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84764A - 무선 트랜스폰더가 내장된 가축용 이표 및 그를 이용한축산품 관리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무선 트랜스폰더가 내장된 가축용 이표 및 그를 이용한축산품 관리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84764A
KR20020084764A KR1020010024038A KR20010024038A KR20020084764A KR 20020084764 A KR20020084764 A KR 20020084764A KR 1020010024038 A KR1020010024038 A KR 1020010024038A KR 20010024038 A KR20010024038 A KR 20010024038A KR 20020084764 A KR20020084764 A KR 200200847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vestock
information
product
transponder
wireless transpo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240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민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스피드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스피드칩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스피드칩
Priority to KR10200100240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84764A/ko
Publication of KR200200847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84764A/ko

Links

Landscapes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축의 이표(耳標)에 내장된 무선 트랜스폰더를 이용하여 상기 가축에 대한 정보를 기록하고 상기 기록된 정보 및 상기 가축의 가공, 유통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인터넷을 통해 접속한 사용자에게 상기 정보들을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컴퓨터 통신망에 접속되며 데이터베이스를 구비한 서버시스템에서 가축 및 상기 가축의 가공품을 포함하는 축산품들을 관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축산품들 각각에 대하여 적어도 상기 축산품의 식별자를 포함하는 축산품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획득된 축산품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컴퓨터 통신망을 통하여 상기 서버시스템에 접속한 사용자에게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축산품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축산품 관리방법이 제공된다.
이로써, 가축 및 축산가공품들에 대한 생산, 가공, 유통, 및 소비의 각 단계에서 상기 가축 및 축산가공품들에 대한 이력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되어, 소비자가 안심하고 구매할 수 있는 식품으로 관리가 가능해지고, 나아가 가축의 종자개량에 이용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Description

무선 트랜스폰더가 내장된 가축용 이표 및 그를 이용한 축산품 관리 방법 및 시스템{Ear-indicator having RF transponder for stock and method and system for management of stock products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축산품을 관리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가축의 이표에 내장된 무선 트랜스폰더를 이용하여 상기 가축에 대한 정보를 기록하고 상기 기록된 정보 및 상기 가축의 가공, 유통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인터넷을 통해 접속한 사용자에게 상기 정보들을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광우병, 구제역과 같이 가축들에 발생하는 병들로 인해 많은 사람들이 축산품들에 대해 우려의 눈길을 보내고 있다. 병든 가축을 사용하여 만들어진 축산품을 식용함으로써 발생할 지 모르는 건강상의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사람들은 그 당시 유행하고 있는 병을 앓고 있는 가축의 축산품을 꺼려하게 된다. 또한 정부, 축산관련기관, 및 축산농가들은 병의 확산을 방지하고 소비자의 안심을 유도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그 병이 발생한 지역의 가축은 물론 그 병과 조금이라도 관련된 가축들을 모두 도살한다. 이 과정에서, 상기 병과는 아무런 상관이 없는 가축들도 도살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필요없는 손실이 발생한다.
또한 소비자들은 자신이 구매한 제품에 대해 아무런 정보를 가지지 못하므로 혹시 자신이 구매한 제품이 구제역과 같은 병에 걸렸던 가축에서 나온 제품인지에 대해 의구심을 가지게 되며, 이는 비단 소비자에 한정되지 않고 각종 축산품의 가공업자 및 유통업자들에게도 해당된다.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먼저 가축들 각각에 대한 이력관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 가축의 귀에 이표를 부착하여 그 가축을 식별하는 방식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이표에는 단지 그 가축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문자 정보만이 담겨져 있어서, 대량의 가축에 대한 체계적인 관리가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이표에 무선 트랜스폰더를 삽입하고, 이를 이용하여 무선상으로 상기 이표가 부착된 가축을 관리하는 기법이 소개되었다. 그러나 상기 기법은 단지 가축을 식별하기 위해서만 사용되므로, 그 가축에 대한 상세한 정보를 얻기가 어려우며, 또한 무선 트랜스폰더가 상기 이표의 피메일부에 내장됨으로 인해 가축의 육안 식별을 위한 표지의 설치와 같이 상기 이표의 피메일부를 탈거하는 경우 분실될 우려가 있으며 다른 가축의 피메일부와 뒤바뀌어 혼란을 초래할 우려가 있다. 또한 무선 트랜스폰더가 피메일부에 내장되므로, 각 축산농가에 적합화된 다양한 형태의 피메일부를 제작하는데 어려움이 따른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각종 가축 및 상기 가축의 가공품을 포함하는 축산품들에 대한 가축정보, 가공정보, 및 유통정보등을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인터넷을 통해 접속하는 사용자들에게 상기 정보들을 제공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기술적 과제는 각종 가축 및 상기 가축의 가공품을 포함하는 축산품들에 대한 가축정보, 가공정보, 및 유통정보등을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인터넷을 통해 접속하는 사용자들에게 상기 정보들을 제공하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가축들 각각에 대한 각종 정보를 편리하게 기록하고 독출할 수 있는 가축정보 관리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무선 트랜스폰더가 분실될 우려가 감소되고 피메일부의 변형이 용이한 이표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축산품 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2a 및 도 2b는 각각 가축의 신체에 부착되는 이표의 메일(male)부의 정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 3은 이표의 메일부와 피메일(female)부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사용자측 단말기에 표시되는 인터페이스 화면의 일 예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축산품 관리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축산품관리서버11...무선 단말기
12...이표(耳標)13...농가측 단말기
14...가공업체측 단말기15...유통업체측 단말기
16...소비자측 단말기17...인터넷
101...처리부102...데이터베이스
110...송수신부111...표시부
112...저장부113...입력부
41...메일부42...피메일부
상술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컴퓨터 통신망에 접속되며 데이터베이스를 구비한 서버시스템에서 가축 및 상기 가축의 가공품을 포함하는 축산품들을 관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축산품들 각각에 대하여 적어도 상기 축산품의 식별자를 포함하는 축산품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획득된 축산품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컴퓨터 통신망을 통하여 상기 서버시스템에 접속한 사용자에게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축산품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축산품 관리방법이 제공된다.
상술된 다른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컴퓨터 통신망에 접속되며 가축 및 상기 가축의 가공품을 포함하는 축산품들을 관리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축산품들 각각에 대하여 적어도 상기 축산품의 식별자를 포함하는 축산품정보가 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컴퓨터 통신망을 통하여 상기 서버시스템에 접속한 사용자에게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축산품정보를 제공하는 처리부를 구비하는 축산품관리서버를 포함하는 축산품 관리시스템이 제공된다.
상술된 또 다른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가축들 각각에 대한 정보를 기록하기 위한 시스템에 있어서, 무선 트랜스폰더를 내장하고 상기 가축들에게 부착되는 이표; 및 상기 무선 트랜스폰더와 통신하여 상기 가축에 대한 정보를 상기 트랜스폰더에 기록하고 상기 기록된 가축정보를 자체의 저장부에 기록하는 무선 단말기를 포함하는 가축정보 관리시스템이 제공된다.
상술된 또 다른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무선 트랜스폰더를 내장하며 상기 가축의 신체중 일부를 관통하는 침을 가지는 메일부 및 상기 신체를 관통한 침의 일단과 결합하여 상기 메일부를 고정시키는 피메일부를 구비하는 이표에 있어서, 상기 무선 트랜스폰더는 상기 메일부에 내장되는 이표가 제공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축산품 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1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를 간략하게 설명하면, 무선 단말기(11)를 이용하여 가축의 신체에 부착된 이표(12)에 내장된 무선 트랜스폰더에 상기 가축에 대한 각종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저장된 정보를 농가측 단말기(13)에 전송하고 이를 다시 인터넷(17)을 통해 축산품관리서버(10)에 송신하여 데이터베이스(102)에 저장한다. 이후, 축산농가로부터 상기 가축을 넘겨받아 도축 및 가공하는 가공업체는 가공업체측 단말기(14)를 사용하여 상기 가축의 정보 및 상기 가축을 이용한 축산품의 식별정보를 상기 축산품관리서버(10)에 송신한다. 마찬가지로 상기 축산품들을 유통하는 유통업체는 유통업체측 단말기(15)를 사용하여 축산품관리서버(10)에 상기 축산품들의 유통정보를 송신한다. 상기 축산품관리서버(10)는 상기 수신된, 가축정보, 가공정보, 유통정보를 수신하여 이를 데이터베이스화하고 인터넷을 통해 접속한 소비자측 단말기에 제공한다.
이표(12)는 도 2a, 도 2b,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일부(31) 및 피메일부(32)로 구성된다. 도 2a 및 도 2b는 각각 가축의 신체에 부착되는 이표의 메일부의 정면도 및 측면도이다. 메일부(31)는 몸체(22) 및 상기 가축의 신체의 일부를 관통하는 침(23)으로 구성된다. 무선 트랜스폰더(21)는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표의 메일부(31)에 내장된다. 무선 트랜스폰더(21)가 메일부(31)에 내장됨으로써, 상기 메일부(31)의 침(23)과 결합하여 상기 메일부(31)를 고정시키는 피메일부(32)는 다양한 형태로 변형이 가능하게 된다. 도 3은 이표의 메일부와 피메일부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피메일부에 상기 가축의 육안식별을 위한 표지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표지는 축산농가에 따라 얼마든지 변형될 수 있으며, 또한 경우에 따라서는 피메일(32)의 일부가 아니고 메일(31)과 피메일(32)의 사이에 삽입되는 독립된 형태의 표지일 수도 있다. 상기 무선 트랜스폰더는 내부에 데이터를 기록할 수 있는 저장부(미도시)를 구비하여 이표(12)가 부착된 가축에 대한 각종 정보가 저장된다. 상기 무선 트랜스폰더에 저장되는 정보는상기 가축의 식별자, 유전정보, 혈액형 정보, 혈통 정보, 번식 정보, 농가 정보, 예방접종 정보, GPS 정보를 포함하며 이 이외에도 얼마든지 다양한 다른 가축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무선 단말기(11)는 송수신부(110), 표시부(111), 저장부(112), 및 입력부(113)를 구비하여 상기 이표(12)에 내장된 무선 트랜스폰더와 통신함으로써 상기 가축에 대한 정보를 기록 및 독출한다. 수의사와 같이 상기 무선 단말기(11)의 사용을 허가받은 사용자는 입력부(113)를 통해 상기 가축에 대해 조사된 내용(혈액형 정보, 유전정보, 예방접종 정보 등)을 입력한다. 상기 입력된 내용은 송수신부(110)를 통해 무선으로 상기 가축의 신체에 부착된 이표(12)의 무선 트랜스폰더와 통신하여 상기 트랜스폰더의 저장부(미도시)에 기록된다. 상기 무선 단말기(11)는 또한 상기 무선 트랜스폰더와 통신하여 상기 가축에 할당된 식별자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식별자에 대해 상기 기록된 정보를 저장부(112)에 저장한다. 예를 들어, 수의사가 어떤 축산농장에서 1000 마리의 돼지에게 구제역 예방주사를 접종하였다면, 각 돼지의 신체에 부착된 이표(12)의 무선 트랜스폰더(21)에는 상기 구제역 예방주사 접종 정보가 기록되며, 각 돼지에 대한 상기 접종 정보는 상기 무선 단말기(11)의 저장부(112)에 기록된다. 상기 이표(12)의 무선 트랜스폰더(12)에 기록된 정보는 상기 무선 단말기의 표시부(111)에서 언제든지 확인이 가능하다.
상기 무선 단말기(11)에 기록된 각 가축에 대한 정보는 농가측 단말기(13)에 전송된다. 상기 전송 방법은 시리얼, 패럴렐 또는 USB 포트를 이용한 유선네트워크 송신 방법, 디스켓등을 이용한 방법, 또는 적외선 통신, 블루투쓰(Bluetooth)등의무선 통신 방법 등이 사용할 수 있으나, 이 이외에도 얼마든지 다른 방법들이 사용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농가측 단말기(13)에 송신된 상기 가축들의 기록정보는 인터넷을 통해 축산품관리서버(10)에 송신된다. 한편, 도 1에서 무선 단말기(11)와 축산품관리서버(10)간을 연결하는 점선이 나타내는 바와 같이 무선 단말기(11)에 기록된 정보는 농가측 단말기(13) 및 인터넷(17)을 거치지 않고 직접 축산품관리서버(10)에 송신될 수도 있다. 상기 축산품관리서버(10)로의 송신은 상기 무선 단말기(11)가 농가측 단말기(13)에 가축정보를 송신하는 방법들과 동일한 방법들이 사용될 수 있다. 축산품관리서버(10)는 처리부(101)에서 상기 가축정보들을 수신하고, 이를 데이터베이스(102)에 저장한다.
가공업체는 상기 축산농가들로부터 상기 가축들을 이표(12)가 부착된 상태로 넘겨받아 상기 가축을 도살 또는 가공하여 시중에 시판될 상품을 생성한다. 이때 상기 가공업체는 축산품들 각각에 대해 상기 축산품의 제조에 사용된 가축의 식별자를 포함하는 축산품가공정보를 가공업체측 단말기(14)를 사용하여 상기 축산품관리서버(10)에게 인터넷(17)을 통해 송신한다. 상기 축산품가공정보는 예를 들어, 축산품의 식별자, 축산품 제조에 사용된 가축의 식별자, 도살날짜, 도살 장소, 또는 가공장소 등을 포함하며, 이 이외에도 다양한 다른 정보들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축산품에는 상기 축산품의 식별자가 육안으로 확인가능하게 부착된다.
유통업체는 상기 축산품의 유통경로에 대한 정보를 유통업체측 단말기(15)를 사용하여 인터넷(17)을 통해 축산품관리서버(10)에게 송신한다. 상기 유통정보는 상기 축산품에 대한 축산품식별자, 유통업체식별자, 접수날짜, 보관장소, 다음 유통업체로의 전달날짜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 이외에도 다양한 다른 유통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축산품관리서버(10)의 데이터베이스(102)에는 각 축산품에 대한 유통정보, 가공정보, 상기 축산품에 대한 가축정보가 모두 저장된다.
상기 축산품이 최종유통단계를 지나 소비자에게 판매되면, 소비자는 소비자측 단말기(16)를 사용하여 인터넷(17)을 통해 상기 축산품관리서버(10)에 접속한다. 축산품관리서버(10)의 처리부(101)는 상기 소비자측 단말기에 인터페이스 화면을 제공한다. 도 4에 상기 인터페이스 화면의 일 예가 도시된다. 소비자는 상기 인터페이스 화면상에서 자신이 구매한 축산품에 부착된 축산품 식별자를 축산품식별자입력부(41)에 기입하고 확인버튼(42)을 클릭한다. 상기 축산품 식별자는 인터넷(17)을 통해 상기 처리부(101)에게 송신되고, 상기 처리부(101)는 상기 축산품식별자를 검색키로 사용하여 데이터베이스(102)를 검색한다. 검색이 완료되면 상기 처리부(101)는 검색결과를 상기 소비자측 단말기(16)에 제공한다. 도 4에는 상기 축산품에 사용된 가축의 산지(43), 예방주사 여부(44), 도축장소(45), 유통경로(46)등이 표시되었지만, 이 이외에도 다양한 형태의 정보가 상기 소비자측 단말기(16)에 표시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인터넷을 이용한 축산품 관리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무선 트랜스폰더(21)를 내장한 이표(12)를, 관리하고자 하는 가축의 신체에 부착한다(S51). 이후 무선 단말기(11)로 무선 트랜스폰더(21)와 통신하여 가축에 대한 정보를 무선 트랜스폰더(21)의 저장부(미도시)에 기록한다(S52). 상기 기록행위는 상기 가축에 대해 기록하여 관리되는 항목(예를 들어, 유전정보, 혈액형 정보, 혈통정보, 번식정보, 농가 정보, 예방접종 정보 등)중 신규로 알게 되었거나 혹은 변경사항이 발생한 경우 수행하며, 상기 S51단계에서 가축에게 이표(12)를 부착한 직후에 상기 가축에 대한 식별자를 기록하기 위해 최소 한번은 수행해야 한다. 상기 무선 트랜스폰더(21)에 가축정보를 기록하면서 동시에 상기 기록되는 정보는 모두 무선 단말기(11)의 저장부(112)에 기록된다(S53). 상기 무선 단말기(11)에 기록된 가축정보는 축산품관리서버(10)의 데이터베이스(102)에 저장된다(S54). 상술된 바와 같이, 데이터베이스로(102)의 저장 방법은 농가측 단말기(13)를 사용하여 인터넷을 통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축산품관리서버(10)에 직접 송신하는 것도 또한 가능하다. 상기 가축정보가 데이터베이스(102)에 저장되면, 무선 단말기(11)의 저장부(112)에 기록되어 있는 가축정보는 더 이상 필요가 없게되므로, 향후의 사용을 위해 삭제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축이 축산농가에서 가공업체로 넘어가면 상기 가공업체 및 유통업체는 상기 가축으로 만들어진 축산품에 대한 가공정보 및 유통정보를 인터넷(17)을 통해 축산품관리서버(10)의 데이터베이스(102)에 저장한다(S55). 최종 유통단계를 거쳐 소비자가 상기 축산품을 구매한 후, 상기 소비자가 인터넷(17)을 통해 상기 축산품관리서버(10)에 접속하면 상기 축산품관리서버(10)는 소비자측 단말기(16)에 사용자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가 자신이 구매한 축산품의 식별자를 상기 사용자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송신하면, 상기 축산품관리서버(10)는 상기 식별자를 수신한다(S56). 축산품관리서버(10)는 상기 수신된 식별자에 해당하는 축산품의 정보를 데이터베이스(102)로부터 검색하여 그 결과를 상기 소비자측 단말기(16)에 제공한다(S57).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무선 트랜스폰더가 내장된 가축용 이표 및 그를 이용한 축산품 관리 방법 및 시스템을 바람직한 실시예로써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 바람직한 실시예는 설명의 편의 및 이해를 돕기위해 사용된 것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지 않는다. 오히려,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고 얼마든지 많은 수정 및 균등한 타 실시예를 만들어 낼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있어 명백하다.
상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넷을 이용한 축산관리 시스템은 이표의 메일부에 무선 트랜스폰더를 내장하여 상기 가축에 대한 정보를 상기 무선 트랜스폰더에 기록하고 상기 기록된 정보 및 상기 가축의 가공, 및 유통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인터넷을 통해 접속한 사용자에게 상기 정보들을 제공함으로써, 가축 및 축산가공품들에 대한 생산, 가공, 유통, 및 소비의 각 단계에서 상기 가축 및 축산가공품들에 대한 이력, 예를 들어 전염성 질병을 비롯한 각종 질병에 대한 예방접종 유무 및 병력 등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되어, 소비자가 안심하고 구매할 수 있는 식품으로 관리가 가능해지고, 나아가 가축의 종자개량에 이용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Claims (14)

  1. 컴퓨터 통신망에 접속되며 데이터베이스를 구비한 서버시스템에서 가축 및상기 가축의 가공품을 포함하는 축산품들을 관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a)상기 축산품들 각각에 대하여 적어도 상기 축산품의 식별자를 포함하는 축산품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b)상기 획득된 축산품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및
    (c)상기 컴퓨터 통신망을 통하여 상기 서버시스템에 접속한 사용자에게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축산품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축산품 관리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단계는
    (a1)무선 트랜스폰더를 내장한 이표(耳標)를 상기 가축들에게 부착하는 단계;
    (a2)상기 무선 트랜스폰더와 통신하는 소정의 단말기를 이용하여 상기 가축에 대한 정보를 상기 트랜스폰더의 저장부에 기록하는 단계; 및
    (a3)상기 기록된 가축정보를 상기 축산품 정보로서 상기 단말기의 저장부에 기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산품 관리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표는 메일(male)부 및 피메일(female)부로 구성되어, 상기 무선 트랜스폰더는 상기 메일부에 내장되며 상기 피메일부는 사용자에 의해 다양한 형태로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산품 관리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축정보는 유전정보, 혈액형 정보, 혈통정보, 번식정보, 농가정보, 예방접종 정보, 및 GPS 정보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축산품 관리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축산품 정보는 상기 가축정보, 상기 가축의 가공정보, 및 유통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산품 관리방법.
  6. 컴퓨터 통신망에 접속되며 가축 및 상기 가축의 가공품을 포함하는 축산품들을 관리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축산품들 각각에 대하여 적어도 상기 축산품의 식별자를 포함하는 축산품정보가 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컴퓨터 통신망을 통하여 상기 서버시스템에 접속한 사용자에게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축산품정보를 제공하는 처리부를 구비하는 축산품관리서버를 포함하는 축산품 관리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무선 트랜스폰더를 내장하고 상기 가축들에게 부착되는 이표(耳標); 및
    상기 무선 트랜스폰더와 통신하여 상기 가축에 대한 정보를 상기 트랜스폰더에 기록하고 상기 기록된 가축정보를 상기 축산품 정보로서 자체의 저장부에 기록하는 무선 단말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산품 관리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이표는 상기 가축의 신체중 일부를 관통하는 침을 가지는 메일부 및 상기 신체를 관통한 침의 일단과 결합하여 상기 메일부를 고정시키는 피메일부를 구비하며, 상기 무선 트랜스폰더는 상기 메일부에 내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산품 관리시스템.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가축정보는 유전정보, 혈액형 정보, 혈통정보, 번식정보, 농가정보, 예방접종 정보, 또는 GPS 정보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축산품 관리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축산품 정보는 상기 가축정보, 상기 가축의 가공정보, 또는 유통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산품 관리시스템.
  11. 가축들 각각에 대한 정보를 기록하기 위한 시스템에 있어서,
    무선 트랜스폰더를 내장하고 상기 가축들에게 부착되는 이표; 및
    상기 무선 트랜스폰더와 통신하여 상기 가축에 대한 정보를 상기 트랜스폰더에 기록하고 상기 기록된 가축정보를 자체의 저장부에 기록하는 무선 단말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정보 관리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이표는 상기 가축의 신체중 일부를 관통하는 침을 가지는 메일부 및 상기 신체를 관통한 침의 일단과 결합하여 상기 메일부를 고정시키는 피메일부를 구비하며, 상기 무선 트랜스폰더는 상기 메일부에 내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정보 관리시스템.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가축정보는 유전정보, 혈액형 정보, 혈통정보, 번식정보, 농가정보, 예방접종 정보, 또는 GPS 정보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정보 관리시스템.
  14. 무선 트랜스폰더를 내장하며 상기 가축의 신체중 일부를 관통하는 침(針)을 가지는 메일부 및 상기 신체를 관통한 침의 일단과 결합하여 상기 메일부를 고정시키는 피메일부를 구비하는 이표(耳標)에 있어서, 상기 무선 트랜스폰더는 상기 메일부에 내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표.
KR1020010024038A 2001-05-03 2001-05-03 무선 트랜스폰더가 내장된 가축용 이표 및 그를 이용한축산품 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2002008476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24038A KR20020084764A (ko) 2001-05-03 2001-05-03 무선 트랜스폰더가 내장된 가축용 이표 및 그를 이용한축산품 관리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24038A KR20020084764A (ko) 2001-05-03 2001-05-03 무선 트랜스폰더가 내장된 가축용 이표 및 그를 이용한축산품 관리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84764A true KR20020084764A (ko) 2002-11-11

Family

ID=277035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24038A KR20020084764A (ko) 2001-05-03 2001-05-03 무선 트랜스폰더가 내장된 가축용 이표 및 그를 이용한축산품 관리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84764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9937B1 (ko) * 2002-07-15 2005-03-30 김윤옥 인터넷 망과 cdma 네트워크 망을 통한 소 개체 관리방법
KR100507347B1 (ko) * 2002-06-08 2005-08-08 주식회사 스피드칩 전자태그와의 무선인식을 이용한 개체인식 및 개체정보를측정하는 장치
KR100528634B1 (ko) * 2003-04-26 2005-11-29 대한민국(관리부서:농촌진흥청) 가축개체인식 시스템 및 방법
KR100704950B1 (ko) * 2007-01-24 2007-04-09 주식회사 에이치엔엘 농축수산물 이력관리방법
KR100733784B1 (ko) * 2005-10-10 2007-07-02 정우성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동물 rfid 관리 시스템 및그의 운용 방법
KR100988602B1 (ko) * 2010-05-31 2010-10-20 중앙아이엔티 주식회사 동물 개체 식별 번호 관리 시스템 및 그 관리 방법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480529A1 (en) * 1990-10-08 1992-04-15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Method for identifying individual head of cattle
JPH06276877A (ja) * 1993-03-26 1994-10-04 Saaji Miyawaki Kk 動物用体内型個体識別器具
EP0890305A1 (en) * 1997-06-30 1999-01-13 Josef Splitthoff Identification label for animals
KR20010096359A (ko) * 2000-04-18 2001-11-07 지명섭 인터넷망을 이용한 농,축,수산물 직거래방법
KR20020036350A (ko) * 2000-11-09 2002-05-16 한동혁 인터넷을 이용한 가축사육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020055546A (ko) * 2000-12-28 2002-07-09 박정시 애완동식물 관리 시스템 및 관리 방법
KR100373748B1 (ko) * 2000-04-17 2003-02-26 오금렬 인터넷을 이용한 축산물 전자유통 지원 시스템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480529A1 (en) * 1990-10-08 1992-04-15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Method for identifying individual head of cattle
JPH06276877A (ja) * 1993-03-26 1994-10-04 Saaji Miyawaki Kk 動物用体内型個体識別器具
EP0890305A1 (en) * 1997-06-30 1999-01-13 Josef Splitthoff Identification label for animals
KR100373748B1 (ko) * 2000-04-17 2003-02-26 오금렬 인터넷을 이용한 축산물 전자유통 지원 시스템
KR20010096359A (ko) * 2000-04-18 2001-11-07 지명섭 인터넷망을 이용한 농,축,수산물 직거래방법
KR20020036350A (ko) * 2000-11-09 2002-05-16 한동혁 인터넷을 이용한 가축사육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020055546A (ko) * 2000-12-28 2002-07-09 박정시 애완동식물 관리 시스템 및 관리 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7347B1 (ko) * 2002-06-08 2005-08-08 주식회사 스피드칩 전자태그와의 무선인식을 이용한 개체인식 및 개체정보를측정하는 장치
KR100479937B1 (ko) * 2002-07-15 2005-03-30 김윤옥 인터넷 망과 cdma 네트워크 망을 통한 소 개체 관리방법
KR100528634B1 (ko) * 2003-04-26 2005-11-29 대한민국(관리부서:농촌진흥청) 가축개체인식 시스템 및 방법
KR100733784B1 (ko) * 2005-10-10 2007-07-02 정우성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동물 rfid 관리 시스템 및그의 운용 방법
KR100704950B1 (ko) * 2007-01-24 2007-04-09 주식회사 에이치엔엘 농축수산물 이력관리방법
KR100988602B1 (ko) * 2010-05-31 2010-10-20 중앙아이엔티 주식회사 동물 개체 식별 번호 관리 시스템 및 그 관리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71468B1 (ko) 블록체인 기반의 농수축산물 통합 이력관리 시스템
CN103729730B (zh) 一种畜牧产品的可视化监控溯源系统和方法
US20080215484A1 (en) Enhanced transfer framework for source or process verified products
US6342839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 livestock data collection and management system
JP3634308B2 (ja) 乳牛の歩行距離管理装置及び乳牛の繁殖管理方法,乳牛の繁殖管理システム並びにプログラム
KR101781924B1 (ko) 애완동물 의료보험 기반의 복합 치료 서비스 제공 시스템
WO2001052636A1 (en) Method and system for manual entry of data into integrated electronic database for livestock data collection
CA2402777A1 (en) Method and installation for identifying animals
KR20130033199A (ko) 양돈 생산 및 출하관리방법
KR101651771B1 (ko) 가축 및 축사 관리 장치
KR20020084764A (ko) 무선 트랜스폰더가 내장된 가축용 이표 및 그를 이용한축산품 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20130138593A (ko) 돈육의 이력 확인장치 및 그 방법
JP2009110421A (ja) 情報提供システム
CN109169375A (zh) 一种土猪养殖监控方法和系统
US7519631B2 (en) Livestock tracking and management system
KR20170031929A (ko) 가축 및 축사 관리 시스템
KR200241798Y1 (ko) 무선 트랜스폰더를 내장한 가축용 이표
US20030088519A1 (en) Email pet registration
CN108416598A (zh) 基于汉信二维码技术的肉牛肉羊追溯管理系统及方法
KR101868380B1 (ko) 통합육성관리서비스 제공 시스템, 서버 및 방법
CA3017319A1 (en) Method for buying/selling pet by using customized pet selective mating and server for executing same
US2020018448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cking an Edible Consumable
KR100619666B1 (ko) 순추적 축산물 이력관리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0982810B1 (ko) 온라인 중앙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 동물 및 관련 부산물의이력/품질 관리 및 맞춤형 정보제공 서비스 방법 및 그시스템
CN203136763U (zh) 一种自动识别家畜发情状态的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41207

Effective date: 20060227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04101005742;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41207

Effective date: 200602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