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85116A - 통신형 차량 항법장치를 위한 정보서비스 제공시스템 - Google Patents

통신형 차량 항법장치를 위한 정보서비스 제공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85116A
KR20020085116A KR1020010024402A KR20010024402A KR20020085116A KR 20020085116 A KR20020085116 A KR 20020085116A KR 1020010024402 A KR1020010024402 A KR 1020010024402A KR 20010024402 A KR20010024402 A KR 20010024402A KR 20020085116 A KR20020085116 A KR 200200851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server
safety
vehicle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244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43577B1 (ko
Inventor
김도성
임인순
윤명수
박붕렬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244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43577B1/ko
Publication of KR200200851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851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435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43577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6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n-board computer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62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having an indicator mounted inside the vehicle, e.g. giving voice messag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62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having an indicator mounted inside the vehicle, e.g. giving voice messages
    • G08G1/0967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highway information, e.g. weather, speed limi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emote Sens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tmospheric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Navigation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통신형 차량 항법장치를 위한 정보서비스 제공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위치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복수의 GPS위성(11); 상기 GPS위성으로부터 위치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단말기가 설치된 차량(10); 상기 차량으로부터 정보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무선통신망(12); 상기 무선통신망을 통해 각종의 정보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정보센터(100); 상기 무선통신망(12)을 통해 안전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안전센터가(200) 포함되어 차량의 운전자가 필요로 하는 생활정보를 포함한 정보제공서비스, 운전자의 응급상황에 대한 안전서비스 및 차량의 도난에 대한 차량의 위치추적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Description

통신형 차량 항법장치를 위한 정보서비스 제공시스템{Information Service Offering System for Communication Type Car Navigation System}
본 발명은 통신형 차량 항법장치를 위한 정보서비스 제공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와 공중통신망 및 무선통신망을 이용하여 차량의 운전자가 원하는 각종의 정보를 수집 및 제공하고, 차량의 구난서비스 및 도난 차량에 대한 위치추적서비스 등을 제공하기 위한 통신형 차량 항법장치를 위한 정보서비스 제공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차량항법장치(Car Navigation System)는 GPS 위성과 공중통신망 그리고 GIS(지리정보시스템) 등을 이용하여 차량의 현재 위치를 파악하고, 운전자가 원하는 위치까지의 최단경로검색이나 각종 지리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차량항법장치는 전자지도나 POI(Point Of Interest; 인터넷을 통해 각종 위치정보를 교환할 수 있게 해주는 데이터포맷) 또는 도로 등의 데이터베이스의 업데이트가 통상적으로 6∼12개월을 주기로 이루어지고 있고, 이는 새로운 정보를 업데이트 받기 전까지 고객은 기존의 정보를 통해 서비스를 받아야만 했고, 더욱이 차량항법장치의 특성상, 고객에게는 새로운 도로정보가 전자지도에 반영되기까지는 서비스제공에 한계가 있었다.
이와 같이 종래의 차량항법장치를 이용한 서비스의 경우에는 한정된 기능의 서비스를 제공으로, 차량항법장치의 고유기능인 경로안내에는 치명적인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GPS 위성 및 무선통신망을 이용하는 차량항법장치는 운전자에게 필요한 각종의 정보를 제공하는 정보센터와 차량의 안전에 관한 정보 및 서비스를 제공하는 안전센터 등과 연계하여 최적의 정보를 운전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통신형 차량 항법장치를 위한 정보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 목적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정보센터로부터 교통정보, 최적경로, 최단경로, POI, 교통영상정보, 유고/통제정보 및 운전자용 생활정보 등의 정보서비스와, 안전센터로부터 운전자의 응급상황에 대하여 ERS(Emergency Roadside Service)이나 도난차량에 대한 차량위치 추적서비스 등의 안전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 목적이다.
또한, 본 발명은 정보센터의 정보제공 및 단말기(차량항법장치)를 통한맵(Map) 연동이나 웹(Web) 연동 등에 관한 정보의 표출기능을 제공하고, 단말기에 내장된 전자지도에 교통정보를 표출하기 위한 지도의 도로정보와 교통정보 제공용 지도 사이의 노드나 링크의 매칭기술 등을 제공하며, 단말기의 데이터베이스의 업데이트 때에 각각의 버전관리 정보를 송신하고, 이에 대한 정보의 업데이트 여부를 정보센터에서 판단하기 위한 무선통신망에서의 최적화된 프로토콜의 개발기술과, 무선통신망을 이용한 차량의 제어 및 위치추적기술, 그리고 단말기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업데이트 정보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메모리 관리기술 등을 제공함으로써 운전자가 필요로 하는 최적의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 목적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통신형 차량 항법장치를 위한 정보서비스 제공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항법장치인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으로부터 차량으로의 정보제공서비스에 관한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으로부터 차량으로의 안전서비스 제공에 관한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으로부터 차량으로의 차량 위치추적서비스 제공에 관한 흐름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
10: 차량11: GPS 위성
12: 무선통신망20: 제공서버
30: 맵서버32: 교통정보 수집서버
34: POI(Point Of Interest) 서버36: 최적경로서버
40: 생활정보서버42: 메일서버
44: 업데이트 관리서버50: 안전서버
60: 자동 응답기(ARS)62: 웹서버
64: 팩스서버66: 구내교환기(PBX)
70: 구난기관80: 공중전화망(PSTN)
90: 단말기91: 연산/제어부
92: 입력부93: 디스플레이부
94: 사운드 출력부95: 무선데이터 모뎀
96: GPS 수신부97: 데이터 저장부
100: 정보센터200: 안전센터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위하여, 위치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복수의 GPS 위성; 상기 GPS 위성으로부터 위치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단말기가 설치된 차량; 상기 차량으로부터 정보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무선통신망; 상기 무선통신망을 통해 각종의 정보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정보센터; 상기 무선통신망을 통해 안전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안전센터가 포함되어 차량의 운전자가 필요로 하는 생활정보를 포함한 정보제공서비스, 운전자의 응급상황에 대한 안전서비스 및 차량의 도난에 대한 차량의 위치추적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통신형 차량 항법장치를 위한 정보서비스 제공시스템의 구성도이고, 도 2는 차량에 설치된 차량 항법장치인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GPS 위성(11)은 위치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것으로, 통상적으로 최소 4개 이상의 GPS 위성(11)을 이용하고, 필요에 따라 더 많은 GPS 위성(11)을 이용할 수 있다.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세계 측위 시스템)는 GPS 위성(11)을 통해 지구상의 모든 이동체의 위치를 거리 및 거리변동 속도계산에 의해 측정하는 시스템이다. GPS 위성(11)을 이용하면 약 2만km 상공의 궤도에서 성좌를 형성하는 위성군(衛星群)을 바닥 또는 밑변으로 하여 이들 위성군으로부터 보내오는 신호를 수신하여 거리를 측정하면서 자기의 정확한 3차원 위치를 알아낼 수 있다. 이때 그 정확도는 30mCEP(Circular Error Probability, 원형공산오차) 이하이다. 또한, GPS 위성(11)은 원자 주파수 표준의 루비듐 또는 세슘 원자시계를 탑재하고 있으며, 그 안정도는 10ns/일(ns는 10억분의 1)정도로, 왕복이 아닌 편도 전반의 전파를 수신하는 것만으로도 정밀측거가 가능하며 그 정밀도가 높다.
차량(10)은 상기 GPS 위성(11)으로부터 위치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단말기가 설치된 것으로, 차량(10)은 영업용 차량 및 개인용 차량이 포함된다.
무선통신망(12)은 상기 차량(10)으로부터 정보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것으로, 무선통신망(12)은 이동통신 사업자가 제공하는 무선통신, 예로, 셀룰러폰(Cellular Phone)이나 개인용 휴대단말(PCS) 등이 포함된다.
정보센터(100)는 상기 무선통신망(12)을 통해 각종의 정보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정보센터(100)는 무선통신망(12)을 통해 무선데이터 통신기능으로 유선전화망과 같이 외부 망과의 인터페이스를 담당하는 망연동장치(IWF)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정보센터(100)는 상기 무선통신망(12)으로부터 인터페이스하기 위한 제공서버(20)와, 내장된 각종의 지리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맵서버(30)와, 각종의 교통정보를 수집하고 수십된 교통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교통정보 수집서버(32)와 각종의 위치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POI 서버(34)와, 상기 교통정보 수집서버(32)를 통해 수집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최적의 경로를 제공하기 위한 최적경로서버(36)와, 각종의 생활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하기 위한 생활정보서버(40)와, 메일의 송수신을 위한 메일서버(42)와, 각종의 정보데이터를 업데이트 하기 위한 업데이트 관리서버(44)가 포함된다.
상기 교통정보 수집서버(32) 및 POI 서버(34)는 각각 데이터의 저장 및 출력을 위한 데이터베이스가 연결되어 있다. 더욱이 최적경로서버(36)는 맵서버(30)와 연동되고, 교통정보 수집서버(32)와 연결된 데이터베이스의 정보를 이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공서버(20)는 하나 이상의 정보제공 루트(AD1∼ADn)가 포함된다.
상기 교통정보 수집서버(32)는 실시간 교통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항상 업데이트시키고, 최적경로서버(36)는 고객의 요청에 대하여 교통정보 데이터베이스와 맵을 이용한 경로를 생성한다. 상기 생활정보서버(40)는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의 하단에 운전자가 원하는 각종의 생활정보를 가공하여 표시하거나 또는 가공된 무작위의 생활정보 또는 광고 등을 할 수도 있다.
상기 정보센터(100)는 연동서비스를 제공하고, 이는 최적경로의 요청, POI 요청, 구간 및 영상정보 등의 교통정보의 요청, 이메일(E-Mail) 송수신 및 생활정보 서비스 등이 연동된다.
다음으로, 안전센터(200)는 상기 무선통신망(12)을 통해 안전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안전센터(200)는 무선통신망(12)과 ERS(Emergency Roadside Service) 요청에 따른 단문메시지 서비스(SMS)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안전센터(200)는 상기 무선통신망(12)과 인터페이스하기 위한 안전서버(50)와, 상기 안전서버(50)와 연결되어 자동 응답을 위한 자동 응답기(ARS)(60)와, 상기 안전서버(50)와 연결되어 인터넷을 통한 웹 브라우저를 제공하기 위한 웹서버(62)와, 상기 안전서버(50)와 연결되고 팩시밀리를 통하여 구난기관(70)과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팩스서버(64)와, 상기 안전서버(50)와 연결되고 공중통신망(PSTN)(80)과의 전화회선을 교환하기 위한 구내교환기(PBX)(66)가 포함되어 있다.
상기 안전센터(200)는 연동서비스를 제공하고, 이는 ERS 서비스와, 도난추적 서비스, 위치확인 서비스 및 원격제어 서비스 등이 연동된다. 더욱이 원격제어 서비스는 도어의 잠금 또는 개방상태, 트렁크 후드의 개방상태, 차량의 원격시동 및 외부 송출 음성의 제어 등을 서비스하는 것이다.
도 2에서, 차량(10)에 설치된 차량 항법장치인 단말기(90)는 차량의 각종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으며, 차량(10)의 위치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GPS 수신기 등이 포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단말기(90)는 단말기(90)의 설정 및 입력을 위한 복수의 키가 구비된 입력부(92)와, 구동상태를 가시적으로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93)와, 음신호를 가청신호로 출력하기 위한 사운드 출력부(94)와, 상기 데이터신호를 무선으로 송수신하기 위한 무선데이터 모뎀(95)과, 상기 GPS 위성(11)으로부터 위치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GPS 수신부(96)와, 각종의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데이터 저장부(97)와, 입력된 데이터를 연산하고 시스템을 제어하는 연산/제어부(91)가 포함되어 있다.
상기 단말기(90)는 화상 및 음성정보를 표출하는 이동형으로, 수신된 데이터를 가공하기 위한 프로그램화된 알고리즘과 어플리케이션 등이 더 포함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통신형 차량 항법장치를 위한 정보서비스 제공시스템은 차량의 운전자가 필요로 하는 생활정보를 포함한 정보제공서비스, 운전자의 응급상황에 대한 안전서비스 및 차량의 도난에 대한 차량의 위치추적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으로, 각각의 서비스는 도 3 내지 도 5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3에서는 시스템으로부터 차량으로의 정보제공서비스에 관한 흐름도로, 단계(S10)에서 각종의 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정보센터(100)의 전체 시스템을 스탠바이 상태로 온(On)시킨다. 이때에는 복수의 GPS 위성(11)으로부터 위치정보를 수신하고 무선통신망(12)에 접속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것이다.
단계(S11)에서는 차량(10)의 운전자가 원하는 정보를 차량(10)내에 설치된 통신형 차량 항법장치인 단말기(90)를 통해 요청하는 것으로, 교통정보나 POI 또는 최적경로 등에 관한 정보를 요청하게 된다.
상기 POI(Point Of Interest)는 인터넷을 통해 각종 위치정보를 교환할 수 있게 해주는 데이터포맷으로, 기존의 차량 항법장치(CNS), 디지털 지도, 개인휴대단말기(PDA) 등의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에서 위치데이터를 서로 교환하는 게 불가능했으나, POI는 카내비게이션에 PHS 등을 결합하여 네트워크를 통해 서로 다른 어플리케이션이나 서로 다른 업체의 제품간에도 위치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는 표준 플랫폼을 제공한다. 또한, POI는 네트워크 상의 문자 및 영상 데이터 기술언어로 XML을 채용하여 각종 홈페이지의 검색이 가능하다. 또한 개체가 정지상태이든 움직이고 있든 동일한 포맷을 사용하며 포맷이 간단해 PDA나 차량 항법장치 등, 기능이 제한된 시스템에서도 손쉽게 다룰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POI는 위치정보에 각종 부가정보를 링크시키는 것이 가능하므로, 예를 들어, 한 식당의 위치를 설명하면서 그 식당의 영업시간이나 가격대나 전문요리 등의 정보를 링크시켜 둘 수 있다.
단계(S12)에서는 단말기의 망연동장치인 무선데이터 통신기능(IWF)을 이용하여 무선통신망에 접속하였지를 판단하게 되고, 상기 무선통신망(12)에 접속이 이루어지면 접속을 위한 프로토콜을 전송하는 단계(S13)를 수행한다.
또한, 단계(S14)에서 상기 단말기(90)는 정보센터(100)의 해당하는 서버로부터 각종의 정보를 데이터로 수신하게 되고, 상기 데이터의 수신이 완료되면 단계(S15)에서 단말기(90)의 무선데이터 통신기능(IWF)를 종료하게 된다.
더욱이, 단계(S16)에서는 수신된 데이터를 단말기(90)의 디스플레이부(93)를 통해 디스플레이하게 되고, 단계(S17)에서 수신된 데이터를 단말기(90)에 포함된다양한 소프트웨어로 연동시켜 표시하게 된다. 이때 연동되는 기능으로는 경로의 안내나 POI 위치보기 등이 있다.
또한, 상기 단계(S12)에서 단말기(90)의 무선데이터 통신기능(IWF)으로 무선통신망(12)의 접속이 이루어지지 않았을 경우에 단계(S18)에서 무선데이터 통신기능으로 망연동장치의 접속을 재시도하게 된다. 이때, 상기 단말기(90)의 망연동장치에 의한 접속이 이루어졌는지를 판단하여 접속이 이루어지지 않았을 경우에 설정된 회수로 접속을 시도하는 단계(S19)를 수행한다. 상기 설정된 회수는 단계(S18)에서 시도한 접속회수에 설정된 회수, 예로 3회 이내로 제한하여 접속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단계(S20)에서 설정된 회수동안 접속이 이루어지지 않았을 경우에는 시스템에 저장된 안내음성을 출력하여 운전자에게 접속문제를 고지함으로써, 접속상태에 대한 문제점을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
다음으로, 도 4는 상기 시스템으로부터 차량으로의 안전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으로, 단계(S30)에서 상기 차량(10)에 장착된 단말기(90)에 구성된 입력부(92)의 안전서비스 버튼을 눌러 온(On)시키면, 단계(S31)에서 차량(10)의 현재 위치정보 및 운전자의 정보데이터를 안전센터로 무선통신망(12)을 통해 단문메시지(SMS)로 전송할 것인지를 판단하게 된다. 이때 전송되는 정보데이터는 GPS 정보와 전화번호 등이 포함된다.
단계(S32)에서 상기 단문메시지가 전송되었을 경우에 안전센터(200)와의 통화를 위하여 대기하게 되고, 단계(S33)에서는 상기 안전센터(200)의 안내원과의 음성 접속이 이루어지게 된다. 음성 접속을 대기하는 중에는 안전센터(200)로부터 호출음이 착신된다. 상기 음성 접속이 이루어지면 단계(S34)에서 상기 차량(10)의 운전자와 안내원 사이의 음성 통화를 수행하게 된다.
한편, 상기 단계(S31)에서 상기 단문메시지의 전송이 이루어지지 않았을 경우에는 단계(S35)에서 안전센터(200)와의 접속을 재시도하게 되고, 상기 안전센터(200)로 접속이 이루어지지 않았을 경우에는 단계(S36)에서 단문메시지의 전송을 위하여 설정된 회수로 접속을 시도하게 된다. 상기 설정된 회수는 단계(S35)에서 시도한 접속회수에 설정된 회수, 예로 5회 이내로 제한하여 접속할 수 있도록 한다.
다음으로, 도 5는 상기 시스템으로부터 차량으로의 차량 위치추적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으로, 단계(S40)에서는 이동통신 단말기나 공중전화망(80)을 통해 차량의 운전자나 고객이 안전센터(200)로 차량의 도난을 신고하게 되고, 이때 단계(S41)에서 신고는 고객이 인증을 위하여 고객의 정보도 함께 신고하게 된다. 따라서, 단계(S42)에서 고객은 안전센터(200)로의 인증을 위한 에서는 상기 신고한 고객에 대한 등록 및 설정사항 등의 정보에 대하여 확인 및 인증처리를 수행하게 된다.
단계(S43)에서 상기 고객에 대한 인증처리가 이루어지면 고객의 메시지를 안전센터(200)로 송신하게 되고, 단계(S44)에서 상기 안전센터(200)에서 고객이 송신한 데이터를 수신하였지를 판단하게 된다.
단계(S45)에서는 상기 안전센터(200)에서 고객으로부터 수신한 데이터정보를모니터링한 후에 단계(S46)를 통해 해당하는 조치, 예로, 차량의 위치를 추척하거나 관공서 등에 등록된 도난 차량의 신고상태 또는 미확인 차량 등의 신고상태 등에 관한 정보조회 등을 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10)의 운전자는 차량 항법장치인 단말기(90)를 이용하여 정보센터(100)로부터 교통정보, 최적경로, POI, 교통영상정보, 유고 및 통제정보, 운전자용 생활정보와, 안전센터(200)로부터 운전자의 응급상황에 대한 ERS와, 도난차량에 대한 차량의 위치추적 서비스 등을 제공받을 수 있다.
상기 단말기(90)는 정보센터(100)의 서비스를 구현하기 위한 프로토콜을 통해 정보를 교환하고, 현재 보유하고 있는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현재 정보를 정보센터(100)로 전송하며, 정보센터(100)는 최신의 정보를 단말기(90)에 전송하여 실시간으로 업데이트함으로써, 정보센터(100)는 최신의 정보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업데이트 모드는 삽입, 업데이트 및 삭제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상기 업데이트는 전자지도, POI, 메뉴,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및 생활정보를 포함한 모든 데이터베이스가 대상이 된다.
또한, 단말기(90)에서 사용하는 무선통신망(12)은 단문메시지(SMS), TCP/IP 및 음성의 송수신이 가능하고, ERS와 차량 위치추적 서비스는 단문메시지와 TCP/IP를 모두 이용하며, 정보서비스는 TCP/IP를 이용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통신형 차량 항법장치를 위한 정보서비스 제공시스템은 차량에 장착된 단말기로 GPS 위성, 유선 및 무선통신망을 통해 정보센터 및 안전센터로부터 실시간의 정보를 신속하게 제공하고, 보다 안전한 운전을 지원하며, 이동 중에도 각종의 정보의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하며, 실시간을 통한 교통정보 및 지리정보의 제공으로 교통량의 분산을 유도할 수 있어 도로의 정체로 인한 제반의 경제적인 손실을 절감할 수 있어 차량의 기능향상 및 그 운용에 편의를 증대시킨 효과가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통신형 차량 항법장치를 위한 정보서비스 제공시스템은 상술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고, 당업자가 용이하게 변경 또는 치환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7)

  1. 위치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복수의 GPS위성;
    상기 GPS위성으로부터 위치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단말기가 설치된 차량;
    상기 차량으로부터 정보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무선통신망;
    상기 무선통신망을 통해 각종의 정보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정보센터;
    상기 무선통신망을 통해 안전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안전센터가 포함되어 차량의 운전자가 필요로 하는 생활정보를 포함한 정보제공서비스, 운전자의 응급상황에 대한 안전서비스 및 차량의 도난에 대한 차량의 위치추적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형 차량 항법장치를 위한 정보서비스 제공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센터는
    상기 무선통신망으로부터 인터페이스하기 위한 제공서버와,
    내장된 각종의 지리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맵서버와,
    각종의 교통정보를 수집하고 수십된 교통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교통정보 수집서버와
    각종의 위치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POI 서버와,
    상기 교통정보 수집서버를 통해 수집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최적의 경로를 제공하기 위한 최적경로서버와,
    각종의 생활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하기 위한 생활정보서버와,
    메일의 송수신을 위한 메일서버와,
    각종의 정보데이터를 업데이트 하기 위한 업데이트 관리서버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형 차량 항법장치를 위한 정보서비스 제공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센터는
    상기 무선통신망과 인터페이스하기 위한 안전서버와,
    상기 안전서버와 연결되어 자동 응답을 위한 자동 응답기(ARS)와,
    상기 안전서버와 연결되어 인터넷을 통한 웹 브라우저를 제공하기 위한 웹서버와,
    상기 안전서버와 연결되고 팩시밀리를 통하여 구난기관과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팩스서버와,
    상기 안전서버와 연결되고 공중통신망(PSTN)과의 전화회선을 교환하기 위한 구내교환기(PBX)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형 차량 항법장치를 위한 정보서비스 제공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단말기의 설정 및 입력을 위한 복수의 키가 구비된 입력부와,
    구동상태를 가시적으로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와,
    음신호를 가청신호로 출력하기 위한 사운드 출력부와,
    제어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연산/제어부와,
    데이터신호를 무선으로 송수신하기 위한 무선데이터 모뎀과,
    상기 GPS 위성으로부터 위치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GPS 수신부와,
    각종의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데이터 저장부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형 차량 항법장치를 위한 정보서비스 제공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으로부터 차량으로의 정보제공서비스는
    각종의 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정보센터의 시스템을 스탠바이 상태로 온시키는 단계와,
    차량의 운전자가 원하는 정보를 단말기를 통해 요청하는 단계와,
    단말기의 무선데이터 통신기능(IWF)을 이용하여 무선통신망에 접속하였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무선통신망에 접속이 이루어지면 접속을 위한 프로토콜을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단말기는 정보센터의 해당하는 서버로부터 각종의 정보를 데이터로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데이터의 수신이 완료되면 단말기의 무선데이터 통신기능(IWF)를 종료하는 단계와,
    수신된 데이터를 단말기의 표시창을 통해 디스플레이하는 단계와,
    수신된 데이터를 단말기에 포함된 다양한 소프트웨어로 연동시켜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단말기의 무선데이터 통신기능(IWF)으로 무선통신망의 접속이 이루어지지 않았을 경우에 무선데이터 통신기능(IWF)으로 접속을 재시도하는 단계와,
    상기 단말기의 무선데이터 통신기능(IWF)에 의한 접속이 이루어졌는지를 판단하여 접속이 이루어지지 않았을 경우에 설정된 회수로 접속을 시도하는 단계와,
    설정된 회수동안 접속이 이루어지지 않았을 경우에는 시스템에 저장된 안내음성을 출력하여 운전자에게 접속문제를 고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형 차량 항법장치를 위한 정보서비스 제공시스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으로부터 차량으로의 안전서비스 제공은
    상기 차량에 장착된 단말기에 구성된 안전서비스 버튼을 눌러 온(On)하는 단계와,
    차량의 현재 위치정보 및 운전자의 정보데이터를 안전센터로 무선통신망을 통해 단문메시지(SMS)로 전송할 것인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단문메시지가 전송되었을 경우에 안전센터와의 통화를 위하여 대기하는 단계와,
    상기 안전센터의 안내원과의 음성 접속이 이루어지는 단계와,
    상기 차량의 운전자와 안내원 사이의 음성 통화를 수행하는 단계와,
    상기 단문메시지의 전송이 이루어지지 않았을 경우에 안전센터와 접속을 재시도하는 단계와,
    상기 안전센터로 접속이 이루어지지 않았을 경우에 단문메시지의 전송을 위하여 설정된 회수로 접속을 시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형 차량 항법장치를 위한 정보서비스 제공시스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으로부터 차량으로의 차량 위치추적서비스 제공은
    상기 차량 운전자인 고객이 이동통신 단말기나 공중통신망을 이용하여 차량의 도난을 안전센터로 신고하는 단계와,
    상기 신고한 고객에 대한 정보를 안전센터에서 인증처리를 수행하는 단계와,
    상기 고객에 대한 등록 및 설정사항을 확인한 후에 인증처리하는 단계와,
    상기 고객에 대한 인증처리가 이루어지면 고객의 메시지를 안전센터로 송신하는 단계와,
    상기 안전센터에서 고객이 송신한 데이터를 수신하였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안전센터에서 고객으로부터 수신한 데이터정보를 모니터링하는 단계와,
    상기 정보의 모니터링 후에 해당하는 조치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형 차량 항법장치를 위한 정보서비스 제공시스템.
KR10-2001-0024402A 2001-05-04 2001-05-04 통신형 차량 항법장치를 위한 정보서비스 제공시스템 KR1004435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24402A KR100443577B1 (ko) 2001-05-04 2001-05-04 통신형 차량 항법장치를 위한 정보서비스 제공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24402A KR100443577B1 (ko) 2001-05-04 2001-05-04 통신형 차량 항법장치를 위한 정보서비스 제공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85116A true KR20020085116A (ko) 2002-11-16
KR100443577B1 KR100443577B1 (ko) 2004-08-09

Family

ID=277037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24402A KR100443577B1 (ko) 2001-05-04 2001-05-04 통신형 차량 항법장치를 위한 정보서비스 제공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4357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0706A (ko) * 2002-01-11 2003-07-16 삼성전기주식회사 차량용 정보단말기에서 긴급 메세지 송신을 위한 인터넷접속해제방법
KR100748502B1 (ko) * 2005-06-23 2007-08-13 엘지전자 주식회사 텔레매틱스 단말기의 서비스 통합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26932A (ko) * 1998-10-21 2000-05-15 손상호 유·무선 통신을 이용한 차량 항법 시스템 및 그 정보 제공방법
KR100337481B1 (ko) * 1999-10-15 2002-05-23 김영민 차량 항법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0706A (ko) * 2002-01-11 2003-07-16 삼성전기주식회사 차량용 정보단말기에서 긴급 메세지 송신을 위한 인터넷접속해제방법
KR100748502B1 (ko) * 2005-06-23 2007-08-13 엘지전자 주식회사 텔레매틱스 단말기의 서비스 통합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43577B1 (ko) 2004-08-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63437B2 (en) Vehicle dispatching system and management server for the same
US7385516B2 (en) Location visit confirmation services for wireless devices
US7809378B2 (en) Location visit detail services for wireless devices
AU2002320609B2 (en) Position determination system
US20020046285A1 (en) Data communication system
US20010044309A1 (en) Internet distributed real-time wireless location database
CN202255410U (zh) 一种基于蓝牙通信的导航系统
JP2003228532A (ja) 携帯情報端末、情報取得方法、情報取得プログラムおよび情報取得システム
US20090240428A1 (en) Mobile phone having gps navigation system
WO2010065915A1 (en) System for and method of location-based process execution
US2009017651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outing Data Between A User And A Data Provider
JP2002528948A (ja) 位置カメラおよびgpsデータ交換デバイス
KR20030041157A (ko) 교통정보 검색방법, 교통정보 검색시스템, 이동체통신기기 및 네트워크 네비게이션 센터
GB2376297A (en) Navigation system using mobile terminal
AU2002320609A1 (en) Position determination system
JPH0990869A (ja) 地図関連情報配信システム
MX2013011514A (es) Sistema de transmision de informacion.
JP2002351905A (ja) 位置情報サービスシステム、その情報配信方法及びそのプログラム
JP2005503739A (ja) 電話呼び出し経路指定システム及び方法
US20060161343A1 (en) Mobile navigation
KR20060006992A (ko) 휴대폰을 이용한 위치 정보 및 길 안내 정보 제공 방법.
KR100342722B1 (ko) 개인 지리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443577B1 (ko) 통신형 차량 항법장치를 위한 정보서비스 제공시스템
JP2990234B2 (ja) 電話網を利用した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
KR20060082064A (ko) 네비게이션 위치정보 업데이트 방법 및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1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7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9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30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