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83524A - 무인자동판매시스템에서의 광지불에 의한 결제시스템 - Google Patents

무인자동판매시스템에서의 광지불에 의한 결제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83524A
KR20020083524A KR1020020059524A KR20020059524A KR20020083524A KR 20020083524 A KR20020083524 A KR 20020083524A KR 1020020059524 A KR1020020059524 A KR 1020020059524A KR 20020059524 A KR20020059524 A KR 20020059524A KR 20020083524 A KR20020083524 A KR 200200835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les
vending machine
memory
information
optical pay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595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72167B1 (ko
Inventor
성광현
정훈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렉스인포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렉스인포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렉스인포텍
Publication of KR200200835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835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721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72167B1/ko

Links

Abstract

무인자동판매시스템에서의 광지불에 의한 결제시스템은 동전이나 소액지폐를 갖고 있지 않아도 건물이나 거리에 설치되는 무인자동판매기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카드정보가 내장되고 카드정보를 광신호로 전달하는 광지불수단인 휴대단말기를 이용하여 광신호로 카드정보를 송신하고, 이를 무인자동판매기에 부착된 광수신기에서 수신하여 상품을 판매하고 판매내역을 기록하며 기록된 판매내역들을 집계하여 일괄 승인처리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용자 측면에서는 동전이나 지폐없이도 카드정보가 내장된 휴대단말기를 이용하여 무인자동판매시스템의 상품을 구매할 수 있는 편리함을 제공하며, 시스템 운영자측에서는 동전을 수거하고 이를 은행에서 지폐로 교환하는 대신 카드사에서 바로 운영자의 계좌로 판매대금을 입금시켜주므로 운영상의 편리함을 얻을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무인자동판매시스템에서의 광지불에 의한 결제시스템{Sales system in vending machine using optical payment}
본 발명은 IPC 분류 H04Q7/24에 속하는 무인판매기내 상품 구매에 따른 지불방식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카드정보가 내장되어 광신호로 카드정보를 송신하는 광지불수단과 무인판매기내에 부착된 광수신기를 이용하여 무인자동판매기내 상품을 판매하고 비용을 결제하기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결제수단으로 현금보다 사용 및 휴대가 간편한 카드(card)를 많이 이용하고 있다. 카드종류로는 신용카드(credit card), 현금카드, 직불카드, 교통카드 등 결제종류에 따라 다양하다. 예를 들면, 일반상점이나 백화점 등에서 물품 구매에 대한 대금 결제로 카드를 많이 사용한다. 그리고, 주유소에서 기름을 넣거나 레스토랑 등에서 음식을 먹고 나서의 요금 지불도 카드를 사용한다. 근래에는, 택시나 지하철, 버스 등의 교통비에 대해서도 카드를 사용할 수 있다. 이뿐 아니라 온라인(on-line)상에서의 전자상거래 및 현금자동입출기(ATM/CD) 등도 카드사용이 가능한 분야이다. 이처럼, 카드 가맹점이 늘어나고, 카드로 결제할 수 있는 종류도 다양해졌다. 물론, 톨케이트나 터널 통행료, 자판기, 무인자동판매기(kiosk) 등과 같이 아직 카드가 사용되지 않는 분야도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신용카드 결제시스템을 보여주는 도면으로, 일반상점에서 물건을 구입하여 대금을 지불해야 할 경우를 보여준다.
구매자는 소지하고 있는 신용카드(11)를 판매자에게 전달한다. 신용카드(11)는 고유번호와 사용자이름이 새겨져 있는 마그네틱형태의 카드이다. 판매자는 신용카드조회기(12)의 마그네틱카드리더기를 통해 신용카드정보를 인식시킨다. 신용카드조회기(12)는 인식된 신용카드정보를 밴(VAN)사시스템(13)으로 전달하여 승인요청을 한다. 신용카드조회기(12)와 밴사시스템(13)간에는 전용선을 통해 연결된다. 밴사시스템(13)은 접수한 승인요청을 해당 카드사시스템(14)으로 승인 신청을 한다. 밴사시스템(13)으로부터 승인신청을 수신한 카드사시스템(14)은 해당 신용카드가 불량카드인지 여부, 신용카드 소지자의 신용상태, 사용하고자하는 신용카드의 사용한도등을 확인하고 승인 결과를 밴사시스템(13)으로 송신한다. 카드사시스템(14)으로부터 승인결과를 수신한 밴사시스템(13)은 최초에 승인 신청이 접수된 상점의 신용카드조회기(12)로 승인여부를 통보한다. 상점 판매자는 승인 결과를 확인한 후 구매자에게 통보하고, 승인 결과가 정상인 경우 구매자에게 매출전표를 제시하여 서명을 받음으로써 신용카드를 이용한 결제가 완료된다.
도 2는 일반적인 전자상거래에서 신용카드 결제시스템을 보여주는 도면으로, 물건 또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이버 쇼핑몰(23), 쇼핑몰(23)에 인터넷 접속하여 물건 또는 서비스를 구매하는 고객의 단말기(22), 제품에 대한 금전관계에 관여하는 지불게이트웨이(24)와 밴사(25) 및 카드사(26)로 구성된다.
고객은 컴퓨터 등 인터넷에 연결된 단말기(22)로 사이버 쇼핑몰(23)에 접속하여 쇼핑을 한다. 구매를 원하는 제품을 발견하면 쇼핑몰(23)에 구매의사를 전달한다. 고객은 쇼핑몰(23)측이 제공한 화면에 소지한 신용카드(21)의 정보 즉, 고객이름, 카드번호, 비밀번호, 유효기간등의 카드정보를 입력한다. 쇼핑몰(23)은 고객이 제시한 카드정보를 지불게이트웨이(24)로 전달한다. 지불게이트웨이(24)는 전달된 카드정보에 대해 결제기관인 카드사(26) 또는 밴사(25)를 통해 승인을 요청한 후 확인받아 그 결과를 거래가 발생한 쇼핑몰(23)로 전달한다. 쇼핑몰(23)측은 지불게이트웨이(24)로부터 정상적으로 결제처리가 이루어졌음을 통지받으면, 해당 고객이 구입한 물품을 배달함으로써 거래를 완료시킨다.
한편, 현금이나 카드 이외에 새로운 지불수단으로 전자화폐를 사용한다. 전자화폐는 네트워크형, IC형, 그리고 전화번호를 이용한 소액전자화폐로 구분할 수있다. 네트워크형은 실질적인 화폐의 가치를 네트워크상의 특정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해놓고 온라인(on-line)상에서 지불이 필요할 때 필요한 만큼의 가치를 이전시키는 방법으로서 오프라인(off-line)상에서는 사용할 수 없다. IC카드형 전자화폐는 대표적 예로 몬덱스카드를 들 수 있다. 전화번호를 이용한 소액결제용 전자화폐는 해당 전자화폐 판매업체에 등록후 인터넷상에서 어떤 재화나 용역을 구매시 신용카드등의 지불정보 대신 개인의 휴대전화번호를 입력하면 정산처리가 되고 지불대금은 다음달 본인의 이동통신 사용요금에 합산하여 부가되는 방식이다.
그런데, 위와 같은 신용카드는 비용지불을 위해 항상 소지해야 하고, 분실시 부당하게 사용될 우려가 있다. 또한, 신용카드 사용시 개인의 신용정보를 손쉽게 파악할 수 있어 항상 부당 사용에 노출되어 있다. 그리고, 카드조회를 위하여 카드를 판매자에게 건네주는 행위로 인하여 손쉽게 카드복제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사용자와 카드업체의 분쟁이 증가하고 사용자에게 모든 책임이 전가되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신용카드는 마그네틱으로 되어 있어 판독이 용이하고, 손상될 염려가 많다. 또한, 사용유효기간이 정해져 있어 신용도가 정상인 회원이라 할지라도 3∼5년마다 카드를 재발급하여 송달해주어야 하므로 영업비용이 상승한다. 카드는 통상 지갑에 넣어 보관하므로, 카드를 분실한 경우 카드를 다시 사용하기 전까지는 분실을 확인하기 곤란하여 도난, 분실로 인한 부정사용의 우려가 있다. 또, 기존의 마그네틱카드는 수용할 수 있는 정보량이 작아 다양한 응용분야를 모두 수용할수 없었으며 출입카드, 증권카드, 서비스 카드 등의 각 카드의 발급주체가 틀려 개인이 여러장의 복수의 카드를 가지고 있어야 하는 문제가 있었다.
한편, 최근에는 각 건물이나 거리에 무수히 많은 무인자동판매기들이 설치되어 커피나 음료수, 구두닦이, 신문 등을 비롯한 상품들을 구매할 수 있게 되었으며, 이러한 무인자동판매기들의 이용은 그 편리함 때문에 계속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위와 같은 종래 무인자동판매기 이용에 있어서 이용자가 동전이나 소액지폐를 갖고 있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고, 무인자동판매기 운영자가 직접 무인자동판매기를 방문하여 동전이나 지폐를 수거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폰이나 PDA등의 휴대단말기에 카드정보를 입력시켜 카드정보를 광신호로 송신하며, 무인자동판매기내에 광송수신부를 구비하여 광신호에 의해 전달되는 이용자의 카드정보를 이용하여 무인자동판매기내 상품을 구매할 수 있도록 하는 무인자동판매시스템에서의 광지불에 의한 결제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신용카드를 이용한 결제시스템을 나타낸 구성도,
도 2는 일반적인 전자상거래에서 신용카드 결제시스템을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광결제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광지불에 의한 결제방식이 적용된 무인자동판매시스템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5는 도 4의 자동판매기를 나타내는 상세 구성도,
도 6은 도 4의 무인자동판매시스템에서의 비용 결제에 대한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7a는 PDA를 이용한 이동형 집계장치가 적용된 자동판매시스템의 블록구성도이고, 도 7b는 그 PDA의 예시도,
도 8a는 메모리팩을 이용한 이동형 집계장치의 구성도이고, 도 8b는 메모리팩의 연결 상태도,
도 9a는 전력선 모뎀 접속장치가 적용된 자동판매시스템의 블록구성도이고, 도 9b는 건물내의 자판기 모뎀 접속 예시도,
도 10a-b는 이동통신 모뎀 내장형 전송단말기의 내부 구성 및 외형을 나타내는 도면,
도 11a는 휴대폰 접속장치가 적용된 자동판매시스템의 블록구성도이고, 도 11b는 자판기의 핸드폰 접속 예시도,
도 12a-b는 인터넷 접속장치의 내부 구성 및 PC와의 연결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13a-b는 다이얼업 밴 접속장치의 내부 구성 및 외부 연결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10 : 휴대단말기(MU) 412 : 이동형 집계장치
414 : 전송단말기 416 : 밴사 서버
418 : 카드사 서버 420 : 자판기
421 : 광송수신부 422 : 제어부
423 : 기록부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무인자동판매시스템에 있어서, 카드정보를 광신호로 송신하는 광지불수단과, 서로 다른 장소에 분산배치되며, 광송수신부를 구비하여 카드정보를 수신하고 판매된 물품의 내역을 기록하는 자동판매기와, 상기 자동판매기 운영자에 의해 일정기간마다 상기 자동판매기가 설치된 장소에 가서 판매내역을 집계하는 집계장치, 및 상기 집계장치에 집계된 판매내역을 전송하고 일괄 승인요청하는 전송단말기를 포함하는 광결제시스템에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기술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광지불에 의한 결제시스템의 기본적인 개념도로, 크게 카드발급시스템과 결제시스템으로 구분된다. 카드발급시스템은 카드사의 카드발급단말기에 광송수신기를 부착하여 데이터 광송수신으로 광송수신기가 부착된 카드 신청인의 휴대단말기에 신용카드의 정보를 입력시키는 방식, 휴대단말기의 배터리팩에 카드의 정보를 입력시키는 방식, 그리고 유무선 망을 통해 휴대단말기에 카드의 정보를 다운로드시키는 방식 등을 통해 카드를 발급한다. 카드발급시스템은 카드 신청인(31), 카드를 발급하는 카드사(36) 및 발급된 카드의 정보를 앞서 언급된 방식들을 사용하여 신청인(31)이 소지한 휴대단말기에 전달하는 중계소(37)로 구성된다. 물론, 중계소(37)의 역할을 카드사(36)에서 직접 수행할 수도 있다. 중계소(37)와 신청인(31) 사이에는 카드정보를 신청인(31)이 소지한 휴대단말기에 RF 전송하기 위해 그 휴대단말기에 해당하는 이동통신사의 통신망(38)이 연결된다. 카드사(36)와 중계소(37) 사이에는 전화망(X.25)을 통해 연결된다. 결제시스템은 발급받은 신용정보를 광송신하는 휴대단말기(31), 가맹점에 설치되며 광수신기(32)를 부착하여 송신되는 고객 신용정보신호를 수신하여 신용조회하기 위한 신용조회단말기(33), 및 신용거래확인 및 거래승인을 위한 결제기관(36)으로 구성된다. 결제기관(36)은 은행이나 카드사가 되며, 밴사(35)를 통해 거래승인요청이 이루어진다. 가맹점의 신용조회단말기(33)와 밴사(35) 사이에는 중계소(34)가 선택적으로 연결된다.
위와 같은 휴대단말기를 마그네틱카드 대용으로 사용하는 광지불에 의한 결제방식은 여러분야에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건물이나 거리에 설치되는 무인자동판매기에 적용하여, 이용자가 동전이나 소액지폐를 갖고 있지 않아도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광지불에 의한 결제방식이 적용된 무인자동판매시스템의 구성도를 나타낸다. 도 4에 나타낸 시스템은 광지불수단인 휴대단말기(MU)(410)와, 휴대단말기(410)의 광지불정보를 수신하기 위해 광송수신부(421)를 구비한 자동판매기(420)로 구성된다. 자동판매기(420)는 상품 판매를 위한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422)와, 판매내역을 기록하는 기록부(423)를 구비한다. 자동판매기(420)에 대한 상세 구성은 도 5에 도시하였다. 도 4의 시스템은 서로 다른 장소에 분산 배치되는 자동판매기(420)의 기록부(423)에 기록된 판매내역들을 집계하기 위한 집계장치(412)와, 집계된 판매내역을 일괄 승인처리하기 위해 밴사/카드사서버(416,418)측으로 전송하는 전송단말기(414)로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무인자동판매시스템에서의 비용 결제에 대한 동작을 도 6을 통해 설명한다.
고객은 상품 구매비를 지불한다(단계 431). 커피 자동판매기의 경우를 예로 설명하면, 고객은 마시고자 하는 종류의 차에 할당된 값을 지불한다. 현금 지불인 경우, 고객은 자동판매기(420)의 현금투입부(424)에 해당 금액의 현금을 투입한다. 광지불인 경우, 광지불수단인 휴대단말기(410)를 통해 카드정보를 광신호로 송신한다. 자동판매기(420)의 광송수신부(421)는 카드정보를 포함하는 광신호를 수신하여 제어부(422)로 전달한다. 제어부(422)는 광지불 결제인가를 체크하여(단계 432), 광지불 결제이면 전달받은 해당 카드정보가 유효한 정보인지를 확인한다(단계 433). 카드정보의 유효여부 확인은 카드사(418)를 통하지 않고 자체적으로 이루어진다. 즉, 제어부(422)는 불량거래 카드정보 일명 블랙리스트에 해당하는 카드정보를 등록해놓고, 수신된 카드정보가 기 등록된 블량거래 카드정보에 포함이 되었는지를 단순확인하여 유효여부를 확인한다. 이러한 단순확인으로 각 자동판매기는 카드사(418) 또는 밴사(416)를 통한 신용카드정보조회 및 거래승인을 위해 별도의 전용선을 설치할 필요가 없게 되어 설치비가 저렴하게 된다. 또한, 불량거래자의 명단을 주기적으로 업데이트함으로써 거래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다. 물론, 블랙리스트를 해당 휴대단말기(410)에 등록시켜 휴대단말기(410) 자체에서 지불정보의 광송신이 되지 않게 하여 카드정보의 유효여부를 확인할 필요가 없게 할 수도 있다. 이러한 불량거래자 등록에 대해서는 동일출원인에 의해 2000년 12월 6일자로 출원된 특허출원 제 2000-73719호의 "휴대전화를 이용한 카드거래 중지 방법 및 장치" 명세서에 기재되어 있으므로 여기서는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단계 432에서 광지불 결제가 아니면, 현금투입부(424)에 상품의 해당 단가 이상의 금액이 입력되었는가를 판단한다(단계 434). 단계 433에서 유효정보로 확인되거나, 단계 434에서 상품의 해당 단가 이상의 금액이 입력되었으면, 제어부(422)는 상품선택부(426)상에 상품 인출 가능 신호를 표시한다(단계 435). 고객은 인출 가능 표시된 상품선택부(426)상의 원하는 상품을 선택한다. 제어부(422)는 선택한 상품을 배출한다(단계 436). 예를 들어, 고객이 "밀크커피"를 선택한 경우, 제어부(422)는 커피모터구동부(429A), 설탕모터구동부(429B), 그리고 프림모터구동부(429C)를 구동시켜 커피, 설탕, 프림이 혼합된 밀크커피를 컵투출구(428)를 통해 컵에 담아 배출한다. 현금 지불의 경우, 제어부(422)는 거스름돈을 계산하여 해당 금액을 반환부(427)를 통해 반환한다. 만약, 고객이 반환입력부(425)를 통해 상품 구매를 취소한 경우 제어부(422)는 투입된 금액을 반환부(427)를 통해 반환한다. 고객이 배출된 상품을 인출하면, 제어부(422)는 광지불 인가를 다시 체크하여(단계 437), 광지불이면 그 판매내역을 기록부(423)에 기록한다(단계 438).
한편, 자동판매기(420) 운영자는 일정기간마다 집계장치(412)를 가지고, 자동판매기(420)가 설치된 장소에 가서 판매내역을 집계한다. 즉, 자동판매기(420)의 광송수신부(421)를 통해 기록부(423)에 기록된 판매내역을 집계장치(412)로 다운로드받는다. 운영자는 여러장소에 분산 배치된 자동판매기에 대해 판매내역을 모두 집계한 후, 집계장치(412)를 전송단말기(414)에 연결하여 밴사서버(416)로 전송하여 일괄 승인요청한다. 밴사서버(416)는 일괄 승인요청한 판매내역을 해당 카드사서버(418)로 전송한다. 여기에서 사용되는 집계장치(412)와 전송단말기(414)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자동판매기처럼 시스템 특성상 실시간으로 신용결제를 할 수 없는 경우, 모아진 신용정보를 집계하여 신용결제가 가능한 장소로 옮기는 이동형 집계장치가 필요하다. 본 발명은 PDA 및 메모리팩을 이용하여 이동형 집계장치를 제시한다.
도 7a는 PDA를 이용한 이동형 집계장치가 적용된 자동판매시스템의 블록구성도이고, 도 7b는 그 PDA의 예시도이다.
자동판매시스템 내부에 장착되는 광지불수신장치(471)는 자판기콘트롤러(470)를 I/F부(477)를 통해 모니터링한다. 모니터링결과 거래 내역이 발생할 때마다, CPU(475)는 이를 감지하여 내장 메모리(476)에 기록한다. 한편, 도 7b에 예시된 PDA는 Ir송수신기(481)가 부착되어 있어 자동판매시스템의 광지불수신장치(471)와 적외선으로 교신한다. 자동판매시스템 운용자는 PDA(480)상의 메뉴키 조작으로 거래내역 집계 프로그램을 가동시킨 후, Ir송수신기(481)를 집계대상기기로 지향하고 집계명령을 적외선 송신한다. 자동판매시스템의 광지불수신장치(471)는 Ir송수신기(472)를 통해 집계명령을 수신한다. 수신된 집계명령은 Ir변환부(473) 및 UART(474)를 통해 CPU(475)가 인식할 수 있는 형태의 신호로 변환되어 CPU(475)를 통제한다. CPU(475)는 그 집계명령에 따라 내장 메모리(476)에 기록되어 있는 거래내역 데이터를 읽어들여 UART(474) 및 Ir변환부(473)를 통해 Ir송수신기(472)로 출력한다. Ir송수신기(472)는 입력되는 거래내역 데이터를 적외선신호로 송신한다. PDA(480)의 Ir송수신기(481)는 자동판매시스템의 광지불수신장치(471)측에서 송신되는 거래내역의 적외선신호를 수신한다. 수신된 거래내역은 Ir변환부(482) 및 UART(483)를 통해 CPU(484)에 도달되어, 내장 메모리(485)에 기록된다. CPU(485)는 데이터 수신의 성공 여부 및 결과를 LCD(486)에 표시하여 운용자로 하여금 집계상황을 모니터링할 수 있게 한다. PDA(480)에 거래내역이 집계되면, 이를 Ir포트나 시리얼포트(487)를 통해 PC로 전송 판매관리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중앙 집계센터로 보내거나 별도의 통신수단(휴대폰, 기지장치)등을 이용하여 중앙 집계장치로 보낸다.
도 8a는 메모리팩을 이용한 이동형 집계장치의 구성도이고, 도 8b는 메모리팩의 연결 상태도이다.
자동판매시스템 내부에 장착된 광지불수신장치(471)는 자판기콘트롤러(470)를 I/F부(477)를 통해 모니터링한다. 모니터링결과 거래내역이 발생할 때마다, CPU(475)는 이를 감지하여 내장 메모리(476)에 기록한다. 거래내역을 집계할 메모리팩(488)은 비휘발성 메모리(NV-RAM)로, 도 8b에 보여진 바와 같이 메모리커넥터(479)를 통해 광지불수신장치(471)의 UART(474)와 연결된다. 거래내역을 집계하기 위해, 자동판매시스템 운용자는 메모리팩(488)을 메모리커넥터(479)에 삽입한다. 메모리팩(488)의 접속상태를 감지한 UART(474)는 CPU(475)에 이를 통지한다. CPU(475)는 UART(474)의 통지에 따라 메모리(476)에 기록되어 있는 거래내역을 읽어들여 UART(474)를 통해 접속되어 있는 메모리팩(488)에 기록한다. 메모리팩(488)에 거래내역이 집계되면, 운용자는 광지불수신장치(471)로부터 메모리팩(488)을 착탈시켜 해당 결제기관(카드사 또는 은행)에 그 메모리팩(488)만을 전달한다.
위와 같은 이동형 집계장치는 시스템 설치 장소에 관리자가 배치되어 거래내역을 집계하고 그 집계된 PDA나 메모리팩을 수거하여 결제기관으로 직접 운반하여야 한다. 그래서, 본 발명은 모뎀을 통해 집계된 거래내역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전송단말기를 제시한다.
도 9a는 전력선 모뎀 접속장치가 적용된 자동판매시스템의 블록구성도이고,도 9b는 건물내의 자판기 모뎀 접속 예시도이다.
자동판매시스템에 포함되는 기기들이 한 복층 건물내의 각층마다 설치되는 환경에서, 건물내의 전력선은 폐쇄회로를 제공한다. 즉, 도 9b에 보여진 바와 같이 전력선 모뎀(495)을 전원단자에 접속시켜 각층마다 설치된 자판기들(490(1),…,490(N))의 전력선과 접속되도록 한다. 그래서, 각 층마다 설치된 자판기(490(1),…,490(N))에서 발생한 판매정보는 해당 자판기(490(1),…,490(N)) 내부에 설치된 광지불수신장치(BU)(491)의 내장 메모리에 일시 저장된다. 저장된 판매정보는 전력선 송출을 위해 변환부(492)에서 변조되어 전력선혼합기(493)를 거치면서 전력선(494)에 실리게 된다. 이때, 전력선혼합기(493)는 타 전력선혼합기의 송신여부를 확인 후 교신이 없는 것을 확인하고 전력선을 이용한다. 이로 인하여, 교신에 혼선이나 충돌이 생기지 않는다. 또한, 다른 층에 배치된 자판기(490(1),…,490(N))도 동일한 절차를 거쳐서 전력선에 판매정보를 실게 된다. 별도의 전원단자에 접속된 전력선 모뎀(495)은 전력선에 정보가 실려있는 지를 상시 모니터링한다. 모니터링결과 정보가 인지되면, 전력선 모뎀(495)의 분리기(496)가 동작을 개시하여 모뎀부(497)를 통해 전화선(498)이나 안테나(499)를 통해 판매정보를 중앙서버로 송출한다. 따라서, 자판기들(490(1),…,490(N))의 판매정보가 실시간 또는 일괄처리방식으로 중앙서버에 전달된다.
도 10a-b는 이동통신 모뎀 내장형 전송단말기의 내부 구성 및 외형을 나타낸다. 이 단말기는 도 7 및 도 8에 보여진 바와 같은 집계장치와의 연결을 통해 집계된 거래내역 데이터를 무선 송출하도록 구성된다.
거래내역을 일괄 처리하고자 하는 관리자는 도 10b에 보여진 전송단말기(500)의 키패드(505)를 조작하여 정산모드로 셋팅한다. 관리자는 정산모드로 셋팅된 전송단말기(500)를 정산대상이 되는 집계기에 근접시켜 적외선 통신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관리자는 전송단말기(500)의 시리얼인터페이스부(501)를 통해 집계기와 포트 연결할 수도 있다. 전송단말기(500)는 적외선 인터페이스부(502)를 통해 정산대상 집계기(미도시)로부터 집계된 거래내역을 일괄 적외선신호로 입력받는다. 포트 연결된 경우, 전송단말기(500)는 시리얼인터페이스(501)를 통해 거래내역 데이터를 전달받는다. 마이크로프로세서(503)는 적외선 인터페이스부(502) 또는 시리얼인터페이스부(501)를 통해 입력되는 거래내역 데이터를 내장 메모리(504)에 일시 저장한다. 그런 다음, 마이크로프로세서(503)는 저장된 거래내역 데이터를 송/수신부(507)를 통해 무선으로 중앙서버(미도시)에 송출한다. 마이크로프로세서(507)는 송출결과를 표시부(506)에 표시하여 관리자로 하여금 통신상태를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위와 같은 전력선 모뎀 접속장치나 이동통신 모뎀 내장형 단말기의 경우에는 시스템을 새로 구성해야 한다. 그래서, 대부분 소지하고 있는 휴대폰을 통해 거래내역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도록 휴대폰접속장치를 제시한다.
도 11a는 휴대폰 접속장치가 적용된 자동판매시스템의 블록구성도이고, 도 11b는 자판기의 휴대폰 접속 예시도이다.
도 11b에 보여진 바와 같이 자판기 전면 커버의 안쪽부분에 자판기콘트롤러(470)가 부착되고, 그 하단에 휴대폰접속장치(510)가 부착된다. 휴대폰접속장치(510)에는 케이블접속부(515)가 마련되어 케이블(516)을 통해 휴대폰(518)의 외부접속포트(517)와 접속된다. 휴대폰접속장치(510)의 케이블접속부(515)에 휴대폰(518)이 접속되면, UART(514)를 통해 CPU(512)에 이를 통지한다. CPU(512)는 I/F부(511)를 통해 자판기콘트롤러(470)를 모니터링하여 거래발생이 감지되면, 그 거래내역을 전달받아 메모리(513)에 저장한다. CPU(512)는 UART(514)를 통해 휴대폰접속이 통지되면, 휴대폰(518)을 통해 미리 셋팅된 접속 번호로 전화를 걸어 메모리(513)에 저장된 거래내역 데이터를 전송한다. CPU(512)는 전화접속된 상대측으로 거래내역 데이터가 성공적으로 전송되면, 메모리(513)에 기록내용을 삭제시킨다. 여기서, 셋팅된 전화번호는 해당 결제기관(카드사 또는 은행)의 중앙서버와 접속될 수 있는 번호이다.
그런데, 위와 같이 휴대폰 이용시 서비스 지역을 벗어난 곳에 설치되는 자동판매시스템에는 적용할 수 없는 한계가 있다. 그래서, 지역적인 한계가 없는 인터넷을 통해 거래내역을 전송할 수 있도록 인터넷 접속장치를 제시한다.
도 12a-b는 인터넷 접속장치의 내부 구성 및 PC와의 연결 상태를 나타낸다. 도 12b를 보면, 인터넷 접속장치(520)는 인터넷 접속이 가능한 PC(526)와 케이블을 통해 연결된다. 인터넷 접속장치(520)는 이동형 집계장치인 PDA(480)나 메모리팩(488)과 접속할 수 있는 메모리접속부(521)와, 적외선 통신으로 집계한 거래내역 데이터를 입력받는 적외선 I/F부(522)를 구비한다.
관리자는 접속장치(520)에 케이블을 통해 PC(526)를 연결하고, 그 접속장치(520)의 메모리접속부(521)에 도 7 또는 도 8에 예시된 이동형 집계장치를결합한다. 메모리접속부(521)는 결합된 이동형 집계장치 내부에 설치된 메모리(488)에 집계된 거래내역 데이터를 인지하여 UART(523)를 통해 CPU(524)로 전달한다. 접속장치(520)는 이동형 집계장치와 결합하지 않아도 적외선 통신을 통해 거래내역 데이터를 전달받을 수 있다. 즉, 접속장치(520)의 적외선I/F부(522)는 적외선형태의 거래내역 데이터를 인지하여 UART(523)를 통해 CPU(524)로 전달한다. CPU(524)는 전달되는 데이터를 UART(523)를 통해 시리얼포트(525)에 연결되어진 PC(526)로 전달한다. PC(526)는 인터넷을 통해 해당 결제기관의 중앙서버(527)에 접속된 상태에서, 접속장치(520)로부터 전달되는 거래내역 데이터를 중앙서버(527)로 전달한다. CPU(524)는 거래내역 데이터를 전송한 후 성공적으로 데이터가 전송되면 결합된 이동형 집계장치내의 메모리(488) 기록내용을 삭제하라는 명령을 전달한다. 집계된 거래내역 데이터가 정상적으로 중앙서버(527)에 전달될 때마다 메모리 기록내용을 클리어시키므로, 메모리 용량을 많이 차지 하지 않게 된다.
인터넷이 보급되지 않은 지역의 경우는 전화선을 통해 거래내역을 전송할 수 있도록 다이얼업(dial-up) 밴(VAN) 접속장치를 제시한다.
도 13a-b는 다이얼업 밴 접속장치의 내부 구성 및 외부 연결 상태를 나타낸다. 도 13b를 보면, 박스(box)형태로 제작된 접속장치(530)의 일측면에는 전화선이 연결되고, 타측면에는 이동형 집계장치인 다수의 메모리팩이 각각 결합될 수 있는 다수의 결합구가 마련된다. 또한, 결합구 각각에 대응되게 LED가 마련되어 메모리팩 별로 현재 처리상태를 알 수 있도록 한다.
관리자는 전화선에 연결되어 있는 접속장치(530)의 결합구들 각각에 처리하고자 하는 이동형 집계장치의 메모리팩(488)들을 결합한다. 메모리팩(488)들 각각에는 서로 다른 장소에 설치된 자판기에서 집계한 거래내역들이 기록되어 있다. CPU(532)는 이 데이터를 UART(531)를 통해 모뎀(533)으로 전달하여 전화선에 실어 중앙 서버(527)로 전송한다. CPU(532)는 거래내역 데이터를 전송한 후 성공적으로 데이터가 전송되면 처리된 메모리팩(488)의 기록내용을 삭제한다.
위와 같은 전송단말기를 이용하면, 본 발명의 광지불에 의한 결제방식을 버스나 택시 요금 자동징수 시스템에도 적용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무인자동판매시스템에서의 광지불에 의한 결제시스템은, 이용자 측면에서는 동전이나 지폐없이도 카드정보가 내장된 휴대단말기를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신용결제할 수 없는 무인자동판매시스템의 상품을 구매할 수 있는 편리함을 제공하며, 시스템 운영자측에서는 동전을 수거하고 이를 은행에서 지폐로 교환하는 대신 지불정보를 저장하고 일정시점마다 집계하여 카드사에서 일괄 결제처리하여 바로 운영자의 계좌로 판매대금을 입금시켜주므로 운영상의 편리함을 얻을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따라서, 본 발명은 카드나 현금을 소지해야 하는 불편함을 최소화하고 분실, 도난, 훼손에 따른 위험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16)

  1. 무인자동판매시스템에 있어서,
    카드정보를 광신호로 송신하는 광지불수단;
    서로 다른 장소에 분산배치되며, 광송수신부를 구비하여 카드정보를 수신하고 판매된 물품의 내역을 기록하는 자동판매기;
    상기 자동판매기 운영자에 의해 일정기간마다 상기 자동판매기가 설치된 장소에 가서 판매내역을 집계하는 집계장치; 및
    상기 집계장치에 집계된 판매내역을 전송하고 일괄 승인요청하는 전송단말기를 포함하는 광결제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판매기는
    물품 판매를 위한 전반적 제어를 수행하는 자판기콘트롤러; 및
    상기 자판기콘트롤러를 모니터링하여 판매가 발생할 때마다 이를 기록하고, 상기 집계장치와 적외선통신을 수행하여 집계명령이 수신되면 이에 따라 기록된 판매내역을 송신하는 광지불수신장치를 구비하는 광결제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집계장치는 PDA인 광결제시스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PDA는
    적외선통신을 위한 Ir송수신기;
    판매내역을 기록하기 위한 메모리;
    상기 Ir송수신기에서 수신된 판매내역을 상기 메모리에 기록하여 집계하고, 집계된 판매내역을 일괄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의 제어하에 집계상황을 표시하는 표시부;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하에 집계된 판매내역을 외부로 전달하는 시리얼포트를 구비하는 광결제시스템.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집계장치는 메모리팩인 광결제시스템.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팩은 비휘발성 메모리(NV-RAM)로, 상기 자동판매기와 커넥터접속하는 광결제시스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단말기는 전력선모뎀접속장치인 광결제시스템.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판매기는
    기록된 판매내역을 변조하는 변환부; 및
    상기 변조된 판매내역을 전력선에 실어 보내는 전력선혼합기를 구비하는 광결제시스템.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선모뎀접속장치는 전원단자에 접속되며, 전력선에 정보가 실려있는 지를 모니터링하여 정보가 인지되면 유무선을 통해 송출하는 전력선모뎀인 광결제시스템.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단말기는
    정산모드를 셋팅하기 위한 키패드;
    상기 집계장치와 적외선통신을 수행하여 집계된 판매내역을 수신하기 위한 Ir인터페이스부;
    상기 집계장치와 포트연결되어 집계된 판매내역을 전달받기 위한 시리얼인터페이스부;
    상기 판매내역을 일시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판매내역을 무선으로 송출하는 송/수신부;
    상기 송출결과를 표시하여 통신상태를 모니터링하는 표시부; 및
    정산모드에서, 상기 각 구성들을 제어하여 집계된 판매내역을 일괄 승인요청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를 구비하는 광결제시스템.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단말기는 휴대폰접속장치인 광결제시스템.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폰접속장치는
    상기 자동판매기를 모니터링하여 판매내역 발생을 감지하는 I/F부;
    판매내역이 감지될 때마다 판매내역을 전달받아 저장하는 메모리;
    휴대폰 외부접속포트와 케이블을 통해 접속하기 위한 케이블접속부;
    휴대폰 접속을 감지하여 이를 제어부에 통지하기 위한 UART부; 및
    휴대폰 접속이 통지되면 휴대폰을 통해 미리 셋팅된 접속 번호로 전화를 걸어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판매내역을 전송하고 메모리에 저장내역을 삭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광결제시스템.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단말기는 인터넷접속장치인 광결제시스템.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넷접속장치는
    상기 집계장치에 집계된 판매내역을 전달받기 위한 메모리접속부;
    상기 집계장치와 적외선통신을 수행하여 집계된 판매내역을 수신하기 위한 적외선I/F부;
    인터넷 접속 PC와의 연결을 위한 시리얼포트; 및
    상기 판매내역을 상기 시리얼포트를 통해 전달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광결제시스템.
  1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단말기는 다이얼업 밴 접속장치인 광결제시스템.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얼업 밴 접속장치는 상기 집계장치에서 집계된판매내역을 전화선에 실어 보내는 모뎀을 구비하는 광결제시스템.
KR10-2002-0059524A 2000-12-06 2002-09-30 무인자동판매시스템에서의 광지불에 의한 결제시스템 KR10037216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3718 2000-12-06
KR20000073718 2000-12-06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13736A Division KR100366060B1 (ko) 2000-03-16 2001-03-16 광지불송수신장치 및 이를 이용한 광결제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83524A true KR20020083524A (ko) 2002-11-02
KR100372167B1 KR100372167B1 (ko) 2003-02-14

Family

ID=276798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59524A KR100372167B1 (ko) 2000-12-06 2002-09-30 무인자동판매시스템에서의 광지불에 의한 결제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7216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1374B1 (ko) * 2015-11-04 2016-08-25 중소기업은행 카드 및 이의 비밀번호 입력 방법, 그리고 카드처리기기 및 이의 카드 처리 방법
KR101865448B1 (ko) * 2015-05-14 2018-06-07 염석환 스마트 단말기의 후레쉬를 이용한 인증시스템 및 방법
KR20210107515A (ko) * 2020-02-24 2021-09-01 민팃(주) 무인 판매기를 이용한 판매와 구매 중개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5448B1 (ko) * 2015-05-14 2018-06-07 염석환 스마트 단말기의 후레쉬를 이용한 인증시스템 및 방법
KR101651374B1 (ko) * 2015-11-04 2016-08-25 중소기업은행 카드 및 이의 비밀번호 입력 방법, 그리고 카드처리기기 및 이의 카드 처리 방법
KR20210107515A (ko) * 2020-02-24 2021-09-01 민팃(주) 무인 판매기를 이용한 판매와 구매 중개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72167B1 (ko) 2003-0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70330168A1 (en) Method and portable apparatus for settling transaction
US20060173790A1 (en) Optical payment transceiver and system using the same
GB2362981A (en) A utility meter incorporating a transaction authorisation system
JP2002366862A (ja) Icカード及び電子マネー入金システム
JP3766315B2 (ja) 電子マネー管理システム、電子マネー管理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EP1632888A1 (en) Electronic money management system, electronic money management method, and computer program
CN100492420C (zh) 光学支付发射机
KR100372167B1 (ko) 무인자동판매시스템에서의 광지불에 의한 결제시스템
JP2002063631A (ja) 端末および商品購入システム
KR100407654B1 (ko) 버스/택시 요금 자동 징수를 위한 광결제시스템
JP4177350B2 (ja) 入金端末装置
KR100407657B1 (ko) 일괄처리 결제시스템
KR100407656B1 (ko) 지하철 요금 자동 징수를 위한 광결제시스템
KR100399730B1 (ko) Atm 관리 시스템
KR100407655B1 (ko) 키오스크의 수수료 광결제시스템 및 방법
KR100392887B1 (ko) 톨게이트 통행료 정산시스템에서의 광지불에 의한결제시스템
KR101022791B1 (ko) 신용카드를 이용한 동전지급 시스템 및 그 방법
CA2283513A1 (en) Method and system for automatic teller machine and associated service
WO2001069863A1 (en) An electronic mail service system comprising an internet network
KR100736452B1 (ko) 잔돈을 이용한 통신요금 선결제방법
JP2008257712A (ja) 自動販売機システム及びロケーションサーバ
JP2000251157A (ja) 商品販売登録データ処理装置
KR20030042933A (ko) 카드 결제 방법
JP2003320148A (ja) 代金回収システム、代金管理サーバ及び代金請求サーバ
WO2001077862A2 (en) Apparatus and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11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