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79033A - 단축번호를 이용한 정보 전송 및 연결 시스템 - Google Patents

단축번호를 이용한 정보 전송 및 연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79033A
KR20020079033A KR1020010019632A KR20010019632A KR20020079033A KR 20020079033 A KR20020079033 A KR 20020079033A KR 1020010019632 A KR1020010019632 A KR 1020010019632A KR 20010019632 A KR20010019632 A KR 20010019632A KR 20020079033 A KR20020079033 A KR 200200790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user
communication medium
communication
communication medi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196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추연수
Original Assignee
(주)일일사닷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일일사닷컴 filed Critical (주)일일사닷컴
Priority to KR10200100196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79033A/ko
Publication of KR200200790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79033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04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terminals or networks with limited capabilities; specially adapted for terminal portabi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4Additional connecting arrangements for providing access to frequently-wanted subscribers, e.g. abbreviated dial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운영서버에 데이터를 수신받는 전화, 팩스, 이메일, 음성메시지, 컴퓨터 등의 통신매체에 관한 정보를 등록함으로써 데이터를 수신받는 각 통신매체의 번호 또는 아이디를 인지하지 않더라도 정보수신자의 ID만을 인식하고 있으면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는 단축번호를 이용한 정보 전송 및 연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전송 시스템은 인터넷에 접속가능한 통신매체와, 통신매체와 인터넷을 통하여 연결되며 각종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들이 구축된 운영서버로 이루어지며, 운영서버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신매체를 소유한 이용자로부터 이용자정보와 통신매체정보를 입력받고, 이용자의 선택에 의한 회원 ID를 부여함과 동시에 단축번호에 통신매체의 수신정보를 매칭시키고 이들을 각각 회원정보 DB와 통신매체정보 DB에 저장하여 관리하는 등록모듈과, 회원으로 등록된 이용자가 정보를 회원으로 등록된 다른 이용자의 통신매체로 전송하는 것을 관리하는 통신관리모듈, 및 각 모듈의 기능을 제어하고, 회원정보 DB와 통신매체정보 DB로부터 데이터 입출력을 제어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하며, 이용자는 다른 이용자의 ID와 다른 이용자의 통신매체에 대응하여 부여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축번호를 선택함으로써 정보를 전송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단축번호를 이용한 정보 전송 및 연결 시스템{Information transmission and connection system using abbreviation member}
본 발명은 단축번호를 이용한 정보 전송 및 연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운영서버에 데이터를 수신받는 전화, 팩스, 이메일, 음성메시지, 컴퓨터 등의 통신매체에 관한 정보를 등록함으로써 데이터를 수신받는 각 통신매체의 번호 또는 아이디를 인지하지 않더라도 정보수신자의 ID만을 인식하고 있으면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는 단축번호를 이용한 정보 전송 및 연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인터넷을 화두로 해서 시작한 21세기 지식정보화 시대에 살고 있는 일반인들은 일상생활 중에서 인터넷을 이용하여 많은 데이터를 다양한 통신매체에 주고받는다. 예를 들면, 인터넷 사용자는 컴퓨터에서 일반 팩스 또는 이메일로 데이터를 전송한다.
또한 음성에 의한 데이터를 전송 및 수신하는 인터넷폰은 인터넷폰 소프트웨어를 탑재한 컴퓨터에서 일반 전화로 통화가 가능하도록 하는 방식으로 인터넷 게이트웨이서버를 사용해야만 하고, 컴퓨터가 인터넷에 접속된 상태에서 일반 전화에 연결하여 사용한다. 또한 인터넷폰은 인터넷폰 소프트웨어를 탑재한 컴퓨터의 IP를 알고 있을 때에 해당 IP 주소를 선택하여 상대방과의 전화 연결이 가능하다.
그러나, 이와 같이 인터넷을 이용하여 팩스, 이메일 및 전화와 컴퓨터에 인터넷폰 등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상대방의 팩스번호, 이메일 주소, 전화번호, 컴퓨터 IP 등을 향상 숙지해야만 데이터의 전송이 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정보의 송·수신을 위해 접속하는 운영서버에 전화번호, 팩스번호, 이메일 주소, 음성메시지 주소, 컴퓨터 IP 등에 관한 정보를 각각 단축번호로 등록함으로써 정보수신자가 대표 ID만을 인식하고 있으면 통신매체의 번호, 주소 또는 IP를 숙지하지 않더라도 원하는 매체에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는 단축번호를 이용한 정보 전송 및 연결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운영서버에 접속한 컴퓨터의 IP 정보를 접속종료시까지 DB에 저장하고 접속자의 단축번호에 매칭시킴으로써 정보수신자의 컴퓨터 IP 번호를 알지 못하는 경우에도 자유롭게 인터넷폰으로 통화가 가능한 단축번호를 이용한 정보 전송 및 연결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운영서버에 데이터를 수신하는 통신매체에 대한 정보를 단축번호로서 등록함으로써 정보수신자가 둘 이상의 단축번호를 함께 지정함으로써 한번에 다양한 통신매체로의 데이터 전송이 가능한 단축번호를 이용한 정보 전송 및 연결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단축번호를 이용한 정보 전송 및 연결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단축번호를 이용한 정보 전송 및 연결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통신매체를 운영서버에 등록하는 과정을 도시한 플로우챠트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회원인 이용자가 정보를 회원인 다른 이용자에게 전달하는 과정을 도시한 플로우챠트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따른 실시예로서 PC to PC의 이용한 인터넷폰을 이용하기 위한 플로우챠트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라 이용자의 통신매체가 단축번호에 등록한 일실시예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정보전송자 200 : 안내서버
300 : 인터넷 202 : 등록모듈
204 : IP 관리모듈 206 : 통신 관리모듈
208 : 제어모듈 210 : 회원정보 DB
212 : 통신매체정보 DB 214 : IP정보 DB
상기와 같은 목적을 위한 본 발명의 단축번호를 이용한 정보 전송 및 연결 시스템은 인터넷에 접속가능한 통신매체와, 통신매체와 인터넷을 통하여 연결되며 각종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들이 구축된 운영서버로 이루어지며, 운영서버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신매체를 소유한 이용자로부터 이용자정보와 통신매체정보를 입력받고, 이용자의 선택에 의한 회원 ID를 부여함과 동시에 단축번호에 통신매체의 수신정보를 매칭시키고 이들을 각각 회원정보 DB와 통신매체정보 DB에 저장하여 관리하는 등록모듈과, 회원으로 등록된 이용자가 정보를 회원으로 등록된 다른 이용자의 통신매체로 전송하는 것을 관리하는 통신관리모듈, 및 각 모듈의 기능을 제어하고, 회원정보 DB와 통신매체정보 DB로부터 데이터 입출력을 제어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하며, 이용자는 다른 이용자의 ID와 다른 이용자의 통신매체에 대응하여 부여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축번호를 선택함으로써 정보를 전송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 운영서버는 접속자의 이용자의 IP 정보를 접속종료시까지 IP정보 DB에 저장하여 관리하는 IP 관리모듈을 더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통신매체는 팩스, 유선전화, 셀룰러폰 또는 컴퓨터의 적어도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또한 회원 ID는 숫자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ID를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단축번호를 이용한 정보 전송 및 연결 시스템의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단축번호를 이용한 정보 전송 및 연결 시스템의 구성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통신매체를 운영서버에 등록하는 과정을 도시한 플로우챠트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회원인 이용자가 정보를 회원인 다른 이용자에게 전달하는 과정에 도시한 플로우챠트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따른 실시예로서 PC to PC의 이용한 인터넷폰을 이용하기 위한 플로우챠트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라 이용자의 통신매체가 단축번호에 등록한 일실시예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이용자(100)는 유·무선으로 인터넷망에 접속가능한 클라이언트로부터 인터넷망(300)으로 연결된 통신 인터페이스(216)를 통하여 운영서버(200)에 접속한다.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보다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운영서버(200)는 등록모듈(202), IP 관리모듈(204), 통신관리모듈(206) 및 제어모듈(208)로 구성되며, 각종 데이터베이스(210~214;DB)와 연동된다.
데이터베이스는 등록된 이용자의 ID, 비밀번호를 포함하는 각종 정보를 저장하는 회원정보 DB(210)와 단축번호에 매칭된 각종 통신매체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는 통신매체정보 DB(212) 및 운영서버에 접속한 이용자의 IP 정보를 저장하는 IP정보 DB(214)를 포함한다.
운영서버의 등록모듈(202)은 회원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신매체를 소유한 이용자로부터 이용자정보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매체정보를 각각 입력받고, 이용자의 선택에 의한 회원 ID를 부여함과 동시에 단축번호에 통신매체(400)의 수신정보를 매칭시켜 이들을 각각 회원정보 DB(210)와 통신매체정보 DB(212)에 저장하고, 각각의 정보가 변경되는 수정 사항을 관리한다. 이때, 등록모듈(202)은 이용자가 자주 이용하는 통신매체에 대한 정보는 Home의 단축번호 내에 등록하고, 이용자가 수시로 변경되는 통신매체에 대한 정보는 Away의 단축번호 내에 나누어 등록할 수 있다.
IP 관리모듈(204)은 이용자가 운영서버에 접속하는 순간부터 접속 종료시까지 운영서버에 접속된 이용자의 접속 IP에 관한 정보를 이용자의 회원 ID와 함께 접속 종료시까지 IP정보 DB(214)에 저장하고, 단축번호에 등록하는 것을 관리한다.
통신 관리모듈(206)은 회원으로 등록된 이용자가 운영서버에 접속하여 회원인 다른 이용자의 통신매체에 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관리한다.
제어모듈(210)은 각 모듈의 기능을 제어하고, 회원정보 DB(210)와 통신매체정보 DB(212)로부터 데이터 입출력을 제어한다.
본 발명의 단축번호를 이용한 정보 전송 및 연결 시스템의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바탕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을 참조하여 이용자의 회원 가입 절차에 대하여 설명하면, 이용자(100)는 인터넷에 접속가능한 클라이언트를 이용하여 인터넷망(300)을 통해 전화번호 운영서버(200)에 접속한다(단계 S302).
회원으로 가입하는 이용자는 희망하는 회원 ID와 패스워드를 포함하는 이용자정보와 함께 데이터의 송·수신하는 전화, 팩스, 이메일 등의 통신매체에 관한 정보를 입력한다(단계 S304). 바람직하게, 이용자의 회원 ID는 무선 단말기에서도 간편하게 사용가능한 전화번호와 같은 숫자로 사용한다.
운영서버(200)는 이용자의 회원 ID와 패스워드를 회원정보 DB(210)에 저장하고(단계 S306), 이용자의 통신매체에 관한 정보는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단축번호에 입력하여 통신매체정보 DB(212)에 저장한다(단계 S308). 이때, 단축번호는 통신매체의 종류에 따라 일괄적으로 부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1번의 단축번호에는 전화번호를 입력하고, 2번에는 팩스번호를 입력하고, 3번에는 이메일 주소를 입력하고, 4번에는 인터넷폰이 가능한 컴퓨터 IP를 각각 입력한다. 이때, 4번에 입력되는 컴퓨터 IP는 운영서버에 접속하는 경우에 자동으로 운영서버에서 설정한다.
바람직하게, 통신매체에 단축번호를 부여하는 방법은 이용자의 이용빈도수에 따라 2가지 방법으로 설정할 수 있다. 즉, 일정 기간 고정적으로 사용하는 이용자의 전화번호, 팩스, 이메일 등은 Home에 설정 등록하고, 출장 등으로 인하여 자주 변경되는 경우에는 변경되는 전화번호, 팩스, 이메일 등을 Away에 설정 등록하여이용자가 Away를 사용할 때에는 운영서버에 접속하여 Away을 설정하여 사용하고, 원래의 전화번호, 팩스, 이메일 등을 사용할 때에는 운영서버에 접속하여 Home을 설정하여 다시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저장된 회원 ID와 통신매체의 단축번호는 상호 연동되어 이용자가 다른 이용자의 회원 ID와 단축번호만을 선택하면 개별적인 통신매체의 수신번호를 알지 못할지라도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통신매체의 정보가 변경되는 경우에 회원은 운영서버에 접속하여 해당 번호의 통신매체 정보를 변경함으로써 정보를 제공하는 이용자는 변경된 통신매체 정보에 상관없이 같은 단축번호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여 회원인 이용자가 정보를 회원인 다른 이용자에게 전달하는 과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인터넷에 접속가능한 클라이언트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이용자(100)가 인터넷망(300)을 통해 전화번호 운영서버(200)에 접속하면(단계 S402), 안내서버(200)는 접속자의 ID와 비밀번호를 체크하여 이용자의 회원 유무를 확인한다(단계 S404). 이때, 등록된 회원이 아닌 경우에는 회원으로 등록하여야 해당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는 표시와 함께 별도의 등록절차를 거쳐 회원으로 가입시킨다(단계 S414).
회원으로 확인된 이용자(100)는 데이터를 수신받는 다른 이용자의 회원 ID를 선택하고(단계 S406), 통신매체(400)의 번호 또는 주소가 매칭된 단축번호를 선택하여 수신받는 통신매체(400)를 결정하고(단계 S408), 해당 데이터를 전송한다(단계 S410). 즉,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데이터를 수신받는 이용자의 ID가 "3453-0059"이고, PC to 전화를 이용할 때에는 "3453-0059"의 회원 ID를 선택한 후에 1번의 단축번호를 선택하여 통신매체(400)인 전화에 연결하여 데이터를 전송하고, 팩스로 데이터를 보낼 때에는 수신받은 이용자의 회원 ID를 선택한 후 2번의 단축번호를 선택하여 매칭된 통신매체(400)인 팩스로 데이터를 보낼 수 있으며, 이메일(e-mail)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정보수신자를 선택한 후 3번의 단축번호를 선택하여 매칭된 통신매체(400)인 이메일로 데이터를 보낼 수 있다.
이러한, 단축번호를 이용하면 이용자(400)가 데이터를 수신받는 이용자의 전화번호, 팩스번호, 이메일 주소 등을 알지 못하는 경우에도 회원 ID만을 알고 있으면 원하는 형태의 통신매체(400)에 정보를 전달할 수 있고, 동시에 2 이상의 통신매체를 선택하여 함께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PC to PC로 인터넷폰을 이용하는 과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인터넷폰을 수신받는 회원인 이용자가 인터넷폰이 가능한 통신매체(400)를 통해서 운영서버(200)에 접속하면(단계 S502), IP 관리모듈(204)은 접속 IP를 확인하여 IP정보 DB에 저장하고, 이용자의 단축번호를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축번호 4의 IP 번호란에 등록한다(단계 S504). 즉, IP 관리모듈(204)에서 회원의 접속된 IP를 확인함으로써 운영서버와 접속된 회원사이에서는 언제든지 정보의 교류가 가능해진다.
또한 인터넷폰을 거는 이용자(100)가 운영서버(200)에 접속하면 운영서버(200)에서 회원유무를 확인한다(단계 S506).
회원인 이용자(100)는 수신받는 이용자의 회원 ID를 선택하고(단계 S508), 인터넷폰의 단축번호를 선택하여 수신받는 이용자의 통신매체에 연결을 시도한다(단계 S510). 즉,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수신받는 이용자의 ID가 "3543-0059"인 경우에는 해당 ID를 선택하고, 컴퓨터 ID가 저장된 단축번호 4를 선택하여 통신한다. 이때, 단축번호에 수신받는 이용자의 IP가 존재하기 않는 경우에는 인터넷폰을 이용할 수 없다는 메시지를 표시한다.
인터넷폰을 거는 이용자(100)와 수신받는 이용자가 서로 연결되면 상호 통화를 수행한다(단계 S512).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기술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있어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첨부된 청구범위에 정의된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발명을 여러 가지로 변형 또는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앞으로의 실시예들의 변경은 본 발명의 기술을 벗어날 수 없을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단축번호를 이용한 정보 전송 및 연결 시스템은 전화, 팩스, 이메일, 음성메시지, 접속자 IP 등에 관한 정보를 각각 단축번호에 일괄적으로 등록함으로써 정보수신자가 대표 ID만을 인식하고 있으면 수신받는 각 통신매체의 개별 번호를 또는 아이디를 인지하지 않더라도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운영서버에서 접속한 클라이언트에 대한 IP정보를 접속종료시까지 DB에 저장하고 접속자의 단축번호에 매칭시켜 인터넷폰을 수신받는 환경을 설정함으로써 정보제공자의 컴퓨터에서 정보수신자의 컴퓨터로 인터넷폰을 이용한 통화가 가능하다.
또한 데이터를 수신하는 통신매체에 대한 정보를 단축번호로서 등록됨으로써 정보수신자가 정보수신자의 대표 ID 및 단축번호를 지정함으로써 한번에 다양한 통신매체로의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다.
또한 정보수신자의 위치가 수시로 변경되어도 등록된 통신매체의 설정만을 수정함으로써 정보전송자는 같은 단축번호를 이용하여도 정보수신자의 변경된 통신매체에 데이터를 정확하게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이용자가 주로 이용하는 통신매체에 대한 정보는 Home에 등록하고, 출장 등으로 변경되는 통신매체에 대한 정보는 Away에 설정하여 통신매체에 대한 정보가 변경될 때마다 등록할 필요없이 선택적으로 등록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Claims (5)

  1. 인터넷에 접속가능한 통신매체와, 상기 통신매체와 상기 인터넷을 통하여 연결되며 각종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들이 구축된 운영서버로 이루어지며,
    상기 운영서버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신매체를 소유한 이용자로부터 이용자정보와 통신매체정보를 입력받고, 상기 이용자의 선택에 의한 회원 ID를 부여함과 동시에 단축번호에 상기 통신매체의 수신정보를 매칭시키고 이들을 각각 회원정보 DB와 통신매체정보 DB에 저장하여 관리하는 등록모듈과;
    회원으로 등록된 이용자가 정보를 회원으로 등록된 다른 이용자의 통신매체로 전송하는 것을 관리하는 통신관리모듈; 및
    상기 각 모듈의 기능을 제어하고, 상기 회원정보 DB와 통신매체정보 DB로부터 데이터 입출력을 제어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이용자는 상기 다른 이용자의 ID와 상기 다른 이용자의 통신매체에 대응하여 부여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축번호를 선택함으로써 상기 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축번호를 이용한 정보 전송 및 연결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운영서버는 상기 접속자의 IP 정보를 접속종료시까지 IP정보 DB에 저장하여 관리하는 IP 관리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단축번호를 이용한 정보 전송 및 연결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매체는 팩스, 유선전화, 셀룰러폰 또는 컴퓨터 의 적어도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축번호를 이용한 정보 전송 및 연결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원 ID는 숫자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축번호를 이용한 정보 전송 및 연결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등록모듈은 자주 이용하는 상기 통신매체에 대한 정보는 Home의 단축번호 내에 등록하고, 임시로 변경되는 상기 통신매체에 대한 정보는 Away의 단축번호 내에 등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축번호를 이용한 정보 전송 및 연결 시스템.
KR1020010019632A 2001-04-12 2001-04-12 단축번호를 이용한 정보 전송 및 연결 시스템 KR2002007903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9632A KR20020079033A (ko) 2001-04-12 2001-04-12 단축번호를 이용한 정보 전송 및 연결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9632A KR20020079033A (ko) 2001-04-12 2001-04-12 단축번호를 이용한 정보 전송 및 연결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79033A true KR20020079033A (ko) 2002-10-19

Family

ID=277009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19632A KR20020079033A (ko) 2001-04-12 2001-04-12 단축번호를 이용한 정보 전송 및 연결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79033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78578B2 (en) Sharing of presence-based time-zone information
US769792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st optimization of cellular networks indication
US6907240B2 (en) Communications control system, communications control method, service control station, and communications control station
CN1910883B (zh) 利用电话机的即时消息传递
CN102868722A (zh) 多个联网设备的呼叫方-被叫方关联
US20060198350A1 (en) Method for transmitting messages in mobile communications system and mobile communications terminal
CN101543012A (zh) 通信系统
US8576834B2 (en) Communication system
JP3332221B2 (ja) モバイル端末の接続管理方法及び方式
US20050259666A1 (en) Method for distributing and collecting address information
US784021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esence indication of cellular telephones
JP2004140716A (ja) プレゼンス情報対応通信端末
KR20020072929A (ko) 컴퓨터 통신망을 기반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 및 방법
KR20020079033A (ko) 단축번호를 이용한 정보 전송 및 연결 시스템
JP2002325086A (ja) Ip接続通信システム及びip接続端末機
KR100434647B1 (ko) 네트워크 상에서의 연락처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030040570A (ko) 발신자 정보 입력 및 표시 단말기와, 그 단말기에서발신자 정보를 처리하는 방법, 및 웹기반 발신자 정보등록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010025783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자명함 서비스 방법
KR20030079161A (ko) 단문 메세지 서비스를 이용한 전화번호부 전송 방법
KR19990009076A (ko) 전화번호를 이용한 메일서비스 제공방법
JP6602919B2 (ja) 通信サーバ
EP1819132B1 (en) Method and system for addressing in relation to multiple applications
KR20070120009A (ko) 메시지 그룹전송 시스템 및 방법
KR20030000108A (ko) 네트워크 상에서의 주소록 통합 관리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JP3073407U (ja) 情報発信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