자학습(교육)시스템
JP2000181837A (ja) * 1998-12-16 2000-06-30 Casio Comput Co Ltd 学習情報提供システム及び学習情報提供処理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KR20010054010A (ko) * 1999-12-02 2001-07-02 이성일 이메일과 컴퓨터를 이용한 개인회원의 능력별 문제 제공및 타이머 기능을 이용하는 시간제한 문제 풀이 학습 방법
KR20010093471A (ko) * 2000-03-29 2001-10-29 민선식 전자우편을 이용한 학습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
KR20020005318A (ko) * 2000-07-10 2002-01-17 윤용니 이메일을 이용한 실시간 온라인 학습방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25547A (ja) * 1994-02-14 1995-08-22 Hitachi Ltd 通信教育システムおよび通信教育方法
JP2000029860A (ja) * 1998-07-10 2000-01-28 Casio Comput Co Ltd 通信装置、および通信学習システム
JP2000181837A (ja) * 1998-12-16 2000-06-30 Casio Comput Co Ltd 学習情報提供システム及び学習情報提供処理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KR20000006700A (ko) * 1999-10-20 2000-02-07 전찬구 인터넷 이메일 전자학습(교육)방법 및 전자학습(교육)시스템
KR20010054010A (ko) * 1999-12-02 2001-07-02 이성일 이메일과 컴퓨터를 이용한 개인회원의 능력별 문제 제공및 타이머 기능을 이용하는 시간제한 문제 풀이 학습 방법
KR20010093471A (ko) * 2000-03-29 2001-10-29 민선식 전자우편을 이용한 학습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
KR20020005318A (ko) * 2000-07-10 2002-01-17 윤용니 이메일을 이용한 실시간 온라인 학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hong et al. An empirical analysis of the adoption of m-learning in Malaysia
US20130273516A1 (en) Automatic Determination of User Alignments and Recommendations for Electronic Resources
Chen et al. Examination of attitudes towards teaching online courses based on theory of reasoned action of university faculty in Taiwan
Ray et al. Exploring barriers affecting eLearning usage intentions: an NLP-based multi-method approach
Bourrie et al. Identifying characteristics of dissemination success using an expert panel
Ojino et al. Mobile applications in university education: The case of Kenya
Hurst Current trends in UK university libraries
Santos et al. Understanding e-learning adoption among Brazilian universities: An application of the decomposed theory of planned behavior
Mehra et al. Benefits to collection development librarians from collaborating with “community-embedded” librarians-in-training
WO2007145619A1 (en) System and method for dynamic electronic learning based on location, context, and category data
KR20020085679A (ko) 인터넷 이메일 학습지 서비스 운영 방법
Shin et al. Teachers’ perceptions of first-year implementation of computer science curriculum in middle school: How we can support CS initiatives
Chaiprasurt Enhancing Students' Motivation using Facebook and SMS with Google Spreadsheets Support: A Comparative Study
KR20210112941A (ko) 실습도구 및 실습장소를 구비한 협업 지점과 연계된 예체능 매칭 서비스 제공 시스템
Matlala The use of the Internet by grade 11 learners from selected schools in the Sekhukhune district, Makhuduthamaga local municipality in Limpopo Province.
Duong et al. EtherLearn: Decentralizing Learning via Blockchain
Lessa et al. Critical evaluation and use of digital information sources by distance library students from the Universidade Federal da Bahia: an analysis based on the Framework for Information Literacy for Higher Education-ACRL
KR20030057625A (ko) 찬스 포인트 문제를 갖는 전자 학습지 생성 방법
TA et al. EtherLearn: Decentralizing learning via blockchain
Strachota et al. An instrument development model for online surveys in human resource development and adult education
KR20230065224A (ko)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에 기반한 영어 교육 플랫폼 시스템
Coyle et al. The EHE‐EMSAT Project: the development of awareness of electronic mail among student teachers
KR100570735B1 (ko) 네트워크 망을 갖는 지역업체를 통한 학습지 온라인 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
Le et al. Social networking sites as affordable tools for high-potential personal learning networks: the case of teachers as learners in Vietnam
Wyne et al. Parent-Teacher Portal (PTP): A Communication Too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