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79030A - 사용자 위치파악이 가능한 가전제품 원격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사용자 위치파악이 가능한 가전제품 원격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79030A
KR20020079030A KR1020010019609A KR20010019609A KR20020079030A KR 20020079030 A KR20020079030 A KR 20020079030A KR 1020010019609 A KR1020010019609 A KR 1020010019609A KR 20010019609 A KR20010019609 A KR 20010019609A KR 20020079030 A KR20020079030 A KR 200200790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receiver
level value
power level
lo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196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금옥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지맥스테크놀러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지맥스테크놀러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지맥스테크놀러지
Priority to KR10200100196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79030A/ko
Publication of KR200200790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79030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H04Q9/02Automatically-operated arrangement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2201/00Transmission systems of control signals via wireless link
    • G08C2201/90Additional features
    • G08C2201/91Remote control based on location and proxim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0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 H04Q2209/4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using a wireless archite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 위치파악이 가능한 가전제품 원격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사용자 위치파악이 가능한 가전제품 원격제어 방법은, RF 리모콘(1)에서 사용자의 버튼 조작에 의하여 생성된 헤더와 제어데이터를 서로 다른 전력레벨의 RF 신호로 중복송신하는 단계(S10); 각 RF 수신기(2)에서 상기 서로 다른 전력레벨의 RF 신호를 중복수신하여 RF 수신기 ID, 헤더 수신여부, 중복수신된 RF 신호의 각 측정 전력레벨값, 및 제어데이터로 이루어진 전송프레임을 홈게이트웨이(3)로 송신하는 단계(S20); 및 상기 홈게이트웨이(3)에서 상기 RF 수신기 ID 및 각 측정 전력레벨값을 사용하여 사용자의 위치를 파악한 후 제어데이터에 따라 파악된 위치에 관련된 각 가전제품을 제어하는 단계(S30)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하나의 RF 리모콘으로 사용자의 위치에 관계없이 모든 가전제품을 편리하게 제어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위치하고 있지 않은 공간의 가전제품의 전력소모를 방지하여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다.

Description

사용자 위치파악이 가능한 가전제품 원격제어 방법{Method for remote controling electric home appliances}
본 발명은 사용자 위치파악이 가능한 가전제품 원격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 자세하게는 사용자의 위치에 관계없이 모든 가전제품을 하나의 리모콘으로 제어할 수 있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적외선 리모콘은 텔레비전, 비디오, 오디오 등의 가전제품을 제어하는 데 많이 이용되고 있지만, 해당 리모콘에 의해서만 가전제품을 제어할 수 밖에 없어 여러 개의 리모콘이 각각 필요할 뿐만 아니라, 제어하고자 하는 가전제품이 적외선이 투과되지 못하는 곳에 위치하고 있을 경우에는 사용자가 해당 가전제품이 있는 위치로 이동하여 리모콘을 작동시켜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의 위치를 파악하여 사용자의 위치에 관계없이 하나의 RF 리모콘으로 모든 가전제품을 제어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사용자 위치파악이 가능한 가전제품 원격제어 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시스템의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사용자 위치파악이 가능한 가전제품 원격제어 방법의 전체적인 플로우챠트.
도 3은 도 2에 있어서 각 가전제품을 제어하는 단계(S30)의 세부적인 플로우챠트.
도 4는 RF 리모콘(1)의 전송형식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RF 수신기(2)가 중복수신된 RF 신호의 전력레벨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RF 수신기(2)의 전송형식을 나타낸 도면.
도 7은 홈게이트웨이(3)가 사용자의 위치를 파악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RF 리모콘
2 : RF 수신기
3 : 홈게이트웨이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사용자 위치파악이 가능한 가전제품 원격제어 방법은, RF 리모콘(1)에서 사용자의 버튼 조작에 의하여 생성된 헤더와 제어데이터를 서로 다른 전력레벨의 RF 신호로 중복송신하는 단계(S10); 각 RF 수신기(2)에서 상기 서로 다른 전력레벨의 RF 신호를 중복수신하여 RF 수신기 ID, 헤더 수신여부, 중복수신된 RF 신호의 각 측정 전력레벨값, 및 제어데이터로 이루어진 전송프레임을 홈게이트웨이(3)로 송신하는 단계(S20); 및 상기 홈게이트웨이(3)에서 상기 RF 수신기 ID 및 각 측정 전력레벨값을 사용하여 사용자의 위치를 파악한 후 제어데이터에 따라 파악된 위치에 관련된 각 가전제품을 제어하는 단계(S30)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사용자 위치파악이 가능한 가전제품 원격제어 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시스템의 블록도로, RF 리모콘(1)은 온/오프 기능, 볼륨조절 기능 등 리모콘으로서의 각종 기능을 보유하고 있고 사용자의 버튼조작에 의하여 발생되는 신호를 무선으로 송신할 수 있으며, 홈게이트웨이(3)는 공간의 지리적정보, 각 RF 수신기(2)의 위치, 가전제품의 위치, 및 측정 전력레벨값에 따른 위치반경 데이터가 저장된 메모리를 더 포함하고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사용자 위치파악이 가능한 가전제품 원격제어 방법의 전체적인 플로우챠트이며, 도 3은 도 2에 있어서 각 가전제품을 제어하는 단계(S30)의 세부적인 플로우챠트이다.
사용자가 RF 리모콘(1)의 버튼을 누르면, RF 리모콘(1)은 헤더와 제어데이터를 생성한 후 이들을 도 4와 같이 서로 다른 전력레벨의 RF 신호로 중복송신한다(S10).
각 RF 수신기(2)가 RF 리모콘(1)으로부터 서로 다른 전력레벨의 RF 신호를중복수신하면 도 5에 표시된 바와 같이 중복수신된 RF 신호의 전력레벨을 각각 측정하여, 도 6에 표시된 바와 같이 RF 수신기 ID, 헤더 수신여부, 각 측정 전력레벨값, 및 제어데이터로 이루어진 전송프레임을 홈게이트웨이(3)로 송신한다(S20). 여기에서, RF 수신기(2)의 측정 전력레벨값은 서로 다른 두 값, 즉 측정 전력레벨값1, 측정 전력레벨값2를 갖게 되는데, 이는 RF 리모콘(1)으로부터 서로 다른 전력레벨의 RF 신호를 중복수신하기 때문이다.
그 다음, 홈게이트웨이(3)가 각 RF 수신기(2)로부터 전송프레임을 수신하면 RF 수신기 ID 및 각 측정 전력레벨값을 사용하여 사용자의 위치를 파악한 후 제어데이터에 따라 파악된 위치에 관련된 각 가전제품을 제어한다(S30).
각 가전제품을 제어하는 단계(S30)를 더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각 RF 수신기(2)로부터 전송프레임을 수신하면(S31), 도 7에 표시된 바와 같이 전송프레임의 측정 전력레벨값1에 따른 위치반경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사용자의 제1위치반경을 계산하고(S32), 전송프레임의 측정 전력레벨값2에 따른 위치반경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사용자의 제2위치반경을 계산한다(S33). 여기에서, 사용자의 제1, 2위치반경과 측정 전력레벨값은 서로 반비례 관계에 있는 데, 그 이유는 사용자가 근처에 있을수록 측정 전력레벨값이 높기 때문이다. 그 다음, 상기 제1위치반경 또는 제2위치반경 중 작은 반경을 각 RF 수신기 ID에 따른 사용자의 예상 위치반경으로 선택하고(S34), 각 RF 수신기 ID에 따른 사용자의 예상 위치반경들이 중첩되는 중첩지역을 계산하여 이 중첩지역을 사용자의 위치로 파악한다(S35).
그 다음, 상기 파악된 사용자의 위치를 상기 공간의 지리적 정보에 맵핑한후(S36), 제어데이터에 따라 파악된 사용자의 위치에 관련된 가전제품을 제어한다(S37). 예를 들어, 사용자가 안방에서 TV를 시청하다가 거실로 이동한 후 RF 리모콘(1)으로 TV를 켜면, 홈게이트웨이(3)는 사용자가 거실에 있는 것을 파악한 후 거실의 TV를 켜 사용자가 안방에서 시청하고 있던 채널을 계속 시청할 수 있도록 하고, 사용자가 주방에서 RF 리모콘(1)으로 조명을 켜면 홈게이트웨이(3)는 사용자가 주방에 있는 것을 파악한 후 주방의 조명을 밝힌다.
본 발명에 있어서, RF 리모콘(1)은 사용자의 버튼조작에 의한 RF 신호를 중복송신함으로써 사용자의 위치를 더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으며, RF 수신기(2)는 수신된 RF 신호의 전력레벨 측정시 일정 전력레벨을 초과하거나 미달하는 전력이 측정될 경우 이를 무시하는 처리를 수행함으로써 잡음에 대한 에러를 줄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용자 위치파악이 가능한 가전제품 원격제어 방법에 의하면, 사용자가 해당 가전제품이 있는 위치로 이동하여 리모콘을 작동시켜야 하는 종래의 방법에 비하여, 사용자의 위치에 관계없이 모든 가전제품을 편리하게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사용자 위치파악이 가능한 가전제품 원격제어 방법에 의하면, 여러개의 리모콘을 필요로 하는 종래의 원격제어 방법에 비하여 하나의 RF 리모콘으로 모든 가전제품을 제어할 수 있어 사용자에게 매우 편리하며, 사용자의 위치를 파악함으로써 사용자가 위치하고 있지 않은 공간의 가전제품의 전력소모를 방지하여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특히, 본 발명으로 가족 구성원마다 고유한 ID를 부여하여 해당 ID에 따라 각각 다른 방식으로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며, 비상벨을 구비하여 위급사항시 외부와 연결하는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3)

  1. 다수의 가전제품을 리모콘으로 원격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RF 리모콘(1)에서 사용자의 버튼 조작에 의하여 생성된 헤더와 제어데이터를 서로 다른 전력레벨의 RF 신호로 중복송신하는 단계(S10);
    각 RF 수신기(2)에서 상기 서로 다른 전력레벨의 RF 신호를 중복수신하여 RF 수신기 ID, 헤더 수신여부, 중복수신된 RF 신호의 각 측정 전력레벨값, 및 제어데이터로 이루어진 전송프레임을 홈게이트웨이(3)로 송신하는 단계(S20); 및
    상기 홈게이트웨이(3)에서 상기 RF 수신기 ID 및 각 측정 전력레벨값을 사용하여 사용자의 위치를 파악한 후 제어데이터에 따라 파악된 위치에 관련된 각 가전제품을 제어하는 단계(S30)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위치파악이 가능한 가전제품 원격제어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홈게이트웨이(3)는 공간의 지리적정보, 상기 각 RF 수신기(2)의 위치, 가전제품의 위치, 및 측정 전력레벨값에 따른 위치반경 데이터가 저장된 메모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위치파악이 가능한 가전제품 원격제어 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각 가전제품을 제어하는 단계(S30)는,
    상기 각 RF 수신기(2)로부터 전송프레임을 수신하는 단계(S31);
    상기 전송프레임의 측정 전력레벨값1 및 측정 전력레벨값2에 따른 위치반경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사용자의 제1위치반경 및 제2위치반경을 계산하는 단계(S32~S33);
    상기 제1위치반경 또는 제2위치반경 중 작은 반경을 각 RF 수신기(2) ID에 따른 사용자의 예상 위치반경으로 선택하는 단계(S34);
    상기 각 RF 수신기 ID에 따른 사용자의 예상 위치반경들이 중첩되는 중첩지역을 계산하여 사용자의 위치를 파악하는 단계(S35);
    상기 파악된 사용자의 위치를 상기 공간의 지리적 정보에 맵핑하는 단계(S36); 및
    상기 맵핑 단계(S36)에 의해서 파악된 위치에 관련된 가전제품을 제어데이터에 따라 제어하는 단계(S37)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위치파악이 가능한 가전제품 원격제어 방법.
KR1020010019609A 2001-04-12 2001-04-12 사용자 위치파악이 가능한 가전제품 원격제어 방법 KR2002007903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9609A KR20020079030A (ko) 2001-04-12 2001-04-12 사용자 위치파악이 가능한 가전제품 원격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9609A KR20020079030A (ko) 2001-04-12 2001-04-12 사용자 위치파악이 가능한 가전제품 원격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79030A true KR20020079030A (ko) 2002-10-19

Family

ID=277008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19609A KR20020079030A (ko) 2001-04-12 2001-04-12 사용자 위치파악이 가능한 가전제품 원격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79030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4158B1 (ko) * 2004-12-20 2007-02-2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디지털 홈 네트워크의 홈 맵 편집 시스템 및 그 편집 방법
KR20110117843A (ko) * 2010-04-22 2011-10-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표시 시스템 및 이벤트 공유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4158B1 (ko) * 2004-12-20 2007-02-2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디지털 홈 네트워크의 홈 맵 편집 시스템 및 그 편집 방법
KR20110117843A (ko) * 2010-04-22 2011-10-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표시 시스템 및 이벤트 공유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72197B2 (en) Remote control, remote control system, and remote control method
US8531276B2 (en) State-based remote control system
EP1859424B1 (en) Power strip with control and monitoring functionality
US6784805B2 (en) State-based remote control system
US20080055108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legacy home appliances
WO2001073720A1 (en) Remote control interface for converting radio remote control signals into infrared remote control signals
US20110077751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appliances via a network
US20070133994A1 (en) Automatic frequency hopping remote controller
JP2008205780A (ja) 遠隔制御装置および遠隔制御方法
EP0412989B1 (en) Long distance remote control
JP2000184471A (ja) ホームオートメーション方式
US20060277580A1 (en) Infrared signal distribution and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JP2003284169A (ja) 家電機器のリモコン装置
US713892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ositive control of devices with toggle power control
EP1240635A2 (en) Universal remote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CN105575082A (zh) 学习式遥控系统
US6188325B1 (en) Long distance remote control
CN102611927A (zh) 具有万能遥控功能的机顶盒
KR101405331B1 (ko) 무선 마이크 시스템의 송수신 방법
WO2007046193A1 (ja) 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システム及びこれを用いた電気機器の遠隔操作方法
KR20020079030A (ko) 사용자 위치파악이 가능한 가전제품 원격제어 방법
KR100227433B1 (ko) 가전제품 중앙집중식 제어장치
RU53797U1 (ru) Система универсального дистанционного управления
EP1796055A1 (en) Automatic frequency hopping remote controller
KR200320218Y1 (ko) 리모콘 겸용 무선 전화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