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1771B1 - 가축 및 축사 관리 장치 - Google Patents

가축 및 축사 관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1771B1
KR101651771B1 KR1020150014162A KR20150014162A KR101651771B1 KR 101651771 B1 KR101651771 B1 KR 101651771B1 KR 1020150014162 A KR1020150014162 A KR 1020150014162A KR 20150014162 A KR20150014162 A KR 20150014162A KR 101651771 B1 KR101651771 B1 KR 1016517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management
housing
pedigre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141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93319A (ko
Inventor
신민준
Original Assignee
신민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민준 filed Critical 신민준
Priority to KR10201500141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1771B1/ko
Publication of KR201600933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933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17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17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2Agriculture; Fishing; Forestry; Min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가축 및 축사 관리 장치를 개시한다.
축사 관리 단말기로부터 축사현황정보, 개체관리정보, 혈통정보, 축사경영정보, 환경설정정보 또는 관리자정보를 수집하여, 가축 및 축사에 대한 체계적인 관리를 수행하고 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가축 및 축사 관리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가축 및 축사 관리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Livestock And Cattle Shed}
본 실시예는 가축 및 축사 관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하에 기술되는 내용은 단순히 본 실시예와 관련되는 배경 정보만을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이 아니다.
일반적으로 '쇠고기 이력제'란 소에게 고유의 개체식별번호를 부여한 후 객체식별번호가 표시된 귀표를 부착해 출생부터 거래, 폐사, 수출입 등 이동경로를 기록관리하고 모든 유통과정에 관한 사항을 구축하는 시스템이다. 쇠고기 이력제 시행으로 인해 소비자가 구입한 쇠고기의 원산지, 소의 종류, 육질등급, 중간 유통과정, 유통기한 등 모든 정보가 소비자에게 제공된다. 쇠고기 이력제로 인해 소비자는 한우 고기를 신뢰하고 구입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소를 개체로 식별하기 위해 농림수산식품부장관으로부터 소 한 마리마다 고유번호를 부여하는 개체식별번호가 주어지게 된다. 전술한 기술은, 대한민국 농촌진흥청에 의한 특허등록공보 제10-0528634호에서 가축의 개체인식을 위한 식별정보(ID)가 부여되고 RF 통신이 가능한 전자칩(전자 태그), 전자 이표(耳標)를 가축의 생산단계, 도축단계 및 가공단계별로 적합하게 부착한다. 이후, 개체 인식이 가능한 라벨(Label) 또는 스티커 인쇄물을 가공 단계를 거친 축산품(가공품)에 붙여 유통 단계 및 소비 단계에서 이용할 수 있게 한다. 축산 현장에서 사육되는 모든 가축에 대한 개체정보를 생산에서부터 도축, 가공, 유통 및 소비에 이르는 전단계를 체계적으로 통합 관리할 수 있다.
하지만, 축산농가는 개체정보를 관리하기 위하여 소의 이동신고나 가축정보를 팩스나 전화신고 및 서면으로 신고하거나 가축정보를 컴퓨터를 사용하여 전자화 등록하여야 한다. 또한, 종래기술에서는 RF 통신, 유무선 이동통신, GPS 등을 이용하여 가축의 생산에서부터 도축, 가공, 유통 및 소비에 이르는 전단계를 추적, 관리할 수 있으나, 다른 한편으로는 축산농가에서 관리하게 되는 복잡한 업무가 늘어남에 따라 축사내에서 이루어져야할 업무가 일부 누락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또한, 축산농가에서의 신고등록이 지연되거나 누락되어 개체정보의 관리가 기초적으로 부실해질 경우 축산 관계기관과 연계되어 가축개체의 이력관리가 용이하지 못하게 될 뿐만 아니라, 가축개체정보의 관리를 위한 작업이 매우 번거롭고 힘든 문제가 있다.
본 실시예는 축사 관리 단말기로부터 축사현황정보, 개체관리정보, 혈통정보, 축사경영정보, 환경설정정보 또는 관리자정보를 수집하여, 가축 및 축사에 대한 체계적인 관리를 수행하고 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가축 및 축사 관리 장치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실시예의 일 측면에 의하면, 가축 관리 단말기로부터 암컷 소 각각에 대응되는 암컷식별정보를 수집하고, 수컷 소 각각에 대응되는 수컷식별정보를 수집한 후 상기 수컷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정액 정보를 수집하는 수집부; 상기 가축 관리 단말기로부터 수집된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및 임신된 소가 분만한 송아지에 대한 송아지식별정보를 상기 가축 관리 단말기로부터 추가로 수집하도록 하며, 상기 가축 관리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혈통관리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상기 송아지식별정보를 기준으로 상기 암컷식별정보 중 어미소(Mother Cow)에 해당하는 어미소식별정보를 추출하여 '모(母)' 정보로서 입력하고, 상기 송아지식별정보를 기준으로 상기 정액 정보 중 아비소(Father Cow)에 해당하는 아비소 정액 정보를 추출하여 '부(父)'정보로서 입력한 혈통 가계도를 생성한 후 상기 혈통 가계도가 상기 가축 관리 단말기로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혈통 관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 및 축사 관리 장치를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가축 관리 단말기로부터 축사현황정보, 개체관리정보, 혈통정보, 축사경영정보, 환경설정정보 또는 관리자정보를 수집하여, 가축 및 축사에 대한 체계적인 관리를 수행하고 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가축 및 축사 관리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가축 및 축사 관리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 구성도이다.
도 3a 내지 도 3f는 본 실시예에 따른 축사현황 관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a 내지 도 4f는 본 실시예에 따른 개체관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축사경영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a 내지 도 6d는 본 실시예에 따른 혈통관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a 내지 도 7e는 본 실시예에 따른 환경설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a 내지 도 8e는 본 실시예에 따른 관리자 기능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가축 및 축사 관리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 구성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가축 및 축사 관리 시스템은 축사 관리 단말기(110), 네트워크(120) 및 가축 및 축사 관리 장치(130)를 포함한다. 가축 및 축사 관리 시스템에 포함된 구성요소는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축사 관리 단말기(110)는 사용자의 키 조작에 따라 네트워크(120)을 경유하여 각종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디바이스를 의미한다. 축사 관리 단말기(110)는 개인용 컴퓨터(PC: Personal Computer) 또는 랩톱(Laptop)인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태블릿 PC(Tablet PC), 스마트폰(Smart Phone), 개인휴대용 정보단말기(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및 이동통신 단말기(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등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축사 관리 단말기(110)는 가축 및 축사 관리 장치(130)와 서버-클라이언트 통신이 가능하다면 그 어떠한 단말기도 가능하다. 축사 관리 단말기(110)는 네트워크(120)를 경유하여 가축 및 축사 관리 장치(130)와 통신하기 위한 프로그램 또는 프로토콜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해당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연산 및 제어하기 위한 마이크로프로세서 등을 구비하고 있는 장치를 의미한다.
축사 관리 단말기(110)는 개체식별정보가 부여된 가축 수 마리가 입식하도록 복수의 우리가 구비된 축사를 관리하기 위한 단말기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소를 사육할 수 있는 축사, 즉, 우사(牛舍)인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컨대, 돈사(豚舍)에도 적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의 축사는 소를 식별하기 위한 개체식별정보가 부여되며, 축사에는 개체식별정보가 부여된 가축 수 마리가 입식하도록 복수의 우리로 이루어진다. 축사 관리 단말기(110)는 축사내에 입식하고 있는 각 가축의 개체식별정보와 사료 급여량을 포함하는 가축정보를 입출력 및 수정할 수 있다. 축사 관리 단말기(110)는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키입력부와, 키입력부로부터 입력되는 내용과 우리에 설치된 카메라로부터 영상으로 수신하여 출력할 수 있는 영상모니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축사 관리 단말기(110)는 입력된 가축정보를 수신하여 저장 및 판독하고 각 가축의 사료 급여량을 계산하여 복수의 우리별로 각각 필요한 사료 급여량을 산출한다.
네트워크(120)는 인터넷망, 인트라넷망, 이동통신망, 위성 통신망 등 다양한 유무선 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인터넷 프로토콜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망을 의미한다. 네트워크(120)는 가축 및 축사 관리 장치(130)와 결합되어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등의 컴퓨팅 자원을 저장하고, 클라이언트가 필요로 하는 컴퓨팅 자원을 해당 축사 관리 단말기(110)로 제공할 수 있는 클라우드 컴퓨팅망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클라우드 컴퓨팅이란 정보가 인터넷 상의 서버에 영구적으로 저장되고, 데스크톱, 태블릿 컴퓨터, 노트북, 넷북, 스마트폰 등의 클라이언트 단말기에는 일시적으로 보관되는 컴퓨터 환경을 의미하며, 클라우드 컴퓨팅은 이용자의 모든 정보를 인터넷 상의 서버에 저장하고, 이 정보를 각종 IT 기기를 통하여 언제 어디서든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컴퓨터 환경 접속망을 의미한다.
네트워크(120)는 LAN(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등의 폐쇄형 네트워크, 인터넷(Internet)과 같은 개방형 네트워크뿐만 아니라,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LTE(Long Term Evolution), EPC(Evolved Packet Core) 등의 네트워크와 향후 구현될 차세대 네트워크 및 클라우드 컴퓨팅 네트워크를 통칭하는 개념이다.
가축 및 축사 관리 장치(130)는 하드웨어적으로 통상적인 웹서버(Web Server) 또는 네트워크 서버와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가축 및 축사 관리 장치(130)는 소프트웨어적으로 C, C++, Java, Visual Basic, Visual C 등 여하한 언어를 통하여 구현되는 프로그램 모듈(Module)을 갖는다. 가축 및 축사 관리 장치(130)는 웹서버 또는 네트워크 서버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가축 및 축사 관리 장치(130)는 웹서버와 같이 일반적으로 인터넷과 같은 개방형 컴퓨터 네트워크를 통하여 불특정 다수 클라이언트 및/또는 다른 서버와 연결되어 있다. 가축 및 축사 관리 장치(130)는 클라이언트 또는 다른 웹서버의 작업수행 요청을 접수하고 그에 대한 작업 결과를 도출하여 제공하는 컴퓨터 시스템 및 그를 위하여 설치되어 있는 컴퓨터 소프트웨어(웹서버 프로그램)로 구현될 수 있다. 가축 및 축사 관리 장치(130)는 일반적인 서버용 하드웨어에 도스(DOS), 윈도우(Windows), 리눅스(Linux), 유닉스(UNIX), 매킨토시(Macintosh)등의 운영체제에 따라 다양하게 제공되고 있는 웹서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가축 및 축사 관리 장치(130)는 대표적으로 윈도우 환경에서 사용되는 웹사이트(Website), IIS(Internet Information Server)와 유닉스환경에서 사용되는 CERN, NCSA, APPACH 등이 이용될 수 있다. 가축 및 축사 관리 장치(130)는 가축 및 축사 관리와 관련된 데이터를 분류하여 데이터베이스(220)에 저장시키고 관리하는데, 이러한 데이터베이스(220)는 가축 및 축사 관리 장치(130)의 내부 또는 외부에 구현될 수 있다.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가축 및 축사 관리 장치(130)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가축 및 축사 관리 장치(130)는 축사 관리 단말기(110)로부터 암컷 소 각각에 대응되는 암컷식별정보를 수집한다. 가축 및 축사 관리 장치(130)는 수컷 소 각각에 대응되는 수컷식별정보를 수집한다. 이후 가축 및 축사 관리 장치(130)는 수컷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정액 정보를 수집한다. 가축 및 축사 관리 장치(130)는 가축 관리 단말기로부터 수집된 데이터를 저장한다. 가축 및 축사 관리 장치(130)는 임신된 소가 분만한 송아지에 대한 송아지식별정보를 축사 관리 단말기(110)로부터 추가로 수집하도록 한다. 가축 및 축사 관리 장치(130)는 축사 관리 단말기(110)로부터 수신된 혈통관리정보에 근거하여 데이터베이스(220)를 검색하여 송아지식별정보를 기준으로 암컷식별정보 중 어미소(Mother Cow)에 해당하는 어미소식별정보를 추출하여 '모(母)' 정보로서 입력한다. 가축 및 축사 관리 장치(130)는 송아지식별정보를 기준으로 정액 정보 중 아비소(Father Cow)에 해당하는 아비소 정액 정보를 추출하여 '부(父)'정보로서 입력한 혈통 가계도를 생성한다. 이후 가축 및 축사 관리 장치(130)는 혈통 가계도가 네트워크(120)를 경유하여 축사 관리 단말기(110)로 디스플레이되도록 한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가축 및 축사 관리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 구성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가축 및 축사 관리 장치(130)는 수집부(210), 데이터베이스(220), 축사현황부(230), 개체관리부(240), 축사경영부(250), 혈통관리부(260), 환경설정부(270) 및 관리자부(280)를 포함한다. 가축 및 축사 관리 장치(130)에 포함된 구성요소는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가축 및 축사 관리 장치(130)에 포함된 각 구성요소는 장치 내부의 소프트웨어적인 모듈 또는 하드웨어적인 모듈을 연결하는 통신 경로에 연결되어 상호 간에 유기적으로 동작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통신 버스 또는 신호선을 이용하여 통신한다.
도 2에 도시된 가축 및 축사 관리 장치(130)의 각 구성요소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소프트웨어적인 모듈, 하드웨어적인 모듈 또는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수집부(210)는 축사 관리 단말기(110)로부터 축사현황정보, 개체관리정보, 축사경영정보, 혈통관리정보, 환경설정정보 및 관리자정보를 추가로 수집한다. 수집부(210)는 축사 관리 단말기(110)로부터 암컷 소 각각에 대응되는 암컷식별정보를 수집한다. 수집부(210)는 축사 관리 단말기(110)로부터 수컷 소 각각에 대응되는 수컷식별정보를 수집한다. 수집부(210)는 축사 관리 단말기(110)로부터 수컷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정액 정보를 수집한다.
데이터베이스(220)는 축사 관리 단말기(110)로부터 수집된 데이터를 저장한다. 데이터베이스(220)는 데이터베이스 관리 프로그램(DBMS)을 이용하여 컴퓨터 시스템의 저장공간(하드디스크 또는 메모리)에 구현된 일반적인 데이터구조를 의미한다. 데이터베이스(220)는 데이터의 검색(추출), 삭제, 편집, 추가 등을 자유롭게 행할 수 있는 데이터 저장형태를 의미한다. 데이터베이스(220)는 오라클(Oracle), 인포믹스(Infomix), 사이베이스(Sybase), MSSQL, MySQL, DB2 등과 같은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RDBMS: Relational Data Base Management System)이나, 겜스톤(Gemston), 오리온(Orion), O2 등과 같은 객체 지향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OODBMS) 및 엑셀론(Excelon), 타미노(Tamino), 세카이주(Sekaiju) 등의 XML 전용 데이터베이스(XML Native Database)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220)는 특정 기능을 달성하기 위하여 적당한 필드(Field) 또는 엘리먼트들을 가진다.
축사현황부(230)는 축사현황정보에 근거하여 축사현황 관리를 수행한다. 축사현황부(230)는 축사현황정보를 기반으로 수컷식별정보에 축사번호정보 및 월령정보를 매칭한 거세 알림이 나타나도록 한다. 축사현황부(230)는 암컷식별정보에 축사번호정보, 월령정보, 수정일정보, 정액정보, 수정횟수정보, 첫출산월령정보 및 분만예정일정보를 매칭한 분만 알림이 나타나도록 한다. 축사현황부(230)는 암컷식별정보에 산차정보, 수정횟수정보, 수정일정보, 정액정보, 수정사정보, 분만예정일정보 및 금액정보를 매칭한 재발정 알림과 수정 알림이 나타나도록 한다. 축사현황부(230)는 축사현황정보를 기반으로 수컷식별정보 및 암컷식별정보에 축사번호정보, 월령정보, 수정일정보, 수정횟수정보, 첫출산월령정보, 분만예정일정보 및 분만예정주 정보를 매칭한 백신 알림이 나타나도록 한다. 축사현황부(230)는 수컷식별정보 및 암컷식별정보에 축사번호정보, 월령정보, 변경할사료명정보 및 변경할사료량정보를 매칭한 사료변경 알림이 나타나도록 한다.
축사현황부(230)는 축사현황정보를 기반으로 축사식별정보에 축사 번호 정보, 성별 정보 및 알림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매칭한 축사 개체 현황이 나타나도록 한다. 축사현황부(230)는 축사현황정보를 기반으로 수컷식별정보 및 암컷식별정보에 개체생일정보, 입식일자정보, 구입가격정보, 구입농장정보, 축사번호정보, 부번호정보, 모번호정보 및 성별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매칭한 입식 현황이 나타나도록 한다. 축사현황부(230)는 축사현황정보를 기반으로 일시 정보에 소독방역대상정보, 차량번호정보, 소독방역종류정보, 소독방역약품정보, 소독방역장비정보 및 소독방역실시자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매칭한 소독방역현황이 나타나도록 한다. 축사현황부(230)는 축사현황정보를 기반으로 일시 정보에 방문자정보, 이전방문지정보, 방문목적정보, 차량번호정보, 차량소독여부정보 및 연락처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매칭한 출입관리현황이 나타나도록 한다.
축사현황부(230)는 축사현황정보를 기반으로 수컷식별정보 및 암컷식별정보에 각각에 일시정보, 축사번호정보, 증상정보, 사용약품정보, 투여방법정보, 투여량정보, 잔류기간정보, 주사침개수정보 및 담당자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매칭한 치료백신현황이 나타나도록 한다. 축사현황부(230)는 축사현황정보를 기반으로 수컷식별정보 및 암컷식별정보에 각각에 일시정보, 약품잔류유무정보, 출하처정보, 출하가격정보 및 담당자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매칭한 출하현황이 나타나도록 한다.
개체관리부(240)는 개체관리정보에 근거하여 개체 관리를 수행한다. 개체관리부(240)는 개체관리정보에 근거하여 분만일정보, 산차정보, 정액정보, 임신판정일정보, 수정일정보, 송아지번호정보, 분만난이도정보, 담당자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매칭한 분만 기록이 나타나도록 한다. 개체관리부(240)는 개체관리정보에 근거하여 수정일정보, 산차정보, 정액정보, 수정횟수정보, 분만예정일정보, 수정사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매칭한 수정 기록이 나타나도록 한다. 개체관리부(240)는 개체관리정보에 근거하여 월령정보에 사료명정보, 사료급여량정보, 건초명정보, 건초급여량정보, 볏집급여량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매칭한 사료 관리 기록이 나타나도록 한다.
개체관리부(240)는 개체관리정보에 근거하여 측정일정보, 체중정보, 초음파기기정보, 등심단면적정보, 등지방두께정보, 근내지방도정보, 예상등급정보, 측정자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매칭한 체중 및 초음파 측정 기록이 나타나도록 한다. 개체관리부(240)는 개체관리정보에 근거하여 진료일정보, 증상정보, 사용약품정보, 투여방법정보, 투여량정보, 잔류기간정보, 주사침개수정보, 담당자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매칭한 진료 및 백신 접종 기록이 나타나도록 한다. 개체관리부(240)는 개체관리정보에 근거하여 판정일정보, 생체중정보, 도체중정보, 최종등급정보, 도축장정보, 등급판정사정보, 지육단가정보, 경락단가정보, 등심단면적정보, 등지방두께정보, 근내지방도정보, 육색정보, 지방색정보, 조직감정보, 성숙도정보, 육량지수정보, 육량등급정보, 육질등급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매칭한 출하등급판정 기록이 나타나도록 한다.
축사경영부(250)는 축사경영정보에 근거하여 축사경영 관리를 수행한다. 축사경영부(250)는 축사경영정보에 근거하여 판매일자정보, 개체번호정보, 성별정보, 판매처정보, 약품잔류정보, 판매금액정보, 출하등급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매칭한 한우판매관리 기록이 나타나도록 한다. 축사경영부(250)는 축사경영정보에 근거하여 판매일자정보, 회계코드정보, 품목정보, 거래처정보, 전화번호정보, 단가정보, 수량정보, 단위정보, 금액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매칭한 기타수입관리 기록이 나타나도록 한다. 축사경영부(250)는 축사경영정보에 근거하여 입식일자정보, 개체번호정보, 성별정보, 개체생일정보, 부번호정보, 모번호정보, 축사번호정보, 구입처정보, 구입금액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매칭한 한우입식관리 기록이 나타나도록 한다. 축사경영부(250)는 축사경영정보에 근거하여 구입일자정보, 회계코드정보, 구입처정보, 사료명정보, 전화번호정보, 수량정보, 단가정보, 금액정보, 도착일자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매칭한 배합조사료관리 기록이 나타나도록 한다.
축사경영부(250)는 축사경영정보에 근거하여 구입일자정보, 회계코드정보, 구입처정보, 상품명정보, 전화번호정보, 수량정보, 단가정보, 단위정보, 금액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매칭한 볏짚왕겨관리 기록이 나타나도록 한다. 축사경영부(250)는 축사경영정보에 근거하여 치료일자정보, 증상정보, 사용약품정보, 투여방법정보, 투여량정보, 주사침개수정보, 잔류기간정보, 담당자정보, 금액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매칭한 진료백신관리 기록이 나타나도록 한다. 축사경영부(250)는 축사경영정보에 근거하여 일자정보, 회계코드정보, 품목정보, 상호명정보, 전화번호정보, 수량정보, 단가정보, 금액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매칭한 수리자재비관리 기록이 나타나도록 한다. 축사경영부(250)는 축사경영정보에 근거하여 수정일자정보, 개체정보, 월령정보, 정액정보, 수정횟수정보, 산차정보, 분만예정일정보, 수정사정보, 금액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매칭한 수정관리 기록이 나타나도록 한다.
혈통관리부(260)는 임신된 소가 분만한 송아지에 대한 송아지식별정보를 가축 관리 단말기로부터 추가로 수집하도록 한다. 혈통관리부(260)는 축사 관리 단말기(110)로부터 수신된 혈통관리정보에 근거하여 데이터베이스(220)를 검색하여 송아지식별정보를 기준으로 암컷식별정보 중 어미소(Mother Cow)에 해당하는 어미소식별정보를 추출하여 '모(母)' 정보로서 입력한다. 혈통관리부(260)는 송아지식별정보를 기준으로 정액 정보 중 아비소(Father Cow)에 해당하는 아비소 정액 정보를 추출하여 '부(父)'정보로서 입력한 혈통 가계도를 생성한다. 이후 혈통관리부(260)는 혈통 가계도가 축사 관리 단말기(110)에서 디스플레이되도록 한다.
혈통관리부(260)는 혈통관리정보에 근거하여 모식별정보, 외조모식별정보, 외외증조모식별정보에 각각에 출하날짜정보, 도체중정보, 생체중정보, 최종등급정보, 등심단면적정보, 등지방두께정보, 근내지방도정보, 육색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매칭한 선대검증이 나타나도록 한다. 혈통관리부(260)는 혈통관리정보에 근거하여 선택된 암소정보에 수정횟수정보, 출산횟수정보, 수태율정보, 사산정보, 첫산월령정보, 난산비율정보와 자식개체식별정보에 출하날짜정보, 도체중정보, 생체중정보, 최종등급정보, 등심단면적정보, 등지방두께정보, 근내지방도정보, 육색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매칭한 후대검증이 나타나도록 한다. 혈통관리부(260)는 혈통관리정보에 근거하여 선대검증과 후대검증에 출력되는 선대 개체 및 후대개체에 각각에 제각여부정보, 뿔의위치정보, 성격정보, 잔병치례정보, 면역력정보, 서열싸움정보, 승가정보, 수정시좌우움직임정보, 수정시꼬리움직임정보, 수정시뒷발질정보, 경관위치정보, 경관짧음정보, 경관관통정보, 후산정체정보, 발정정보, 수태율정보, 연산성정보, 비유능력정보, 생시체중정보, 이유시체중정보, 증체율정보, 육성률정보, 사산횟수정보, 초산월령정보, 난산율정보, 분만후자궁회복정보, 송아지크기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매칭한 특이사항이 나타나도록 한다.
이하, 혈통관리부(260) 외조부모 가계도를 업데이트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혈통관리부(260)는 데이터베이스(220)를 검색하여 어미소식별정보에 대한 외조부모 정보가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확인한다. 확인결과, 어미소식별정보에 대한 외조부모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혈통관리부(260)는 암컷식별정보 중 어미소식별정보를 기준으로 외조모소에 해당하는 외조모식별정보를 추출하여 '외조모(外祖母)' 정보로서 입력한다. 혈통관리부(260)는 정액정보 중 어미소식별정보를 기준으로 외조부소에 해당하는 외조부 정액정보를 추출하여 '외조부(外祖父)' 정보로서 입력한다. 혈통관리부(260)는 혈통 가계도의 외조부모 가계도를 업데이트한다.
이하, 혈통관리부(260) 외증조부모 가계도를 업데이트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혈통관리부(260)는 데이터베이스(220)를 검색하여 외조부 정액 정보에 대한 외증조부모 정보가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확인한다. 확인결과, 외조부 정액 정보에 대한 외증조부모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혈통관리부(260)는 암컷식별정보 중 외조부 정액 정보를 기준으로 외증조모소에 해당하는 외증조모식별정보를 추출하여 '외증조모(外曾祖母)' 정보로서 입력한다. 혈통관리부(260)는 정액정보 중 외조부 정액 정보를 기준으로 외증조부소에 해당하는 외증조부 정액정보를 추출하여 '외증조부(外曾祖父)' 정보로서 입력한다. 혈통관리부(260)는 혈통 가계도의 외증조부모 가계도를 업데이트한다.
이하, 혈통관리부(260) 외외증조부모 가계도를 업데이트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혈통관리부(260)는 데이터베이스(220)를 검색하여 외조모식별정보에 대한 외외증조부모 정보가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확인한다. 확인결과, 외조모식별정보에 대한 외외증조부모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혈통관리부(260)는 암컷식별정보 중 외조모식별정보를 기준으로 외외증조모소에 해당하는 외외증조모식별정보를 추출하여 '외외증조모(外外曾祖母)' 정보로서 입력한다. 혈통관리부(260)는 정액정보 중 외조모식별정보를 기준으로 외외증조부소에 해당하는 외외증조부 정액정보를 추출하여 '외외증조부(外外曾祖父)' 정보로서 입력한다. 혈통관리부(260)는 혈통 가계도의 외외증조부모 가계도를 업데이트한다.
이하, 혈통관리부(260) 친조부모 가계도를 업데이트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혈통관리부(260)는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아비소 정액 정보에 대한 친조부모 정보가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확인한다. 확인결과, 아비소 정액 정보에 대한 친조부모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혈통관리부(260)는 암컷식별정보 중 아비소 정액 정보를 기준으로 친조모소에 해당하는 친조모식별정보를 추출하여 '친조모(親祖母)' 정보로서 입력한다. 혈통관리부(260)는 정액정보 중 아비소 정액 정보를 기준으로 친조부소에 해당하는 친조부 정액정보를 추출하여 '친조부(親祖父)' 정보로서 입력한다. 혈통관리부(260)는 혈통 가계도의 친조모부 가계도를 업데이트한다.
이하, 혈통관리부(260) 친증조부모 가계도를 업데이트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혈통관리부(260)는 데이터베이스(220)를 검색하여 친조부 정액 정보에 대한 친증조부모 정보가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확인한다. 확인결과, 친조부 정액 정보에 대한 친증조부모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혈통관리부(260)는 암컷식별정보 중 친조부 정액 정보를 기준으로 친증조모소에 해당하는 친증조모식별정보를 추출하여 '친증조모(親曾祖母)' 정보로서 입력한다. 혈통관리부(260)는 정액정보 중 친조부 정액 정보를 기준으로 친증조부소에 해당하는 친증조부 정액정보를 추출하여 '친증조부(親曾祖父)' 정보로서 입력한다. 혈통관리부(260)는 혈통 가계도의 친증조부모 가계도를 업데이트한다.
이하, 혈통관리부(260) 진외증조부모 가계도를 업데이트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혈통관리부(260)는 데이터베이스(220)를 검색하여 친조모식별정보에 대한 진외증조부모 정보가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확인한다. 확인결과, 친조모식별정보에 대한 진외증조부모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혈통관리부(260)는 암컷식별정보 중 친조모식별정보를 기준으로 진외증조모소에 해당하는 진외증조모식별정보를 추출하여 '진외증조모(陳外曾祖母)' 정보로서 입력한다. 혈통관리부(260)는 정액정보 중 친조모식별정보를 기준으로 진외증조부소에 해당하는 진외증조부 정액정보를 추출하여 '진외증조부(陳外曾祖父)' 정보로서 입력한다. 혈통관리부(260)는 혈통 가계도의 진외증조부모 가계도를 업데이트한다.
환경설정부(270)는 환경설정정보에 근거하여 환경 관리를 수행한다. 환경설정부(270)는 환경설정정보에 근거한 비밀번호정보, 농장코드정보, 조합코드정보, 농장명정보, 농가명정보, 농장관리형태정보, 농장규모(평)정보, 사육규모(두수)정보, 휴대폰정보, 전화번호정보, 우편번호 정보 공태기간정보, 수정가능정보, 거세기간정보, 수소출하기간정보 및 암소출하기간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한 농장정보가 나타나도록 한다. 환경설정부(270)는 환경설정정보에 근거한 동정보, 축사개수정보, 세로개수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한 축사정보가 나타나도록 한다. 환경설정부(270)는 환경설정정보에 근거한 분만전주차정보, 사용약품정보, 투여방법정보, 투여량정보, 주사침개수정보, 잔류기간정보 및 백신금액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한 분만예방접종정보가 나타나도록 한다. 환경설정부(270)는 환경설정정보에 근거한 방문자명정보, 차량번호정보, 전화번호정보, 직종정보, 방역대상정보, 방역종류정보, 방역장비정보 및 방역약품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한 방문자방역정보가 나타나도록 한다.
관리자부(280)는 관리자정보에 근거하여 통계 관리를 수행한다. 관리자부(280)는 관리자정보에 근거하여 농장정보에 순번정보, 개체정보, 방역횟수정보, 수정횟수정보, 분만횟수정보, 수태율정보, 구제역백신접종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매칭한 지역 통계가 나타나도록 한다. 관리자부(280)는 관리자정보에 근거하여 순번정보에 암컷식별정보, 수컷식별정보, 구입처정보 및 판매처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매칭한 입식출하현황이 나타나도록 한다. 관리자부(280)는 관리자정보에 근거하여 순번정보에 시도정보, 시구군정보, 읍면동정보, 이름정보, 아이디정보, 연락처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매칭한 지역관리자관리가 나타나도록 한다. 관리자부(280)는 관리자정보에 근거하여 순번정보에 아이디정보, 농장명정보, 연락처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매칭한 농장사용자관리가 나타나도록 한다.
도 3a 내지 도 3f는 본 실시예에 따른 축사현황 관리를 나타낸 도면이다.
축사현황정보는 축사개체현황정보, 입식현황정보, 소독방역현황정보, 출입관리현황정보, 치료백신정보, 출하현황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한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축사현황부(230)는 축하개체현황이 나타나도록 한다. 다시 말해, 축사현황부(230)는 축사 관리 단말기(110)로부터 입력된 축사현황정보를 기반으로 축사식별정보를 기반으로 축사 번호 정보(255), 성별 정보(수소), 알림 정보(거세대기, 재발정, 출하대기, 사료변경 등)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매칭한 축사 개체 현황이 나타나도록 한다.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축사현황부(230)는 입식현황이 나타나도록 한다. 다시 말해, 축사현황부(230)는 축사 관리 단말기(110)로부터 입력된 축사현황정보를 기반으로 수컷식별정보(12345)에, 개체생일정보(2013-01-01), 입식일자정보(2013-01-02), 구입가격정보(3,000,000), 구입농장정보(투케이농장), 축사번호정보(A123), 부번호정보(13212), 모번호정보(13212), 거세일 정보(2013-01-01)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매칭한 입식 현황 나타나도록 한다.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축사현황부(230)는 소독방역현황이 나타나도록 한다. 다시 말해, 축사현황부(230)는 축사 관리 단말기(110)로부터 입력된 축사현황정보를 기반으로 일시 정보(2014-01-01 09:00)에 소독방역대상정보(차량), 차량번호정보(서울30사1234), 소독방역종류정보(소독방역), 소독방역약품정보(약품123), 소독방역장비정보(장비123) 및 소독방역실시자정보(홍길동)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매칭한 소독방역현황이 나타나도록 한다.
도 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축사현황부(230)는 출입관리현황이 나타나도록 한다. 다시 말해, 축사현황부(230)는 축사 관리 단말기(110)로부터 입력된 축사현황정보를 기반으로 일시 정보(2014-01-01 09:00)에 방문자 정보(홍길동), 이전방문지정보(투케이농장), 방문목적정보(소독방역), 차량번호정보(서울30사1234), 차량소독여부정보(소독), 연락처정보(010-1111-1111)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매칭한 출입관리현황이 나타나도록 한다.
도 3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축사현황부(230)는 치료백신현황이 나타나도록 한다. 다시 말해, 축사현황부(230)는 축사 관리 단말기(110)로부터 입력된 축사현황정보를 기반으로 수컷식별정보(13212) 및 암컷식별정보(13211)에 각각에 일시정보(2014-01-01 09:00), 증상정보(콧물이 남), 사용약품정보(약품123), 투여방법정보(소독방역), 투여량정보(1.5), 휴약기간만료일정보(2014-02-01), 주사침사용개수정보(3), 주사침회수개수정보(2), 담당자정보(홍길동), 소속정보(전남축협), 금액 정보(300,000)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매칭한 치료백신현황이 나타나도록 한다.
도 3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축사현황부(230)는 출하현황이 나타나도록 한다. 다시 말해, 축사현황부(230)는 축사 관리 단말기(110)로부터 입력된 축사현황정보를 기반으로 수컷식별정보(13212) 및 암컷식별정보(13211)에 각각에 일시정보(2014-01-01 09:00), 약품투여일정보(2013-12-01), 휴약기간정보(3주), 잔류유무정보(무), 표시여부정보(없음), 잔류장소정보(없음), 출하처정보(OO시장), 용도정보, 차량번호정보(서울30사1234), 출하운반자정보(홍길동), 담당자정보(김길동)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매칭한 출하현황이 나타나도록 한다.
도 4a 내지 도 4f는 본 실시예에 따른 개체관리를 나타낸 도면이다.
개체관리정보는 번식기록정보, 수정기록정보, 사료관리정보, 체중 및 초음파 측정정보, 진료 및 백신 접종정보, 출하등급판정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한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체관리부(240)는 번식기록을 나타낸다. 다시 말해, 개체관리부(240)는 축사 관리 단말기(110)로부터 입력된 개체관리정보에 근거하여 암컷식별정보(000195575420)에 각각에 산차정보(1), 회수정보(1), 교배일정보(2014-09-26), 정액정보(688), 예정일정보(2014-07-09), 임신판정일정보(2015-07-09), 분만일정보(2015-07-09), 송아지번호정보(20), 분만난이도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매칭한 번식 기록이 나타나도록 한다.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체관리부(240)는 수정 기록을 나타낸다. 다시 말해, 개체관리부(240)는 축사 관리 단말기(110)로부터 입력된 개체관리정보에 근거하여 암컷식별정보(000195575420)에 각각에 산차정보(1), 회수정보(1), 교배일정보(2014-09-26), 정액정보(688), 예정일정보(2014-07-09), 임신판정일정보(2015-07-09), 분만일정보(2015-07-09), 송아지번호정보(20), 분만난이도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매칭한 수정 기록이 나타나도록 한다.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체관리부(240)는 사료 관리 기록을 나타낸다. 다시 말해, 개체관리부(240)는 축사 관리 단말기(110)로부터 입력된 개체관리정보에 근거하여 월령정보(1~15)에 사료명정보(사료명1), 사료급여량정보(5), 건조명정보(건조명1), 건조급여량정보(5), 볏집급여량 정보(5)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매칭한 사료 관리 기록이 나타나도록 한다.
도 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체관리부(240)는 체중 및 초음파 측정 기록을 나타낸다. 다시 말해, 개체관리부(240)는 축사 관리 단말기(110)로부터 입력된 개체관리정보에 근거하여 수컷식별정보(13212) 및 암컷식별정보(13211)에 각각에 측정일시정보(2013-12-01 15:30), 체중정보(100), 초음파기기정보(초음파기기1), 등심단면적정보(32.5), 등지방두께정보(10.5), 근내지방도정보(15), 예상등급정보(A+), 측정자정보(홍길동), 금액정보(30,000)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매칭한 체중 및 초음파 측정 기록을 나타나도록 한다.
도 4e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체관리부(240)는 진료 및 백신 접종 기록을 나타낸다. 다시 말해, 개체관리부(240)는 축사 관리 단말기(110)로부터 입력된 개체관리정보에 근거하여 수컷식별정보(13212) 및 암컷식별정보(13211)에 각각에 일시정보(2014-01-02 09:00), 증상정보(콧물이 남), 사용약품정보(약품123), 투여방법정보(소독방역), 투여량정보(1.5), 휴약기간만료일정보(2014-02-01), 주사침사용개수정보(3), 주사침회수개수정보(2), 담당자정보(홍길동), 소속정보(전남축협), 금액정보(30,000)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매칭한 진료 및 백신 접종 기록이 나타나도록 한다.
도 4f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체관리부(240)는 출하등급판정 기록을 나타낸다. 다시 말해, 개체관리부(240)는 축사 관리 단말기(110)로부터 입력된 개체관리정보에 근거하여 수컷식별정보(13212) 및 암컷식별정보(13211)에 각각에 판정일정보(2013-12-01), 생체중정보(100), 도체중정보, 최종등급정보(32.5), 도축장정보(10.5), 등급판정사정보(15), 지육단가정보, 경략단가정보, 등심단면적정보, 등지방두께정보, 근내지방도정보, 육색정보, 지방색정보, 조직감정보, 성숙도정보, 육량지수정보, 육량등급정보, 육질등급정보(A+)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매칭한 출하등급판정 기록이 나타나도록 한다.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축사경영을 나타낸 도면이다.
축사경영정보는 일련번호정보, 해당년월정보, 회계코드정보, 개체번호정보, 판매처정보, 차량번호정보, 주사잔류정보, 성별정보, 중량정보, 등급정보, 판매 금액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축사경영부(250)는 축사 경영 기록이 나타나도록 한다. 다시 말해, 축사경영부(250)는 축사 관리 단말기(110)로부터 입력된 축사경영정보에 근거하여 일련번호정보(23)에 해당년월정보(2014-09-15), 회계코드정보(항우판매), 수컷식별정보(0020050113105), 암컷식별정보(0020050113104), 판매처정보(농협음성), 차량번호정보(67허7777), 주사잔류정보(없음), 성별정보(수소/암소), 중량정보(890), 등급정보(1++A), 판매금액정보(6,700,000)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매칭한 축사 경영 기록이 나타나도록 한다.
도 6a 내지 도 6d는 본 실시예에 따른 혈통관리를 나타낸 도면이다.
혈통관리정보는 혈통가계도정보, 근친여부조회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한다.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혈통관리부(260)는 혈통관리기록을 나타낸다. 혈통관리부(260)는 임신된 소가 분만한 송아지에 대한 송아지식별정보(000195575420)를 축사 관리 단말기(110)로부터 추가로 수집하도록 한다. 혈통관리부(260)는 축사 관리 단말기(110)로부터 수신된 혈통관리정보에 근거하여 데이터베이스(220)를 검색하여 송아지식별정보(000195575420)를 기준으로 암컷식별정보 중 어미소(Mother Cow)에 해당하는 어미소식별정보(211143213)를 추출하여 '모(母)' 정보로서 입력한다. 혈통관리부(260)는 송아지식별정보(000195575420)를 기준으로 정액 정보 중 아비소(Father Cow)에 해당하는 아비소 정액 정보(123456789012)를 추출하여 '부(父)'정보로서 입력한 혈통 가계도를 생성한 후 혈통 가계도를 네트워크(120)를 경유하여 축사 관리 단말기(110)로 디스플레이되도록 한다. 혈통관리부(260)는 데이터베이스(220)를 검색하여 어미소식별정보(211143213)에 대한 외조부모 정보가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확인한다. 확인결과, 어미소식별정보에 대한 외조부모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혈통관리부(260)는 암컷식별정보 중 어미소식별정보(211143213)를 기준으로 외조모소에 해당하는 외조모식별정보(222346843)를 추출하여 '외조모(外祖母)' 정보로서 입력한다. 이후, 혈통관리부(260)는 정액정보 중 어미소식별정보(211143213)를 기준으로 외조부소(KPN187)에 해당하는 외조부 정액정보를 추출하여 '외조부(外祖父)' 정보로서 입력한다. 혈통관리부(260)는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혈통 가계도의 외조부모 가계도를 업데이트한다. 혈통관리부(260)는 데이터베이스(220)를 검색하여 외조부 정액 정보(KPN187)에 대한 외증조부모 정보가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확인한다. 확인결과, 외조부 정액 정보에 대한 외증조부모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혈통관리부(260)는 암컷식별정보 중 외조부 정액 정보를 기준으로 외증조모소에 해당하는 외증조모식별정보(211187843)를 추출하여 '외증조모(外曾祖母)' 정보로서 입력한다. 이후, 혈통관리부(260)는 정액정보 중 외조부 정액 정보(KPN187)를 기준으로 외증조부소에 해당하는 외증조부 정액정보(KPN448)를 추출하여 '외증조부(外曾祖父)' 정보로서 입력한다. 혈통관리부(260)는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혈통 가계도의 외증조부모 가계도를 업데이트한다.
혈통관리부(260)는 데이터베이스(220)를 검색하여 외조모식별정보(223456843)에 대한 외외증조부모 정보가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확인한다. 확인결과, 외조모식별정보에 대한 외외증조부모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혈통관리부(260)는 암컷식별정보 중 외조모식별정보(223456843)를 기준으로 외외증조모소에 해당하는 외외증조모식별정보(211187843)를 추출하여 '외외증조모(外外曾祖母)' 정보로서 입력한다. 이후, 혈통관리부(260)는 정액정보 중 외조모식별정보(223456843)를 기준으로 외외증조부소에 해당하는 외외증조부 정액정보(KPN448)를 추출하여 '외외증조부(外外曾祖父)' 정보로서 입력한다. 혈통관리부(260)는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혈통 가계도의 외외증조부모 가계도를 업데이트한다. 혈통관리부(260)는 데이터베이스(220)를 검색하여 아비소 정액 정보(123456789012)에 대한 친조부모 정보가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확인한다. 확인결과, 아비소 정액 정보에 대한 친조부모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혈통관리부(260)는 암컷식별정보 중 아비소 정액 정보(123456789012)를 기준으로 친조모소에 해당하는 친조모식별정보(21187843)를 추출하여 '친조모(親祖母)' 정보로서 입력한다. 이후, 혈통관리부(260)는 정액정보 중 아비소 정액 정보(123456789012)를 기준으로 친조부소에 해당하는 친조부 정액정보(KPN448)를 추출하여 '친조부(親祖父)' 정보로서 입력한다. 혈통관리부(260)는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혈통 가계도의 친조모부 가계도를 업데이트한다. 혈통관리부(260)는 데이터베이스(220)를 검색하여 친조부 정액 정보(KPN448)에 대한 친증조부모 정보가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확인한다. 확인결과, 친조부 정액 정보(KPN448)에 대한 친증조부모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혈통관리부(260)는 암컷식별정보 중 친조부 정액 정보를 기준으로 친증조모소에 해당하는 친증조모식별정보(211187843)를 추출하여 '친증조모(親曾祖母)' 정보로서 입력한다. 이후, 혈통관리부(260)는 정액정보 중 친조부 정액 정보(KPN448)를 기준으로 친증조부소에 해당하는 친증조부 정액정보(KPN448)를 추출하여 '친증조부(親曾祖父)' 정보로서 입력한다. 혈통관리부(260)는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혈통 가계도의 친증조부모 가계도를 업데이트한다. 혈통관리부(260)는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친조모식별정보(211187843)에 대한 진외증조부모 정보가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확인한다. 확인결과, 친조모식별정보에 대한 진외증조부모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혈통관리부(260)는 암컷식별정보 중 친조모식별정보(211187843)를 기준으로 진외증조모소에 해당하는 진외증조모식별정보(211187843)를 추출하여 '진외증조모(陳外曾祖母)' 정보로서 입력한다. 이후, 혈통관리부(260)는 정액정보 중 친조모식별정보(211187843)를 기준으로 진외증조부소에 해당하는 진외증조부 정액정보(KPN448)를 추출하여 '진외증조부(陳外曾祖父)' 정보로서 입력한다. 혈통관리부(260)는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혈통 가계도의 진외증조부모 가계도를 업데이트한다.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혈통관리부(260)는 근친여부조회에 따른 선대 검증을 나타낸다. 혈통관리부(260)는 근친여부조회에 따른 선대 검증으로 혈통 가계도를 나타낸다.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혈통관리부(260)는 근친여부조회에 따른 후대 검증을 나타낸다. 혈통관리부(260)는 근친여부조회에 따른 후대 검증으로 '수정횟수', '출산회수', '수태율', '사산횟수', '추산월령', '난산비율'을 나타내며, 암컷식별정보 중 후대식별정보를 나열한다. 도 6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혈통관리부(260)는 근친여부조회에 따른 특이사항을 나타낸다. 혈통관리부(260)는 근친여부조회에 따른 특이사항으로 '면역력', '생체중', '경관위치', '연신성', '증체율', '뿔의 위치', '서열싸움', '수정시좌우움직임', '경관이 짧음', '비유능력', '성격', '수정시꼬리움직임심함', '발정 미약함', '육성률', '잔병처리많음', '도체중', '수정시뒤발질심함', '수태율', '이유시체중'을 데이터베이스화하여 나타낸다.
도 7a 내지 도 7e는 본 실시예에 따른 환경설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환경설정정보는 농장정보, 기간정보, 축사정보, 방역백신정보, 방문자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한다.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경설정부(270)는 농장정보를 나타낸다. 다시 말해, 환경설정부(270)는 축사 관리 단말기(110)로부터 입력된 환경설정정보에 근거하여 농장코드정보, 조합코드정보, 농장명정보, 농가명정보, 농장규모(평)정보, 사육규모(두수)정보, 휴대폰정보, 전화번호정보, 우편번호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한 농장정보가 나타나도록 한다.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경설정부(270)는 기간정보를 나타낸다. 다시 말해, 환경설정부(270)는 축사 관리 단말기(110)로부터 입력된 환경설정정보에 근거하여 공태기간정보, 수정가능기간정보, 거세기간정보, 사료변경알림가간정보, 수컷소출하기간정보, 암컷소출하기간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한 기간정보가 나타나도록 한다.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경설정부(270)는 축사정보를 나타낸다. 다시 말해, 환경설정부(270)는 축사 관리 단말기(110)로부터 입력된 환경설정정보에 근거하여 동정보, 축사개수정보, 가로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한 축사정보가 나타나도록 한다.
도 7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경설정부(270)는 농장정보를 나타낸다. 다시 말해, 환경설정부(270)는 축사 관리 단말기(110)로부터 입력된 환경설정정보에 근거한 증상정보, 약품정보, 투여방법정보, 투여량정보, 주사침사용개수정보, 주사침회수개수정보, 잔류기간정보, 금액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한 방역백신정보가 나타나도록 한다.
도 7e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경설정부(270)는 농장정보를 나타낸다. 다시 말해, 환경설정부(270)는 축사 관리 단말기(110)로부터 입력된 환경설정정보에 근거한 방문자명정보, 차량번호정보, 전화번호정보, 직종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한 방문자 정보가 나타나도록 한다.
도 8a 내지 도 8e는 본 실시예에 따른 관리자 기능을 나타낸 도면이다.
관리자정보는 지역통계정보, 입시출하현황정보, 지역관리자관리정보, 농장사용자관리정보, 기타관리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한다.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리자부(280)는 지역 통계를 나타낸다. 다시 말해, 관리자부(280)는 축사 관리 단말기(110)로부터 입력된 관리자정보에 근거하여 순번정보(1~3)에 농장명정보(길동농장), 송아지정보(20), 육성우정보(45), 암소비육우정보(20), 거세비육우정보(50), 비거세비육우정보(10)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매칭한 지역 통계가 나타나도록 한다.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리자부(280)는 입식출하현황을 나타낸다. 다시 말해, 관리자부(280)는 축사 관리 단말기(110)로부터 입력된 관리자정보에 근거하여 순번정보(1)에 암컷식별정보(123456789012), 수컷식별정보(123456789013), 구입처정보(광주농장), 판매처정보(길동농장)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매칭한 입식출하현황이 나타나도록 한다.
도 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리자부(280)는 지역관리자관리를 나타낸다. 다시 말해, 관리자부(280)는 축사 관리 단말기(110)로부터 입력된 관리자정보에 근거하여 순번정보(1)에 시도정보(전남), 시구군정보(신안군), 읍면동정보(안좌면), 이름정보(홍길동), 아이디정보(hong001), 연락처정보(010-1211-1234)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매칭한 지역관리자관리가 나타나도록 한다.
도 8d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리자부(280)는 지역관리자관리를 나타낸다. 다시 말해, 관리자부(280)는 축사 관리 단말기(110)로부터 입력된 관리자정보에 근거하여 순번정보(1)에 아이디정보(hong001), 농장명정보(길동농장), 연락처정보(010-1211-1234)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매칭한 농장사용자관리가 나타나도록 한다. 도 8e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리자부(280)는 기타 관리를 나타낸다.
이상의 설명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들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실시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10: 축사 관리 단말기 120: 네트워크
130: 가축 및 관리 장치 210: 수집부
220: 데이터베이스 230: 축사 현황부
240: 개체 관리부 250: 축사경영부
260: 혈통 관리부 270: 환경 설정부
280: 관리자부

Claims (26)

  1. 가축 간의 혈통 가계도 수립을 통해 가축의 혈통을 관리하고 가축이 사육되는 축사 내의 개체 관리, 축사의 경영 및 현황 관리를 위한 가축 및 축사 관리 장치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축사에 각각 설치되는 축사 관리 단말기로부터 축사 내 가축의 식별정보, 개체관리정보, 축사현황정보 및 축사경영정보를 수집하는 수집부;
    혈통관리정보 및 상기 식별정보에 근거하여 가축 간의 혈통 관계를 표시하는 혈통 가계도를 생성하는 혈통 관리부;
    상기 개체관리정보에 근거하여 축사 별로 개체에 대한 측정정보, 진료정보 및 출하정보를 제공하는 개체 관리부;
    상기 축사경영정보에 근거하여 축사 별로 가축판매정보, 수입정보, 입식정보, 수리자재비정보 및 사료관리정보를 제공하는 축사 경영부; 및
    상기 축사현황정보에 근거하여 축사 별로 축사정보, 축사 내에 입식된 개체현황정보, 출입관리현황정보, 치료백신현황정보, 축사출하정보를 제공하는 축사 현황부를 포함하되,
    상기 혈통 관리부는
    소가 송아지를 분만하면, 상기 수집부에 의해 수집된 송아지식별정보 및 상기 혈통관리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송아지의 어미소에 대응되는 어미소식별정보 및 상기 송아지의 아비소에 대응되는 아비소 정액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송아지의 어미소, 아비소로서 상기 송아지 식별 정보에 상기 어미소 식별 정보 및 상기 정액 정보를 각각 매칭시킨 혈통 가계도를 생성하고,
    상기 혈통 관리부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상기 혈통 가계도 및 상기 혈통관리정보에 근거하여 모식별정보, 외조모식별정보, 외외증조모식별정보에 각각에 출하날짜정보, 도체중정보, 생체중정보, 최종등급정보, 등심단면적정보, 등지방두께정보, 근내지방도정보 및 육색정보를 매칭한 선대검증을 제공하고,
    상기 혈통 관리부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상기 혈통 가계도 및 상기 혈통관리정보에 근거하여 선택된 암소정보에 수정횟수정보, 출산횟수정보, 수태율정보, 사산정보, 첫산월령정보, 난산비율정보와 자식개체식별정보에 출하날짜정보, 도체중정보, 생체중정보, 최종등급정보, 등심단면적정보, 등지방두께정보, 근내지방도정보 및 육색정보를 매칭한 후대검증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 및 축사 관리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혈통 관리부는,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상기 어미소식별정보에 대한 외조부모 정보가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확인하고, 확인결과, 상기 어미소식별정보에 대한 외조부모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식별정보 중 상기 어미소식별정보를 기준으로 외조모소에 해당하는 외조모식별정보를 추출하여 '외조모(外祖母)' 정보로서 입력하고, 상기 정액정보 중 상기 어미소식별정보를 기준으로 외조부소에 해당하는 외조부 정액정보를 추출하여 '외조부(外祖父)' 정보로서 입력하여, 상기 혈통 가계도의 외조부모 가계도를 업데이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 및 축사 관리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혈통 관리부는,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상기 외조부 정액 정보에 대한 외증조부모 정보가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확인하고, 확인결과, 상기 외조부 정액 정보에 대한 외증조부모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식별정보 중 상기 외조부 정액 정보를 기준으로 외증조모소에 해당하는 외증조모식별정보를 추출하여 '외증조모(外曾祖母)' 정보로서 입력하고, 상기 정액정보 중 상기 외조부 정액 정보를 기준으로 외증조부소에 해당하는 외증조부 정액정보를 추출하여 '외증조부(外曾祖父)' 정보로서 입력하여, 상기 혈통 가계도의 외증조부모 가계도를 업데이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 및 축사 관리 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혈통 관리부는,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상기 외조모식별정보에 대한 외외증조부모 정보가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확인하고, 확인결과, 상기 외조모식별정보에 대한 외외증조부모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식별정보 중 상기 외조모식별정보를 기준으로 외외증조모소에 해당하는 외외증조모식별정보를 추출하여 '외외증조모(外外曾祖母)' 정보로서 입력하고, 상기 정액정보 중 상기 외조모식별정보를 기준으로 외외증조부소에 해당하는 외외증조부 정액정보를 추출하여 '외외증조부(外外曾祖父)' 정보로서 입력하여, 상기 혈통 가계도의 외외증조부모 가계도를 업데이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 및 축사 관리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혈통 관리부는,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상기 아비소 정액 정보에 대한 친조부모 정보가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확인하고, 확인결과, 상기 아비소 정액 정보에 대한 친조부모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식별정보 중 상기 아비소 정액 정보를 기준으로 친조모소에 해당하는 친조모식별정보를 추출하여 '친조모(親祖母)' 정보로서 입력하고, 상기 정액정보 중 상기 아비소 정액 정보를 기준으로 친조부소에 해당하는 친조부 정액정보를 추출하여 '친조부(親祖父)' 정보로서 입력하여, 상기 혈통 가계도의 친조모부 가계도를 업데이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 및 축사 관리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혈통 관리부는,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상기 친조부 정액 정보에 대한 친증조부모 정보가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확인하고, 확인결과, 상기 친조부 정액 정보에 대한 친증조부모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식별정보 중 상기 친조부 정액 정보를 기준으로 친증조모소에 해당하는 친증조모식별정보를 추출하여 '친증조모(親曾祖母)' 정보로서 입력하고, 상기 정액정보 중 상기 친조부 정액 정보를 기준으로 친증조부소에 해당하는 친증조부 정액정보를 추출하여 '친증조부(親曾祖父)' 정보로서 입력하여, 상기 혈통 가계도의 친증조부모 가계도를 업데이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 및 축사 관리 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혈통 관리부는,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상기 친조모식별정보에 대한 진외증조부모 정보가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확인하고, 확인결과, 상기 친조모식별정보에 대한 진외증조부모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식별정보 중 상기 친조모식별정보를 기준으로 진외증조모소에 해당하는 진외증조모식별정보를 추출하여 '진외증조모(陳外曾祖母)' 정보로서 입력하고, 상기 정액정보 중 상기 친조모식별정보를 기준으로 진외증조부소에 해당하는 진외증조부 정액정보를 추출하여 '진외증조부(陳外曾祖父)' 정보로서 입력하여, 상기 혈통 가계도의 진외증조부모 가계도를 업데이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 및 축사 관리 장치.
  8. 삭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혈통관리부는,
    상기 혈통관리정보에 근거하여 선대검증과 후대검증에 출력되는 선대 개체 및 후대개체에 각각에 제각여부정보, 뿔의위치정보, 성격정보, 잔병치례정보, 면역력정보, 서열싸움정보, 승가정보, 수정시좌우움직임정보, 수정시꼬리움직임정보, 수정시뒷발질정보, 경관위치정보, 경관짧음정보, 경관관통정보, 후산정체정보, 발정정보, 수태율정보, 연산성정보, 비유능력정보, 생시체중정보, 이유시체중정보, 증체율정보, 육성률정보, 사산횟수정보, 초산월령정보, 난산율정보, 분만후자궁회복정보, 송아지크기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매칭한 특이사항이 나타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 및 축사 관리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집부는 상기 축사 관리 단말기로부터 환경설정정보 및 관리자정보를 추가로 수집하며,
    상기 환경설정정보에 근거하여 환경을 관리를 수행하는 환경설정부; 및
    상기 관리자정보에 근거하여 통계 관리를 수행하는 관리자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 및 축사 관리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축사현황부는,
    상기 축사현황정보를 기반으로 수컷식별정보에 축사번호정보 및 월령정보를 매칭한 거세 알림이 나타나도록 하며, 상기 축사현황정보를 기반으로 암컷식별정보에 축사번호정보, 월령정보, 수정일정보, 정액정보, 수정횟수정보, 첫출산월령정보 및 분만예정일정보를 매칭한 분만 알림이 나타나도록 하며, 상기 축사현황정보를 기반으로 암컷식별정보에 산차정보, 수정횟수정보, 수정일정보, 정액정보, 수정사정보, 분만예정일정보 및 금액정보를 매칭한 재발정 알림과 수정 알림이 나타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 및 축사 관리 장치.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축사현황부는,
    상기 축사현황정보를 기반으로 수컷식별정보 및 암컷식별정보에 축사번호정보, 월령정보, 수정일정보, 수정횟수정보, 첫출산월령정보, 분만예정일정보 및 분만예정주 정보를 매칭한 백신 알림이 나타나도록 하며, 상기 축사현황정보를 기반으로 수컷식별정보 및 암컷식별정보에 축사번호정보, 월령정보, 변경할사료명정보 및 변경할사료량정보를 매칭한 사료변경 알림이 나타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 및 축사 관리 장치.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축사현황부는,
    상기 축사현황정보를 기반으로 축사식별정보에 축사 번호 정보, 성별 정보 및 알림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매칭한 축사 개체 현황이 나타나도록 하며, 상기 축사현황정보를 기반으로 수컷식별정보 및 암컷식별정보에 개체생일정보, 입식일자정보, 구입가격정보, 구입농장정보, 축사번호정보, 부번호정보, 모번호정보 및 성별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매칭한 입식 현황이 나타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 및 축사 관리 장치.
  14.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축사현황부는,
    상기 축사현황정보를 기반으로 일시 정보에 소독방역대상정보, 차량번호정보, 소독방역종류정보, 소독방역약품정보, 소독방역장비정보 및 소독방역실시자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매칭한 소독방역현황이 나타나도록 하며, 상기 축사현황정보를 기반으로 일시 정보에 방문자정보, 이전방문지정보, 방문목적정보, 차량번호정보, 차량소독여부정보 및 연락처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매칭한 출입관리현황이 나타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 및 축사 관리 장치.
  15.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축사현황부는,
    상기 축사현황정보를 기반으로 수컷식별정보 및 암컷식별정보에 각각에 일시정보, 축사번호정보, 증상정보, 사용약품정보, 투여방법정보, 투여량정보, 잔류기간정보, 주사침개수정보 및 담당자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매칭한 치료백신현황이 나타나도록 하며, 상기 축사현황정보를 기반으로 수컷식별정보 및 암컷식별정보에 각각에 일시정보, 약품잔류유무정보, 출하처정보, 출하가격정보 및 담당자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매칭한 출하현황이 나타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 및 축사 관리 장치.
  16.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개체관리부는,
    상기 개체관리정보에 근거하여 분만일정보, 산차정보, 정액정보, 임신판정일정보, 수정일정보, 송아지번호정보, 분만난이도정보, 담당자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매칭한 분만 기록이 나타나도록 하며, 상기 개체관리정보에 근거하여 수정일정보, 산차정보, 정액정보, 수정횟수정보, 분만예정일정보, 수정사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매칭한 수정 기록이 나타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 및 축사 관리 장치.
  17.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개체관리부는,
    상기 개체관리정보에 근거하여 월령정보에 사료명정보, 사료급여량정보, 건초명정보, 건초급여량정보, 볏집급여량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매칭한 사료 관리 기록이 나타나도록 하며, 상기 개체관리정보에 근거하여 측정일정보, 체중정보, 초음파기기정보, 등심단면적정보, 등지방두께정보, 근내지방도정보, 예상등급정보, 측정자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매칭한 체중 및 초음파 측정 기록이 나타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 및 축사 관리 장치.
  18.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개체관리부는,
    상기 개체관리정보에 근거하여 진료일정보, 증상정보, 사용약품정보, 투여방법정보, 투여량정보, 잔류기간정보, 주사침개수정보, 담당자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매칭한 진료 및 백신 접종 기록이 나타나도록 하며, 상기 개체관리정보에 근거하여 판정일정보, 생체중정보, 도체중정보, 최종등급정보, 도축장정보, 등급판정사정보, 지육단가정보, 경락단가정보, 등심단면적정보, 등지방두께정보, 근내지방도정보, 육색정보, 지방색정보, 조직감정보, 성숙도정보, 육량지수정보, 육량등급정보, 육질등급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매칭한 출하등급판정 기록이 나타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 및 축사 관리 장치.
  19.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축사경영부는,
    상기 축사경영정보에 근거하여 판매일자정보, 개체번호정보, 성별정보, 판매처정보, 약품잔류정보, 판매금액정보, 출하등급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매칭한 한우판매관리 기록이 나타나도록 하며, 상기 축사경영정보에 근거하여 판매일자정보, 회계코드정보, 품목정보, 거래처정보, 전화번호정보, 단가정보, 수량정보, 단위정보, 금액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매칭한 기타수입관리 기록이 나타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 및 축사 관리 장치.
  20.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축사경영부는,
    상기 축사경영정보에 근거하여 입식일자정보, 개체번호정보, 성별정보, 개체생일정보, 부번호정보, 모번호정보, 축사번호정보, 구입처정보, 구입금액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매칭한 한우입식관리 기록이 나타나도록 하며, 상기 축사경영정보에 근거하여 구입일자정보, 회계코드정보, 구입처정보, 사료명정보, 전화번호정보, 수량정보, 단가정보, 금액정보, 도착일자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매칭한 배합조사료관리 기록이 나타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 및 축사 관리 장치.
  2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축사경영부는,
    상기 축사경영정보에 근거하여 구입일자정보, 회계코드정보, 구입처정보, 상품명정보, 전화번호정보, 수량정보, 단가정보, 단위정보, 금액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매칭한 볏짚왕겨관리 기록이 나타나도록 하며, 상기 축사경영정보에 근거하여 치료일자정보, 증상정보, 사용약품정보, 투여방법정보, 투여량정보, 주사침개수정보, 잔류기간정보, 담당자정보, 금액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매칭한 진료백신관리 기록이 나타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 및 축사 관리 장치.
  2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축사경영부는,
    상기 축사경영정보에 근거하여 일자정보, 회계코드정보, 품목정보, 상호명정보, 전화번호정보, 수량정보, 단가정보, 금액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매칭한 수리자재비관리 기록이 나타나도록 하며, 상기 축사경영정보에 근거하여 수정일자정보, 개체정보, 월령정보, 정액정보, 수정횟수정보, 산차정보, 분만예정일정보, 수정사정보, 금액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매칭한 수정관리 기록이 나타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 및 축사 관리 장치.
  2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환경설정부는,
    상기 환경설정정보에 근거한 비밀번호정보, 농장코드정보, 조합코드정보, 농장명정보, 농가명정보, 농장관리형태정보, 농장규모정보, 사육규모정보, 휴대폰정보, 전화번호정보, 우편번호 정보 공태기간정보, 수정가능정보, 거세기간정보, 수소출하기간정보 및 암소출하기간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한 농장정보가 나타나도록 하며, 상기 환경설정정보에 근거한 동정보, 축사개수정보, 세로개수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한 축사정보가 나타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 및 축사 관리 장치.
  24.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환경설정부는,
    상기 환경설정정보에 근거한 분만전주차정보, 사용약품정보, 투여방법정보, 투여량정보, 주사침개수정보, 잔류기간정보 및 백신금액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한 분만예방접종정보가 나타나도록 하며, 상기 환경설정정보에 근거한 방문자명정보, 차량번호정보, 전화번호정보, 직종정보, 방역대상정보, 방역종류정보, 방역장비정보 및 방역약품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한 방문자방역정보가 나타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 및 축사 관리 장치.
  25.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자부는,
    상기 관리자정보에 근거하여 농장정보에 순번정보, 개체정보, 방역횟수정보, 수정횟수정보, 분만횟수정보, 수태율정보, 구제역백신접종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매칭한 지역 통계가 나타나도록 하며, 상기 관리자정보에 근거하여 순번정보에 암컷식별정보, 수컷식별정보, 구입처정보 및 판매처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매칭한 입식출하현황이 나타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 및 축사 관리 장치.
  26.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자부는,
    상기 관리자정보에 근거하여 순번정보에 시도정보, 시구군정보, 읍면동정보, 이름정보, 아이디정보, 연락처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매칭한 지역관리자관리가 나타나도록 하며, 상기 관리자정보에 근거하여 순번정보에 아이디정보, 농장명정보, 연락처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매칭한 농장사용자관리가 나타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 및 축사 관리 장치.
KR1020150014162A 2015-01-29 2015-01-29 가축 및 축사 관리 장치 KR1016517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4162A KR101651771B1 (ko) 2015-01-29 2015-01-29 가축 및 축사 관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4162A KR101651771B1 (ko) 2015-01-29 2015-01-29 가축 및 축사 관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3319A KR20160093319A (ko) 2016-08-08
KR101651771B1 true KR101651771B1 (ko) 2016-08-31

Family

ID=567118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14162A KR101651771B1 (ko) 2015-01-29 2015-01-29 가축 및 축사 관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177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4353B1 (ko) 2018-12-11 2019-08-26 에이비주식회사 머신러닝 기반의 스마트팜 가축관리 시스템
KR20200052458A (ko) 2018-10-31 2020-05-15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궁중음식본가 가축의 생산성 향상을 위한 ict 융합 기술이 적용된 스마트 통합 제어 및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558350B1 (ko) 2022-01-28 2023-07-21 주식회사 위젠트 비접촉 생체안면인식 가축개체별 관리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4605B1 (ko) * 2018-05-08 2021-04-01 (주)씽크포비엘 기계학습 예측 모델에 기초한 최적의 소 출하 시점 결정 방법
JP6847478B1 (ja) * 2020-02-07 2021-03-24 株式会社Eco‐Pork 畜産情報管理システム、畜産情報管理サーバ、畜産情報管理方法、畜産情報管理プログラム、畜産情報管理用データ構造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04308A (ja) * 2004-04-16 2005-11-04 Fujitsu Ltd 血統情報表示方法、血統情報表示システム、血統情報表示装置、および血統情報表示プログラム
JP2013247941A (ja) 2012-06-04 2013-12-12 Nakajima Seisakusho:Kk 畜産管理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1655B1 (ko) * 2000-11-09 2003-12-18 대한제당 주식회사 인터넷을 이용한 가축사육관리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04308A (ja) * 2004-04-16 2005-11-04 Fujitsu Ltd 血統情報表示方法、血統情報表示システム、血統情報表示装置、および血統情報表示プログラム
JP2013247941A (ja) 2012-06-04 2013-12-12 Nakajima Seisakusho:Kk 畜産管理システム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인터넷기사, ‘한우 족보관리 쉬워진다’(현대축산뉴스, 2014.04.16.)*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2458A (ko) 2018-10-31 2020-05-15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궁중음식본가 가축의 생산성 향상을 위한 ict 융합 기술이 적용된 스마트 통합 제어 및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014353B1 (ko) 2018-12-11 2019-08-26 에이비주식회사 머신러닝 기반의 스마트팜 가축관리 시스템
KR102558350B1 (ko) 2022-01-28 2023-07-21 주식회사 위젠트 비접촉 생체안면인식 가축개체별 관리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3319A (ko) 2016-08-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51771B1 (ko) 가축 및 축사 관리 장치
Kosgey et al. Small ruminant production in smallholder and pastoral/extensive farming systems in Kenya
Dumas et al. “Men are in front at eating time, but not when it comes to rearing the chicken”: unpacking the gendered benefits and costs of livestock ownership in Kenya
Voulodimos et al. A complete farm management system based on animal identification using RFID technology
Smith et al. Traceability from a US perspective
Kocho Production and marketing systems of sheep and goats in Alaba, Southern Ethiopia
US20130275316A1 (en) Livestock certification apparatus and method
Panel Meat, milk and more: Policy innovations to shepherd inclusive and sustainable livestock systems in Africa
KR20170031929A (ko) 가축 및 축사 관리 시스템
KR20130033199A (ko) 양돈 생산 및 출하관리방법
Ebata et al. Why behaviours do not change: structural constraints that influence household decisions to control pig diseases in Myanmar
JP2021185919A (ja) 畜産情報管理システム、畜産情報管理方法、及び畜産情報管理プログラム
Henning et al. Economic analysis of interventions to improve village chicken production in Myanmar
Chen et al. Development of a management system with RFID and QR code for matching and breeding in Taiwan pig farm
EP4080442A1 (en) Livestock raising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livestock raising information management server, livestock raising information management method, and livestock raising information management program
US2020018448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cking an Edible Consumable
KR101868380B1 (ko) 통합육성관리서비스 제공 시스템, 서버 및 방법
Belete On-farm performance evaluation of Dorper sheep breed crosses in wolaita and siltie zones, southern Ethiopia
Leitch et al. India’s livestock sector: Demand growth, food security and public investment-Issues and Options
WO2021111717A1 (ja) 動産担保評価システム、動産担保評価サーバ、動産担保評価方法、及び動産担保評価プログラム
US20170094948A1 (en) Comprehensive System of Herd Management with Automated Data Management
TWM502214U (zh) 雲端牧場服務系統
Lima et al. Factors influencing concentrate feeding: Dairy farmers' perceptions of dairy production system characteristics and market relations
Alders The AusAID Southern Africa Newcastle Disease Control Project: its history, approach and lessons learnt
Lalhmangaihsangi Livestock value chain in Mizoram: a study of piggery in Aizawl distric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